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02B1 -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 Google Patents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02B1
KR102565302B1 KR1020210025379A KR20210025379A KR102565302B1 KR 102565302 B1 KR102565302 B1 KR 102565302B1 KR 1020210025379 A KR1020210025379 A KR 1020210025379A KR 20210025379 A KR20210025379 A KR 20210025379A KR 102565302 B1 KR102565302 B1 KR 102565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upport
wearer
seat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396A (ko
Inventor
류정민
이동규
Original Assignee
류정민
이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민, 이동규 filed Critical 류정민
Priority to KR102021002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의 중앙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경 코 받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하게 양측에서 서로 대응되게끔 형성되어 안경테(1)의 중앙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분리형으로 부착 · 형성하는 연결대(11)를 구비하는 브릿지부(10); 상기 브릿지부(10)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게끔 절곡 형태의 안착부(21)를 구비하고, 브릿지부(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수지재 중의 어느 하나로 택일하여 형성하는 지지부(20); 상기 지지부(20)에 있는 절곡 형태의 안착부(21)에 착용자의 코를 감싸면서 지지하게 안착부(21)가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어 고통 방지와 면밀한 지지가 되도록 안착부(21)의 일면 양 끝단에 각각 대응되게끔 형성되어 완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안착부(32)를 구비하는 패드부(30); 및 상기 브릿지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형성되어 브릿지부(10)로부터 지지부(20)가 면밀하게 고정되게 브릿지부(10)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42)을 갖는 돌출부(41)와 지지부(20)의 중앙에 수용공간(42) 내부로 삽설되는 삽설부(43)를 구비하되, 돌출부(41)와 삽설부(43)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용접부(46)를 구비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경용 코 받침이 착용자의 코 전체를 감싸거나 코의 일부분에서 부드러우면서도 긴밀하게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안경 착용자 코의 안착면에 심한 압박감과 고통이 유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한편, 착용자의 코에 면밀히 밀착할 수 있게끔 절곡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과 부드러운 안착감이 뛰어나게 향상되어 사용상의 안락함을 가져옴은 물론, 강한 밀착력과 긴밀성을 통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활동성이 크게 높아짐과 동시에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Nose bridge for eyeglass frames with seating power and excellent tightness}
본 발명은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경용 코 받침이 착용자의 코 전체를 감싸거나 코의 일부분에서 부드러우면서도 긴밀하게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안경 착용자 코의 안착면에 심한 압박감과 고통이 유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한편, 착용자의 코에 면밀히 밀착할 수 있게끔 절곡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과 부드러운 안착감이 뛰어나게 향상되어 사용상의 안락함을 가져옴은 물론, 강한 밀착력과 긴밀성을 통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활동성이 크게 높아짐과 동시에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안경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착용하여 시력을 보강하거나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최근 들어서는 시력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인상을 가져오거나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안경은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어 착용하지만 코의 양면 일 측 부분에서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늘 끼고 있는 안경의 무게에 의해 착용자는 고통과 따가움, 불편함과 코의 양쪽에 자국 등이 발생되는 경우도 많을 뿐만 아니라 면밀한 지지가 잘 되지 않아 착용자가 활동하는데 여러 지장을 주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이의 개선을 위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뚜렷한 성과는 잘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7-0003787호에 따르면, '렌즈(1)의 외측을 고정 및 지지하고, 말단에 귀걸이부(5)가 형성되며, 한 쌍의 다리부(4)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안경테(3)의 사이에 구비되는 안경의 코받침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경테(3)에 양측이 고정 및 지지되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횡방향의 고정띠(120)를 지그재그식으로 간격을 두고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코받침 몸체(100)를 형성하며, 상기 코받침 몸체(100)는 상향의 만곡 형태(140)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한 안경의 코받침 구조.'를 제시한다.
그런데 상기한 안경의 코받침 구조는 몸체를 지그재그 식으로 형성하여 완충력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지만 착용자의 코 전체를 감쌀 수 없어 안전성과 활동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1697475호에 따르면, '상호 분리된 좌측 안경테와 우측 안경테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코받침 연결구; 및 상기 코받침 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한 쌍의 코받침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연결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은: 미세한 길이의 차이를 갖는 다수 개의 연결편들을 구비하여, 안경 착용자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연결편을 이용함에 의해 좌우 안경렌즈의 간격을 안경 착용자에 맞출 수 있게 세팅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연결편은: 소정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단에 일직선상을 이루게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를 코받침 연결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코받침 연결구에는 개구된 끼움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부에 연결편의 양단에 형성된 수평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끼움 고정하되, 상기 수평부에는 끼움홈부에 대응하는 끼움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단턱이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 고정되게 하며, 상기 코받침 연결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소정 곡면을 이루게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는 코받침이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안경테에 구비되는 고정홈부에 끼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용접부위의 피로하중이 발생 됨이 없게 함과 아울러 고정 후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안경테에 형성되는 고정홈부는 상하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상부 고정홈부와 하부 고정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홈부와 하부 고정홈부에 각각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는 몸체부의 상하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상부 삽입돌부와 하부 삽입돌부로 이루어지져,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끼움 고정되어 지지 됨에 의해 유동됨이 없게 고정되게하고, 상기 상부 삽입돌부과 하부 삽입돌부에는: 상기 상부 고정홈부와 하부 고정홈부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함과 아울러 삽입된 후 이탈 및 유동됨이 없도록 다수의 결합돌기들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돌기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고정홈부와 하부고정홈부의 내측에는 결합홈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들이 결합홈부들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연결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상기한 안경 코받침 연결구 또한 지지부가 코의 양측으로 각각 따로따로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충격과 압력에 늘 취약할 뿐만 아니라, 코의 양측 부분에서 개별적 지지로 인하여 착용자의 코 전체를 감싸지 못함에 따라 안전성과 활동성이 저하될 수 있는 폐단이 있다.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7-0003787호 "안경의 코받침 구조" 한국 등록 특허 제1697475호 "안경 코받침 연결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경용 코 받침이 착용자의 코 전체를 감싸거나 코의 일부분에서 부드러우면서도 긴밀하게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안경 착용자 코의 안착면에 심한 압박감과 고통이 유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한편, 착용자의 코에 면밀히 밀착할 수 있게끔 절곡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과 부드러운 안착감이 뛰어나게 향상되어 사용상의 안락함을 가져옴은 물론, 강한 밀착력과 긴밀성을 통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활동성이 크게 높아짐과 동시에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안경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의 중앙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경 코 받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하게 양측에서 서로 대응되게끔 형성되어 안경테의 중앙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분리형으로 부착 · 형성하는 연결대를 구비하는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게끔 절곡 형태의 안착부를 구비하고, 브릿지부와 동일 또는 상이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수지재 중의 어느 하나로 택일하여 형성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있는 절곡 형태의 안착부에 착용자의 코를 감싸면서 지지하게 안착부가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어 고통 방지와 면밀한 지지가 되도록 안착부의 일면 양 끝단에 각각 대응되게끔 형성되어 완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안착부를 구비하는 패드부; 및 상기 브릿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브릿지부로부터 지지부가 면밀하게 고정되게 브릿지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갖는 돌출부와 지지부의 중앙에 수용공간 내부로 삽설되는 삽설부를 구비하되, 돌출부와 삽설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용접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경용 코 받침이 착용자의 코 전체를 감싸거나 코의 일부분에서 부드러우면서도 긴밀하게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안경 착용자 코의 안착면에 심한 압박감과 고통이 유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한편, 착용자의 코에 면밀히 밀착할 수 있게끔 절곡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과 부드러운 안착감이 뛰어나게 향상되어 사용상의 안락함을 가져옴은 물론, 강한 밀착력과 긴밀성을 통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활동성이 크게 높아짐과 동시에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코받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코받침의 정면과 후면을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코받침의 패드부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코받침의 고정수단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1)의 중앙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코에 면밀한 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 코 받침구와 관련되며, 브릿지부(10) · 지지부(20) · 패드부(30) · 고정수단(4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부(10)는 상기 안경테(1)의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한다. 브릿지부(10)는 안경테(1)의 중앙 부분, 즉 안경테(1)의 양측으로 렌즈(lens)가 삽설되는 부위를 림(rim)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림의 중앙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브릿지부(10)는 전체적인 안경테(1)에서 발생되는 여러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도와 영향을 받는 부분이면서도 착용 시에 전체적인 이미지를 좌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면밀한 지지력과 함께 멋진 형상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전체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상기 브릿지부(10)는 양측에서 서로 대응되게끔 형성되어 안경테(1)의 중앙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분리형으로 부착 · 형성한 연결대(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릿지부(10)는 전체적으로 절곡 형태를 가지면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대(11)를 각각 구비하게 된다. 연결대(11)는 안경테(1)의 중앙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분리형으로 부착 ·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안경테(1)를 사출(射出) 등의 작업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분리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브릿지부(10) 만을 별도로 형성하여 연결대(11)와 림을 서로 용접 및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 ·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는 브릿지부(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수지재 중의 어느 하나로 택일하여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20)는 브릿지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형태와 재질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으로 형성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고정수단(40)을 통해 서로 면밀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도 고정이 가능하다. 브릿지부(10)가 금속재로 형성될 경우에는 지지부(20)를 동일한 금속재로 형성할 수 있고, 브릿지부(10)를 플라스틱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부(20)를 금속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브릿지부(10)를 금속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부(20)를 플라스틱 수지재로 형성하여 서로 다른 재질로 인해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게끔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30)는 상기 지지부(20)에 있는 절곡 형태의 안착부(21)에 착용자의 코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패드부(30)는 지지부(20)에서 절곡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21)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코를 감싸면서 긴밀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패드부(30)는 실리콘(silicone)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진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완충이 잘 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부(30)는 안착부(21)에서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어 고통을 방지하면서 지지하게끔 안착부(21)의 일면 전체에 완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1안착부(31) 및 안착부(21)의 일면 양 끝단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완충이 가능하게끔 부착되는 제2안착부(32)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드부(30)는 제1안착부(31)와 제2안착부(32)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하게 되는데, 제1안착부(31)에 경우에는 지지부(20)에 있는 절곡 형태의 안착부(21)가 형성된 방향에서 착용자의 코와 밀착되는 부위 전체를 형성하게 되므로 고통을 방지하면서도 긴밀한 지지가 가능하게 되며, 또 제2안착부(32)에 경우에는 안착부(21)의 일면 양 끝단에 한 쌍으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코와 면밀히 밀착됨에 따라 고통을 방지하면서도 긴밀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40)은 브릿지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형성되어 브릿지부(10)로부터 지지부(20)의 면밀한 고정 및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게끔 구성한다. 고정수단(40)은 브릿지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형성되어 브릿지부(10)와 지지부(20)를 서로 고정하도록 하면서도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고정수단(40)은 브릿지부(10)로부터 지지부(20)의 면밀한 고정과 교체가 가능하게끔 브릿지부(10)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42)을 갖는 돌출부(41)와 지지부(20)의 중앙에 수용공간(42) 내부로 삽설되는 삽설부(43)를 구비하되, 돌출부(41)와 삽설부(43)에 각각 일치되게끔 관통하는 체결홈(44)에 볼트(45)를 체결하는 구성 및 돌출부(41)와 삽설부(43)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용접부(46)를 구비하는 구성과, 돌출부(41)가 삽설부(43)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하는 구성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수단(40)은 먼저 체결홈(44)에 볼트(45)를 체결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구성은 브릿지부(10)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41)가 지지부(20)의 중앙에 형성된 삽설부(43)의 수용공간(42)으로 삽설되고, 이어서 삽설부(43)와 수용공간(42)에서 일치되게끔 관통되는 체결홈(44) 상에 볼트(45)를 체결하여 서로 고정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긴밀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부(46)를 구비하는 구성은 브릿지부(10)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41)의 수용공간(42)으로 삽설부(43)를 삽설시킨 다음, 용접을 통해 용접부(46)를 고정함으로써 면밀한 고정력이 발휘되긴 하나 교체의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41)가 삽설부(43)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하는 구성은 삽설부(43)가 돌출부(41)의 수용공간(42)에 억지끼움 되도록 하는 것인데, 삽설부(43)와 수용공간(42)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돌출부(41)가 수용공간(42)으로 삽입될 때, 삽설부(43)가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 내지 수용공간(42)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억지끼움을 극대화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억지끼움 구성의 경우에는 다른 구성들보다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손쉽게 탈 · 부착이 가능하면서도 면밀한 고정력까지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40)은 브릿지부(10)와 지지부(20)의 재질 및 형상 등의 다양한 조건에 맞게끔 선택하여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경용 코 받침이 착용자의 코 전체를 감싸거나 코의 일부분에서 부드러우면서도 긴밀하게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안경 착용자 코의 안착면에 심한 압박감과 고통이 유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한편, 착용자의 코에 면밀히 밀착할 수 있게끔 절곡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과 부드러운 안착감이 뛰어나게 향상되어 사용상의 안락함을 가져옴은 물론, 강한 밀착력과 긴밀성을 통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활동성이 크게 높아짐과 동시에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안경테 10: 브릿지부
11: 연결대 20: 지지부
21: 안착부 30: 패드부
31: 제1안착부 32: 제2안착부
40: 고정수단 41: 돌출부
42: 수용공간 43: 삽설부
44: 체결홈 45: 볼트
46: 용접부

Claims (5)

  1. 안경테의 중앙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경 코 받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하게 양측에서 서로 대응되게끔 형성되어 안경테(1)의 중앙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분리형으로 부착 · 형성하는 연결대(11)를 구비하는 브릿지부(10);
    상기 브릿지부(10)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게끔 절곡 형태의 안착부(21)를 구비하고, 브릿지부(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수지재 중의 어느 하나로 택일하여 형성하는 지지부(20);
    상기 지지부(20)에 있는 절곡 형태의 안착부(21)에 착용자의 코를 감싸면서 지지하게 안착부(21)가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어 고통 방지와 면밀한 지지가 되도록 안착부(21)의 일면 양 끝단에 각각 대응되게끔 형성되어 완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안착부(32)를 구비하는 패드부(30); 및
    상기 브릿지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형성되어 브릿지부(10)로부터 지지부(20)가 면밀하게 고정되게 브릿지부(10)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42)을 갖는 돌출부(41)와 지지부(20)의 중앙에 수용공간(42) 내부로 삽설되는 삽설부(43)를 구비하되, 돌출부(41)와 삽설부(43)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용접부(46)를 구비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25379A 2021-02-25 2021-02-25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KR102565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79A KR102565302B1 (ko) 2021-02-25 2021-02-25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79A KR102565302B1 (ko) 2021-02-25 2021-02-25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96A KR20220121396A (ko) 2022-09-01
KR102565302B1 true KR102565302B1 (ko) 2023-08-09

Family

ID=8328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379A KR102565302B1 (ko) 2021-02-25 2021-02-25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5879A1 (en) * 2009-03-02 2010-09-09 Sperian Eye & Face Protection, Inc. Safety eyewear
JP2018084599A (ja) 2016-11-21 2018-05-31 中村 正一 鼻当て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04468U1 (ko) * 1990-04-19 1990-06-28 Schmolz, Ingeborg, 8000 Muenchen, De
JP3421775B2 (ja) * 1994-05-26 2003-06-30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用鼻パッド
KR101788571B1 (ko) 2015-06-30 2017-10-24 주식회사 상보 패널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7475B1 (ko) 2016-05-18 2017-01-18 김동철 안경 코받침 연결구
KR20190002260U (ko) * 2018-03-02 2019-09-11 이원덕 코받침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5879A1 (en) * 2009-03-02 2010-09-09 Sperian Eye & Face Protection, Inc. Safety eyewear
JP2018084599A (ja) 2016-11-21 2018-05-31 中村 正一 鼻当て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96A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US20070263168A1 (en) Adjustable nose pad system
EP1562067B1 (en) Eyewear
US7513618B2 (en) Nose pad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JP6749712B2 (ja) 眼鏡
KR102565302B1 (ko)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US6099119A (en) Eyeglasses including threading means and mechanically bonded means
KR20080070211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WO2016011526A1 (en) Eyewear having magnetic clip-on lenses
US3923385A (en) Nosepiece and nosepiece attachment for metal frames
JP3071524U (ja) 鼻当てパッド
US5389980A (en) Nose pads for spectacles
KR102462929B1 (ko) 마스크 견착구조를 갖는 안경테
CN216817101U (zh) 一种运动眼镜
KR102669889B1 (ko) 가압력조절식 안경다리
KR20240059672A (ko) 선글라스 탈부착형 안경
CN212112030U (zh) 一种可安装墨镜的眼镜
KR20170003787U (ko) 안경의 코받침 구조
EP3265867B1 (en) Flexible nose piece for eyewear
KR200174174Y1 (ko) 안경테의 코다리 결합구조
KR20230159674A (ko) 장착의 용이성과 안전착용 기능을 겸비한 안경용 코 받침구조
KR101983911B1 (ko) 렌즈교환형 안경
KR20240065549A (ko) 안경의 코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