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911B1 -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 Google Patents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911B1
KR102284911B1 KR1020210002727A KR20210002727A KR102284911B1 KR 102284911 B1 KR102284911 B1 KR 102284911B1 KR 1020210002727 A KR1020210002727 A KR 1020210002727A KR 20210002727 A KR20210002727 A KR 20210002727A KR 102284911 B1 KR102284911 B1 KR 102284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enter
protrusion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상
Original Assignee
양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인상 filed Critical 양인상
Priority to KR102021000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4Cutting-out; Stamping-out using rotating dru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06Cutting-out; Stamping-out wherein relative movements of tool head and work during cutting have a component tangential to the work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롤러 축이 제2 중심 롤러에 편심되어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제2 롤러 축을 회전시켜 제2 롤러와 제2-1 가이드 롤러 및 제2-2 가이드 롤러의 높이 차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제2 롤러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롤러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CUSTOM ANVIL ROLLER MODULE}
본 발명은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롤러 축이 제2 중심 롤러에 편심되어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제2 롤러 축을 회전시켜 제2 롤러와 제2-1 가이드 롤러 및 제2-2 가이드 롤러의 높이 차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제2 롤러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롤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제지공장이나 방직공장, 조선소나 화학공장 등과 같이 작업 시 분진이나 유독성 기체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마스크로는 사용상의 편의와 위생적인 목적을 위해 주로 일회용 마스크를 사용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마스크 제조 롤러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제1 롤러(1)의 하부에 제2 롤러(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롤러(1)는 제1 중심축(10), 제1 돌출부(11), 제2 돌출부(12), 제1-1 롤러(13), 제1-2 롤러(14) 및 1-3 롤러(15)로 구성된다.
제1 중심축(10)의 중심에는 제1-1 롤러(13)가 결합되며, 제1-1 롤러(13)의 일측에는 제1-2 롤러(1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1 롤러(13)의 타측에는 제1-3 롤러(1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1 롤러(13), 제1-2 롤러(14)와 제1-3 롤러(15)의 직경은 동일하며, 중심축을 공유한다.
제1 롤러(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11)와 제2 돌출부(1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롤러(2)는 제2 중심축(20), 제2-1 롤러(21), 제2-2 롤러(22) 및 제2-3 롤러(23)를 포함한다.
제2 중심축(20)의 외주면의 중심에는 제2-1 롤러(21)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2-1 롤러(21)의 양 측에는 제2-2 롤러(22) 및 제2-3 롤러(2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2 롤러(22) 및 제2-3 롤러(23)는 제2-1 롤러(21)와 중심축을 공유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1 롤러(24)는 제2-3 롤러(26)와 직경이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되고, 제2-1 롤러(24) 및 제2-2 롤러(25)는 제1 롤러(1)의 하부에서 제1 롤러(1)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제1 롤러(1)에 구성된 제1-2 롤러(14)와 제1-3 롤러(15)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롤러(1)가 회전하게 되면 제1 롤러(1)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서 회전할 수 있다.
이후, 제1 돌출부(11) 및 제2 돌출부(12)가 제2 롤러(2)를 가압하여 제2 롤러(2)가 손상되면 제조 공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1 롤러(13)의 양 측에 결합되는 제1-2 롤러(14) 및 제1-3 롤러(15)의 구성으로 인해 제2-1 롤러(24) 및 제2-2 롤러(25)가 제1-2 롤러(14)와 제1-3 롤러(15)와 각각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제2 롤러(2)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수직 방향으로 제2-1 롤러(21)와 제2-2 롤러(22)의 사이의 높이를 'h'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1은 수직 방향으로 제2-2 롤러(22)의 높이가 제2-1 롤러(21)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이다.
수직 방향으로 제2-2 롤러(22)의 높이가 제2-1 롤러(21)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 제1 롤러(1)와 제2 롤러(2)의 사이에 피가공물이 삽입되면, 제1 롤러(1)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11) 및 제2 돌출부(12)에 의해 피가공물의 표면에 복수 개의 홈이 타공되는 타공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1 돌출부(11) 및 제2 돌출부(12)가 제2-1 롤러(21)와의 접촉률이 증가하여, 제1 돌출부(11)와 제2 돌출부(12)의 마모율이 증가하여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2는 수직 방향으로 제2-1 롤러(24)의 높이가 제2-3 롤러(26)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이다.
수직 방향으로 제2-1 롤러(24)의 높이가 제2-3 롤러(26)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제1 롤러(1)와 제2 롤러(2)의 사이에 피가공물이 삽입되면, 제1 롤러(1)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11) 및 제2 돌출부(12)와 제2 롤러(2)의 접촉률이 감소하여 피가공물의 표면에 복수 개의 홈이 타공되는 타공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는 반대로, 제1 돌출부(11) 및 제2 돌출부(12)가 제2-3 롤러(26)와의 접촉률이 감소하여 제1 돌출부(11)와 제2 돌출부(12)의 마모율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장치는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제1 롤러(1)와 제2 롤러(2)의 높이 차를 직접 조절 가능하므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사전에 수직 방향으로 제2-2 롤러(22)의 높이를 제2-1 롤러(21)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제1 돌출부(11)와 제2 돌출부(12)의 마모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도시와 같이 사전에 수직 방향으로 제2-1 롤러(24)의 높이를 제2-3 롤러(26)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피가공물의 타공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교체가 불필요하고 제1 롤러(1)와 제2 롤러(2)의 사이에 피가공물이 삽입될 때, 사용자가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제1 롤러(1)와 제2 롤러(2)의 높이 차를 직접 조절 가능한 롤러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0-0022870호
본 발명은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롤러 축이 제2 중심 롤러에 편심되어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제2 롤러 축을 회전시켜 제2 롤러와 제2-1 가이드 롤러 및 제2-2 가이드 롤러의 높이 차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제2 롤러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롤러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롤러 및 제1 롤러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제2 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롤러 축, 제2 롤러 축에 편심되도록 결합되는 제2 중심 롤러 및 제2 중심 롤러의 양측에 위치되어 제2 롤러 축과 중심축을 공유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제2 롤러 축을 회전시켜, 제2 중심 롤러와 가이드 롤러 간의 높이 차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롤러는 제1 롤러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제1 롤러의 타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중심 롤러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피가공물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롤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롤러가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중심 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심부, 중심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사이드부, 중심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1-1 사이드부, 제1 사이드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 제1-1 사이드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1 베어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롤러 축이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제2 롤러 축에 결합된 제2 중심 롤러의 회전 반경이 변경된다.
또한, 제2 롤러 축은 제2 롤러에 편심되어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제2 롤러 축을 회전시켜 제2 중심 롤러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 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가 회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제2 롤러 사이의 응력 집중 현상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마스크 제조 롤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롤러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 롤러 축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의 제2 중심 롤러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2 롤러 축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2 중심 롤러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고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고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같은 용어를 사용하지만 종래 기술과 차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서 다른 도면 부호를 기재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1), 제1 돌출부(131) 같이 같은 용어이지만 다른 도면 부호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도 3을 기준으로 '일측'이란 제2-1 가이드 롤러(231)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고, '타측'이란 제2-2 가이드 롤러(232)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길이 방향'은 X축 방향이고, '폭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수직 방향'은 Z축 방향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장치는 제1 롤러(100) 및 제2 롤러(200)로 구성된다.
제2 롤러(200)는 제1 롤러(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종속적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롤러를 업계에서는 앤빌 롤러, 혹은 '앤빌 로라'라고 한다.
이하, 앤빌 롤러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롤러(200)로 칭한다.
제1 롤러(100)는 제1 롤러 축(110), 제1 중심 롤러(120), 제1-1 롤러(121) 및 1-2 롤러(122) 및 한 쌍의 돌출부(130)로 구성된다.
제1 롤러 축(1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중심 롤러(120)는 원통 형상이며 제1 롤러 축(110)의 외주면의 중심에 맞닿아 결합되고, 제1 롤러 축(110)의 직경이 제1 중심 롤러(120)의 직경과 상이하므로 단턱이 형성된다.
제1 중심 롤러(120)의 일측에는 제1-1 롤러(12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중심 롤러(120)의 타측에는 제1-2 롤러(12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중심 롤러(120), 제1-1 롤러(121)와 제1-2 롤러(122)의 직경은 동일하며, 중심축을 공유한다.
또한, 복수 개의 한 쌍의 돌출부(130)가 제1 중심 롤러(12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30)는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로 구성되며,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돌출부(131)는 제1 중심 롤러(120)의 일단에 제1 중심 롤러(1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고, 제2 돌출부(132)는 제1 중심 롤러(120)의 타단에 제1 중심 롤러(1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제1 중심 롤러(1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설계될 수 있다.
제2 롤러(200)는 제2 롤러 축(210), 제2 중심 롤러(220) 및 한 쌍의 가이드 롤러(230)를 포함한다.
제2 롤러 축(2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롤러 축(210)의 외주면의 중심에 원통 형상의 제2 중심 롤러(220)가 결합된다.
제2 롤러 축(210)이 제2 중심 롤러(220)의 외면에 결합될 때, 제2 롤러 축(210)은 제2 중심 롤러(220)에 편심되어 결합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가이드 롤러(230)는 제2 중심 롤러(220)의 양 측에 맞닿아 결합된다.
가이드 롤러(230)는 제2-1 가이드 롤러(231) 및 제2-2 가이드 롤러(232)로 구성된다.
제2-1 가이드 롤러(231)는 링 형상이며 제2 중심 롤러(2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2-2 가이드 롤러(232)는 제2-1 가이드 롤러(231)와 동일한 형상이며 제2 중심 롤러(220)의 타측에 결합된다.
제2-1 가이드 롤러(231) 및 제2-2 가이드 롤러(232)는 제2 중심 롤러(220)와 중심축을 공유한다.
제2 롤러 축(210)의 직경은 제2-1 가이드 롤러(231) 및 제2-2 가이드 롤러(23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양 측에 단턱이 형성된다.
제2 롤러(200)는 회전하지 않다가 제1 롤러(100)가 회전을 시작하면, 제1 롤러(100)가 회전함으로써 제2 롤러(200)가 종속적으로 회전하고, 제1 롤러(100)와 제2 롤러(20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일 예로, 제1 롤러(100)에 구성된 제1-1 롤러(121)와 제1-2 롤러(122)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롤러(1)가 회전하게 되면 제1 롤러(1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서 회전할 수 있다.
이후,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가 제2 롤러(200)를 가압하여 제2 롤러(200)가 손상되면 제조 공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중심 롤러(120)의 양 측에 결합되는 제1-1 롤러(121) 및 제1-2 롤러(122)의 구성으로 인해 한 쌍의 가이드 롤러(230)가 제1-1 롤러(121)와 제1-2 롤러(122)와 각각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제2 롤러(200)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롤러 축(210)은 제2 중심 롤러(220)에 편심되어 결합되되, 제2-1 가이드 롤러(231)와 제2-2 가이드 롤러(232)에는 편심되어 결합되어 있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1 롤러(100)와 제2 롤러(200)의 사이에는 피가공물이 삽입될 수 있고, 일 예로 피가공물은 마스크가 될 수 있다.
이후, 피가공물의 표면이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와 맞닿아, 피가공물이 제1 롤러(100)와 제2 롤러(200)의 사이를 통과하면 피가공물의 표면이 타공된다.
도 3에 도시된 제2 롤러(200)를 보면 제2 롤러 축(210)이 제2 중심 롤러(220)에는 편심되어 위치하므로, 도 3에 도시된 제2 중심 롤러 중심선(a1)은 제2 롤러 축 중심선(b1)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제2 롤러 축(210)은 제2 중심 롤러(220)에만 편심되어 위치되고, 제2-1 가이드 롤러(231) 및 제2-2 가이드 롤러(232)에는 편심되어 위치되지 않으므로, 제2 롤러 축(210)이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제2 롤러 축(210)에 결합된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이 변경된다.
제2 롤러 축(210)이 제2 중심 롤러(220)에 편심되어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제2 롤러 축(210)을 회전시켜 제2 중심 롤러(220)와 한 쌍의 가이드 롤러(230) 간의 높이 차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피가공물의 표면에 타공이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즉, 종래의 롤러 장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제2 중심 롤러(220)의 높이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발생하는 피가공물의 타공율이 감소하는 문제점 및 제2 중심 롤러(220)의 높이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마모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중심 롤러(220)와 가이드 롤러(230)의 높이 차를 미리 설정해놓지 않음으로써 돌출부(130)와 제2 롤러(200)의 마찰 접촉 부분의 마모 발생을 줄여, 제2 중심 롤러(220)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중심 롤러(220)의 장시간 사용에도 파손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 경제성 및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가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제1 롤러(100)와 제2 롤러(200) 사이의 응력 집중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 롤러(200)는 도 3에 도시된 제2 롤러(200)가 일정 각도 회전한 후의 형태이며, 도 4에서 제2 중심 롤러 중심선(a1)은 제2 롤러 축 중심선(b1)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도 4는 제2 롤러(200)의 단면도이며, 도 4를 참고하여 제2 롤러(200)의 내부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2 중심 롤러(220)의 내부에는 중심부(221), 한 쌍의 사이드부(222), 제1 베어링(2223) 및 제1-1 베어링(2224)이 구성된다.
중심부(221)는 제2 중심 롤러(220)의 내부에서 중심에 위치되되, 제2 롤러 축(210)의 외주면에 맞닿아 결합된다.
사이드부(222)는 링 형태이며 제1 사이드부(2221) 및 제1-1 사이드부(2222)로 구성된다.
제1 사이드부(2221)는 중심부(221)의 일측에 맞닿아 결합되고, 제1-1 사이드부(2222)는 중심부(221)의 타측에 맞닿아 결합된다.
중심부(221)와 한 쌍의 사이드부(222)는 제2 롤러 축(210)으로 중심축을 공유한다.
제1 사이드부(2221)와 중심부(221)의 직경이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되고, 제1-1 사이드부(2222)와 중심부(221)의 직경이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된다.
제1 베어링(2223)은 제1 사이드부(222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제1-1 베어링(2224)은 제1-1 사이드부(2222)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제1 베어링(2223) 및 제1-1 베어링(2224)은 볼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베어링은 베어링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베어링이며 사용 용도가 광범위하다.
볼 베어링은 경방향 하중과 축방향 하중 그리고 합성 하중 등 어느 방향의 하중도 받을 수 있으며 마찰 토크가 적어 고속 회전과 저소음 및 저진동이 요구되는 용도에 가장 적합하다.
제1 베어링(2223)과 제1-1 베어링(2224)은 볼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2 롤러(200)가 회전 시, 제2 롤러(200)의 마찰저항과 흔들림이 작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사이드부(222)의 외주면에 결합된 볼 베어링에 대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베어링(2223)과 제1-1 베어링(2224)은 사이드부(222)의 외주면에 결합 시, 일 예로 제1 베어링(2223)과 제1-1 베어링(2224)이 사이드부(22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물리는 구조 또는 볼 베어링 형상으로 사이드부(222) 외주면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제2-1 가이드 롤러(231) 및 제2-2 가이드 롤러(232)의 내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2-1 가이드 롤러(231)의 내부에는 제2-1 가이드 베어링(231a)이 결합되고, 제2-2 가이드 롤러(232)의 내부에는 제2-2 가이드 베어링(232a)이 결합된다.
즉, 제2-1 가이드 베어링(231a) 및 제2-2 가이드 베어링(232a)은 제2 롤러 축(2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제2-1 가이드 베어링(231a) 및 제2-2 가이드 베어링(232a)은 볼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2-1 가이드 베어링(231a) 및 제2-2 가이드 베어링(232a)의 구성으로 제2 롤러 축(210)이 회전 시, 제2-1 가이드 롤러(231)와 제2-2 가이드 롤러(232)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제2 롤러 축(210)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의 제2 중심 롤러(220)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제2 롤러 축(210)에 표시된 화살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이다.
d1은 A1과 제2 롤러 축(210)의 사이의 거리이고, d2는 제2 롤러 축(210)과 A2의 사이의 거리이며, d2의 길이보다 d1의 길이가 더 길다.
A2는 A1이 있는 반대 방향에 위치되어 있으며, A2와 A1는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제2 중심 롤러(220)의 상부에 가상의 선(P)을 표시하면, Q는 제2 중심 롤러(220)와 가상의 선(P)이 맞닿는 점을 표시한 것이다.
즉, 도 5에서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은 제2 중심 롤러의 중심(210a)에서 Q의 거리이다.
제2 중심 롤러(220)에 결합된 제2 롤러 축(210)은 제2 중심 롤러 중심(210a)에 결합되지 않고 편심되어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은 제2 롤러 축(210)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90° 회전하였을 때, 제2 중심 롤러(220)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2 롤러 축(210)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90°회전하면, 제2 롤러 축(21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롤러 축(210)이 90°회전되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d1이 d2보다 상부에 위치되므로, A1과 A2의 위치도 변경되어 가상의 선(P)에 수직 방향으로 A1, Q, 제2 롤러 축(210) 및 A2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가상의 선(P)의 상부에 A1이 돌출되어 위치되므로, 도 5에 도시된 제2 중심 롤러(220)와 도 6에 도시된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의 차이는 A1에서 Q의 거리이다.
따라서, 즉, 도 6의 도시에서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은 A1에서 제2 중심 롤러(220)의 거리이다.
상사점은 제2 롤러 축(210)이 제2 중심 롤러(220)에 편심되어 회전할 때, 제2 롤러 축(210)의 상한점을 가리키므로, 도 6에서 상사점은 A1이 된다.
이와 같이 제2 롤러 축(210)이 회전하면서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이 반복적으로 변경되면서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중심 롤러(2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2 롤러 축(210)을 회전시켜 제2 중심 롤러(220)의 위치를 변경하여 회전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중심 롤러(220)의 회전 반경을 미리 설정해놓지 않음으로써 제2 중심 롤러(220)와 제1 롤러(100)의 마찰 접촉 부분의 마모 발생을 줄여, 제2 중심 롤러(220)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제1 롤러,
110 : 제1 롤러 축,
120 : 제1 중심 롤러,
121 : 제1-1 롤러,
122 : 제1-2 롤러,
130 : 돌출부,
131 : 제1 돌출부,
132 : 제2 돌출부,
200 : 제2 롤러,
210 : 제2 롤러 축,
220 : 제2 중심 롤러,
221 : 중심부,
222 : 사이드부,
2221 : 제1 사이드부,
2222 : 제1-1 사이드부,
2223 : 제1 베어링,
2224 : 제1-1 베어링,
230 : 가이드 롤러,
231 : 제2-1 가이드 롤러,
231a : 제2-1 가이드 베어링,
232 : 제2-2 가이드 롤러,
232a : 제2-2 가이드 베어링.

Claims (5)

  1.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롤러 축;
    상기 제2 롤러 축에 편심되도록 결합되는 제2 중심 롤러; 및
    상기 제2 중심 롤러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롤러 축과 중심축을 공유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롤러의 타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심 롤러의 높이가 상기 가이드 롤러의 높이보다 낮아 피가공물의 타공율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롤러 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2 중심 롤러의 높이를 상기 가이드 롤러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제2 중심 롤러의 높이가 상기 가이드 롤러의 높이보다 높아 상기 제2 롤러의 마모 발생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롤러 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2 중심 롤러의 높이를 상기 가이드 롤러의 높이보다 낮게 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제1 롤러 축의 외주면의 중심에 맞닿아 결합되는 제1 중심 롤러;
    상기 제1 중심 롤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1 롤러; 및
    상기 제1 중심 롤러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각각 상기 제1-1 롤러 및 상기 제1-2 롤러와 맞닿아 위치되되, 상기 제1-1 롤러 및 상기 제1-2 롤러를 지지하여 상기 제2 롤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 롤러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상기 피가공물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인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롤러가 회전하는 것인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 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사이드부;
    상기 중심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1-1 사이드부;
    상기 제1 사이드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
    상기 제1-1 사이드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1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인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KR1020210002727A 2021-01-08 2021-01-08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KR10228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727A KR102284911B1 (ko) 2021-01-08 2021-01-08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727A KR102284911B1 (ko) 2021-01-08 2021-01-08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911B1 true KR102284911B1 (ko) 2021-08-02

Family

ID=7731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727A KR102284911B1 (ko) 2021-01-08 2021-01-08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9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151U (ja) * 1994-12-27 1995-07-11 株式会社クドー機械開発 型抜成形機のローラ調節装置
KR20100022870A (ko) 2008-08-20 2010-03-03 임웅재 마스크 제조장치용 가공롤러
KR20200018151A (ko) * 2018-08-10 2020-02-19 이시홍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마스크 컷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151U (ja) * 1994-12-27 1995-07-11 株式会社クドー機械開発 型抜成形機のローラ調節装置
KR20100022870A (ko) 2008-08-20 2010-03-03 임웅재 마스크 제조장치용 가공롤러
KR20200018151A (ko) * 2018-08-10 2020-02-19 이시홍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마스크 컷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6632B2 (ja) 転がり軸受及び工作機械用主軸装置
JP2003021145A (ja) ころ軸受
KR20190028780A (ko) 볼 베어링, 주축 장치 및 공작 기계
EP3527839A1 (en) Retainer for angular ball bearings
KR102284911B1 (ko) 맞춤식 앤빌 롤러 모듈
JP2007100738A (ja) ころ軸受
JP2005069282A (ja) 円筒ころ軸受
JP2011012809A (ja) スラスト軸受
WO2017208908A1 (ja) ころ軸受
JP7089369B2 (ja) 保持器付きころおよび遊星歯車支持構造
CN114341511A (zh) 交叉滚子轴承
JP2006017244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5092098B2 (ja) 直動案内装置
JP2007170470A (ja) アンギュラ玉軸受用の合成樹脂製保持器およびアンギュラ玉軸受
JP2005090615A (ja) 自動調心ころ軸受および該軸受の加工方法
JP5088242B2 (ja) 転がり軸受
JP6829522B2 (ja) 自動調心ころ軸受
JP3674723B2 (ja) 遊星ローラ式動力伝達装置
JP5218231B2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並びにこれを備えた内輪組立体、外輪組立体、および転がり軸受
JPH07243439A (ja) 応力集中緩和を図った転がり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6825326B2 (ja) 遊星ローラ式変速装置
JP6927347B2 (ja) 自動調心ころ軸受
JP2006144985A (ja) 二つ割り転がり軸受
JP2012021580A (ja) オイルエア潤滑式転がり軸受装置
JP2003314543A (ja) 調心輪付き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