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01B1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01B1
KR102288401B1 KR1020140150587A KR20140150587A KR102288401B1 KR 102288401 B1 KR102288401 B1 KR 102288401B1 KR 1020140150587 A KR1020140150587 A KR 1020140150587A KR 20140150587 A KR20140150587 A KR 20140150587A KR 102288401 B1 KR102288401 B1 KR 102288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trap
vent
coupled
amoun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130A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의 전개압이 조절되는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양측에 각각 벤트홀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1 가이드부재가 결합되며, 팽창되었을 때 승객과 접촉되는 전방면에는 제2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의 벤트홀 중 어느 하나의 벤트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제1 벤트량 조절부재와, 상기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의 벤트홀 중 다른 하나의 벤트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제2 벤트량 조절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부재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가이드부재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2 스트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량이 조절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유입받아 에어백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와,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들은 각각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됨으로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에어백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점 및 전개압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승객의 유형에 따라 적정 시점에 적정 전개압으로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에어백의 전개압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양측에 각각 벤트홀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1 가이드부재가 결합되며, 팽창되었을 때 승객과 접촉되는 전방면에는 제2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의 벤트홀 중 어느 하나의 벤트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제1 벤트량 조절부재와, 상기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의 벤트홀 중 다른 하나의 벤트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제2 벤트량 조절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부재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가이드부재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2 스트랩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이 전개되는 초기에는 제1 벤트량 조절부재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가 벤트홀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이 초기에 빠르게 전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이 전개될 때 인스트루먼트 패널 위에 승객이 위치한다면, 제1 스트랩이 상기 승객에 의해 팽팽해져서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가 상기 벤트홀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의 하측면에 배치된 상기 승객이 상기 에어백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어 전방면이 승객과 접촉되면, 제2 스트랩이 상기 승객에 의해 팽팽해져서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가 상기 벤트홀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승객이 상기 에어백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패널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이 모두 느슨한 상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 중 적어도 하나가 팽팽한 상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의 하단에 승객이 위치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상황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에어백을 상하로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의 전방에 승객이 위치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상황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에어백을 전후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패널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이 모두 느슨한 상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 중 적어도 하나가 팽팽한 상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미도시)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10)을 포함한다. 에어백(10)은 후방면(12c)에 상기 인플레이터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홀(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 삽입홀(15)에 머리부가 삽입된 후, 삽입되지 않은 부분이 에어백(10)의 후방면(12c) 외측에 결합된다.
에어백(10)은 팽창되었을 때 전방면(12a)은 승객과 접촉되고, 하측면(12b)은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에 접촉되며, 상측면(12d)은 윈드쉴드(Wind shield)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패널로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계기판, 스티어링 컬럼, 오디오 장치, 공조장치 및 조수석 에어백 장치 등이 설치되는 패널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윈드쉴드는 자동차의 전면유리를 지칭한다.
에어백(10)은 유연한 재질의 패널 3개를 바느질하여 제작된다. 즉, 에어백(10)은 가운데에 배치되어 에어백(10)이 팽창되는 경우 승객과 접촉되는 메인패널(12)과, 메인패널(1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패널(14)을 포함한다. 사이드패널(14)의 둘레를 메인패널(12)에 바느질하여 에어백(10)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의 에어백(10)은 조수석 에어백이다.
양측의 사이드패널(14)에는 모두 에어백(10) 내로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14b)이 형성된다.
에어백(10)은 하측면(12b)에 제1 가이드부재(16)가 결합되고, 전방면(12a)에는 제2 가이드부재(18)가 결합된다. 제1 가이드부재(16) 및 제2 가이드부재(18)는 메인패널(12)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1 가이드부재(16) 및 제2 가이드부재(18)는 에어백(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죽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삭제
제1 가이드부재(16)는 전후측이 메인패널(12)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좌우측은 메인패널(12)에 결합되지 아니하며, 제1 가이드부재(16)의 가운데는 메인패널(12)과의 사이가 이격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부재(16)의 가운데는 메인패널(12)과의 사이에 좌우측이 개방된 통로가 형성되며, 이 통로에는 후술할 제1 스트랩(4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가이드부재(18)는 상하측이 메인패널(12)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좌우측은 메인패널(12)에 결합되지 아니하며, 제2 가이드부재(18)의 가운데는 메인패널(12)과의 사이가 이격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재(18)의 가운데는 메인패널(12)과의 사이에 좌우측이 개방된 통로가 형성되며, 이 통로에는 후술할 제2 스트랩(5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가이드부재(16)는 복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재(16)는 2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2개의 제1 가이드부재(16)는 메인패널(12)의 내측 중 측면에 인접한 부분에 하나씩 결합된다.
제2 가이드부재(18)도 복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부재(18)는 2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2개의 제2 가이드부재(18)는 메인패널(12)의 내측 중 측면에 인접한 부분에 하나씩 결합된다.
사이드패널(14)의 내측에는 벤트홀(14b)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벤트량 조절부재(20,30)가 설치된다. 설명의 이해를 위해, 벤트량 조절부재(20,30) 중 좌측 사이드패널(14)에 배치되는 것을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라 하고, 우측 사이드패널(14)에 배치되는 것을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사각의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는 좌측 사이드패널(14) 내측에 결합되되, 벤트홀(14b)을 덮으며 벤트홀(14b) 주변에 결합된다.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우측 사이드패널(14)의 내측에 결합되되, 벤트홀(14b)을 덮으며 벤트홀(14b) 주변에 결합된다.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제1 스트랩(40)을 통해 연결된다. 제1 스트랩(40)은 에어백(10) 내부에 배치된다. 제1 스트랩(40)은 일단이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에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제2 스트랩(50)을 통해서도 연결된다. 제2 스트랩(50)은 에어백(10) 내부에 배치된다. 제2 스트랩(50)은 일단이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에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제1 스트랩(40)의 일단과 제2 스트랩(50)의 일단은 서로 포개어져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제1 스트랩(40)의 타단과 제2 스트랩(50)의 타단은 서로 포개어져서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에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에어백(10)이 팽창되어 제1 스트랩(40) 및 제2 스트랩(50) 중 적어도 하나가 팽팽해지면,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제1 스트랩(40) 및 제2 스트랩(50) 중 팽팽해진 것에 의해 당겨져서 에어백(10)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어 벤트홀(14b)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스트랩(40)은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제1 가이드부재(16)를 관통하여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에 결합된다. 제1 스트랩(40)은 제1 가이드부재(16)를 이동 가능토록 관통한다.
제2 스트랩(50)은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제1 가이드부재(16)를 관통하여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에 결합된다. 제2 스트랩(50)은 제1 가이드부재(16)를 이동 가능토록 관통한다.
제1 스트랩(40) 및 제2 스트랩(50)은 길이가, 제2 스트랩(50)이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를 당기지 않는 경우, 제1 스트랩(40)도 제2 스트랩(50)이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를 당기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스트랩(40)이 제2 스트랩(5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에어백(10)의 형상에 따라 제1 스트랩(40)의 길이와 제2 스트랩(50)의 길이는, 제1 스트랩(40)이 제2 스트랩(50)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스트랩(40) 및 제2 스트랩(50)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각각, 에어백(10)에 결합되는 에어백 결합부(22)와 ,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에 결합되는 스트랩 결합부(24)를 포함한다.
에어백 결합부(22)는 벤트홀(14b)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홀(22a)이 형성된다. 에어백 결합부(22)는 둘레 전체가 에어백(10)에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스트랩 결합부(24)는 에어백 결합부(22)에 형성된 연통홀(22a)을 덮으며, 일단만 에어백 결합부(22) 및 에어백(10)에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스트랩 결합부(24)의 타단에는 제1 스트랩(40) 및 제2 스트랩(50)이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에어백 결합부(22)에 바느질되어 있는 부분인 스트랩 결합부(24)의 일단은 승객을 향하는 전방에 배치되고, 에어백 결합부(22)에 바느질되어 있지 않은 부분인 스트랩 결합부(24)의 타단은 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에어백 결합부(22) 및 스트랩 결합부(24)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velcro)로 형성되어 서로 부착된다.
따라서, 스트랩 결합부(24)는, 에어백(10)이 팽창되어 제1 스트랩(40) 및 제2 스트랩(50) 중 적어도 하나가 팽팽해지면, 적어도 일부가 에어백 결합부(22)로부터 분리되어 연통홀(22a)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면, 에어백(10) 내부의 가스는 연통홀(22a) 및 벤트홀(14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에어백(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의 하단에 승객이 위치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상황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에어백을 상하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조수석에 앉은 승객(5)이 유아 또는 키가 작은 어린이인 경우 도 5와 같은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즉, 자동차가 출동이 발생되면 승객(5)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3) 위에 머리나 가슴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어백(10)이 팽창되어 윈드쉴드(1)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3) 사이를 통해 전개되면, 에어백(10)의 하측면이 승객의 머리를 누르게 되며, 특히 유아의 경우는 조수석에 장착된 유아용시트에 누운 채로 배치되기 때문에 유아의 가슴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10)의 팽창력이 과하다면, 승객(5)의 머리 및 가슴이 심각한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10)의 하측면에 승객이 접촉되면 제1 스트랩(40)이 팽팽해져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가 에어백(10)의 양측에 형성된 벤트홀(14b)을 개방하게 되므로, 에어백(10)의 팽창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백(10)이 전개되는 초기에는 제1 스트랩(40)이 느슨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각각, 에어백(10)에 형성된 벤트홀(14b)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에어백(10)의 초기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에어백(10)이 완전 팽창되어 에어백(10)의 하측에 배치된 승객(5)과 접촉되면, 에어백(10)의 하측면은 승객(5)에 의해 눌림되어 제1 스트랩(40)이 팽팽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제1 스트랩(40)에 의해 당겨지며, 이에 따라 스트랩 결합부(24)의 후방이 에어백 결합부(22)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에어백 결합부(22)에 형성된 연통홀(22a)이 개방된다. 그리하여, 에어백(10) 내부의 가스는 연통홀(22a) 및 벤트홀(14b)을 순차적으로 지나 에어백(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에어백(10)의 하측에 배치된 승객이 에어백(10)의 지나친 팽창력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의 전방에 승객이 위치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상황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에어백을 전후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성인이거나 키가 큰 어린이일 경우 도 8과 같은 상황에 초래될 수 있다. 여기서도, 에어백(10)의 팽창력이 과하다면, 승객(5)이 심각한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10)의 전방면에 승객이 접촉되면 제2 스트랩(50)이 팽팽해져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가 에어백(10)의 양측에 형성된 벤트홀(14b)을 개방하게 되므로, 에어백(10)의 팽창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백(10)이 전개되는 초기에는 제2 스트랩(50)이 느슨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각각, 에어백(10)에 형성된 벤트홀(14b)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에어백(10)의 초기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백(10)이 완전 팽창되어 에어백(10)의 전방에 배치된 승객(5)과 접촉되면, 에어백(10)의 전방면은 승객(5)에 의해 눌림되어 제2 스트랩(50)이 팽팽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는 제2 스트랩(50)에 의해 당겨지며, 이에 따라 스트랩 결합부(24)의 후방이 에어백 결합부(22)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에어백 결합부(22)에 형성된 연통홀(22a)이 개방된다. 그리하여, 에어백(10) 내부의 가스는 연통홀(22a) 및 벤트홀(14b)을 순차적으로 지나 에어백(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에어백(10)의 전방에 배치된 승객이 에어백(10)의 지나친 팽창력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10)이 전개되는 초기에는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가 벤트홀(14b)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에어백(10)이 초기에 빠르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10)이 전개될 때 인스트루먼트 패널(3) 위에 승객(5)이 위치한다면, 제1 스트랩(40)이 승객(5)에 의해 팽팽해져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가 벤트홀(14b)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에어백(10)의 하측면(12b)에 배치된 승객(5)이 에어백(10)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10)이 전개되어 전방이 승객(5)과 접촉되면, 제2 스트랩(50)이 승객(5)에 의해 팽팽해져서 제1 벤트량 조절부재(20)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30)가 벤트홀(14b)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에어백(10)의 전방에 배치된 승객(5)이 에어백(10)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인스트루먼트 패널 5: 승객
10: 에어백 12: 메인패널
12a: 전방면 12b: 하측면
14: 사이드패널 14b: 벤트홀
16: 제1 가이드부재 18: 제2 가이드부재
20: 제1 벤트량 조절부재 22: 에어백 결합부
22a: 연통홀 24: 스트랩 결합부
30: 제2 벤트량 조절부재 40: 제1 스트랩
50: 제2 스트랩

Claims (12)

  1. 양측에 각각 벤트홀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1 가이드부재가 결합되며, 팽창되었을 때 승객과 접촉되는 전방면에는 제2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에어백;
    상기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의 벤트홀 중 어느 하나의 벤트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제1 벤트량 조절부재;
    상기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의 벤트홀 중 다른 하나의 벤트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제2 벤트량 조절부재;
    상기 제1 가이드부재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재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벤트량 조절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팽창 시 상기 제1 스트랩과 직교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는 각각,
    상기 벤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이 결합되는 에어백 결합부와,
    상기 연통홀을 덮으며 일단이 상기 에어백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에 결합된 스트랩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이 팽창되어 상기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 중 적어도 하나가 팽팽해지면, 상기 에어백 결합부와 스트랩 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벨크로가 탁부착하며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는 것인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제1 가이드부재 내를 이동 가능토록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2 가이드부재 내를 이동 가능토록 관통하는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 제2 가이드부재, 제1 벤트량 조절부재, 제2 벤트량 조절부재,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은,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배치되는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하측면은 팽창되었을 때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접촉되는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은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포개진 상태로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인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에어백이 팽창되었을 때 승객과 접촉되는 메인패널과, 상기 벤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패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 및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메인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벤트량 조절부재 및 제2 벤트량 조절부재는 각각 상기 사이드패널에 결합되는 에어백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50587A 2014-10-31 2014-10-31 에어백 장치 KR102288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87A KR102288401B1 (ko) 2014-10-31 2014-10-31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87A KR102288401B1 (ko) 2014-10-31 2014-10-31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30A KR20160051130A (ko) 2016-05-11
KR102288401B1 true KR102288401B1 (ko) 2021-08-10

Family

ID=5602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87A KR102288401B1 (ko) 2014-10-31 2014-10-31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53A1 (ko) * 2016-06-29 2018-01-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443541B1 (ko) * 2017-12-11 2022-09-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KR102637240B1 (ko) * 2019-04-11 2024-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10156167A (ko) 2020-06-17 2021-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전방 에어백 모듈
KR20220011532A (ko) 2020-07-21 2022-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모듈
KR20220011534A (ko) 2020-07-21 2022-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307A (ja) 1998-11-04 2000-05-23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9227180A (ja) * 2008-03-25 2009-10-08 Autoliv Development Ab 可変排気孔付きエアバッグ装置
JP2010058544A (ja) 2008-09-01 2010-03-18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17B1 (ko) * 2012-07-23 2018-1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KR20140042496A (ko) * 2012-09-28 2014-04-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307A (ja) 1998-11-04 2000-05-23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9227180A (ja) * 2008-03-25 2009-10-08 Autoliv Development Ab 可変排気孔付きエアバッグ装置
JP2010058544A (ja) 2008-09-01 2010-03-18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30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401B1 (ko) 에어백 장치
KR101136309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9187056B1 (en) Airbag apparatus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KR102227852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190084622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102095562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JP5623526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9352720B2 (en) Airbag for vehicle
US9428141B2 (en) Driver airbag apparatus
KR20110129723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684951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6191819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277477B1 (ko) 에어백 장치
KR101905874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192259B1 (ko) 에어백 장치
KR102277472B1 (ko) 에어백 장치
KR102407265B1 (ko) 에어백 장치
KR20160081512A (ko) 에어백 장치
KR102321096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KR102366814B1 (ko) 커튼 에어백 및 커튼 에어백의 전개 방법
KR20160002102A (ko) 차량의 에어백
KR20120011638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684945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20020967A (ko) 커튼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