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667B1 -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667B1
KR102278667B1 KR1020200053898A KR20200053898A KR102278667B1 KR 102278667 B1 KR102278667 B1 KR 102278667B1 KR 1020200053898 A KR1020200053898 A KR 1020200053898A KR 20200053898 A KR20200053898 A KR 20200053898A KR 102278667 B1 KR102278667 B1 KR 10227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fermenter
pack
flow path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557A (ko
Inventor
김희연
정창욱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5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557A/ko
Priority to KR102021008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2Additives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와; 개구부를 덮는 발효조 덮개를 포함하고, 발효조 덮개는 아우터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너공간이 형성된 이너 바디와; 적어도 일부가 이너공간에 수용된 메인튜브와; 이너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메인튜브가 연결되는 메인유로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발효조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발효조 덮개를 통해 물이나 물과 맥주 재료의 혼합물을 공급할 수 있고, 발효조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발효조 덮개를 통해 맥주가 취출될 수 있어, 맥주 제조나 맥주 취출을 위해 발효조 덮개를 열 필요가 없고 맥주 제조나 맥주 취출의 편의성이 증대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발효장치{Beer Maker}
본 발명은 맥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가 발효되는 발효조를 갖는 맥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보다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액상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액상 맥아에 첨가되어 액상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크게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 제조장치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발효를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그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KR 20-0319526 U(2003년07월12일 공고) KR 10-2016-00182006 A(2016년02월17일 공개)
본 발명은 발효조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맥주 재료의 공급 및 맥주 취출이 용이하고 맥주를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맥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 등의 이물질 침투를 최소화할 있는 맥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와, 개구부를 덮는 발효조 덮개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효조 덮개는 아우터 바디와, 이너 바디와, 메인 튜브와, 메인튜브가 연결되는 메인유로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너 바디와 로어 바디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메인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이너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발효조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메인튜브 및 메인유로부를 통해 맥주 재료를 공급할 수 있고, 맥주를 메인튜브 및 메인유로부를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이너 공간에 수용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너 바디는 아우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바디 어셈블리는 이너 바디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유로부는 적어도 일부가 이너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발효조는 맥주 제조팩의 상부가 안착되는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는 발효조에서 돌출된 실링부재 지지턱과, 실링부재 지지턱에 올려진 발효조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 어셈블리는 로어 바디와, 유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는 이너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개구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유로 바디에는 메인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바디는 로어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유로부는 어퍼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유로부는 유로바디의 상부에 이너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 유로부는 메인튜브와 연결될 수 있다. 어퍼 유로부 및 메인튜브는 이너 바디와 로어 바디 어셈블리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메인유로부는 로어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유로부는 유로바디의 하부에 돌출될 수 있다. 로어 유로부는 발효조의 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로어 바디와 유로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로어 실링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로어 실링부재는 맥주 제조팩과 밀착될 수 있다. 로어 실링부재는 물이나 맥주가 로어 실링부재 외측으로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효조는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로어 실링부재는 중공 탄성부재일 수 있다. 중공 탄성부재는 메인유로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메인유로부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부의 일부는 중공 탄성부재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중공 탄성부재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은 팩 바디와, 플렉서블 컨테이너와, 메인 유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컨테이너는 팩 바디에 연결될 수 있고, 맥주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메인 유로 바디는 팩 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유로 바디는 이너 중공부를 갖을 수 있다. 이너 중공부에는 팩 메인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팩 바디는 실링부재 안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 안착홈부는 팩 바디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실링부재의 하부는 실링부재 안착홈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메인유로부의 하부는 팩 메인유로의 상부에 접촉될 수 있다.
메인 유로 바디는 맥주 제조팩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유로는 팩 메인유로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유로는 발효조 덮개의 장착시 메인유로부 수용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유로 바디에는 메인유로부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서브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유로부는 메인유로부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유로부는 이너공간을 향해 돌출된 어퍼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유로부는 유로바디의 상부에 이너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브유로부에는 서브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튜브는 서브유로부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할 수 있다. 서브튜브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서브 유로부와 서브튜브는 이너 바디와 로어 바디 어셈블레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서브튜브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와; 가스 취출유로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가스 취출유로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가스 개폐밸브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에어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는 이너 플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은 아우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공간은 이너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 어셈블리는 이너공간을 밀페하게 이너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바디 어셈블리는 이너 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되는 이너 프레임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바디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이너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와 이너 바디는 복원 스프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메인튜브에 연결된 메인유로와; 메인유로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와; 맥주 취출유로에 연결된 맥주 취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내부의 맥주는 메인유로부와, 메인튜브와, 메인유로와, 맥주 취출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맥주 취출밸브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효조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발효조 덮개를 통해 물과 맥주 재료의 혼합물이나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발효조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발효조 덮개를 통해 맥주가 취출될 수 있다. 즉, 맥주 제조나 맥주 취출을 위해 발효조 덮개를 자주 여닫을 필요 없고, 맥주 제조나 맥주 취출의 편의성이 증대된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바디와 로어 바디 어셈블리 사이의 이너공간에서 메인튜브와 메인유로부가 연결되므로 메인튜브와 메인유로부 사이의 틈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메인튜브와 메인유로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이너 바디와 로어 바디 어셈블리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맥주 제조팩이 발효조에 간편하게 안착될 수 있어 맥주 제조팩 안착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맥주 제조팩을 발효조에 안착시켰을 때, 발효조와 맥주 제조팩 사이가 스트부에 의해 실링되므로, 맥주 제조팩과 발효조 사이의 공기가 맥주 제조팩과 시트부 사이의 틈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의 온도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효조 덮개로 발효조의 개구부를 막았을 때, 로어 실링부재가 발효조 덮개와 맥주 제조팩 사이를 실링한다. 즉, 물과 맥주 재료의 혼합물이나 물이나 맥주는 발효조 덮개와 맥주 제조팩 사이 주변으로 흐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효조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효조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발효조 덮개를 통해 맥주 제조팩의 가스가 취출될 수 있고 이렇게 취출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팩의 외부에서 맥주 제조팩 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 내의 발효도 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드 모듈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캡슐 수용바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록커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복수개 캡슐 수용부가 개방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발효조 어셈블리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개구부가 개방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일 예가 도시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일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다른 예가 도시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또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취출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맥주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모듈(1)과, 발효모듈(1)과 메인유로(2)로 연결된 디스펜서(3)와, 디스펜서(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된 급수모듈(5)와, 발효모듈(1)에서 발효된 맥주가 외부로 취출되는 맥주 취출기(6)를 포함한다.
발효모듈(1)은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1)를 포함한다.
발효조 어셈블리(11)는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를 덮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에는 메인유로(2)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맥주 제조팩(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내부에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맥주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이고,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이, 맥주 제조팩(12)과 디스펜서(3)를 모두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맥주 제조팩(12) 없이, 디스펜서(3)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펜서(3)에는 맥주 제조를 위한 모든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된 모든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와 첨가제가 함께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주재료와 첨가제는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동시에 공급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별도의 맥주 제조팩(12)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맥주 제조를 위한 일부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직접 투입하고, 맥주 제조를 위한 나머지 재료는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로 직접 투입하고, 디스펜서(3)에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에 기투입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고, 맥주 제조팩(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맥주 제조팩(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에 주재료와 첨가제를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직접 투입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맥주 제조팩(12) 내로 투입된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맥주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기(6)로 유동되어 맥주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맥주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튜브는 발효조(112)와 단열벽(102, 도 3 및 도 4 참조)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벽(102)에 의해 단열된 단열공간(S2)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유로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사이로 에어를 주입하는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사이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주입된 에어는 맥주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에어에 의해 눌린 맥주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2)로 유동된 맥주는 맥주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즉,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가 완성되면, 맥주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를 맥주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펌프(152)와, 에어펌프(15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설치된 에어 조절밸브(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구비된 에어 릴리프밸브(158,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릴리프밸브(158)는 에어 공급유로(154) 중 에어 공급 방향으로 에어 조절밸브(156)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조절밸브(156)는 맥주가 취출될 경우에만 개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고, 맥주가 취출되지 않는 동안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3)는 급수히터(5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되고 발효조 어셈블리(11)와 메인유로(2)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맥주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요부는 디스펜서(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3)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4)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급수유로(4)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 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3)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유로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유로에는 메인유로(2)의 유체가 캡슐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에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1캡슐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디스펜서 입구유로(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에는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2캡슐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디스펜서 입구유로(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는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를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3캡슐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급수유로(4)에서 급수된 물이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공급될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급수유로(4) 및 메인유로(2)와 연결되고 급수유로(4)의 물 또는 공기는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바이패스 유로(34)에 안내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로와,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로와,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로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에는 바이패스 유로(3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 및 공통관에 연결된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중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고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모듈(5)는 물이 담겨지는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에는 수조 출수유로(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수조 출수유로(5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급수유로(4)로 안내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고 메인유로(2)의 맥주가 안내되는 맥주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맥주 취출유로(61)에 연결된 맥주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된 맥주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Micro Switch)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장치는 발효모듈(1)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발효모듈(1)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71)와, 가스 취출유로(71)에 설치된 압력센서(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가스 취출유로(71)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밸브(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가스 개폐밸브(73)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에어 필터(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취출유로(71)는 발효조 어셈블리(11) 특히,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개폐밸브(73)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맥주 제조팩(12)의 상부에서 가스 취출유로(71) 및 가스 개폐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개폐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오픈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압력 센서(72)로 유동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72)는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은 감지될 수 있다.
압력센서(72), 가스 개폐밸브(73)와, 에어 필터(74)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구비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는 가스 취출유로(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센서(72)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4)를 통해 디스펜서(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급수유로(4)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와 메인유로(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맥주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4)와 바이패스 유로(34)와,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재료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4)를 통해 캡슐 수용부(31)(32)(3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를 메인유로(2)로 유동시킬 수 있고,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81)와, 에어 주입유로(81)로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의 물이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에어 주입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되고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 이전에 설치된 에어필터(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구동시, 공기는 에어필터(84)에 의해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고, 에어필터(84)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유동되어 급수유로(4)로 유동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메인유로(2)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메인유로(2) 중 메인유로(2)와 맥주 취출유로(61)의 연결부(91)과 메인유로(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연결부(9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온수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2)를 폐쇄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에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맥주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취출기(6)에 의한 맥주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맥주 제조장치는 베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맥주 제조장치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조 어셈블리(11), 압축기(131),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수조(51)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맥주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내부에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가 수용되는 공간이 컨테이너 바디(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컨테이너 바디(10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바디(101A) 내의 공간을 덮는 컨테이너 상판(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베이스(100)의 앞부분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 상판(101B)에는 맥주가 컨테이너 바디(101A) 내부로 낙하되는 홀(101C)이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 중 맥주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맥주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101C)을 통해 맥주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맥주 제조장치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발효조(112A)과, 로어 발효조(11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어퍼 발효조(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맥주 제조팩(12)이 안착되는 시트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116)는 개구부(111)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둘레부가 시트부(116)에 올려질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발효조(112)와 증발기(134)를 함께 둘러싸는 단열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102)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상부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단열벽(102A)과, 로어 단열벽(10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된 어퍼 단열벽(102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단열벽(102A)와 어퍼 단열벽(102B)를 갖는 단열벽(102)는 발효조(112)의 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 중 개구부(113)가 형성된 부분의 외면을 를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내면은 발효조(112)의 외면 보다 직경이 클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공기는 발효조(112)를 단열시킬 수 있다.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틈은 증발기(134)가 수용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발효조(112)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단열벽(102)은 하판부(102D)의 상면(102E)에 발효조(112)가 안착될 수 있고, 발효조(112)를 지지할 수 있다.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의 저면(102F)이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 단열벽 서포터(100A)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에 에어 공급유로(154)가 관통되는 에어 공급유로 관통공(102G)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일부가 단열벽(10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발효조(10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134)는 이러한 틈에 위치되게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일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112C)과 단열벽(102)의 내면(102C)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지지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형성된 증발튜브 관통공(미도시)를 관통하여 단열벽(102)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튜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단열벽(102)의 둘레면와, 단열벽(102)의 상면을 둘러싸는 단열벽 커버(104)(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나의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커버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면이 개방되고 단열벽(102)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로어 단열벽 커버(104)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부에 배치되고 단열벽(102)의 상면를 덮는 어퍼 단열벽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단열벽 커버(104)는 하부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어퍼 단열벽 커버(105)는 하부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을 보호할 수 있고, 맥주 제조장치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의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단열벽(102)의 둘레면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수조(51)를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단열벽 커버(104)(105)의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후술하는 수용공간(S5)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와 베이스(100)의 사이에는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51)는 단열벽(102)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고, 수조(51)를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하단이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그 상부에 수조(51)가 올려질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복수개의 서포터부재가 전체적으로 중공 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단열벽(102)을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51)는 아우터 수조(58)와, 아우터 수조(58)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S4)가 형성된 이너 수조(59)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수조(58)는 수조 서포터(106)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고, 그 하면이 베이스(1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아우터 수조(58)와 베이스(100)의 사이에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수조(58)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일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수조(59)의 외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싸서 이너 수조(59)를 보호할 수 있다.
이너 수조(59)는 아우터 수조(58)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아우터 수조(58)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수조 프로텍터(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복수개의 프로텍터 부재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결합되어 수조(51)의 상면을 덮는 수조 리드(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일측이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100)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단열벽(101)와 수조(51)의 사이와, 단열벽(101)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아우터 수조(58)에 안착될 수 있고, 타측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도 1에 도시된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캡슐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수조(51)를 마주보는 일측판이 아우터 수조(58)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어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발효조 덮개(114)를 마주보는 타측판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고, 단열벽 커버(104)(105)에 지지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맥주 제조장치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S5)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의 사이이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의 사이인 공간일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다수의 부품이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맥주 제조장치는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단열벽(102)과 수조(51)와 베이스(100)와 디스펜서(3)와 응축기(132)와 후술하는 센터 커버(66)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에 설치되어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13)(323)(3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수용바디(3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베이스(100)에 설치된 브래킷(64, 도3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64)은 단열벽(102)의 옆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개폐밸브(313)(323)(333)는 브래킷(64)에 의해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개폐밸브(313)(323)(333)의 전방을 가리는 센터 커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 커버(104)와 수조 서포터(106) 사이를 막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 사이를 막게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그 배면이 응축기(132)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는 그 앞부분이 센터 커버(66)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센터 커버(66)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맥주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9)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메인 피시비(109C)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와이파이모듈과 블루투스모듈 등과 같이,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메인피시비(100C) 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로터리 놉(109A)과, 로터리 놉(109A)에 의해 스위칭되는 로터리 스위치(109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의 일측에는 로터리 놉(109A)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놉 홀(106A)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놉(109A)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109B)는 메인 피시비(109C)에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09D)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9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엘시디, 엘이디, 오엘이디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메인 피시비(109C)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109C)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 제조팩(12)의 정보 및 그에 따른 발효시간이나 맥주 완성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맥주 재료의 발효시간이나 맥주 완성시간은 맥주 제조팩(12)의 내부에 담겨지는 맥주 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1)와 근접해지면, NFC 등의 통신모듈을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재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저장된 소형 칩(109E, 도 14 참조)이 스티커 등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고, 맥주 제조장치에는 이러한 칩(109E)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FC 태그(109F, 도 14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NFC 태그(109F)는 발효조 어셈블리(11)나 메인 피시비(109C)나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수 있다. NFC 태그(109F)가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설치될 경우 NFC 태그(109F)는 발효조(112)의 개구부(111) 또는 발효조 덮개(114)에 설치될 수 있고, NFC 태그(109F)는 컨트롤러(109)와 데이터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에 수용되면,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에 구비된 칩으로부터 맥주 제조팩(12)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NFC 태그(109F)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는 맥주 재료의 종류, 전체 발효시간이나 맥주 완성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 제조 도중의 맥주 제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와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나 무선통신기기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를 수치나 그래프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의 제조 도중에 맥주의 완성도나 탄산량 등 수치나 그래프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1차 발효와 2차 발효시, 맥주의 완성도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 내의 맥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탄산량이 점차 증가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압력센서(72)에 의해 맥주 제조팩(12)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감지된 압력과 온도를 기설정된 수학식이나 테이블에 따라 탄산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산출된 탄산량의 정보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09D)와 무선통신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이렇게 산출된 탄산량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가 완성된 후, 맥주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후술하는 2차 발효가 완료되면, 맥주의 완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맥주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적산된 시간에 따라, 맥주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로부터 맥주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잔량 정보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9D)와 무선통신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맥주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드 모듈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캡슐 수용바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록커 저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디스펜서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복수개 캡슐 수용부가 개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캡슐 수용바디(36)에는 맥주 재료가 수용된 캡슐(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31)(32)(33)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좌우 방향으로 슬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펜서(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도 1에 도시된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312)(322)(332)로 연결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는 캡슐 수용부(31)(31)(32)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는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출구유로(312)(322)(332)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에는 체크밸브(314)(324)(334)가 연결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캡슐(C1)(C2)(C3)에 구멍을 형성하는 캡슐 천공부재(31A)(32A)(33A)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천공부재(31A)(32A)(33A)는 캡슐 수용부(31)(32)(33)의 내측 하부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캡슐 천공부재(31A)(32A)(33A)는 캡슐 수용부(31)(32)(33)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캡슐(C1)(C2)(C3)은 그 장착시 캡슐 수용부(31)(32)(33)의 상측 위치에서 캡슐 수용부(31)(32)(33)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캡슐(C1)(C2)(C3)의 하부는 캡슐 수용부(31)(32)(33)에 위치하는 캡슐 천공부재(31A)(32A)(33A)와 접촉되어 절개될 수 있으며, 캡슐(C1)(C2)(C3)의 하부에는 물과 재료가 함께 유출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C1)에 구멍을 형성하는 제1캡슐 천공부재(31A)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캡슐 수용부(31)의 하부에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된 제1로어 가이드부(31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로어 가이드부(312A)에는 제1체크밸브(314)가 연결될 수 있다. 제1로어 가이드부(312A)는 도 1에 도시된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C2)에 구명을 형성하는 제2캡슐 천공부재(32A)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캡슐 수용부(32)의 하부에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된 제2로어 가이드부(32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로어 가이드부(322A)에는 제2체크밸브(324)가 연결될 수 있다. 제2로어 가이드부(322A)는 도 1에 도시된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C3)에 구명을 형성하는 제3캡슐 천공부재(33A)가 설치될 수 있다. 제3캡슐 수용부(33)의 하부에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된 제3로어 가이드부(33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로어 가이드부(332A)에는 제3체크밸브(324)가 연결될 수 있다. 제3로어 가이드부(332A)는 도 1에 도시된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수평판(361, 도 12 및 도 1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수평판(36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를 보호하는 로어 보호부(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힌지(38A)(38B)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리드 모듈(37)의 일면을 마주보는 어퍼 보호부(3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수평판(361)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로어 보호부(362)는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 중 수평판(3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을 전,후,좌,우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보호부(363)는 로어 보호부(362)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리드 모듈(37)의 전면을 가리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은 리드 모듈(37)에 의해 함께 개방되거나 함께 폐쇄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의 면적 합은 리드 모듈(37)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1)(32)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축(38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38A)는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다른 하나에는 힌지축(3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 연결부(38B)가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힌지축(38A)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의 면적 합 보다 크게 형성되고, 힌지축(38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를 모두 개방되거나 모두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는 각각의 캡슐 수용부 별로 각각의 리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펜서(3)는 하나의 캡슐 수용부를 하나의 리드 모듈이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3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면, 캡슐 수용바디(36)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3개의 리드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캡슐 수용바디(36)에 복수개의 리드 모듈이 설치되면, 디스펜서(3)의 부품수는 많고 복수개 캡슐의 장착, 분리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리드 모듈(37)이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 모두를 개폐할 경우,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자는 디스펜서(3)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 모두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 모두를 한꺼번에 덮을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리드 모듈(37)을 통해 물을 급수하게 구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된 리드(38)와; 리드(38)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바디(41)(42)(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드 모듈(37)은 리드(38)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캡슐 수용바디(36)와 록킹되거나 록킹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록커(48)(4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에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바디(41)(42)(43)가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록커(48)(49)(5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리드(38)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리드(38)는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 중 하나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는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될 수 있고, 어퍼 리드(40)는 로어 리드(49)의 상면을 덮게 로어 리드(39)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에는 록커(48)(49)(50)의 하부가 관통되는 로어 관통공(39A)(39B)(39C)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에는 록커(48)(49)(50)의 외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지지벽(39D)(39E)(39F)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는 한 쌍의 사이드 벽(39G)(39H)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벽(39D)(39E)(39F)은 한 쌍의 사이드 벽(39G)(39H)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에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는 한 쌍의 사이드 벽(39G)(39H) 사이에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록커(48)(49)(50)가 리드(38)에 복수개 구비될 경우, 로어 리드(39)에는 제1록커(48)의 하부가 관통되는 제1로어 관통공(39A)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록커(49)의 하부가 관통되는 제2로어 관통공(39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록커(50)의 하부가 관통되는 제3로어 관통공(39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리드(39)에는 제1록커(48)의 외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지지벽(39D)와 제2록커(49)의 외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지지벽(39E)와 제3록커(50)의 외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3지지벽(39F)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리드(40)는 로어 리드(39)와 결합될 수 있고, 록커(48)(49)(50)의 상부가 관통되는 어퍼 관통공(40A)(40B)(40C)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리드(40)는 로어 리드(39)의 상면을 덮게 로어 리드(39)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록커(48)(49)(50)가 리드(38)에 복수개 구비될 경우, 어퍼 리드(39)에는 제1록커(48)의 상부가 관통되는 제1어퍼 관통공(40A)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록커(49)의 상부가 관통되는 제2어퍼 관통공(40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록커(50)의 상부가 관통되는 제3어퍼 관통공(40C)가 형성될 수 있다. 록커(48)(49)(50)는 일부가 어퍼 리드(40)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급수 바디(41)(42)(43)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로 연결될 수 있다. 급수 바디(41)(42)(43)에는 캡슐 수용부(31)(31)(32)에 수용된 캡슐(C1)(C2)(C3)로 물을 안내하는 이너 급수유로(44)(45)(46)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가 급수 바디(41)(42)(43)에 연결되면, 이너 급수유로(44)(45)(46)는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와 연통될 수 있고,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통과한 물은 이너 급수유로(44)(45)(46)에 안내되어 캡슐(C1)(C2)(C3)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바디(41)(42)(43)는 캡슐 수용부(31)(32)(33)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캡슐 수용부에 하나의 급수 바디가 대응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가 형성될 수 있고, 리드(38)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을 마주볼 수 있는 제1급수바디(41)와, 제2캡슐 수용부(32)를 마주볼 수 있는 제2급수바디(42)와, 제3캡슐 수용부(33)를 마주볼 수 있는 제3급수바디(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급수바디(4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제1이너급수유로(4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급수바디(4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제2이너급수유로(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급수바디(4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을 향해 물을 안내하는 제3이너급수유로(46) 가 형성될 수 있다.
리드(38)에 설치된 복수개 급수바디(41)(42)(43)는 그 배치 위치가 상이하나 그 각각의 상세구조가 동일할 수 있고, 이하 급수바디(41)(42)(43)의 공통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편의를 위해 동일 부호를 칭하여 설명한다.
급수 바디(41)(42)(43)는 이너 급수유로가 형성된 몸체(41A)와, 이너 급수유로(44)(45)(46)로 물을 안내하는 연결부(4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바디(41)(42)(43)는 캡슐을 천공하고 이너 급수유로의 물을 캡슐 내부로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부(4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41A)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록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급수유로(44)(45)(46)는 몸체(41A)의 외둘레면에서 몸체(41A)의 중심부로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유로(41D)와, 수평유로(41D)에서 몸체(41A)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유로(41E)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유로(41D)는 연결부(41B)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유로(41E)는 어퍼 가이드부(41C)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부(41B)는 몸체(41A)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B)는 몸체(41A)의 둘레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4B)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캡슐 수용바디(36)와 급수바디(41)(42)(43)의 사이에는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과 급수 바디(41)(42)(43)의 저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와 리드 모듈(37)의 사이에는 제1급수바디(41)의 저면과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47A)와, 제2급수바디(42)의 저면과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47B)와, 제3급수바디(43)의 저면과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3실링부재(47C)가 배치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복수개의 록커(48)(49)(50)를 포함할 수 있다.
록커(48)(49)(50)는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록커(48)(49)(50)는 급수바디(41)(42)(43)를 캡슐 수용부(31)(32)(33)로 누르는 푸셔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록커(48)(49)(50)는 록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커(48)(49)(50)는 급수바디(41)(42)(43)를 캡슐 수용부(31)(32)(3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급수바디(41)(42)(43)는 캡슐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캡슐(C1)(C2)(C3)로 가압될 수 있다.
록커(48)(49)(50)는 급수바디(41)(42)(43)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급수바디에 하나의 록커가 대응될 수 있다.
리드(38)에 제1급수바디(41)와, 제2급수바디(42)와 제3급수바디(43)가 배치될 경우, 리드(38)에는 제1급수바디(41)를 하측 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제1록커(48)와, 제2급수바디(42)를 하측 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제2록커(49)와, 제3급수바디(43)을 하측 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제3록커(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록커(48)는 그 내부에 제1급수바디(41)를 수용하는 급수바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1급수바디(41)의 외둘레면 및 상면을 에워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록커(49)는 그 내부에 제2급수바디(42)를 수용하는 급수바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급수바디(42)의 외둘레면 및 상면을 에워싸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록커(50)는 그 내부에 제3급수바디(43)를 수용하는 급수바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3급수바디(43)의 외둘레면 및 상면을 에워싸게 배치될 수 있다.
리드(38)에 배치된 복수개 록커(48)(49)(50)는 그 배치 위치가 상이하나 그 각각의 상세구조가 동일할 수 있고, 이하 록커(48)(49)(50)의 공통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편의를 위해 동일 부호를 칭하여 설명한다.
록커(48)(49)(50)는 내부에 급수 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급수 바디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중공 통(48A)과; 중공 통(48A)의 상부에 형성되어 급수 바디의 상면을 덮는 상판부(48B)를 포함할 수 있다. 록커(48)(49)(50)는 상판부(48B)에 돌출된 손잡이부(4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통(48A)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형성된 록커 걸림부(364)가 내삽되는 내경을 갖을 수 있다. 중공 통(48A)의 내경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형성된 록커 걸림부(364)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중공 통(48A)는 록커 걸림부(364)를 둘러싼 상태에서 록커 걸림부(364)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록커(48)(49)(50)는 중공 통(48A)에 형성되어 캡슐 수용바디(36)에 형성된 록커 걸림부(364)에 걸리거나 록커 걸림부(364)에 형성된 돌기 출입부(365)를 통과하는 돌기(48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48D)는 중공 통(48A)의 하부 내둘레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48D)는 중공 통(48A)의 내둘레에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록커 걸림부(364)는 캡슐 수용바디(36)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록커 걸림부(364)는 캡슐 수용바디(36)에 록커(48)(49)(50)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록커 걸림부(344)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록커 걸림부(364)는 캡슐 수용바디(36)의 상판(361)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64A)와, 돌출부(364A)의 상부 외둘레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링부(364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출입부(365)는 링부(364B)의 일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출입부(365)는 링부(364A)에 돌기(48D)와 동일 개수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출입부(365)는 링부(364A)에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48D)는 돌기출입부(365)의 상측에서 돌기출입부(365)를 통과할 수 있고, 록커의 회전시 링부(364B)의 아래로 옮겨질 수 있으며, 링부(364B)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중공 통(48A)에는 급수바디에 형성된 연결부를 회피하는 회피공(48E)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회피공(48E)는 중공 통(48A)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중공 통(48A)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48B)의 상면 및 손잡이부(48C)는 리드(38)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손잡이부(48C)를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록커(48)(49)(50)를 캡슐 수용바디(36)에 록킹하거나 록킹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록커(48)(49)(50)는 상판부(48B)의 하면에 돌출되어 급수바디를 캡슐 수용부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8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48F)는 손잡이부(48C)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48F)는 록커(48)(49)(50)의 상판부(48B) 하면에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48G)와, 볼록부(48G)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급수바디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48H)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통(48A)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돌기(48D)가 록커 걸림부(364)의 돌기 출입부(365)를 통과하여 돌기 출입부(365) 아래로 이동되면, 가압부(48F)의 가압돌기(48H)는 급수바디의 상면에 접촉되어 급수바디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48C)를 잡고 회전시키면, 중공 통(48A)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돌기(48D)는 링부(364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링부(364B)의 아래로 회전되어 링부(364B)에 록킹될 수 있고, 가압부(48F)는 급수바디를 하측 방향으로 계속 가압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급수 바디와 록커의 상판부(48B)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48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48I)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록커의 상판부(48B)와 급수 바디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스프링(48I)는 전체적인 형상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발효조 어셈블리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개구부가 개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단열벽(104)(105)는 상부에 발효조 덮개(114)의 일부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상부 관통공(10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관통공(105A)는 어퍼 단열벽(105)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맥주 제조팩(12)의 상부가 안착되는 시트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116)는 발효조(112)에서 돌출된 실링부재 지지턱(117)과, 실링부재 지지턱(117)에 올려진 발효조 실링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 지지턱(117)는 개구부(111)에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발효조 실링부재(118)는 실링부재 지지턱(117) 상면에 올려질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그 둘레부가 발효조 실링부재(118)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고, 발효조(12)의 내부는 맥주 제조팩(12) 및 발효조 실링부재(118)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개구부(111)에는 발효조 덮개(114)에 형성된 끼움돌기(119A)가 돌려 끼워지는 끼움 가이드(119B)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 가이드(119B)는 발효조(112)의 개구부(111)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 가이드(119B)는 끼움돌기(119A)가 대략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수직 가이드홈(119C)와, 수직 가이드홈(119C) 하부에서 개구부(111)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끼움돌기(119B)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수평 가이드홈(119D)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돌기(119A)는 발효조 덮개(114)를 닫았을 때,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끼움가이드(119B)는 실링부재 지지턱(117) 보다 더 높은 위치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내벽에 맥주 제조팩(12)의 후술하는 플렉서블 컨테이너(460)를 발효조(112) 내면과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리브(120)가 돌출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가스가 발생될 수 있고, 플렉서블 컨테이너(460)는 그 내부의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취출시, 도 1에 도시된 맥주 취출 가압기구(15)에서 공급된 에어가 플렉서블 컨테이너(460)와 발효조(112)의 내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브(120)는 맥주 취출 가압기구(15)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의 원활한 유동을 도울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12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120)는 복수개가 발효조(112)의 내면을 따라 발효조(112)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120)는 도 4를 참조하면, 발효조(112)의 내측 상부와 발효조(112)의 내측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발효조 덮개(114)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발효조 덮개(114)는 아우터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2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너 바디(210)와; 메인 튜브(220)와; 이너 바디(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메인 튜브(220)가 연결되는 메인유로부(230)가 형성된 로어 바디 어셈블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210)와 로어 바디 어셈블리(2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너공간(S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튜브(220)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공간(S6)에 수용될 수 있다. 메인튜브(220)의 이너공간(S6)에서 메인유로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바디 어셈블리(240)는 이너 바디(210)에 결합된 로어 바디(250)와, 메인유로부(230)가 형성된 유로 바디(26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발효조 덮개(114)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나 단열벽 커버(105)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아우터 바디(200)가 발효조(112)나 단열벽 커버(105)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단열벽 커버(10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아우터 바디(200)는 단열벽 커버(105)에 힌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바디(200)는 그 내부에 이너 바디(21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이너 바디 수용공간(S7)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이너 바디 수용공간(S7)에 수용된 이너 바디(210)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고, 이너 바디(210)의 외둘레를 보호할 수 있다.
이너 바디(210)는 이너 바디 수용공간(S7)에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바디(210)는 아우터 바디(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에 이너공간(S6)이 형성된 이너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210)는 이너 프레임(222)의 상면에 배치된 손잡이(2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214)를 잡고 이너 바디(210)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이너 바디(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너 바디(210)의 회전시 로어 바디 어셈블리(240)는 이너 바디(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12)은 이너 어퍼 바디부(215)와, 이너 어퍼 바디부(215)의 저면에 돌출되고 내부에 이너공간(S6)이 형성된 이너 로어 바디부(216)와, 이너 어퍼 바디부(216)의 외둘레에서 돌출되고 이너 로어 바디부(216)와 이격되는 아우터 중공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12)에는 메인 튜브(220)와 후술하는 서브 튜브(290)이 관통되는 튜브 관통공(218)이 형성될 수 있다. 튜브 관통공(218)은 이너공간(S6)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메인 튜브(220)와 서브 튜브(290)가 관통되는 홀일 수 있고, 이너 로어 바디부(216)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어퍼 바디부(215)는 손잡이 (21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손잡이 수용홈부(215A)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수용홈부(215A)는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21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로어 바디부(216)는 이너 어퍼 바디부(215)의 저면에서 중공 원통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너공간(S6)는 이너 로어 바디부(216)의 내부에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217)는 이너 어퍼 바디부(215)의 외둘레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217)는 이너 로어 바디부(216) 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 원통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217)는 아우터 바디(200)의 내둘레면에 면접촉될 수 있고, 아우터 바디(20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바디(200)는 아우터 프레임(204)과, 아우터 프레임(204)에 결합되고 이너 바디(210)가 관통되는 이너 바디 관통공(205)이 형성된 아우터 베이스(20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아우터 중공부(217) 보다 크기가 작고 아우터 중공부(221)를 마주보는 이너 중공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중공부(207)는 아우터 중공부(217)와 사이에 후술하는 복원 스프링(300)이 수용되는 복원 스프링 수용공간(S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중공부(207)는 아우터 베이스(206) 상면에 돌출될 수 있다. 이너 중공부(207)는 이너 바디(210)의 아우터 중공부(217)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튜브(220)와 메인유로부(230)는 함께 도 1에 도시된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메인 튜브(220)가 도 1에 도시된 메인유로(2)의 일부를 구성하고, 메인유로부(230)이 도 2에 도시된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튜브(220)는 발효조 덮개(114)에 형성된 튜브 관통공(218)를 통해 발효조 덮개(114)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유로부(230)는 유로 바디(260)의 상부에 이너공간(S6)으로 돌출된 어퍼 유로부(232)와, 유로바디(260)의 하부에 발효조(112)의 공간(S1)을 향해 돌출된 로어 유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부(230)의 하부는 맥주 제조팩(12)에 형성된 후술하는 팩 메인유로의 상부에 접촉될 수 있고, 메인유로부(230)은 맥주 제조팩(12)의 팩 메인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로어 바디 어셈블리(240)는 이너공간(S6)을 밀폐하게 이너 프레임(212)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바디 어셈블리(240)는 이너 프레임(212)의 하단이 삽입되는 이너 프레임 삽입홈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50)는 이너 바디(2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개구부(111)로 적어도 일부가 내삽될 수 있다. 로어 바디(250)는 상면에 이너 프레임 삽입홈부(242)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50)의 외둘레면에는 발효조(112)의 개구부(111)에 형성된 끼움 가이드(119B)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끼움돌기(119A)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바디(260)는 로어 바디(250)에 설치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로어 바디(250)와 유로 바디(26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고 맥주 제조팩(12)과 밀착되는 로어 실링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실링부재(270)는 내부에 맥주 제조팩(12)에서 취출된 가스를 후술하는 서브유로부(280)로 안내하는 연통로(S9)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실링부재(290)는 내부에 연통로(S9)가 형성된 중공 탄성부재일 수 있다.
메인유로부(230)는 일부가 연통로(S9)로 돌출될 수 있고, 로어 실링부재(270)는 메인유로부(23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메인유로부(230)의 주변에는 연통로(S9)에 연통되는 서브 유로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유로부(280)는 유로 바디(260)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유로부(280)에는 서브유로부(280)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하는 서브튜브(290)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튜브(290)는 적어도 일부가 이너공간(S6)에 수용될 수 있다. 서브튜브(290)는 발효조 덮개(114)에 형성된 튜브 관통공(218)를 통해 발효조 덮개(114)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서브튜브(290)에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취출유로(71)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서브튜브(290)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취출유로(7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압력센서(72)는 서브튜브(290)를 통과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가스 개폐밸브(73)의 개방시, 맥주 제조팩(12)의 내의 가스는 맥주 제조팩(12)에 형성된 가스배출유로(450)와, 로어 실링부재(270)의 연통로(S9)과, 서브유로부(270)와, 서브튜브(29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 압력센서(72)는 발효조 덮개(114)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맥주 제조팩(12) 내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아우터 바디(200)와 이너 바디(210)에 연결된 복원 스프링(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원 스프링(300)는 일단이 아우터 바디(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너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원 스프링(30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너 바디(210)의 손잡이(214)를 잡고 돌리면, 복원 스프링(300)은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이너 바디(21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이너 바디(210)에 가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팩(12)은 팩 바디(410)와, 팩 바디(410)에 연결되고 맥주 재료가 수용된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와, 팩 바디(410)에 구비되고 이너 중공부(430)가 형성된 메인 유로 바디(440)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맥주 제조팩(12)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유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팩 바디(410)는 상면에 로어 실링부재(270)의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실링부재 안착홈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 안착홈부(412)는 팩 바디(410)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 안착홈부(412)는 팩 바디(410)의 상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 탄성부재인 로어 실링부재(270)은 그 하단이 실링부재 안착홈(412)에 올려질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시트부(116)에 안착되었을 때, 맥주 제조팩(12)의 이너 중공부(430) 및 맥주 제조팩(12)의 가스배출유로(450)가 상측을 향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의 이너 중공부(430) 및 맥주 제조팩(12)의 가스배출유로(450)는 발효조(112)의 개구부(111) 내측에 노출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12)에 안착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도록 발효조 덮개(114)를 아래로 내릴 수 있다. 손잡이(214)의 조작에 의해 이너 바디(240)가 개구부(111)에 돌려 끼워졌을 때, 발효조 덮개(114)의 로어 실링부재(270)는 실링부재 안착홈(412)에 안착될 수 있고, 발효조 덮개(114)의 로어 실링부재(270)는 메인 유로 바디(440)의 상부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효조 덮개(114)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고 발효조(112)에 끼워졌을 때, 유로 바디(260)의 메인유로부(230)는 그 하부가 맥주 제조팩(12)의 이너 중공부(430)와 연통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의 가스배출유로(450)와, 로어 실링부재(270)의 연통로(S9)과, 유로 바디(260)의 서브유로부(280)는 순차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발효조 어셈블리(11)는 발효조 덮개(114)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메인튜브(220)와, 유로 바디(260)의 메인유로부(230)와, 맥주 제조팩(12)의 이너 중공부(430)의 순서로 이어지는 공급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맥주 제조팩(12)의 이너 중공부(430)와, 유로 바디(260)의 메인유로부(230)와, 메인튜브(220)로 이어지는 맥주 취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맥주 제조팩(12)의 가스배출유로(450)와, 로어 실링부재(270)의 연통로(S9)와, 유로 바디(260)의 서브유로부(280)와, 서브튜브(290)의 순서로 이어지는 가스 배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발효조 덮개(114)를 열지 않고 닫은 상태에서, 재료의 공급, 맥주의 취출, 맥주의 발효도 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일 예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일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맥주 제조팩(12)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411)가 형성되고 아우터 중공부(413)가 돌출된 팩 바디(410)와; 팩 바디(410)에 결합된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와; 아우터 중공부(413)로 삽입되어 수용되는 이너 중공부(430)가 형성되고 아우터 중공부(413)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부(441)를 갖는 메인 유로 바디(440)와; 이너 중공부(430)에 연결되고 플렉서블 컨네터이너(420) 내부로 돌출된 플렉서블 튜브(460)를 포함한다.
팩 바디(410)의 외경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발효조(112)의 개구부(111) 내경 보다 작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시트부(116)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안착부(411)는 도 15에 도시된 시트부(116)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411)는 팩 바디(410)의 외둘레(410A)를 따라 타 부분 보다 두께가 얇게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안착부(411)는 팩 바디(410)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안착부(411)는 팩 바디(410)의 외둘레(410A)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발효조(112)의 공간(S1)으로 삽입되고 안착부(411)가 도 14에 도시된 시트부(116)에 올려지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발효조(112)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팩 바디(410)는 상면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팩 바디(410)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삽입되기 용이하게 팩 바디(410)의 상면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팩 바디(410)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부는 도 14에 도시된 실링부재 안착홈부(412)일 수 있고, 이러한 함몰부는 맥주 제조팩(12)의 운반시 사용자가 메인 유로 바디(440)의 손잡이부(441)를 잡기 용이하게 도울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조(112)에 안착되었을 때, 발효조 덮개(114)의 로어 실링부재(270)와 접촉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함몰부에 대해서 실링부재 안착홈부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우터 중공부(413)은 팩 바디(410)의 중앙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는 함몰부(412)의 바닥면(412A)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함몰부(412)의 높이(H1) 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의 높이(H2)는 함몰부(412)의 높이(H1) 보다 높을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는 메인 유로 바디(440)의 손잡이부(441)가 팩 바디(410)의 상면(41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441)를 지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컨테이너(420)는 팩 바디(410)에 접합되어 팩 바디(4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플렉서블 컨테이너(420)는 일부가 팩 바디(410)에 끼워질 수 있다.
팩 바디(410)는 복수개 부재가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플렉서블 컨테이너(420)는 일부가 복수개 부재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복수개 부재의 접합에 의해 팩 바디(410)에 고정될 수 있다.
팩 바디(410)는 안착부(411) 및 아우터 중공부(413)가 형성된 메인 바디(415)와, 메인 바디(415)에 접합되고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접합된 접합 바디(416)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 바디(416)는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접합되고 메인 바디(415)의 아래에 배치된 접합부(417)와, 접합부(417)에서 아우터 중공부(413)로 내삽되고 메인 바디(415)와 접합된 센터 중공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417)는 상면이 메인 바디(415)의 저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접합부(417)는 상면에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접합된 고리형 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중공부(418)는 메인 유로 바디(440)의 이너 중공부(430)가 아우터 중공부(413)의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아우터 중공부(413)의 내둘레면과 이너 중공부(430)의 외둘레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중공부(430)은 아우터 중공부(413) 내부에 배치된 어퍼 중공부(431)와, 어퍼 중공부(431)의 하부에서 돌출되고 어퍼 중공부(431) 보다 직경이 작으며 플렉서블 튜브(460)와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중공부(430)는 팩 바디(41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될 수 있다. 팩 바디(410)로 삽입되었을 때, 아우터 바디(430)와 센터 중공부(418)와 면접촉되게 끼워질 수 있고, 사용자가 손잡이부(441)를 잡고 상측 방향으로 세게 잡아당길 때 팩 바디(410)에 빠져 나올 수 있게 팩 바디(410)에 끼워질 수 있다.
메인 유로 바디(440)는 팩 바디(410)에서 분리될 수 있고, 팩 메인유로(P10)가 막히거나 플렉서블 튜브(460)가 정상적으로 펼쳐지거나 꺽이지 않을 때, 메인 유로 바디(440)는 팩 바디(410)에서 분리될 수 있고, 사용자는 메인 유로 바디(440)나 플렉서블 튜브(460)는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너 중공부(430)는 내부에 팩 메인유로(P10)이 형성될 수 있다. 팩 메인유로(P10)는 이너 중공부(43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팩 메인유로(P10)는 어퍼 중공부(431)와 튜브 연결부(432)에 형성될 수 있다. 팩 메인유로(P10)는 어퍼 중공부(431)의 상단부터 튜브 연결부(432)의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팩 메인유로(P10)는 어퍼 중공부(431)의 면적이 튜브 연결부(432)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중공부(431)는 팩 메인유로(S10)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배출유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유로(450)는 복수개가 팩 메인유로(S10)와 어퍼 중공부(431)의 외둘레면 사이에 팩 메인유로(S1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튜브 연결부(432)는 플렉서브 튜브(460)가 착탈되는 플렉서블 튜브 착탈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 바디(440)는 이너 중공부(430)의 상부에 손잡이부(44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441)는 이너 중공부(430)의 상부에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착부(411)나 손잡이부(441)를 잡고 맥주 제조팩(12)를 운반할 수 있다. 손잡이부(441)의 외경(D1)은 아우터 중공부(413)의 외경(D2) 보다 클 수 있다. 손잡이부(441)는 그 하면이 아우터 중공부(413)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다. 손잡이부(441)는 함몰부(412) 보다 크기가 작고, 손잡이부(441)는 팩 바디(410)의 상면(414) 및 함몰부(412)의 둘레면(412B)과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함몰부(412)로 손가락을 집어 넣고 메인 유로 바디(440)의 손잡이부(441)를 잡을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를 도 15에 도시된 발효조(112)의 상측으로 운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컨테이너(420)를 발효조(112)의 공간(S1)으로 삽입하고 안착부(411)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116)에 올릴 수 있으며, 맥주 제조팩(12)는 간편하게 발효조(112)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에서 꺼낼 때, 사용자는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로 손을 집어넣어 메인 유로 바디(440)의 손잡이부(441)를 손으로 잡을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발효조(112)의 개구부(111) 상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에서 손쉽게 인출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460)는 팩 메인유로(S10)으로 안내된 물이나 공기를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의 내부 깊숙한 위치로 안내할 수 있고,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의 하부에 담겨진 맥주는 플렉서블 튜브(460)를 통해 팩 메인유로(S10)로 쉽게 유동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460)는 플렉서블 컨테이너(420) 내부에 적어도 1회 라운드지게 휘거나 적어도 1회 꺽이게 절곡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460)는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2) 내부로 삽입하기 이전에 휘거나 꺽인 상태일 수 있고, 팩 메인유로(S10)로 공기나 온수가 공급될 때, 공기나 온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펼쳐질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460)는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그 하단이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의 내측 하단과 이격되는 길이를 갖을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460)는 그 하단이 뽀죡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하단은 그 둘레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460)는 메인 유로 바디(440) 보다 경도가 낮을 수 있고, 메인 유로 바디(440)와 별도의 제작된 후 메인 유로 바디(440)의 튜브 연결부(432)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유로 바디(440)에 플렉서블 튜브(460)가 연결되지 않고, 메인 유로 바디(440)의 하부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가 일체로 길게 돌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메인 유로 바디(440)의 경도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의 컴팩트화가 용이지지 않거나, 손잡이부(441)를 손으로 잡기 불편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중공부가 휘거나 꺽일 수 있도록 메인 유로 바디(440) 전체의 경도가 낮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441)을 손으로 잡을 때, 손잡이부(441)도 사용자의 손에 의해 휘거나 꺽일 수 있고, 사용자는 손압이부(441)를 손으로 잡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손잡이부(441)의 경도가 높도록 중공부를 포함하는 메인 유로 바디(440) 전체의 경도가 높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공부가 휘거나 꺽이지 않는 구조일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의 컴팩트화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메인 유로 바디(440)와 플렉서블 튜브(460)는 별도로 각각 제작된 후 플렉서블 튜브(460)가 메인 유로 바디(44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경도가 높은 손잡이부(441)를 손으로 잡기 용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플렉서블 튜브(460)는 플렉서블 튜브(460)의 내부에서 휘거나 꺽이는 것에 의해 맥주 제조팩(12)의 컴팩트화를 도울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다른 예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12)은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의 접합 위치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의 일예와 상이할 수 있고, 접합 바디(416')의 구성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과 상이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12)의 접합 바디(416')는 메인 바디(415)의 저면에 배치되고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접합된 접합부(417')와, 접합부(417')에서 아우터 중공부(413)로 내삽된 센터 중공부(418)를 포함할 수 있고, 접합부(417')는 상면이 메인 바디(415)의 저면을 마주보고 둘레면(419)에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접합된 중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은 접합 바디(416') 이외의 타 구성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 일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접합부(417')는 튜브 연결부(432) 보다 높이가 높을 수 있고, 튜브 연결부(432)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접합부(417')의 외둘레면과 튜브 연결부(432)의 사이에는 플렉서블 튜브(460)가 삽입될 수 있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460)는 접합부(417')의 내부로 삽입되어 튜브 연결부(43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접합부(417')는 튜브 연결부(432)와 플렉서블 튜브(460)의 연결부 및 튜브 연결부(432)의 외둘레를 둘러싸서 보호할 수 있고, 튜브 연결부(432)의 파손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팩 또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은 아우터 중공부(413")의 돌출 방향 및 아우터 중공부(413")의 상세 형상이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팩 바디(410)의 아우터 중공부(413)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팩 바디(410")가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팩 바디(410)와 상이한 메인 바디(415")와, 연결바디(4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팩은 팩 바디(410") 이외의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와, 메인 유로 바디(440)와, 플렉서블 튜브(460)의 구성 및 작용 각각이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과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팩 바디(410")는 안착부(411)와 함몰부(412)와 아우터 중공부(413")를 포함할 수 있고, 안착부(411)와 함몰부(412)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과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우터 중공부(413")은 팩 바디(410")의 중앙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는 함몰부(412)의 아래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는 메인 유로 바디(440)의 손잡이부(441)가 팩 바디(410")의 상면(414) 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함몰부(412)의 바닥면(412A)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메인 유로 바디(44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는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는 메인 유로 바디(440)의 이너 중공부(430)가 삽입되어 끼움되는 제1중공부(413A)와, 제1중공부(413A) 보다 크고 제1중공부(413A)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제2중공부(413B)와, 제1중공부(413A)와 제2중공부(413B)를 잇는 연결부(41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공부(413A)는 연결부(413C)를 통해 제2중공부(413B)에 연결된 상태에서 필요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팩 바디(410")는 안착부(411) 및 아우터 중공부(413")가 형성된 메인 바디(415")와, 메인 바디(415") 및 플렉서블 컨테이너(420)와 연결된 연결 바디(41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디(416")는 아우터 중공부(413")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로어 중공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중공부(418")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중공부(418")는 메인 바디(415")에 착탈될 수 있다.
메인바디(415")에는 로어 중공부(418")의 상부가 삽입되는 로어 중공부 삽입홈부(416A)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중공부 삽입홈부(416A)는 메인 바디(415")의 아우터 중공부(413") 주변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바디(416")는 메인 바디(41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413")의 외면에는 걸림턱(413D)이 돌출될 수 있고, 로어 중공부(418")의 내주면에는 걸림턱(413A)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돌기(418A)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바디(416")의 상부 일부가 로어 중공부 삽입홈부(416A)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돌기(418A)는 걸림턱(413A)에 올려저 걸릴 수 있고, 연결 바디(416")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메인바디(415")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 바디(416")는 로어 중공부(418")의 하부에 돌출되고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접합된 접합부(4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컨테이너(420)는 접합부(417")의 상면 또는 하면에 열융착 될 수 있다.
접합부(417")는 상면이 메인 바디(415")의 저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접합부(417")는 그 상면에 플렉서블 컨테이너(420)가 접합된 고리형 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취출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도 1에 도시된 맥주 취출유로(61)와 연결된 밸브유로(611)가 형성된 밸브 바디(600)와; 밸브 바디(600)에 승강되게 배출되고 밸브유로(611)를 개폐하는 승강 밸브체(610)와;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승강 밸브체(610)를 승강시키는 회전 레버(620)와, 승강 밸브체(610)에 의해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밸브 바디(600)에 내장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바디(600)는 도 2에 도시된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유로(611)는 밸브 바디(6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유로(612)와, 수평유로(612)의 선단에서 하측 바향으로 꺽이게 형성된 수직유로(6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맥주 취출유로(61)로 안내된 맥주는 수평유로(612)의 개방시 수평유로(612)와 수직유로(6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직유로(613)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밸브 바디(600)는 내부에 수평유로(612)가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에 직교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직유로(613)가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밸브유로(611) 특히 수직유로(613)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수평유로(612)를 막는 높이로 하강될 수 잇고, 수평유로(612)를 개방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상부가 밸브 바디(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에는 그 상승시 리미트 스위치(630)를 접점시키는 조작돌기(614)가 돌출될 수 있다.
회전 레버(620)는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힌지(621) 연결될 수 있고, 승강 밸브체(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다.
회전 레버(620)가 수평하게 눕혀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상승되어 수평유로(612)를 개방할 수 있고, 회전 레버(620)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하강되어 수평유로(612)를 폐쇄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러(109)와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리미트 스위치(630)의 온,오프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스프링(640)는 밸브 바디(600)의 수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컨트롤러(109)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로터리 놉(109A)이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의 무선통신기기을 조작하여 맥주 제조장치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스위치(109B)의 스위칭 상태 또는 무선통신소자로 인가된 신호에 따른 기설정된 프로그램으로 맥주 제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프로그램은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공정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장치는 그 내부의 유로를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및 살균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와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의 실시 이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의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후술하는 1차 발효단계나 2차 발효단계와 같이, 메인밸브(9)가 클로즈이고, 디스펜서(3)에 첨가제가 담겨있지 않은 단계시 실시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고, 맥주 제조 코스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고 발효조(112) 내부에 맥주 제조팩(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세척 및 살균 코스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사용자는 컨트롤러(109)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세척 및 살균 명령의 입력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를 세척 및 살균 코스(100)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개방 조작한 후,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취출밸브(62)의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이면, 유로의 세척 및 살균을 위해,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09)는 메인밸브(9)을 클로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의 온과, 제1,2,3, 개폐밸브(313)(323)(333)의 온시,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는 개방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수조(51)에서 출수되어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급수유로(4)를 통해 바이패스 유로(34)와,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로 유동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와,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로 유동된 물은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로 유동된 물은 맥주 취출유로(61)를 통과한 후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맥주 제조장치는 급수유로(4), 바이패스 유로(34) 및 바이패스 밸브(35),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 메인유로(2)와, 맥주 취출유로(61) 및 맥주 취출밸브(62)가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온수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세척 및 살균을 세척설정시간 실시할 수 있고, 세척설정시간 이후, 세척 및 살균 단계(S100)를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세척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를 오프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의 오프시,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는 클로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척 및 살균 단계(S100)시,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한 오염을 막도록 맥주 취출밸브(62)를 폐쇄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를 제조하는 맥주 제조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맥주 제조코스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맥주 제조 코스를 위해, 발효조 덮개(114)를 열고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2) 내로 삽입하여 발효조(12)에 안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효조 덮개(114)를 닫을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맥주 제조팩(12)의 안착 전,후에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C1)(C2)(C3)를 삽입한 후 리드 모듈(37)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109)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맥주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를 맥주 제조 코스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코스시, 맥주 제조팩(1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S200)를 개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은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혼합(Mixing)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액상 맥아 형성단계일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오프 상태인 메인밸브(9)를 온시켜 메인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시 제1개폐밸브(313)와, 제2개폐밸브(323)과, 제3개폐밸브(333)을 오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으로 급수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수조(51)에서 출수되어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급수유로(4)와 바이패스 유로(34) 및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하여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로 유동된 물은 메인밸브(9)를 통과하여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온수는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아는 물과 혼합되어 점차 희석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팩(12)으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는 온수와 신속하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200)시, 바이패스 유로(34), 메인유로(2)는 세척 및 살균 단계(S100)에 의해 미리 세척 및 살균된 상태일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는 오염되지 않은 청정한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시 급수히터(53)는 물을 5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러(109)는 써미스터(57: Thermistor)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급수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를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할 수 있고,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급수단계(S200)을 완료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컨트롤러(109)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시,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온수를 1차 유입하고, 이후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하며, 최종적으로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온수를 2차 유입한 후, 급수단계(S200)를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급수단계(S200)의 일 예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300)의 다른 예는 1차로 온수를 급수하는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과정과, 2차로 온수를 주입하는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급수단계(S200)의 일예로 급수단계(S200)가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로, 급수단계(S200)가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주입과정과,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주입과정의 개시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급수유로(4)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바이패스 유로(34)와 메인유로(2)와 메인밸브(9)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에어주입과정을 완료할 수 있고, 에어주입과정의 완료를 위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주입과정의 완료시,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배출밸브(73)을 온 유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1차 온수급수과정과 같이, 맥주 제조팩(12)로 급수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는 새로운 온수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하고,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장치는 급수단계(S200)가 완료되면, 발효조(112)를 냉각시키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을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냉동사이클장치(13)의 압축기(131)과 팽창기구(133)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32)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134)를 통과하면서 발효조(112)의 열을 빼앗고, 증발될 수 있다. 증발기(134)를 통과한 냉매는 압축기(131)로 흡입될 수 있다. 압축기(131)의 구동시 발효조(112)는 점차 냉각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에 수용된 맥주 제조팩(12)와,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된 액상 맥아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조(112)의 냉각시,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팩(12)을 중온 예를 들면, 23℃ 내지 27℃로 냉각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에 설치된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온 온도 초과이면 압축기(131)를 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된 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맥주 제조팩(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믹싱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믹싱단계(S400)의 도중에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을 온, 오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압축기(131)의 온,오프 제어는 후술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급수유로(4)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바이패스 유로(34)와 메인유로(2)와 메인밸브(9)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되게 도울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 에어로 액상 맥아를 혼합할 수 있고,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하고,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믹싱단계(S400)을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믹싱단계(S400) 이후에,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를 실시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시, 제1캡슐(C1)의 첨가제와, 제2캡슐(C2)의 첨가제와, 제3캡슐(C3)의 첨가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과,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과,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시, 급수펌프(52)와, 메인밸브(9)와 제1개폐밸브(313)과, 가스 배출밸브(73)을 제1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급수유로(4)를 통과하여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1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1개폐밸브(313)를 오프할 수 있고,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시,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을 제2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급수유로(4)를 통과하여 제2캡슐(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캡슐(C2)으로 유입된 물은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2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를 오프할 수 있고,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시,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을 제3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급수유로(4)를 통과하여 제3캡슐(C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캡슐(C3)으로 유입된 물은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3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를 오프할 수 있고,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모두 완료되면, 디스펜서(3)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제1개폐밸브(313), 제2개폐밸브(323), 제3개폐밸브(333)을 온시키고,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시, 공기는 에어 주입유로(81)와 급수유로(4)를 통과한 후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으로 공급되어,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남아있는 잔수를 메인유로(2)로 불어낼 수 있고, 공기는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이동된 잔수와 함께 맥주 제조팩(12)로 이동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잔수제거 설정시간동안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고, 제1개폐밸브(313)와, 제2개폐밸브(323)와, 제3개폐밸브(333)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를 오프시킬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의 완료 이후에, 1차발효단계(S900)와 2차발효단계(S10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발효단계시(S900), 압축기(131)를 1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1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발효단계(S9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1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1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차 발효단계(S900)를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발효단계(S900)의 완료 후, 2차 발효단계(S1000)를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발효단계시(S1000), 압축기(131)를 2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2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발효단계(S10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2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2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발효단계(S1000)를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1차 발효단계(S900)과 2차 발효단계(S1000)이 모두 완료되면, 숙성단계(S1100)를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숙성단계시, 숙성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고, 이러한 숙성시간의 동안 맥주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압축기(131)를 온시킬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숙성시간이 경과되면, 맥주 제조가 모두 완료될 수 있고,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조작하여 맥주를 취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맥주 취출밸브(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메인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에어펌프(152)와 에어 조절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에어펌프(152)가 온일 때, 에어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맥주 제조팩(12)를 가압할 수 있다. 에어에 의한 맥주 제조팩(12)의 가압시,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발효 및 숙성 완료된 맥주는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유로(2)로 유동된 맥주는 맥주 취출유로(61)를 통과한 후, 맥주 취출밸브(62)로 유동될 수 있고,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에어 주입구(8')의 연결 위치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에어 주입유로(81')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는 메인유로(2) 중 메인밸브(9)와 디스펜서(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주입유로(81')에는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에는 에어 주입유로(81')를 개폐하는 에어 주입 개폐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 개폐밸브(83')는 맥주 제조팩(12)로 에어 주입시에만 온되어 개방되고, 그 이외의 공정 동안에는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한편, 본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메인유로(2), 급수유로(4), 맥주 취출유로(61), 가스 취출유로(71), 에어 주입유로(81), 에어 공급유로(154) 등의 유로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호스나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조절밸브 등의 타 구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호스나 튜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1: 개구부 112: 발효조
114: 발효조 덮개 200: 아우터 바디
210: 이너 바디 220: 메인튜브
230: 메인유로부 240: 로어 바디 어셈블리
S6: 이너공간

Claims (20)

  1.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고, 플렉서블 컨테이너에 팩 바디가 결합되며,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의 내부와 통하는 이너 중공부가 형성된 맥주 제조팩;
    상기 발효조에 연결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우터 바디;
    상기 이너 중공부와 연통되는 메인유로부가 형성된 유로바디;
    상기 메인유로부에 연결된 메인 튜브; 및
    상기 유로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맥주 제조팩과 밀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발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팩 바디가 안착되는 시트부가 제공된 발효장치.
  3.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플렉서블 컨테이너;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와 접합되어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팩 바디;
    상기 개구부 및 팩 바디를 덮는 발효조 덮개;
    상기 발효조 또는 발효조 덮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실링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 내부로 발효 재료공급이 가능하도록 발효조 덮개에 설치된 메인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 덮개는
    상기 개구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로어 바디를 포함하는 발효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부는
    상기 유로 바디의 상부에 돌출된 어퍼 유로부;
    상기 유로 바디의 하부에 상기 발효조의 공간을 향해 돌출된 로어 유로부를 포함하는 발효장치.
  6. 삭제
  7.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고, 플렉서블 컨테이너에 팩 바디가 결합되며,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의 내부와 통하는 이너 중공부가 형성된 맥주 제조팩;
    상기 발효조에 연결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우터 바디;
    상기 발효조에 배치되어 상기 맥주 제조팩와 밀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 내부로 발효 재료공급이 가능한 메인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메인유로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발효장치.
  8.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고, 플렉서블 컨테이너에 팩 바디가 결합되며,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의 내부와 통하는 이너 중공부가 형성된 맥주 제조팩;
    상기 발효조에 연결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우터 바디;
    상기 발효조에 배치되어 상기 맥주 제조팩와 밀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 내부로 발효 재료공급이 가능하는 메인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팩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유로가 연통되는 팩 메인유로가 형성된 메인 유로 바디를 더 포함하는 발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는 상기 팩 메인유로의 상부에 접촉되는 발효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바디는 서브튜브가 연결되고 가스가 통과하는 서브유로부가 형성된 발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로부는 상기 유로 바디의 상부에 돌출된 어퍼 유로부를 포함하는 발효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로부는 상기 실링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연통된 발효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유로가 형성된 메인 유로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유로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발효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튜브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
    상기 가스 취출유로에 설치된 압력센서; 및
    상기 가스 취출유로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발효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개폐밸브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에어 필터를 더 포함하는 발효장치.
  16.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플렉서블 컨테이너;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와 접합되어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팩 바디;
    상기 개구부 및 팩 바디를 덮는 발효조 덮개;
    상기 발효조 또는 발효조 덮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실링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컨테이너 내부로 발효 재료공급이 가능하도록 발효조 덮개에 설치된 메인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 덮개는
    아우터 바디;
    상기 아우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너 바디;
    상기 이너 바디에 결합된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에 설치된 유로 바디를 포함하는 발효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이너 바디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된 발효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의 상면에 배치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발효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바디와 이너 바디에 연결된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발효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튜브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 및
    상기 맥주 취출유로에 연결된 맥주 취출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발효장치.
KR1020200053898A 2016-05-18 2020-05-06 발효장치 KR102278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82A KR102419899B1 (ko) 2016-05-18 2021-07-08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8498P 2016-05-18 2016-05-18
US62/338,498 2016-05-18
KR1020160105794A KR102111150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794A Division KR102111150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882A Division KR102419899B1 (ko) 2016-05-18 2021-07-08 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557A KR20200051557A (ko) 2020-05-13
KR102278667B1 true KR102278667B1 (ko) 2021-07-19

Family

ID=60811113

Family Applications (2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793A KR102118089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제조장치
KR1020160105788A KR102108424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60105792A KR102048424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60105796A KR102092958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제조팩 및 그를 갖는 맥주 제조장치
KR1020160105789A KR102118082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 장치
KR1020160105790A KR102118683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60105795A KR102109785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취출장치
KR1020160105791A KR102108427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제조장치
KR1020160105794A KR102111150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90147140A KR102274574B1 (ko) 2016-05-18 2019-11-15 맥주 제조장치
KR1020190167736A KR102187320B1 (ko) 2016-05-18 2019-12-16 맥주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0030845A KR102307782B1 (ko) 2016-05-18 2020-03-12 맥주 제조팩
KR1020200050981A KR102298118B1 (ko) 2016-05-18 2020-04-27 음료 제조장치
KR1020200050979A KR102240553B1 (ko) 2016-05-18 2020-04-27 발효장치
KR1020200052651A KR102271327B1 (ko) 2016-05-18 2020-04-29 맥주 취출장치
KR1020200053898A KR102278667B1 (ko) 2016-05-18 2020-05-06 발효장치
KR1020200062251A KR102187337B1 (ko) 2016-05-18 2020-05-25 발효 장치 및 상기 발효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62252A KR102219783B1 (ko) 2016-05-18 2020-05-25 음료 제조장치 및 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취출방법
KR1020200062250A KR102191514B1 (ko) 2016-05-18 2020-05-25 발효 장치 및 발효 장치의 음료 제조방법
KR1020200158259A KR102284207B1 (ko) 2016-05-18 2020-11-23 맥주 제조장치
KR1020210045192A KR102292006B1 (ko) 2016-05-18 2021-04-07 발효장치
KR1020210089882A KR102419899B1 (ko) 2016-05-18 2021-07-08 발효장치
KR1020210096428A KR102454703B1 (ko) 2016-05-18 2021-07-22 맥주 제조장치
KR1020210110976A KR102368712B1 (ko) 2016-05-18 2021-08-23 음료 제조장치
KR1020220023467A KR102431665B1 (ko) 2016-05-18 2022-02-23 음료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793A KR102118089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제조장치
KR1020160105788A KR102108424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60105792A KR102048424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60105796A KR102092958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제조팩 및 그를 갖는 맥주 제조장치
KR1020160105789A KR102118082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 장치
KR1020160105790A KR102118683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60105795A KR102109785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취출장치
KR1020160105791A KR102108427B1 (ko) 2016-05-18 2016-08-19 맥주 제조장치
KR1020160105794A KR102111150B1 (ko) 2016-05-18 2016-08-19 발효장치
KR1020190147140A KR102274574B1 (ko) 2016-05-18 2019-11-15 맥주 제조장치
KR1020190167736A KR102187320B1 (ko) 2016-05-18 2019-12-16 맥주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0030845A KR102307782B1 (ko) 2016-05-18 2020-03-12 맥주 제조팩
KR1020200050981A KR102298118B1 (ko) 2016-05-18 2020-04-27 음료 제조장치
KR1020200050979A KR102240553B1 (ko) 2016-05-18 2020-04-27 발효장치
KR1020200052651A KR102271327B1 (ko) 2016-05-18 2020-04-29 맥주 취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251A KR102187337B1 (ko) 2016-05-18 2020-05-25 발효 장치 및 상기 발효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62252A KR102219783B1 (ko) 2016-05-18 2020-05-25 음료 제조장치 및 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취출방법
KR1020200062250A KR102191514B1 (ko) 2016-05-18 2020-05-25 발효 장치 및 발효 장치의 음료 제조방법
KR1020200158259A KR102284207B1 (ko) 2016-05-18 2020-11-23 맥주 제조장치
KR1020210045192A KR102292006B1 (ko) 2016-05-18 2021-04-07 발효장치
KR1020210089882A KR102419899B1 (ko) 2016-05-18 2021-07-08 발효장치
KR1020210096428A KR102454703B1 (ko) 2016-05-18 2021-07-22 맥주 제조장치
KR1020210110976A KR102368712B1 (ko) 2016-05-18 2021-08-23 음료 제조장치
KR1020220023467A KR102431665B1 (ko) 2016-05-18 2022-02-23 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5) KR102118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765B1 (ko) * 2017-12-29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70613B1 (ko) * 2017-12-29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78763B1 (ko) * 2017-12-29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70611B1 (ko) * 2017-12-29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82520B1 (ko) * 2017-12-29 202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611964B1 (ko) * 2018-02-07 202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BR102018004025A2 (pt) * 2018-02-28 2019-09-17 Heitor Wermann Termocontrolador portátil para fabricação de cerveja
KR20200062706A (ko) * 2018-11-27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83707B1 (ko) 2019-03-08 2022-04-05 임근만 맥주 제조장치
KR102246062B1 (ko) * 2019-03-13 2021-05-13 (주)세마리 원숭이 비어 탱크용 재료투입장치.
KR102131979B1 (ko) 2019-04-16 2020-08-05 임근만 가정용 수제맥주 제조장치
KR20200121470A (ko) 2019-04-16 2020-10-26 임근만 수제맥주 제조장치
KR102282483B1 (ko) * 2019-05-13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 및 숙성 장치
KR102274525B1 (ko) 2019-05-14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17030A (ko) 2020-08-03 2022-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7031A (ko) 2020-08-03 2022-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756A1 (ko) 2020-08-03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7029A (ko) 2020-08-03 2022-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7028A (ko) 2020-08-03 2022-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58048A (ko) 2020-10-30 202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 및 이의 과금 방법
KR20220058755A (ko) 2020-10-30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
KR102334638B1 (ko) 2021-07-06 2021-12-06 주식회사 새움메디텍 치아우식 진단기
KR20230143362A (ko) 2022-04-05 2023-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 시스템
KR20230149650A (ko) 2022-04-20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 시스템
KR20230165399A (ko) 2022-05-27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0383A2 (en) * 1998-04-01 1999-10-07 The Miracle Beer Company Limited Micro-brewing device
CN103013728A (zh) * 2012-11-30 2013-04-03 河南省商业科学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家用全自动自酿啤酒机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6780A (en) * 1973-01-04 1976-03-30 Sellers John C Fermentation container
US4708938A (en) 1984-04-30 1987-11-24 Hickinbotham Winemakers Pty. Ltd. Alcoholic fermentation
JP2577142B2 (ja) * 1991-07-19 1997-01-29 清之 堀井 ドラフトコックの構造
JPH0779673B2 (ja) * 1991-11-13 1995-08-30 麒麟麦酒株式会社 ビールの濾過装置
AU7291798A (en) * 1997-05-06 1998-11-27 Product Design Group, Inc. Automated home beer brewing machine and method
JP2002225991A (ja) * 2001-02-02 2002-08-14 Nippon Tansan Gas Co Ltd 発泡飲料流出用のバルブ
KR200319526Y1 (ko) 2003-04-02 2003-07-12 김은미 가정용 맥주 제조기구
KR200325551Y1 (ko) 2003-04-28 2003-09-03 김영석 생맥주 압출시의 기포발생 억제장치
KR200343143Y1 (ko) 2003-12-08 2004-02-25 전재석 생맥주의 기포 차단장치
KR20060129579A (ko) * 2005-06-07 2006-12-18 최규락 정수기의 첨가물 공급장치
MY163766A (en) * 2005-08-12 2017-10-31 Carlsberg Breweries As A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KR100793354B1 (ko) * 2006-11-20 2008-01-11 차승호 액상음료 배출기
KR100813648B1 (ko) 2006-12-06 2008-03-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알콜 도수 제어가 용이한 발효주 제조장치 및 방법
WO2009017428A1 (en) 2007-08-01 2009-02-05 Ian Stuart Williams Combined brewing system
KR100942169B1 (ko) 2008-12-05 2010-02-12 홍유택 오크통 생맥주 디스트리뷰터
US8468635B2 (en) * 2009-11-25 2013-06-25 Church & Dwight Co., Inc. Surface treating device
KR200457639Y1 (ko) 2010-06-08 2011-12-28 김수갑 생맥주 냉각구조
KR20120081903A (ko) * 2011-01-12 2012-07-20 오양현 발효 및 증류방식에 의한 전통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4057094A1 (en) * 2012-10-12 2014-04-17 Nestec S.A. Food capsule with multiple compartments
DE102012110721A1 (de) * 2012-11-08 2014-05-08 Gran Malt AG Verfahren zur Gärung von Bierwürze und Jungbier zu Bier
KR101897569B1 (ko) * 2013-12-04 2018-09-13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추출장치
KR20160018200A (ko) 2014-08-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유동장치
KR101668155B1 (ko) 2014-08-08 2016-10-20 김선철 발효액 제조장치 및 발효액 제조방법
TR201809878T4 (tr) * 2014-08-14 2018-07-23 Nestec Sa İçeceklerin hazırlanmasına yönelik paketler.
KR102292859B1 (ko) * 2014-09-12 2021-08-25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 홀더 감지 센서를 구비한 커피 추출 정수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P3000778A1 (en) * 2014-09-26 2016-03-30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er with jet mixing means
JP7079673B2 (ja) * 2018-06-29 2022-06-02 株式会社オービック 費用負担部署設定装置、費用負担部署設定方法および費用負担部署設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0383A2 (en) * 1998-04-01 1999-10-07 The Miracle Beer Company Limited Micro-brewing device
CN103013728A (zh) * 2012-11-30 2013-04-03 河南省商业科学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家用全自动自酿啤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117A (ko) 2020-06-03
KR20170130264A (ko) 2017-11-28
KR102240553B1 (ko) 2021-04-15
KR20170130262A (ko) 2017-11-28
KR20170130259A (ko) 2017-11-28
KR102108424B1 (ko) 2020-05-08
KR20210095107A (ko) 2021-07-30
KR102431665B1 (ko) 2022-08-11
KR102118683B1 (ko) 2020-06-04
KR102108427B1 (ko) 2020-05-08
KR102419899B1 (ko) 2022-07-12
KR20200050927A (ko) 2020-05-12
KR102274574B1 (ko) 2021-07-08
KR20190142760A (ko) 2019-12-27
KR102111150B1 (ko) 2020-05-14
KR102284207B1 (ko) 2021-08-02
KR102118082B1 (ko) 2020-06-03
KR102187320B1 (ko) 2020-12-07
KR20200047495A (ko) 2020-05-07
KR102109785B1 (ko) 2020-05-12
KR20210040925A (ko) 2021-04-14
KR102307782B1 (ko) 2021-10-05
KR102454703B1 (ko) 2022-10-14
KR102048424B1 (ko) 2019-11-25
KR102118089B1 (ko) 2020-06-03
KR102292006B1 (ko) 2021-08-23
KR20170130263A (ko) 2017-11-28
KR20170130261A (ko) 2017-11-28
KR102191514B1 (ko) 2020-12-15
KR20200051557A (ko) 2020-05-13
KR20200062116A (ko) 2020-06-03
KR20200032677A (ko) 2020-03-26
KR20170130260A (ko) 2017-11-28
KR102368712B1 (ko) 2022-02-28
KR20200133710A (ko) 2020-11-30
KR102271327B1 (ko) 2021-07-01
KR20170130256A (ko) 2017-11-28
KR102298118B1 (ko) 2021-09-03
KR102092958B1 (ko) 2020-04-23
KR102219783B1 (ko) 2021-02-24
KR102187337B1 (ko) 2020-12-07
KR20170130257A (ko) 2017-11-28
KR20190130550A (ko) 2019-11-22
KR20170130258A (ko) 2017-11-28
KR20200062115A (ko) 2020-06-03
KR20220029617A (ko) 2022-03-08
KR20210088513A (ko) 2021-07-14
KR20210110256A (ko) 2021-09-07
KR20200047496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667B1 (ko) 발효장치
EP3246386A1 (en) Beer maker
KR20220042330A (ko) 음료 제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세척 시스템
KR102434271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9B1 (ko) 음료 제조기
KR102396768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9223B1 (ko) 음료 제조기
KR102396664B1 (ko) 음료 제조기
KR20210149004A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