KR102289399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399B1
KR102289399B1 KR1020207029670A KR20207029670A KR102289399B1 KR 102289399 B1 KR102289399 B1 KR 102289399B1 KR 1020207029670 A KR1020207029670 A KR 1020207029670A KR 20207029670 A KR20207029670 A KR 20207029670A KR 102289399 B1 KR102289399 B1 KR 102289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pad
glasses
tip
tem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741A (ko
Inventor
켄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아이존 제팬 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존 제팬 아이앤씨. filed Critical 아이존 제팬 아이앤씨.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46701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16333A1/ja
Publication of KR2020012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Abstract

코 패드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함과 동시에, 착용 시에 지지구조가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안경(100)은, 상하방향으로 폭이 넓은 템플(30L, 30R)과, 기단(基端)이 템플(30L, 30R) 안쪽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템플(30L, 30R)의 내측면(33L, 33R)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템플(30L, 30R)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템플 패드(40L, 40R)를 구비하며, 템플 패드(40L, 40R)는 기단 부분(41L, 41R)이 가늘게, 또, 안경(100)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관자놀이에 접하는 선단 부분(42L, 42R)이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부풀어지는 두께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템플 패드(40L, 40R)의 전체 또는 대부분이 템플(30L, 30R)에 가려서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안경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 패드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좌우 한 쌍의 렌즈가 고정된 프론트와, 프론트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이어지는 템플과, 템플의 끝에 장착된 팁으로 구성된다. 또 안경의 착용시에 프론트가 얼굴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프론트 중앙부분에 코받침 또는 코 패드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안경을 장시간 착용하면, 코 패드가 접촉하는 콧등에 안경의 프론트의 하중이 계속 걸려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 안경을 벗었을 때에 콧등에 코 패드의 자국이 남아 버리는 경우가 있어, 미용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코 패드를 없앤 안경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내지 5를 참조).
특허문헌1 : 일본특개 2003-12180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특개 2001-201721호 공보 특허문헌3 : 실용신안등록 제3214365호 특허문헌4 : 실용신안등록 제3198964호 특허문헌5 : 일본특개 2011-99939호 공보
코 패드를 없애면 콧등에서 안경의 프론트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종래의 코 패드가 없는 안경은 모두 관자놀이로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얼굴에 위치하는 안경의 프론트 하중을 측두부의 관자놀이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관자놀이와의 접촉부분 면적을 크게 하는 등, 지지구조를 어느 정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지지구조를 크게 하면 안경착용시에 지지구조가 튀어 버려 외관이 나빠진다. 특히, 패션성이 요구되는 안경에서 지지구조는 가능한 한 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관을 우선해서 지지구조를 가늘게, 작게 하면, 이번에는 착용시의 안정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코 패드가 없는 안경은 착용 안정성과 외관의 좋고나쁨이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다.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코 패드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함과 동시에, 착용시에 지지구조가 튀지 않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안경은, 상하방향으로 폭이 넓은 템플과, 기단(基端)이 템플 안쪽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템플의 내측면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템플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템플 패드를 구비하며, 템플 패드는, 기단 부분이 가늘게, 또, 안경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관자놀이에 접하는 선단 부분이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부풀어지는 두께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템플 패드의 전체 또는 대부분이 템플에 가려서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템플 패드가,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의 심재와, 심재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심재에 입혀지며, 기단 부분 및 이에 이어지는 선단 부분이 일체부재로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패드 본체를 가져도 되며, 심재가, 패드 본체로부터 노출된 일단이 템플 안쪽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템플 내측면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템플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어져도 된다.
템플이, 내측면 상에, 템플의 연장방향으로 개구하는 포킷을 가져도 되며, 템플 패드의 기단 부분 선단이 포킷으로 삽입되어 템플 패드가 템플에 고정되어도 된다.
템플, 포킷, 및 팁이 일체부재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또 팁의 선단 부근이,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 7mm 정도로 안쪽으로 부풀어진 형상이어도 된다. 템플 패드는 기단이 템플의 뒤쪽 부근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앞쪽으로 이어져도 된다. 또한 템플 패드의 기단 부분의 템플에 면하는 쪽에, 이 기단 부분에 있어서의 템플 패드와 템플과의 틈새를 메우는 정도로 돌기한 볼록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템플 패드가 템플에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 패드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함과 동시에, 착용시에 지지구조가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의 측면도.
도 4는 템플 패드 삽입용 포킷 부근의 확대도.
도 5는 템플 패드의 분해확대도.
도 6은 템플 패드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
도 7은 템플 패드로부터 패드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템플 패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템플 패드의 템플에 장착했을 때의 장착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통상의 팁과 변형예에 관한 팁과의 비교도.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한 설명이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피하고 당업자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발명자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들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에 그려진 각 부재의 치수, 두께, 세부의 상세한 형상 등은 실제의 것과는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안경을 착용했을 때의 두부의 화살표 방향,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각각 안경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한다.
<<안경의 개략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100)은, 좌우 한 쌍의 렌즈(10L, 10R)를 고정하는 프론트(20)와, 좌우 한 쌍의 템플(30L, 30R)과, 템플(30L, 30R) 내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좌우 한 쌍의 템플 패드(40L, 40R)를 구비한다. 템플(30L, 30R)은 프론트(20)의 좌우 양단에 배치된 힌지(50L, 50R)의 각각을 개재하여 프론트(20)에 접속되며, 프론트(20) 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론트의 구성예>>
프론트(20)는, 앞쪽으로 약간 부풀어지도록 완만하게 휘어 있다. 그 만곡 정도는 안경(100)의 용도에 따라 설계하면 되고, 예를 들면 패션 안경에서는 만곡을 크게 하며, 시력교정용 안경에서는 만곡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프론트(20)는 휘어지지 않은 스트레이트 형상이라도 된다.
구체적으로 프론트(20)는, 렌즈(10L, 10R)를 고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림(21L, 21R)과, 림(21L, 21R)을 잇는 브릿지(22)와, 림(21L)의 좌단 및 림(21R)의 우단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엔드피스(23L, 23R)로 구성된다. 힌지(50L, 50R)는 각각 엔드피스(23L, 23R)에 장착된다.
렌즈(10L, 10R)는 시력교정용 렌즈나 차광 렌즈 외, 이른바 더미 렌즈라도 된다. 림(21L, 21R), 브릿지(22), 엔드피스(23L, 23R)는 일체형성되어도 되며, 각각 다른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어도 된다.
그리고 프론트(20)의 재질은 합성수지든 금속이든 무엇이라도 된다.
<<템플의 구성 예>>
템플(30L, 30R)은 가는 막대형의 부재가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다. 템플(30L, 30R)의 재질은 합성수지든 금속이든 무엇이라도 된다.
구체적으로, 템플(30L, 30R)은 힌지(50L, 50R)와의 접속부분에서 말단부분에 걸쳐 상하방향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템플(30L, 30R)의 가장 넓은 부분(힌지(50L, 50R)와의 접속부분)의 폭은 약 15mm이고, 가장 좁은 부분(후술하는 팁과의 경계부분)의 폭은 약 4mm이다. 여기서, 이들 치수는 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템플(30L, 30R)에 있어서, 안경(100)을 착용했을 때에 관자놀이로부터 귀의 상부로 이르는 거의 직선부분(31L, 31R)은, 바깥쪽으로 약간 부풀어진 원호를 그려 전후방향으로 이어지며, 귀의 상부로부터 뒤쪽으로 이르는 팁(32L, 32R)은, 곡률을 작게 하여 안쪽으로 들어가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휘어 있다. 거의 직선부분(31L, 31R)의 횡단면은 거의 사각형이며, 그 내측면(33L, 33R) 및 외측면(34L, 34R)은 거의 평탄하다. 또 템플(30L, 30R)의 모서리는 모따기처리 되어 있다. 한편, 팁(32L, 32R)의 말단부분은 안쪽으로 완만하게 부풀어진 두께의 입체곡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템플(30L, 30R)은 각각 내측면(33L, 33R) 위에, 템플(30L, 30R)의 연장방향으로 개구하는 포킷(35L, 35R)을 구비한다. 포킷(35L, 35R)에 템플 패드(40L, 40R)의 기단부분 선단이 각각 삽입되어 템플 패드(40L, 40R)가 템플(30L, 30R)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템플 패드 삽입용 포킷(35R) 부근의 확대도이다. 템플(30R)의 거의 직선부분(31R)의 후단 부근이 템플(30R)의 내측면(33R)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두껍게 형성되고, 거기에 포킷(35R)이 형성된다. 내측면(33R)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두께부분은 칩(32R)으로 순조롭게 이어지고, 칩(32R)의 내측면(36R)이 형성된다.
포킷(35R)은 그 앞쪽 끝단면이 개구되며, 개구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약 3mm, 좌우방향 길이는 약 2mm, 전후방향(템플(30R)의 연장방향)의 안길이는 약 6mm이다. 여기서, 이들 치수는 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킷(35R) 상부에서, 템플(30R)의 내측면(33R) 상단에서 팁(32R)의 내측면(36R) 상단에 걸쳐 순조롭게 이어지는 리브(37R)가 형성된다. 또 포킷(35R) 하부에서, 템플(30R)의 내측면(33R) 하단에서 팁(32R)의 내측면(36R) 하단에 걸쳐 순조롭게 이어지는 리브(38R)가 형성된다. 포킷(35R)은 이들 두 개의 리브(37R 및 38R) 사이 공간의 안쪽에 있다. 이들 두 개의 리브(37R 및 38R)는, 템플 패드(40R)의 기단 부분 선단을 포킷(35R)으로 삽입할 때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팁(32R)의 내측면(36R) 위의 포킷(35R)의 개구부로부터 뒤쪽으로 3mm 정도 떨어진 위치에 구멍(39R)이 있다. 이 구멍(39R)은, 포킷(35R)으로 삽입된 템플 패드(40R)를 나사로 조이기 위한 구멍이다.
여기서, 포킷(35L)은 상술한 포킷(35R)과 형상이 경면대칭이 될 뿐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템플 패드의 구성 예>>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템플 패드(40L, 40R)는 각각 기단(基端)이 템플(30L, 30R) 안쪽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템플(30L, 30R)의 내측면(33L, 33R)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템플(30L, 30R)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어진다. 구체적으로, 템플 패드(40L, 40R)의 기단은 각각 템플(30L, 30R)의 거의 직선부분(31L, 31R)의 후단 부근에 형성된 포킷(35L, 35R)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템플(30L, 30R)의 내측면(33L, 33R)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거의 직선부분(31L, 31R)을 따라 앞쪽, 즉, 프론트(20)쪽으로 이어진다.
템플 패드(40L, 40R)는 기단 부분(41L, 41R)이 가늘게, 또, 안경(100)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관자놀이에 접하는 선단 부분(42L, 42R)이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부풀어지는 두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선단 부분(42L, 42R)은 팁(32L, 32R)의 말단 부분과 마찬가지로 안쪽으로 완만하게 부풀어진 두께의 입체곡면 형상을 갖는다.
템플(30L, 30R)의 내측면(33L, 33R)과 템플 패드(40L, 40R) 선단과의 틈새(gap)는 약 7mm이다. 또 템플(30L, 30R)을 벌린 상태에서 템플 패드(40L, 40R)의 기단 부분(41L, 41R) 사이는 약 130mm, 선단 부분(42L, 42R) 사이는 약 120mm이다. 여기서, 이들 치수는 한 예로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템플 패드(40R)의 분해 확대도이다. 템플 패드(40R)는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의 심재(43R)와, 기단 부분(41R) 및 이에 이어지는 선단 부분(42R)이 일체부재로서 형성된 합성수지(바람직하게는 약간 연질의 합성수지)제의 패드 본체(44R)를 구비한다. 심재(43R)의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약간 부풀어지고 나사구멍(45R)이 형성된다. 패드 본체(44R)의 기단 부분(41R) 측면에는 심재(43R)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있으며, 그 개구부로부터 패드 본체(44R)의 전체 길이방향으로 심재(43R)에 패드 본체(44R)를 입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심재(43R)에 패드 본체(44R)의 안쪽까지 입힌 상태에서, 나사구멍(45R)을 포함한 심재(43R)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심재(43R)의 치수는, 길이 약 40mm, 두께 약 1mm, 상하방향의 폭이 약 1mm, 패드 본체(44R)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상하방향 폭이 약 3mm, 이 부분의 길이가 약 5mm, 나사구멍(45R)의 지름이 약 1mm이다. 패드 본체(44R)의 치수는, 전체 길이가 약 44mm, 두께 약 3mm, 기단 부분(41R)의 상하방향 폭이 약 4mm, 선단 부분(42R)의 상하방향 최대폭이 약 12mm, 패드 본체(44R)의 최선단부로부터 상하방향이 최대폭인 부분까지의 길이는 약 10mm이다. 여기서, 이들 치수는 한 예로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템플 패드(40R)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6에 나타내듯이, (1)심재(43R)에 패드 본체(44R)를 입히고, (2)나사구멍(45R)이 형성된 심재(43R)의 일단을 포킷(35R)으로 삽입하여, (3)구멍(39R)에 나사(46R)를 통해 조임으로써, 템플 패드(40R)를 템플(30R) 내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나사(46R)의 길이는 약 3mm이며, 지름은 약 1mm이다. 이들 치수는 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템플 패드(40R)를 교환하는 경우, 나사(46R)를 풀고 포킷(35R)으로부터 템플 패드(40R)를 빼내어 새로운 템플 패드(40R)와 교환하면 된다. 또는 포킷(35R)에 심재(43R)를 나사로 조인 채로 패드 본체(44R)만을 교환할 수도 있다.
도 7은 템플 패드(40R)로부터 패드 본체(44R)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템플 패드(40R)로부터 패드 본체(44R)를 빼면 심재(43R)가 나타난다. 심재(43R)는 나사구멍(45R)이 배치된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템플(30R)의 내측면(33R)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템플(30R)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어진다. 도7에 나타내듯이, 심재(43R)를 노출시킨 상태로 새로운 패드 본체(44R)를 심재(43R)에 입히면 된다.
여기서, 템플 패드(40L)는 상술의 템플 패드(40R)와 형상이 경면대칭이 될 뿐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100)은, 왼쪽의 템플(30L), 팁(32L), 포킷(35L) 및 오른 쪽의 템플(30R), 팁(32R), 포킷(35R)이 각각 일체부재로서 형성되며, 특히 템플(30L, 30R)의 외측면(34L, 34R)은 각각 힌지(50L, 50R)에 접속되는 부분에서부터 팁(32L, 32R)의 말단에 이르기까지 단차가 없는 순조로운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 엔드피스(23L, 23R)의 상하방향의 폭 및 두께가 각각 템플(30L, 30R)의 상하방향의 폭 및 두께에 맞추어져 있다. 이로써, 템플(30L, 30R)을 벌린 상태에서, 프론트(20)에서 좌우의 템플(30L, 30R), 그리고 좌우의 팁(32L, 32R)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일체로 이어져 깔끔한 인상을 주는 디자인이 된다.
또, 안경(100)을 착용할 때에, 팁(32L, 32R)의 말단부분 안쪽의 입체곡면 형상 부분이 측두부에 접촉하면서 귀의 상부에서 뒤에 걸쳐 이동하며, 안경(100)을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팁(32L, 32R)의 말단부분이 귀의 뒤를 좌우 양쪽으로부터 적절한 힘으로 감싸 안경(100)의 후단을 두부에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또 템플 패드(40L, 40R)의 기단을, 각각 템플(30L, 30R)의 거의 직선부분(31L, 31R)의 후단 부근에 고정하고, 그곳으로부터 템플(30L, 30R)의 내측면(33L, 33R)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거의 직선부분(31L, 31R)을 따라 프론트(20) 쪽으로 이어지도록 템플 패드(40L, 40R)를 배치함으로써, 안경(100)을 착용할 때에 템플 패드(40L, 40R)의 선단 부분(42L, 42R)이 측두부에 걸리지 않고 스무스하게 안경(100)을 착용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심재를 갖는 템플 패드(40L, 40R)가 적절한 탄력성을 발휘함으로써, 안경(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템플 패드(40L, 40R)의 선단 부분(42L, 42R)이 좌우로부터 관자놀이를 적절한 힘으로 감싸, 코 패드가 없어도 프론트(2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안경(100)을 착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템플 패드(40L, 40R)에 손가락으로 힘을 주는 등 하여, 템플 패드(40L, 40R)의 선단 부분(42L, 42R)을 안경(100) 착용자의 머리 형상에 맞도록 더 안쪽 또는 더 바깥쪽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 템플 패드(40L, 40R)의 심재(43L, 43R)를 템플(30L, 30R)에 고정한 채 패드 본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템플 패드(40L, 40R)의 교환이 용이하다.
그리고 특히 언급하고자 하는 중요한 점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100)은, 측면에서 볼 때, 템플 패드(40L, 40R)의 대부분이 템플(30L, 30R)에 가려서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 점이다. 도3은 안경(100)을 왼쪽에서 본 측면도인데, 템플(30L)에서 템플 패드(40L)의 선단 부분(42L) 하부가 아주 약간 보이는 정도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100)은, 관자놀이와의 접촉부분 면적이 비교적 큰 템플 패드(40L, 40R)를 채용하되, 안경(100) 착용시에 템플 패드(40L, 40R)가 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코 패드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함과 동시에, 착용시에 지지구조를 튀지 않도록 한다는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변형예>>
상기의 안경(100)은 다음과 같이 적절하게 변형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왼쪽의 템플(30L), 팁(32L), 포킷(35L) 및 오른 쪽의 템플(30R), 팁(32R), 포킷(35R)을 각각 다른 부품으로 형성하여 서로 이어주도록 해도 된다.
포킷(35L, 35R)을 형성하지 않고 템플(30L,30R)의 내측면(33L, 33R)에 템플 패드(40L, 40R)를 직접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프레임(21L, 21R)을 투포인트 프레임이나 나이롤 프레임으로 해도 된다.
힌지(50L, 50R)를 없애도 된다.
템플(30L,30R)의 상하방향 폭을 조금 넓히거나, 혹은 템플 패드(40L, 40R)의 선단 부분(42L, 42R)의 상하방향 폭을 조금 좁히거나, 또는 그 양쪽을 행하여, 측면에서 볼 때에 템플 패드(40L, 40R) 전체가 템플(30L,30R)에 가려서 보이지 않도록 해도 된다.
<<머리카락의 말려 들어가기 대책>>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안경(100)에서는, 템플 패드(40L, 40R)가, 템플(30L, 30R)의 후단 부분에서 프론트(20) 쪽으로 템플(30L, 30R)의 내측면(33L, 33R)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배치되므로, 안경(100)을 착용할 때에 머리카락이 템플(30L,30R)과 템플 패드(40L,40R) 사이의 틈새로 말려 들어가, 템플 패드(40L, 40R)의 기단 부분(41L, 41R)에 걸려 빠지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템플 패드(40L, 40R)를 역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즉, 템플 패드(40L, 40R)의 기단을 힌지(50L, 50R) 부근에 고정하고, 그곳으로부터 뒤쪽으로 선단 부분(42L, 42R)이 템플(30L, 30R) 내측면(33L, 33R)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템플(30L, 30R)의 연장방향을 따라 템플 패드(40L, 40R)를 장착해도 된다.
또는 템플 패드(40L, 40R)의 기단 부분(41L, 41R)에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도8은, 변형예에 관한 템플 패드(40R)의 사시도로서, 도5를 뒤쪽에서 본 도이다. 이 변형예에 관한 템플 패드(40R)에 있어서, 패드 본체(44R)의 기단 부분(41R)의 템플(30R(도면 생략))에 면하는 쪽에, 기단 부분(41R)에서의 템플 패드(40R)와 템플(30R)과의 틈새를 메울 정도로 약간 돌기한 볼록부(47R)가 형성된다. 한 예로서, 볼록부(47R)는 패드 본체(44R)의 기단 부분(41R) 표면으로부터 약 1mm 돌기되며, 패드 본체(44R)의 기단 부분(41R)의 측면(심재(43R)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끝)으로부터 약 2mm의 폭으로 선단 부분(42R)을 향해 약 6mm 이어진다. 도9는, 도8의 템플 패드(40R)를 템플(30R)에 장착했을 때의 장착부분의 확대도이다. 볼록부(47R)에 의해 템플 패드(40R) 기단 부분(41R)에서의 템플 패드(40R)와 템플(30R)과의 틈새가 메워짐으로써, 안경(100)을 착용할 때에 머리카락이 템플(30R)과 템플 패드(40R)의 틈새로 말려 들어가도 템플 패드(40R)의 기단 부분(41R)에 걸리지 않고 쉽게 빠지게 할 수 있다.
볼록부(47R)의 형상은 도5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 형상이 삼각형이나 반원형이라도 된다. 또 볼록부(47R)는 템플 패드(40R)의 기단 부분(41R)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지 않아도 되며, 기단 부분(41R)의 측면으로부터 6mm 정도의 위치에 돌기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혹은 템플 패드(40R)에 볼록부(47R)를 형성하지 않고 템플(30R)의 내측면(33R(도7 참조))에 볼록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템플 패드(40L)는 템플 패드(40R)와 형상이 경면대칭이 될 뿐이므로, 템플 패드(40L)의 변형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프론트의 흘러내림 대책>>
안경(100)에는 코 패드가 없으므로, 착용시에 팁(32L, 32R)이 착용자의 후두부(귀의 뒤쪽)를 단단히 유지하지 못하면 템플 패드(40L, 40R)의 선단 부분(42L, 42R)을 받침점으로 하여 프론트(20)가 흘러내려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후두부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팁(32L, 32R)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해도 된다. 도10은 통상의 팁과 변형예에 관한 팁과의 비교도이다. 통상의 팁과 마찬가지로 변형예에 관한 팁도 선단 부근이 두껍게 형성되어 안쪽으로 부풀어져 있으나, 그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통상의 팁의 약 3배인 7mm 정도이다. 이와 같이 팁의 선단 부근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안경(100)을 착용했을 때에 팁(32L, 32R)이 착용자의 후두부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며, 프론트(2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안경(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술의 예시로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요소 중에는, 과제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뿐만이 아니라, 상기 기술을 예시하기 위하여, 과제 해결을 위해서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요소가 첨부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음을 갖고, 바로 이들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요소가 필수적이다고 인정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술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할 수 있다.
100 : 안경 30L, 30R : 템플
32L, 32R : 팁 35L, 35R : 포킷
40L, 40R : 템플 패드 41L, 41R : 기단(基端) 부분
42L, 42R : 선단 부분 43R : 심재
44R : 패드 본체 47R : 볼록부

Claims (10)

  1. 안경이며,
    힌지와의 접속부분에서 말단부분으로 갈수록 상하방향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한 템플과,
    기단(基端)이 상기 템플의 안쪽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상기 템플의 내측면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상기 템플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템플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템플 패드는, 상기 안경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관자놀이에 접하는 선단 부분이 아래쪽으로 부풀어지는 두께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단 부분이 상기 선단 부분보다 가늘게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템플 패드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템플에 가려서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템플 패드는, 기단이 상기 템플의 뒤쪽 부근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앞쪽으로 이어지고,
    상기 템플 패드의 기단 부분의 상기 템플에 면하는 쪽에, 이 기단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템플 패드와 상기 템플과의 틈새를 메우도록 돌기한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이, 내측면 상에, 상기 템플의 연장방향으로 개구하는 포킷을 가지며,
    상기 템플 패드의 기단 부분의 선단이 상기 포킷으로 삽입되어 상기 템플 패드가 상기 템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상기 포킷, 및 팁이 일체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선단 부근이,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 7mm 로 안쪽으로 부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제1 항 내지 제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패드가,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심재에 입혀지며, 상기 기단 부분 및 이에 이어지는 상기 선단 부분이 일체부재로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패드 본체를 가지며,
    상기 심재가, 상기 패드 본체로부터 노출된 일단이 상기 템플의 안쪽의 상기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상기 템플의 내측면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상기 템플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6. 제1 항 내지 제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패드가 상기 템플에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7029670A 2018-12-04 2019-11-29 안경 KR102289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26945 2018-12-04
JP2018226945 2018-12-04
JPJP-P-2019-134270 2019-07-22
JP2019134270A JP6749712B2 (ja) 2018-12-04 2019-07-22 眼鏡
PCT/JP2019/046701 WO2020116333A1 (ja) 2018-12-04 2019-11-29 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741A KR20200125741A (ko) 2020-11-04
KR102289399B1 true KR102289399B1 (ko) 2021-08-13

Family

ID=7108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670A KR102289399B1 (ko) 2018-12-04 2019-11-29 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67373B1 (ko)
JP (1) JP6749712B2 (ko)
KR (1) KR102289399B1 (ko)
CN (1) CN112074776B (ko)
TW (1) TWI7236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47625A1 (en) * 2019-08-19 2021-08-12 Troy Adam Devore Eyewear design with temple retention features
JP7313044B2 (ja) * 2019-09-06 2023-07-2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
JP2022191931A (ja) 2021-06-16 2022-12-28 ライン工業株式会社 眼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800A (ja) 2001-10-19 2003-04-23 Keite Optica: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9957A (en) * 1926-04-28 1929-07-09 Burton M Arrick Spectacle template
JPS5414551U (ko) * 1977-07-04 1979-01-30
JPS565058Y2 (ko) * 1977-09-01 1981-02-04
JP2001201721A (ja) 2000-01-17 2001-07-27 Katsuki Optical Co Ltd 眼鏡枠
US8168701B2 (en) 2008-04-24 2012-05-01 W. R. Grace & Co.-Conn. Concrete or mortar admixture composition
KR20110099939A (ko) 2010-03-03 2011-09-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광 조사를 통한 액정과 광경화성 단분자 혼합물의 수직 배향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TWM404392U (en) * 2010-12-30 2011-05-21 All Logic Internat Co Ltd Temple of eyeglasses with auxiliary pad holder
CN103246079A (zh) * 2012-02-03 2013-08-14 浩捷光学有限公司 一种眼镜
JP3198964U (ja) 2015-05-19 2015-07-30 株式会社シャルマン 眼鏡
CN205899173U (zh) * 2016-06-28 2017-01-18 亮风台(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眼镜
CN106773140B (zh) * 2016-11-24 2019-03-12 厦门大学 眼镜自动化装配机
JP3214365U (ja) 2017-10-24 2018-01-11 国立大学法人福井大学 医療用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800A (ja) 2001-10-19 2003-04-23 Keite Optica: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95243A (ja) 2020-06-18
TW202024726A (zh) 2020-07-01
EP3767373C0 (en) 2023-10-18
TWI723661B (zh) 2021-04-01
KR20200125741A (ko) 2020-11-04
CN112074776A (zh) 2020-12-11
EP3767373A1 (en) 2021-01-20
JP6749712B2 (ja) 2020-09-02
EP3767373A4 (en) 2021-06-30
CN112074776B (zh) 2022-12-09
EP3767373B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399B1 (ko) 안경
WO2020116333A1 (ja) 眼鏡
US6742890B1 (en) Mounting structure for lenses and a frame of an eyeglasses
JP2015038608A (ja) 鼻パッド無し眼鏡
US7513618B2 (en) Nose pad
US20140132911A1 (en) Temple for eyeglass fr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e
JP5697196B2 (ja) 鼻当てパッドレス眼鏡
KR102427220B1 (ko) 교환 가능한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
JP6407793B2 (ja) 頭部装着表示装置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JP2007041427A (ja) 眼鏡フレーム
KR102565302B1 (ko)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ES2862350T3 (es) Montura de gafas y patilla de la misma
JP5961776B2 (ja) 眼鏡
WO2020255470A1 (ja) 眼鏡
JP4824477B2 (ja) 眼鏡フレーム
JP3107987U (ja) 眼鏡フレーム
JP3219777U (ja) 薄型老眼鏡
JP5390350B2 (ja) 眼鏡のテンプルおよび眼鏡
JP6782983B2 (ja) メガネフレーム
JP3880927B2 (ja) メガネの鼻当て部
JP2004077637A (ja) 眼鏡フレーム
JP2003066382A (ja) 防塵眼鏡
JP2023073941A (ja) メガネのための曇り止め装置
KR20220001234U (ko) 안경용 마스크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