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224B1 -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224B1
KR102284224B1 KR1020167014780A KR20167014780A KR102284224B1 KR 102284224 B1 KR102284224 B1 KR 102284224B1 KR 1020167014780 A KR1020167014780 A KR 1020167014780A KR 20167014780 A KR20167014780 A KR 20167014780A KR 102284224 B1 KR102284224 B1 KR 102284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electronic device
acrylic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543A (ko
Inventor
도시히데 스즈키
나오키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해 구성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면 점착 시트가 이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낙하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가 충격을 받아도, 상기 구성 부재가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해 휴대 전자기기용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한,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고,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FIXING PORTABLE-ELECTRONIC-DEVICE MEMBERS, AND PORTABLE-ELECTRONIC-DEVIC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분야에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의 표시 장치나, 터치 패널 등의 상기 표시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휴대형의 입력 장치가 널리 이용되도록 되고 있다. 이들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제조 등에 있어서는,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에 양면 점착 시트(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내충격성을 갖고, 휴대 전자기기 용도에 이용되는 방수용의 양면 점착 시트로서, 발포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렇지만, 최근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자기기에서는, 터치 패널 화면의 확대에 의해서, 양면 점착 시트로 유리 렌즈를 고정하는 부분의 면적이 적어지고 있다. 한편, 휴대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유리 등의 렌즈에 터치 패널 구조나, LCD 모듈이 직접 적층되는 구조도 있기 때문에, 유리 등의 렌즈의 고정 부분이 지탱하는 하중이 커지고 있어, 양면 점착 시트에 요구되는 접착성은 종래보다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요구되는 높은 접착력을 달성할 수 없어, 벗겨져 버린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높은 접착력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로서, 광라디칼 경화를 이용해서 경화되는 점접착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지만, 강도는 달성할 수 있어도 내충격성을 만족할 수 없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광양이온 경화를 이용해서 경화되는 점접착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지만, 강도는 달성할 수 있어도 내충격성을 만족할 수 없었다(특허문헌 3 참조). 즉 이와 같은 점착 테이프를 이용했을 경우, 예를 들면 휴대 전자기기를 떨어뜨렸을 때에, 그 충격에 의해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9-10831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239856호 공보 일본 특허공표 2009-513777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해 구성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면 점착 시트가 이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낙하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가 충격을 받아도, 상기 구성 부재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해 휴대 전자기기용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한,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고, 경화 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경화 후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이면, 종래의 양면 테이프보다 높은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휴대 전자기기가 낙하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상기 구성 부재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용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그 사용 중에 있어서의 변형이나 미소한 압압(押壓)이 부재에 가해져, 매우 저속으로의 박리 현상이 일어난다. 이 저속으로의 박리 현상이, 70℃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상관이 있다고 생각되어,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 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 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아크릴 공중합체,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 및/또는 염기성 모노머(m2),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는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 적합하고, 또한, 상기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30000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서는,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를 5∼30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를 0.05∼5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모노머(m2)는, 분자 내에 아마이드기, 아미노기 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갖는 모노머인 것이 적합하고, 또한 상기 염기성 모노머(m2)의 비점은 120℃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특히 염기성 모노머(m2)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가, 그의 구성 성분 중,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0.5∼10질량%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서는,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염기성 모노머(m2)를 0.1∼20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를 0.05∼5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만∼200만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휴대 전자기기 부재를 고정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의 조사 시, 피조사 부분으로의 광의 입사각이 8∼20°가 되도록 조사하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프리즘을 이용해서 광의 입사각을 8∼20°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를 들면, 상방향 등의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방사선을 조사해도, 방사선이 목적으로 하는 부분까지 충분히 닿지 않는 경우, 상기 방사선의 조사 시, 피조사 부분으로의 광의 입사각이 8∼20°가 되도록 조사하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프리즘을 이용해서 광의 입사각을 8∼20°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하면, 구성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면 점착 시트가 이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낙하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가 충격을 받아도, 상기 구성 부재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이한 방법에 의해, 신뢰성이 우수한 휴대 전자기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압압 접착력을 측정할 때에 이용하는 평가 샘플의 개략도로, (a)는 상면도이며, (b)는 A-A' 단면도이다.
도 2는 압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내낙하충격 특성을 측정할 때에 이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로, (a)는 상면도이며, (b)는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방사선의 입사각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프리즘을 이용한 조사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즘을 설명하는 삼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7에 있어서 압압 접착력을 측정할 때에 이용하는 평가 샘플의 개략도로, (a)는 상면도이며, (b)는 C-C' 단면도이다.
도 8은 압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프리즘의 제작에 이용되는 유리제 판의 사이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프리즘의 제작에 이용되는 유리제 판의 사이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프리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로, (a)는 상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며, (c)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평가용 샘플의 유리면에 있어서의 프리즘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피착체에 첩착 후,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로서, 경화 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경화 후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폴리머 성분과 모노머 또는 반응성의 올리고머 성분이 포함되는 것이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모노머 또는 반응성의 올리고머 성분이 중합 반응이나 가교 반응을 일으켜, 경화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양호한 접착성을 얻는 점, 및 낙하 충격이 가해진 순간의 접착성의 점에서, -3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또한 그의 하한값은, 통상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성 및 내낙하충격성이 뒤떨어진다. 경화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종류나 함유량 등, 또한 그 밖의 배합되는 성분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경화시키는 경우는,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 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하지만,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로 경화시킨 상태에서 측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70℃의 저장 탄성률은, 높은 접착성을 확보하고, 첩합 후에 일정한 하중이 걸리는 것 같은 부하에 견디어 벗겨짐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6.0×104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5×104Pa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8×104Pa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104Pa 이상이다. 또한 그의 상한값은, 통상 3.0×105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05Pa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0×105Pa이다.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미만이면, 접착성이 저하되어 버려서, 벗겨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경화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성분의 종류나 첨가량의 비율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또한 사용하는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경화시키는 경우는,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 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하지만,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로 경화시킨 상태에서 측정해도 된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아크릴 공중합체에,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 및/또는 염기성 모노머(m2),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조성물의 의미이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조성물의 의미이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아크릴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전량(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해서, 4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50중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이다. 한편,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아크릴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유효 성분 전량(고형분 전량)에 대한 양이다. 예를 들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 공중합체,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 및/또는 염기성 모노머(m2),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용제형의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인 경우, 아크릴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 및/또는 염기성 모노머(m2), 광중합 개시제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해서, 4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50중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경화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의 범위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필수의 모노머 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하기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 등의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한편, 상기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고, 다른 것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고무상으로부터 딱딱한 유리상으로 전이하는 온도를 말하며, 점탄성 시험에 의한 손실 점탄율의 온도 의존성을 측정하여, 그 측정 곡선의 피크로부터 유리 전이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이하, 간단히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n-뷰틸,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산 s-뷰틸, (메트)아크릴산 t-뷰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아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14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n-뷰틸(BA), 아크릴산 2-에틸헥실(2EHA), 아크릴산 아이소옥틸, 아크릴산 아이소노닐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 중의,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의 함유량은, 경화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30℃ 이하로 하기 위해,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에 대해서, 65∼99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98중량%이다.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퓨마르산, 크로톤산, 아이소크로톤산, 이들의 산 무수물(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 함유 모노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헥실, 바이닐 알코올, 알릴 알코올 등의 수산기(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뷰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뷰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사이아노기 함유 모노머; N-바이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 모폴린, N-바이닐 피페리돈, N-바이닐 피페라진, N-바이닐 피롤, N-바이닐 이미다졸 등의 헤테로환 함유 바이닐계 모노머; 바이닐설폰산 나트륨 등의 설폰산기 함유 모노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 아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AA),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HEA), 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뷰틸(4HBA)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 중의,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낙하충격성의 점에서, 1∼1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중량%이다. 한편,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져서, 내낙하충격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트라이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메톡시뷰틸, (메트)아크릴산 4-에톡시뷰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터[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나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등의 전술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터, 극성기 함유 모노머, 다작용성 모노머 이외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아세트산 바이닐, 프로피온산 바이닐 등의 바이닐 에스터류; 스타이렌, 바이닐 톨루엔 등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에틸렌,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아이소뷰틸렌 등의 올레핀류 또는 다이엔류; 바이닐 알킬 에터 등의 바이닐 에터류; 염화바이닐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공중합성 모노머를, 「그 밖의 공중합성 모노머」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공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이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점에서, 용액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다. 즉,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포함하는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용액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뷰틸 등의 에스터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세인, n-헵테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사이클로헥세인, 메틸 사이클로헥세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0만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만 이상이다. 또한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20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만 이하이다.
상기의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그의 사용량, 중합 시의 온도나 시간 외에, 모노머 농도, 모노머 적하 속도 등에 의해 컨트롤할 수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개시제(특히 열중합 개시제)가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한편,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용액 중합 시에 이용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면, 다이벤조일 퍼옥사이드, tert-뷰틸 퍼말레에이트 등),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공개 2002-69411호 공보에 개시된 아조계 개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조계 개시제는 개시제의 분해물이 가열 발생 가스(아웃 가스)의 발생 원인이 되는 부분으로서 아크릴계 폴리머 중에 잔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아조계 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이하, AI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2,2'-아조비스-2-메틸뷰티로나이트릴(이하, AM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다이메틸, 4,4'-아조비스-4-사이아노발레리안산 등이 예시된다. 한편,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분자량, 반응성이 얻어지는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로서는, 폴리에스터, 에폭시, 유레테인 등의 골격에 작용기로서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부가한 폴리에스터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아크릴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강(强)접착력과 내충격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로서는,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2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15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을 초과하면, 접착력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게는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500 미만이면, 저분자량이 되기 때문에 점착 시트로서의 가공성의 저하나 접착력, 유지 특성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시판품의 경우,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질량 평균 분자량이어도 되지만, 이를 측정하는 경우, GPC법에 의해 폴리스타이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소(주)제의 HPLC8020에, 컬럼으로서 TSKgel GMH-H(20)×2개를 이용하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로 유속 약 0.5mL/분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상기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는, 유리 전이 온도가 0℃∼300℃, 바람직하게는 20℃∼300℃, 더 바람직하게는 4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약 0℃ 미만이면 점착제층의 실온 이상에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유지 특성이나 고온에서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복실산으로부터 얻어지는 말단 수산기의 폴리에스터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며, 구체예로서는 도아합성(주)제의 아로닉스 M-6000, 7000, 8000, 9000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에폭시 수지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며, 구체예로서는 쇼와고분자(주)제의 리폭시 SP, VR 시리즈나 교에이샤화학(주)제의 에폭시 에스터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하이드록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며, 구체예로서는 네가미공업(주)제의 아트 레진 UN 시리즈, 신나카무라화학공업(주)제의 NK 올리고 U 시리즈, 닛폰합성화학공업(주)제의 시코 UV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중의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의 함유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5∼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질량부이다.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의 함유량이 5질량부 미만이면, 높은 접착성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의 함유량이 30질량부보다 많으면, 경화 전의 가공성의 저하나, 경화 후의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는 아크릴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나쁜 편이, 경화 성분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가 고온으로 시프트함이 없이, 접착성과 내충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경화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HAZE(헤이즈, 흐림도)는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HAZE가 10% 이하인 경우, 아크릴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좋아, 경화 성분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가 고온으로 시프트하여 접착성과 내충격성을 양립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 염기성 모노머(m2)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기성 모노머란, 염기성을 갖는 모노머를 의미하고, 염기성이란, 산 해리 상수 pKa값이 크거나, 또는 염기 해리 상수 pKb값이 작은, 즉 염기성이 강한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분자 내에 아마이드기, 아미노기 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갖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염기성 모노머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서 경화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카복실기 등의 산성기와 산·염기 상호 작용에 의해서 강접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염기성 모노머(m2)는, 점착 테이프 제작 시의 건조 온도에서 휘발되지 않는 고비점인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염기성 모노머(m2)는, 그의 비점이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이와 같은 염기성 모노머(m2)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마이드(DMAPMA)(비점 134℃(2mmHg), pKa=9.30)나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아마이드(DMAPAA)(비점 117℃(2mmHg), pKa=10.35)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강접착을 달성한다는 점에서 DMAPMA가 바람직하다. 한편, 염기성 모노머(m2)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중의 염기성 모노머(m2)의 함유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1∼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질량부이다. 염기성 모노머(m2)의 함유량이 0.1질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염기성 모노머(m2)의 함유량이 20질량부보다 많으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거나, 양면 점착 시트로서의 가공 적정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염기성 모노머와 아크릴 공중합체의 상용성은 양호하고,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와 달리, 상용성이 좋아도 소량의 첨가로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내충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특히 염기성 모노머(m2)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그의 구성 모노머 성분으로서, 보다 높은 탄성과 접착성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성기 함유 모노머는, 분자 중에 1개, 또는 복수의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서 예시한 것 중,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설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한편, 산성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가 상기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구성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 중의, 상기 산성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 비율(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특히 염기성 모노머(m2)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그의 구성 성분 중,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0.5∼10질량%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산성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 비율은, 2∼6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와 염기성 모노머(m2)를 병용하여 첨가해도 된다.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와 염기성 모노머(m2)를 병용하는 것에 의해, 높은 접착력과 내낙하충격성을 얻을 수 있다.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와 염기성 모노머(m2)를 병용하는 경우, 그의 함유량은, 각 성분에 대한 조건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의 배합비(질량비)로서는,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염기성 모노머(m2)=40/1∼1/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1/15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1∼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지만, 당해 점착제층은 피착체에 첩합된 후에, 전자선, 자외선 등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즉 방사선 중합)시킬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중합을 전자선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은 특별히 필요하지는 않지만, 상기 방사선 중합을 자외선 중합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광중합을 개시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이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인 에터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설폰일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싸이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에터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메틸 에터, 벤조인 에틸 에터, 벤조인 프로필 에터, 벤조인 아이소프로필 에터, 벤조인 아이소뷰틸 에터,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상품명: 일가큐어 651, 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일가큐어 184, BASF사제), 4-페녹시 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4-t-뷰틸-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페인-1-온(상품명: 일가큐어 2959, BASF사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페인-1-온(상품명: 다로큐어 1173, BASF사제), 메톡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설폰일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나프탈렌 설폰일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페닐-1,2-프로판다이온-2-(O-에톡시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면, 벤조인 등이 포함된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면, 벤질 등이 포함된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다이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바이닐 벤조페논,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이 포함된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면, 벤질다이메틸케탈 등이 포함된다. 싸이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면, 싸이옥산톤, 2-클로로싸이옥산톤, 2-메틸싸이옥산톤, 2,4-다이메틸싸이옥산톤, 아이소프로필싸이옥산톤, 2,4-다이클로로싸이옥산톤, 2,4-다이에틸싸이옥산톤, 아이소프로필싸이옥산톤, 2,4-다이아이소프로필싸이옥산톤, 도데실싸이옥산톤 등이 포함된다.
아실포스핀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4,4-트라이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n-뷰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t-뷰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사이클로헥실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옥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에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에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뷰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다이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2,4-다이펜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사이드, 2,6-다이메톡시벤조일벤질뷰틸포스핀옥사이드, 2,6-다이메톡시벤조일벤질옥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2,5-다이아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2-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4-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2,5-다이에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2,4-다이-n-뷰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옥사이드(상품명: 일가큐어 819, BASF사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4,4-트라이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아이소뷰틸포스핀옥사이드, 2,6-다이메톡시벤조일-2,4,6-트라이메틸벤조일-n-뷰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2,4-다이뷰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1,10-비스[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데케인, 트라이(2-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질량부∼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부∼3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부∼1.5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5질량부 미만이면, 경화 반응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5질량부를 초과하면, 광중합 개시제가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에 의해, 자외선이 점착제층 내부까지 닿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경화 반응의 저하를 일으켜,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낮아져,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배합해도 된다. 가교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방사선 경화 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어, 가공성이나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사이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보다이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다작용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2-에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4-뷰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사이클로펜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2,4-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6-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닛폰폴리우레탄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L」],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닛폰폴리우레탄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상품명 「타케네이트 110N」],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HDI계 가교제)[아사히화성케미컬즈주식회사제, 상품명 「듀라네이트」]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다작용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다이아민, 다이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다이글리시딜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세인, 1,6-헥세인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터, 네오펜틸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터, 에틸렌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터,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터, 솔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터,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터,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터,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터, 솔비탄 폴리글리시딜 에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폴리글리시딜 에터, 아디프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o-프탈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트라이글리시딜-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레졸신 다이글리시딜 에터, 비스페놀-S-다이글리시딜 에터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미쓰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제, 상품명 「테트라드 C」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교제의 첨가에 의해서, 방사선 조사 경화 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10∼70%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50%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 경화 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10%보다 낮으면 가공 적정이 저하되어 버리고, 70%보다 높으면 첩합 시의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저하되어 버려, 접착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작용기 모노머의 함유량, 또한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0.1∼5질량부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5∼3질량부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 부여 수지(점착 부여제)를 배합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로진 유도체, 폴리터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油溶性) 페놀 등을 첨가해도 되지만, 첨가량을 늘리면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내낙하충격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5∼10질량부 정도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등의 친수성 피착체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계면에서의 내수성을 올리기 위해서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레인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2∼0.6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실레인 커플링제의 배합이 지나치게 많으면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증대되어 재박리성이 뒤떨어지고, 지나치게 적으면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실레인 커플링제로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3-트라이에톡시실릴-N-(1,3-다이메틸뷰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레인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밖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안정제, 중합 금지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 분말, 입자상물, 박상물 등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의 첨가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층)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로 형성된다.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1∼300μ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20∼100μm가 더 바람직하고, 30∼70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체에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가열 건조 제거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에 있어서는, 적절히, 중합 용제 이외의 1종 이상의 용제를 새롭게 더해도 된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각종 방법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콤마 코팅, 롤 코팅, 키스 롤 코팅, 그라비어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팅, 딥 롤 코팅, 바 코팅, 나이프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립 코팅,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팅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열 건조 온도는, 50∼120℃가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의,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5초∼20분이 바람직하고, 5초∼10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초∼5분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지지체로서는, 후술하는 각종 기재여도 되고, 박리 처리한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박리 처리한 시트를 이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한 경우는, 아크릴계 점착제층 자신을, 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이른바 기재레스(less)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로 할 수 있다. 또는, 적절한 기재와 첩합하여,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로 할 수도 있다. 박리 처리한 시트로서는, 실리콘 박리 라이너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박리 처리한 시트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실용에 제공될 때까지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로 점착제층을 보호해도 된다. 실용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처리한 시트는 박리된다.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터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 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薄葉體)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뷰텐 필름, 폴리뷰타다이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바이닐 필름, 염화바이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유레테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5∼200μm 정도가 바람직하고, 5∼100μm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마이드계의 이형제,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연입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는,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적절한 기재의 양면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 면에 종류나 두께를 바꾼 다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따라서 기재 상에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직접 형성해도 되고, 별도 세퍼레이터 상에 형성한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첩합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자신을, 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이른바 기재레스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로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 시트」에는 「점착 테이프」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는, 롤상으로 권회된 권회체여도 된다.
상기한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 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폭 1mm 이하의 세폭 부분을 갖거나, 또는 전체가 폭 1mm 이하인 양면 접착 테이프를 형성할 때의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발포성의 열가소성 필름을 기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필름은, 연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연질 유레테인계 수지, 연질 아크릴계 수지,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연질 폴리에스터계 수지 및 연질 염화바이닐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재로서는, 연질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연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연질 유레테인계 수지로 구성되는 연질 유레테인계 수지 시트, 연질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는 연질 아크릴계 수지 시트, 연질 폴리에스터계 수지로 구성되는 연질 폴리에스터계 수지 시트(연질 폴리에스터 필름), 또는 연질 염화바이닐계 수지로 구성되는 연질 염화바이닐계 수지 시트를 들 수 있다.
기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EMMA(에틸렌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수지, 또는 EVA(에틸렌과 아세트산 바이닐의 공중합체) 수지를 원료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 시트; 저밀도 폴리에틸렌, α올레핀 성분을 포함하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1종 이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시트; 프로필렌계 폴리머(단독계, 블록계, 랜덤계), 고무 성분과 리액터 블렌딩된 프로필렌계 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등의 1종 이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염화바이닐계 수지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재는, 이들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의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휴대 전자기기의 부재에 사용되는 재료는, 할로젠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기재는, 할로젠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는, 아크릴계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그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나, 프라이머 도포에 의한 가공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는, 두께가 4μm∼2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100μm이다.
기재는 흑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기재를 흑색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차광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는,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명도)가 35 이하(0∼35)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0∼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a* 및 b*는, 각각 L*의 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 및 b*로서는, 예를 들면, 양쪽 모두 -10∼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2.5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양쪽 모두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는, 예를 들면 색채 색차계(코니카미놀타사제, 장치명 「CR-2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L*a*b* 표색계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가 1976년에 추장한 색 공간이며, CIE 1976(L*a*b*) 표색계로 칭해지는 색 공간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L*a*b* 표색계는, 일본공업규격에서는, JIS Z 8781-4에 규정되어 있다.
기재의 흑색화에 이용되는 흑색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퍼니스 블랙, 채널 블랙, 아세틸렌 블랙, 써멀 블랙, 램프 블랙 등), 그래파이트,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닐린 블랙, 페릴렌 블랙, 타이타늄 블랙, 사이아닌 블랙, 활성탄, 페라이트(비(非)자성 페라이트, 자성 페라이트 등), 마그네타이트, 산화크로뮴, 산화철, 이황화몰리브데넘, 크로뮴 착체, 복합 산화물계 흑색 색소, 안트라퀴논계 유기 흑색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용, 입수성의 관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한편, 흑색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흑색 착색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는 양이 이용된다. 기재의 착색 처리는, 기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필름에 충전제, 안료 등 함유시켜 착색하는 수법을 이용해도 되고, 열가소성 필름의 표면에 흑색 인쇄를 하는 수법을 이용해도 된다.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차광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의 가시광 투과율은,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1%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가시광 투과율이란,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광 투과율을 의미한다. 가시광 투과율을 15% 이하로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양호한 은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재는 백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기재를 백색으로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광 반사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는,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명도)가 87 이상(87∼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7 이상(87∼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a* 및 b*는, 각각 L*의 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 및 b*로서는, 예를 들면, 양쪽 모두 -10∼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2.5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양쪽 모두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재의 백색화에 이용되는 백색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타이타늄(루틸형 이산화타이타늄, 아나타제형 이산화타이타늄 등의 이산화타이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주석, 산화바륨, 산화세슘, 산화이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등), 탄산바륨, 탄산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스테아르산바륨, 아연화(亞鉛華), 황화아연,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클레이, 카올린, 인산타이타늄, 마이카, 석고, 화이트 카본, 규조토, 벤토나이트, 리토폰, 제올라이트, 세리사이트, 가수(加水) 할로이사이트 등의 무기계 백색 착색제나, 아크릴계 수지 입자,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입자,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입자, 아마이드계 수지 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요소-폼알린계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 입자 등의 유기계 백색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백색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백색 착색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는 양이 이용된다. 기재의 착색 처리는, 기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필름에 충전제, 안료 등 함유시켜 착색하는 수법을 이용해도 되고, 열가소성 필름의 표면에 백색 인쇄를 하는 수법을 이용해도 된다.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광 반사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의 가시광 반사율은,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가시광 반사율이란,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을 의미한다. 광 반사율을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광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기재는, 한쪽 주표면을 흑색으로 하고, 다른 쪽 주표면을 백색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재는, 예를 들면 흑색 기재의 다른 쪽 주표면에 백색 인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또는 백색 기재의 한쪽 주표면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는, 투명한 기재의 한쪽 주표면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하고, 다른 쪽 주표면에 백색 인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는 10μm∼4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30∼3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200μm가 더 바람직하고, 50∼150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가 10μm 미만이면 접착 강도나 내충격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고, 또한 400μm를 초과하면 박형 설계의 부재 고정 용도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휴대 전자기기 부재를 고정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부재를 고정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휴대 전자기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전자 수첩, 휴대 음악 플레이어, 휴대형 게임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접합되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로서는, 화상 표시 모듈의 표면에 설치되는 표시 패널이나 렌즈, LCD 부품 등을 들 수 있고, 하우징과 접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개재시켜, 휴대 전자기기 부재를 고정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유리 렌즈와 하우징을 상기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개재시켜 접합한다. 그리고 렌즈를 개재시켜 방사선을 조사하여,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부재를 고정한다.
방사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레이저 광선, α선, β선, γ선, X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제어성 및 취급성의 양호, 비용의 점에서 자외선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200∼400nm의 자외선이 이용된다. 자외선은, 고압 수은 램프, 저압 수은 램프, 마이크로파 여기형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LED 등의 적절한 광원을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량(적산 광량)은, 통상, 1000mJ/cm2∼10000mJ/cm2 정도, 바람직하게는 2000mJ/cm2∼4000mJ/cm2 정도이다.
휴대 전자기기 부재를 고정한 후, 전체가 투명한 유리 렌즈이면 위로부터 조사함으로써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지만,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 표시의 유리 렌즈 등의 가장자리는 흑이나 그 외의 색으로 인쇄가 되고 있고, 그 인쇄 부분에 테이프가 붙여지기 때문에, 위로부터 조사하면 테이프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피조사 부분으로의 광의 입사각 θ가 8∼20°가 되도록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도 4 참조). 입사각 θ는 8∼15°가 보다 바람직하고, 9∼11°가 더 바람직하다. θ가 20° 이상이면, 광이 안쪽까지 침입하지 않는다. 또한, θ가 8° 이하이면, 광이 반사되어, 조사한 에너지의 대부분이 반사되어 광이 안쪽까지 닿지 않는다.
입사각 θ가 8∼20°가 되도록 하는 조사 방법은, 방사선 에너지의 램프의 방향을 조사하는 4변에 대해서 기울여 배치하고 조사해도 되고, 조사하는 부재를 램프에 대해서 기울여 조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거울로 된 프리즘을 이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광의 방향을 바꾸는 조사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프리즘을 사용하여 장방형의 창틀상으로 위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입사각 θ가 8∼20°가 되도록 조사하면 되고, 조사하는 창틀보다 작은 형상의 프리즘을 이용하여, 프리즘의 각도 α를 49°∼55°로 하는 것에 의해서 조사할 수도 있다. 각도 α는 49°∼52.5°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9.5°∼50.5°이다. 프리즘의 각 변의 길이는, 조사하는 창틀의 4변에 반사된 광이 소정의 각도로 조사될 수 있도록 조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서 첩착 후의 양면 점착 시트에 입사각 θ가 8∼20°가 되도록 조사하는 경우, 공기층과 유리 계면에서의 광이 18∼40% 반사되는 것에 의해서 조사 에너지가 로스되기 때문에, 반사를 고려하여 소정의 적산 조사량보다 18∼40% 많이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 조성물 1)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장치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AA) 5질량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95질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 160질량부를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시간 교반했다.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 0.2질량부를 가하고, 60℃로 승온하여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했다. 반응 정지 후에 아세트산 에틸을 53질량부 가하여,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용액(조정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의 고형분 농도는 32.0%(중량%)이며,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10만이었다.
상기 폴리머 용액에,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15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로서의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 중량 평균 분자량 2300, 작용기수 4∼5, 고형분 99%), 광개시제로서 상품명 「일가큐어 184」(BASF재팬주식회사제) 0.8질량부, 추가로,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1.0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가교제로서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상품명 「콜로네이트 L」, 닛폰폴리우레탄공업주식회사제, 고형분 75%)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는 27.0%로 조정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1」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2)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20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로서의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2」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3)
다작용 올리고머로서의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 대신에, 염기성 모노머로서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마이드(상품명 「DMAPMA」, 에보닉·재팬사제)를 5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3」으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4)
다작용 올리고머로서의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 대신에, 염기성 모노머(상품명 「DMAPMA」, 에보닉·재팬사제)를 10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4」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5)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10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로서의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를 첨가하고, 염기성 모노머(상품명 「DMAPMA」, 에보닉·재팬사제)를 5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5」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6)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63질량부, N-바이닐 피롤리돈(NVP) 15질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9질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13질량부, 열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 0.2질량부를 아세트산 에틸 177.8질량부와 함께 투입했다. 그리고, 23℃에서 질소 분위기하에서 2시간 교반한 후, 65℃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70℃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용액(조정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의 고형분 농도는 36.0%(중량%)이며,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5만이었다.
상기 폴리머 용액에,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10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다작용 올리고머로서의 폴리에스터 다이아크릴레이트(상품명 「아로닉스 M-6250」, 작용기수 2, 도아합성주식회사제), 광개시제로서 상품명 「일가큐어 184」(BASF재팬주식회사제) 0.8질량부, 추가로,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0.2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가교제로서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고형분 75%), 실레인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상품명 「KBM403」,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제)을 0.3질량부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는 35.0%로 조정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6」으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7)
다작용 올리고머로서의 폴리에스터 다이아크릴레이트(상품명 「아로닉스 M-6250」, 도아합성주식회사제) 대신에,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를 10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6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7」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8)
다작용 올리고머로서의 폴리에스터 다이아크릴레이트(상품명 「아로닉스 M-6250」, 도아합성주식회사제) 대신에,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를 10질량부 첨가하고, 추가로 점착 부여 수지로서 수첨 로진 에스터(상품명 「파인크리스탈 KE-100」, 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를 10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6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8」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9)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장치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AA) 2.9질량부, 아세트산 바이닐(VAc) 5질량부, 아크릴산 뷰틸(BA) 92질량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0.1질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 30질량부, 톨루엔 120질량부를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시간 교반했다.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 0.2질량부를 가하고, 60℃로 승온하여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했다. 그리고,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용액(조정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의 고형분 농도는 40.0%(중량%)이며,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만이었다.
상기 폴리머 용액에,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4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로진 수지(상품명 「펜셀 D-125」, 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 고형분 100%), 4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로진 수지(상품명 「슈퍼에스터 A-100」, 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 고형분 100%), 2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로진 수지(상품명 「포라린 8020F」, 이스트만케미컬사제, 고형분 100%), 및 6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터펜페놀 수지(상품명 「타마놀 803L」, 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 고형분 100%)를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했다. 교반 후, 추가로 폴리머 용액 중의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1.1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가교제로서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상품명 「콜로네이트 L」, 닛폰폴리우레탄공업주식회사제, 고형분 75%)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9」로 했다.
(점착제 조성물 10)
다작용 올리고머로서의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시코 UV-7650B」, 닛폰합성화학주식회사제) 대신에, 다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상품명 「UA-510H」, 교에이샤화학주식회사제)를 15질량부 첨가하고, 광개시제로서 상품명 「일가큐어 184」(BASF재팬주식회사제) 0.4질량부, 상품명 「일가큐어 819」(BASF재팬주식회사제) 0.4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을 얻었다.
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 조성물 10」으로 했다.
이하의 표 1은, 각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을 정리한 표이다.
Figure 112016053368411-pct00001
(실시예 1)
38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세퍼레이터(상품명 「MRF38」, 미쓰비시폴리에스터필름주식회사제)의 실리콘 처리된 면에, 건조 후에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두께(건조 도막 두께)가 49μm가 되도록 상기 점착제 조성물 1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얻었다. 이어서, 100℃에서 2분간의 건조를 행하고,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세퍼레이터/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공정 점착 시트를 얻었다. 한편, 공정 점착 시트는 2개 제작했다.
1개의 공정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에, 기재(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필름 기재, PET 기재, 상품명 「루밀러 S10 #12」, 도레이주식회사제, 두께 12μm)를 첩합하여, 세퍼레이터/점착제층/기재의 적층 구조를 갖는 기재 부착 편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상기 기재 부착 편면 점착 시트의 기재의 면에, 또 하나의 공정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면을 첩합하여, 실시예 1의 양면 점착 시트(총 두께가 110μm이며, 세퍼레이터/점착제층/기재/점착제층/세퍼레이터의 적층 구조를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한편, 하기의 평가나 측정을 행할 때에는, 그 전에, 양면 점착 시트를, 광이 닿지 않도록 차광 시트 내에서 50℃ 분위기하에서 24시간 방치시켰다.
(실시예 2)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4)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5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0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6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7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3)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8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4)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9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평가)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시트에 대해, 이하의 측정 또는 평가를 행했다. 그리고, 그의 측정 결과 또는 평가를 표 2에 나타냈다.
<중량 평균 분자량>
얻어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했다. 샘플은, 시료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켜 0.1질량%의 용액으로 하고, 이를 밤새 정치한 후, 0.45μm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여과액을 이용했다.
·분석 장치: 도소(주)제, HLC-8120GPC
·컬럼: TSK gel GMH-H(S)
·컬럼 사이즈: 7.8mmφ×30cm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농도 0.1질량%)
·유량: 0.5ml/min
·검출기: 시차굴절률계(RI)
·컬럼 온도: 40℃
·주입량: 100μl
·표준 시료: 폴리스타이렌
<유리 전이 온도>
공정 점착 시트에서 세퍼레이터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2.3mm의 적층체(적층 점착제층)를 얻었다. 해당 적층체에 대해, 메탈 할라이드 램프(도시바사제, M3000L/22)를 이용하여, 조도 300mW/cm2에서, 적산 조사량이 3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켜, 측정 샘플로 했다.
유리 전이 온도는, 레오메트릭스사제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ARES」를 이용하고, φ7.9mm 패럴렐 플레이트의 지그를 이용하여, 주파수 1Hz, 승온 속도 5℃/분으로 측정하고, 얻어진 손실 탄성률의 피크점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로 했다.
<저장 탄성률>
공정 점착 시트에서 세퍼레이터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2.3mm의 적층체(적층 점착제층)를 얻었다. 해당 적층체에 대해, 메탈 할라이드 램프(도시바사제, M3000L/22)를 이용하여, 조도 300mW/cm2에서, 적산 조사량이 3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켜, 측정 샘플로 했다.
저장 탄성률은, 레오메트릭스사제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ARES」를 이용하고, φ7.9mm 패럴렐 플레이트의 지그를 이용하여, 주파수 1Hz, 승온 속도 5℃/분으로 측정하고, 70℃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을 산출했다.
<HAZE 측정>
HAZE 측정용 샘플로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공정 점착 시트와 마찬가지의 처방에 의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세퍼레이터 상에 두께 49μm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건조 후에 점착제층 면에 세퍼레이터로서 38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세퍼레이터(상품명 「MRE38」, 미쓰비시폴리에스터필름주식회사제)로 적층한 기재레스 양면 테이프를 작성했다.
HAZE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전과 경화 후에 측정했다. 자외선 조사는 MRE38면측으로부터, 메탈 할라이드 램프(도시바사제, M3000L/22)를 이용하여, 조도 300mW/cm2에서, 적산 조사량이 3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켜, 측정 샘플로 했다. 측정 기기는 무라카미색채기술연구소사제의 「HAZE METER HM-150」을 사용했다.
<압압 접착력>
양면 점착 시트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로 59mm, 세로 113mm, 폭 1mm의 창틀상(액자상)으로 컷팅하여,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2)를 얻었다. 이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2)를 이용하여, 가로 59mm, 세로 113mm, 두께 1.5mm의 유리판(3)(코닝사제 Gorilla 유리를 사용했다. 이하, 동일하다.)과, 중앙부에 48mm×90mm의 관통공(4)을 갖는 스텐레스 강판(SUS판)(1)(가로 78mm, 세로 129mm, 두께 2.5mm)을, 5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압착하는 것에 의해 첩합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첩합 12시간 후에 유리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을 메탈 할라이드 램프(도시바사제, M3000L/22)를 이용하여, 조도 300mW/cm2에서, 적산 조사량이 3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조사 후 23℃, 50%RH의 환경하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측정을 행했다. 방사선 경화형 양면 점착 테이프가 아닌 비교예 4의 샘플에 대해서는, 첩합 후, 23℃, 5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측정을 행했다.
도 1은 상기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로, (a)는 상면도, (b)는 A-A'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SUS판, 부호 2는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부호 3은 유리판, 부호 4는 SUS판(1)에 설치된 관통공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평가용 샘플을, 상기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에 세팅했다. 그리고, SUS판(1)의 관통공(4)에 도면에 나타내는 누름 지그(면적; 39.6cm2(45×88mm))(21)를 통과시키고, 이 누름 지그(21)를 10mm/분의 속도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판(3)을 SUS판(1)으로부터 벗겨지는 방향으로 압압했다. 그리고, 유리판(3)과 SUS판(1)이 분리될 때까지의 동안에 관측된 최대 응력을 압압 접착력으로서 측정했다. 한편, 측정은 23℃, 50%RH의 환경하에서 행했다.
도 2는 압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 부호 1은 SUS판, 부호 2는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부호 3은 유리판, 부호 21은 누름 지그, 부호 22는 지지대를 나타낸다. 평가용 샘플은, 인장 압축 시험기의 지지대(22)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되고, 평가용 샘플의 유리판(3)은, SUS판(1)의 관통공(4)을 통과한 누름 지그(21)에 의해 압압된다. 한편, 상기 압압 접착력 측정에 있어서, SUS판(1)은, 유리판(3)이 누름 지그(21)로 압압되는 것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었다.
<압압 접착력(405 LED 조사)>
메탈 할라이드 램프 대신에, 405nm LED 램프(상품명 「H-12LH4-V3-1S11-SM2」, HOYA CANDEO OPTRONICS사제)를 이용하여, 조도 75mW/cm2(측정 파장 영역 395∼445nm)에서, 적산 조사량이 3000mJ/cm2(측정 파장 영역 395∼445nm)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 이외에는, <압압 접착력>의 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을 행했다.
<낙하 충격 시험>
양면 점착 시트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로 40mm, 세로 60mm, 폭 2mm의 창틀상(액자상)으로 컷팅하여,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32)를 얻었다. 이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아크릴판(33)(가로 43mm, 세로 63mm, 두께 2mm)과 폴리카보네이트판(가로 70mm, 세로 80mm, 두께 2mm)(31)을, 5kg의 롤러를 1왕복시키는 조건에서 압착하는 것에 의해 첩합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첩합 후, 12시간 후에 아크릴판 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을 메탈 할라이드 램프(도시바사제, M3000L/22)를 이용하여, 조도 300mW/cm2에서, 적산 조사량이 3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조사 후 23℃, 50%RH의 환경하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측정을 행했다. 방사선 경화형 양면 점착 테이프가 아닌 비교예 4의 샘플에 대해서는, 첩합 후, 23℃, 5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측정을 행했다.
이들 평가용 샘플의, 폴리카보네이트판(31)의 배면에, 총 중량이 220g이 되도록 추를 달았다. 상기 추 부착된 평가용 샘플에 대해, 상온(23℃ 정도)에 있어서, 1.2m의 높이로부터 콘크리트판에 60회 자유 낙하시키는 낙하 시험을 행했다. 이때, 상기 평가용 샘플의 아크릴판(33) 면이 하방이 되도록 낙하의 방향을 조절했다.
그리고, 1회 낙하시킬 때마다, 아크릴판과 폴리카보네이트판의 접합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아크릴판과 폴리카보네이트판이 벗겨질(분리될) 때까지의 낙하 횟수를, 상온에서의 낙하에 대한 내충격성으로서 평가했다. 60회 낙하시킨 후에도 벗겨짐이 확인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60회 이상」 또는 「>60」이라고 표시했다.
Figure 112016053368411-pct00002
실시예 1∼6의 경화형 양면 점착 시트는,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경화 후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이므로, 압압 접착력이 높아서, 낙하 충격 시험에 있어서도 벗겨짐은 확인되지 않아, 높은 접착성과 내낙하충격성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6의 「압압 접착력(405 LED 조사)」은, 398.0N이며, 117.1N/cm2였다.
한편, 경화 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를 초과하는 비교예 1∼3은 낙하 충격 시험에 있어서도 벗겨짐이 확인되어, 내낙하충격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경화 후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미만인 비교예 4는, 압압 접착력이 뒤떨어져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양면 점착 시트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로 56mm, 세로 98mm, 폭 1mm의 창틀상(액자상)으로 컷팅하여,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102)를 얻었다. 이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102)를 이용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 인쇄(도포 후 0.05mm, 차광 인쇄부(105))를 한 가로 60mm, 세로 114mm, 두께 1.5mm의 유리판(103)(코닝사제 Gorilla 유리를 사용했다. 이하, 동일하다.)과, 중앙부에 50mm×92mm의 관통공(104)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판(101)(가로 80mm, 세로 130mm, 두께 10mm)을, 5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압착하는 것에 의해 첩합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또한, 두께가 2mm인 유리제 거울을, 도 9에 나타내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삼각형의 유리제 거울을 2매 얻었다. 두께가 2mm인 유리제 거울을, 도 10에 나타내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다리꼴의 유리제 거울을 2매 얻었다. 그리고, 이들 삼각형의 유리제 거울 및 사다리꼴의 유리제 거울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하여, 프리즘(도 12의 경면 프리즘(106))을 제작했다.
상기 평가용 샘플을 제작하고 나서, 12시간 후, 평가용 샘플의 유리면에, 도 12에 나타내는 배치로 상기 프리즘을 설치했다. 다음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상품명 「M3000L/22」 도시바사제)를 이용하여, 조도 300mW/cm2의 자외선을, 적산 조사량이 5000mJ/cm2가 되도록 프리즘 위로부터 조사했다. 자외선 조사 후, 평가용 샘플을 23℃, 50%RH의 환경하에서 12시간 방치했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압압 접착력의 측정을 행했다.
도 7은 실시예 7의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로, (a)는 상면도, (b)는 C-C'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부호 101은 폴리카보네이트판, 부호 102는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부호 103은 유리판, 부호 104는 폴리카보네이트판(101)에 설치된 관통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평가용 샘플을, 상기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에 세팅했다.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판(101)의 관통공(104)에 도면에 나타내는 누름 지그(면적; 39.6cm2(45×88mm))(21)를 통과시켜, 이 누름 지그(21)를 10mm/분의 속도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판(103)을 폴리카보네이트판(101)으로부터 벗겨지는 방향으로 압압했다. 그리고, 유리판(103)과 폴리카보네이트판(101)이 분리될 때까지의 동안에 관측된 최대 응력을 압압 접착력으로서 측정했다. 한편, 측정은 23℃, 50%RH의 환경하에서 행했다.
도 8은 압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 부호 101은 폴리카보네이트판, 부호 102는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부호 103은 유리판, 부호 21은 누름 지그, 부호 22는 지지대를 나타낸다. 평가용 샘플은, 인장 압축 시험기의 지지대(22)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되고, 평가용 샘플의 유리판(103)은, 폴리카보네이트판(101)의 관통공(104)을 통과한 누름 지그(21)에 의해 압압된다. 한편, 상기 압압 접착력 측정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판(101)은, 유리판(103)이 누름 지그(21)로 압압되는 것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었다.
Figure 112016053368411-pct00003
실시예 7은 프리즘을 사용하여 피조사 부분으로의 광의 입사각을 조정한 경우에 상당하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하면, 소정의 장소에, 휴대 전자기기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유리 렌즈와 하우징을 상기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개재시켜 접합할 수 있다. 또, 렌즈를 개재시켜 방사선을 조사하여,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1: SUS판
2: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3: 유리판
4: 관통공
21: 누름 지그
22: 지지대
31: 폴리카보네이트판
32: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33: 아크릴판
4: 유리 렌즈
5: 하우징
6: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7: 흑인쇄
101: 폴리카보네이트판
102: 창틀상 양면 점착 시트
103: 유리판
104: 관통공
105: 차광 인쇄부
106: 경면 프리즘

Claims (14)

  1.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아크릴 공중합체,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을 5∼30질량부 함유하고,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경화 후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 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며,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적산 광량으로 3000mJ/cm2 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의 70℃의 저장 탄성률이 6.0×104Pa 이상인,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염기성 모노머(m2)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가,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 아크릴 올리고머(m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30000인,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광중합 개시제를 0.05∼5질량부 함유하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모노머(m2)가, 분자 내에 아마이드기, 아미노기 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갖는 모노머인,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모노머(m2)의 비점이 120℃ 이상인,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가, 그의 구성 성분 중,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0.5∼10질량% 함유하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염기성 모노머(m2)를 0.1∼2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를 0.05∼5질량부 함유하는,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만∼200만인,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휴대 전자기기 부재를 고정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의 조사 시, 피조사 부분으로의 광의 입사각이 8∼20°가 되도록 조사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프리즘을 이용하여 광의 입사각을 8∼20°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KR1020167014780A 2013-11-05 2014-10-22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KR102284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29850 2013-11-05
JPJP-P-2013-229850 2013-11-05
JPJP-P-2014-139591 2014-07-07
JP2014139591A JP2015110723A (ja) 2013-11-05 2014-07-07 携帯電子機器部材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製造方法
PCT/JP2014/078042 WO2015068571A1 (ja) 2013-11-05 2014-10-22 携帯電子機器部材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543A KR20160082543A (ko) 2016-07-08
KR102284224B1 true KR102284224B1 (ko) 2021-07-30

Family

ID=5304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80A KR102284224B1 (ko) 2013-11-05 2014-10-22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72848A1 (ko)
JP (1) JP2015110723A (ko)
KR (1) KR102284224B1 (ko)
CN (1) CN105705602B (ko)
WO (1) WO2015068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846B2 (ja) 2014-09-30 2020-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523725B2 (ja) * 2015-03-19 2019-06-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16199701A (ja) * 2015-04-13 2016-1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接合体製造方法
CN107922808B (zh) * 2015-08-21 2020-11-27 郡是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粘合片以及具备该粘合片的触控面板和显示装置
JP2017178992A (ja) * 2016-03-28 2017-10-05 東亞合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296184B1 (ja) * 2017-02-06 2018-03-2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用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DE102017114256A1 (de) * 2017-06-27 2018-12-27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lebebandes
JP7166052B2 (ja) * 2017-11-30 202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166762B2 (ja) * 2018-01-30 2022-11-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7076217B2 (ja) * 2018-01-30 2022-05-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7184144B2 (ja) * 2018-02-09 2022-12-0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用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996326B2 (ja) * 2018-02-09 2022-01-1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用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2188402B1 (ko) * 2018-11-23 2020-12-08 주식회사 엘엠에스 접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소재
CN109590843A (zh) * 2018-12-03 2019-04-09 仙游县元生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3d曲面玻璃盖板生产工艺
JP6945090B1 (ja) * 2020-08-31 2021-10-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積層体
WO2022130747A1 (ja) * 2020-12-14 2022-06-23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層含有偏光板
CN113563815B (zh) * 2021-07-28 2023-04-18 宁波启合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pe泡棉双面胶带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838A (ja) 2007-02-06 2008-08-21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用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粘着剤付光学部材、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9114223A (ja) * 2007-11-01 2009-05-28 Sekisui Chem Co Ltd 移動体通信端末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移動体通信端末
JP2013040256A (ja) 2011-08-12 2013-02-28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放射線硬化性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551A (en) * 1994-12-05 1998-05-05 Acheson Industries, Inc. UV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6887917B2 (en) * 2002-12-30 2005-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JP4285746B2 (ja) 2004-02-26 2009-06-24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
US20070092733A1 (en) 2005-10-26 2007-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currently curable hybrid adhesive composition
JP4623198B2 (ja) 2007-10-12 2011-02-02 Dic株式会社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5967688B2 (ja) * 2009-09-16 2016-08-10 Dic株式会社 遮光性粘着剤組成物及び遮光性粘着テープ
CN103992757A (zh) * 2009-09-29 2014-08-20 琳得科株式会社 粘合剂以及粘合片
JP4937327B2 (ja) * 2009-10-06 2012-05-23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粘着剤用原料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WO2011111576A1 (ja) * 2010-03-10 201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CN102702991B (zh) * 2012-06-12 2014-04-16 安徽省郎溪县阿拉法胶粘制品有限公司 一种亚克力双面胶带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838A (ja) 2007-02-06 2008-08-21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用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粘着剤付光学部材、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9114223A (ja) * 2007-11-01 2009-05-28 Sekisui Chem Co Ltd 移動体通信端末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移動体通信端末
JP2013040256A (ja) 2011-08-12 2013-02-28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放射線硬化性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05602B (zh) 2019-06-04
JP2015110723A (ja) 2015-06-18
CN105705602A (zh) 2016-06-22
KR20160082543A (ko) 2016-07-08
US20160272848A1 (en) 2016-09-22
WO2015068571A1 (ja)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224B1 (ko)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KR102265087B1 (ko)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52211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KR101857303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CN106715625B (zh) 粘合片
KR102133858B1 (ko)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5518436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US2014027220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KR102047787B1 (ko) 점착 시트
JP2017057375A (ja) 粘着シート
JP6653290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JP5008870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粘着シート
CN111662660B (zh) 粘合剂层和粘合片
WO2009105297A2 (en) Temporarily reposition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blends
JP2013006892A (ja) 光学用両面粘着シート
KR20150093108A (ko) 양면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3374274A (zh) 压敏胶粘剂组合物和压敏胶粘片
KR20130051900A (ko) 점착 시트
KR102142895B1 (ko) 양면 점착 시트
US20160209566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90019922A (ko) 양면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1335311A (zh) 丙烯酸系壓感黏著帶
JP725390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202144174A (zh) 積層體
JP7469109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