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02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029A
KR20220017029A KR1020200096824A KR20200096824A KR20220017029A KR 20220017029 A KR20220017029 A KR 20220017029A KR 1020200096824 A KR1020200096824 A KR 1020200096824A KR 20200096824 A KR20200096824 A KR 20200096824A KR 20220017029 A KR20220017029 A KR 2022001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r
beer
door
refriger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남보현
허준이
이원준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029A/ko
Priority to US18/016,997 priority patent/US20230348828A1/en
Priority to EP21853000.4A priority patent/EP4191172A1/en
Priority to PCT/KR2021/008018 priority patent/WO2022030756A1/ko
Publication of KR2022001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맥주 취출을 위한 취출 부재;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와 상기 취출 부재를 연결하는 맥주 공급 유로; 및 상기 발효조 내부가 맥주 제조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는, 제 1 발효조와, 상기 제 1 발효조의 측방에서 상기 제 1 발효조가 수용되는 공간과 구분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제 2 발효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직접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 제조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용 맥주 제조 장치가 등장하였다. 
아래 선행 기술에 따르면, 가정용 맥주 제조 장치를 갖춘 소비자는, 맥주 원료를 직접 구입하고, 다양한 종류의 향 첨가제를 추가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는 맥주를 직접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정용 맥주 제조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7-0130258호(2017년11월2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맥주 취출을 위한 취출 부재;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와 상기 취출 부재를 연결하는 맥주 공급 유로; 및 상기 발효조 내부가 맥주 제조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는, 제 1 발효조와, 상기 제 1 발효조의 측방에서 상기 제 1 발효조가 수용되는 공간과 구분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제 2 발효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맥주 제조 장치가 냉장고 도어에 설치 가능하므로, 맥주 제조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구비된 음용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에 맥주 취출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의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효조가 복수 개 제공되고, 복수의 발효조에 생성된 맥주가 순차적으로 소진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발효조에 생성된 맥주가 모두 소진되면, 다른 하나의 발효조에 생성된 맥주를 취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발효조에 생성된 맥주가 소진되는 동안, 이전에 맥주가 소진된 발효조에서는 새로이 맥주가 제조 가능하므로, 맥주 제조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효조가 저장된 발효조 케이스가 도어의 배면에서 틸팅 가능하므로, 주재료 저장팩의 장착 또는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발효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부재료 저장 카세트가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부재료 저장 캡슐의 장착 또는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재료 저장 카세트는 푸쉬-풀 스위치 방식으로 장착되어,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맥주 취출을 위한 취출 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어에 구비된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주재료 저장팩의 인출입 모습을 보여주는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부재료 저장 카세트의 인출입 모습을 보여주는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부재료 저장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홈브루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도어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되는 도어의 종단면도.
도 12는 발효조 케이스에 구비되는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맥주 취출을 위한 취출 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어에 구비된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이 정의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2), 및 상기 도어(12)의 배면에 설치되는 맥주 제조 장치(home brew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또는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12)의 배면에 설치되는 상기 맥주 제조 장치는, 상기 선행 기술에서 설명되는 맥주 제조 장치의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선행 기술에 따른 맥주 제조 장치는, 맥주 제조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수조가 별도로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설치되는 맥주 제조 장치는 수조가 필요하지 않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도어(12)에는 정수 또는 냉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14)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14)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101)는 가정 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급수 유로(101)의 일단은 가정 내 수도꼭지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또는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101)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로 안내될 수 있고, 상기 급수 유로(101)의 일측에는 필터 어셈블리(10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04)의 출구에서 연장되는 상기 급수 유로의 어느 지점에는 분지 밸브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분지 밸브에는 다수의 분지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지 유로는,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물이 흐르는 음용수 유로(103)와, 상기 맥주 제조 장치로 공급되어 맥주 제조에 사용되는 물이 흐르는 맥주 제조용 유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용수 유로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정수가 상온 상태로 흐르는 정수 유로와, 냉장실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로 냉각된 냉수가 흐르는 냉수 유로와, 온수가 흐르는 온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유로 상에는 냉수 탱크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온수 유로에는 가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는, 상기 냉장실 또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수 탱크의 온도가 냉장실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는 상기 급수 유로가 다수회 감겨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냉수 저장 탱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장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유로, 냉수 유로, 및 온수 유로의 단부는 하나의 취출 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취출 노즐은 상기 디스펜서(14)에 구비되는 음용수 취출 코크(144)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101)는 상기 도어(12)의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11)으로부터 상기 도어(12)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지 유로는 상기 도어의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12) 내부로 연장된 급수 유로(101)의 어느 지점에서 분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104)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맥주 제조용 유로(102)를 따라 상기 맥주 제조 장치로 연장되므로, 맥주 제조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를 상기 도어(12) 또는 상기 캐비닛(11)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도어(1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밀착되어 냉장고(10)의 외형을 이루는 아웃 도어(121)와, 상기 아웃 도어(121)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홈브루 하우징(home brew housing)(16), 및 상기 홈브루 하우징(16)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 도어(121)의 배면에 둘러지는 가스켓(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도어(121)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14)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14)의 상측에는 맥주 취출을 위한 취출 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 부재(13)는, 상기 아웃 도어(12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레버 바디(131)와, 상기 레버 바디(131)의 상면 단부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취출 레버(132)와, 상기 레버 바디(131)의 하면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취출 코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출 코크(133)는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코크(133a)와, 상기 프런트 코크(133a)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코크(133b)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게 될 맥주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발효조(19)(도 9 참조)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맥주 취출 배관(미도시)는, 상기 레버 바디(131)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취출 코크(133)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발효조(19)에서 완성된 맥주는 상기 맥주 취출 배관을 따라 흘러서 상기 취출 코크(13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 레버(132)의 틸팅 동작에 의하여 상기 맥주 취출 배관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디스펜서(14)는,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디스펜서 하우징(141)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바닥에 설치되는 잔수 트레이(142)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후면에 설치되는 음용수 취출 버튼(143), 및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 (141)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음용수 취출 코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 트레이(142)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어, 맥주를 받는 용기의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음용수를 받기 위한 용기의 부피가 큰 경우에도, 상기 잔수 트레이(142)를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잔수 트레이(142)의 상면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취출 코크(133,144)로부터 떨어지는 맥주 또는 음용수가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부재(13)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상기 아웃 도어(121)의 전면 일 지점에는 디스플레이(15)가 설치되어, 맥주 제조 및 취출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15)를 통해서 출력되는 문자,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를 통하여, 맥주 제조 완료 시점을 확인하거나, 현재 맥주 제조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9)가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발효조(19) 중, 현재 맥주 공급 중이거나 맥주 공급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발효조(19)가 상기 디스플레이(1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발효조(19)가 구비된 냉장고(10)의 메인 컨트롤 패널(미도시)을 통해서 다수의 발효조(19) 중 어느 발효조(19)의 맥주부터 소진할 것인지 그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브루 하우징(16)의 측면에는 냉기 공급구(16a)와 냉기 배출구(16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구(16a)는 상기 냉기 배출구(16b)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측벽의 내부를 따라 냉기 공급 덕트 및 냉기 회수 덕트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도어(12)를 닫았을 때 상기 냉기 공급 덕트의 출구단은 상기 냉기 공급구(16a)에 맞닿고, 상기 냉기 회수 덕트의 입구단은 상기 냉기 배출구(16b)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공급 덕트의 입구단은 증발기가 설치되는 증발실과 연통하고, 상기 냉기 회수 덕트의 출구단은 상기 증발실 또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과 연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기 회수 덕트의 출구단과 연통하는 저장실은 냉동실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냉기 공급구(16a)를 통하여 상기 홈브루 하우징(16)으로 유입되는 냉기에 의하여 상기 홈브루 하우징(16) 내부가 냉장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홈브루 하우징(16) 내부에 수용된 발효조(19)가 항상 냉장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발효조(19) 내에 저장된 맥주는 3℃ ~ 5℃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나 저온 상태의 맥주를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주재료 저장팩의 인출입 모습을 보여주는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홈브루 하우징(16)은, 로어 하우징(161)과 상기 로어 하우징(161)의 상측에 정의되는 어퍼 하우징(162)과, 상기 로어 하우징(161)을 좌우로 구획하는 구획벽(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하우징(162)의 내부에는 기계실(162a)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하우징(161)의 내부에는 발효조 케이스(17)가 수용된다. 
상기 발효조 케이스(17)는 제 1 발효조 케이스(171)와 제 2 발효조 케이스(17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발효조 케이스(171)는 상기 제 2 발효조 케이스(172)의 측방에 놓이고, 상기 구획벽(163)의 폭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상면에는 케이스 커버(18)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커버(18)는 상71제 1 발효조 케이스(171)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커버(181), 및 172제 2 발효조 케이스(172)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 커버(1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 커버(181) 및 제 2 케이스 커버(182) 각각의 배면에는 백프레셔(back pressure)(181b)가 장착되어, 상기 주재료 저장팩(20)의 상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조 케이스(17)는 상기 로어 하우징(161)으로부터 소정 각도 만큼 회동 또는 틸팅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18)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케이스(17)가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커버(18)를 위로 회동시켜서 주재료 저장팩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재료 주재료 저장팩(20)을 상기 삽입구에 삽입시킨 후 상기 케이스 커버(18)를 닫고, 상기 발효조 케이스(17)를 역틸팅 시켜서,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전면이 상기 어퍼 하우징(162)의 전면과 동일 면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전면과 상기 어퍼 하우징(162)의 전면은, 상기 냉장고(10)의 저장실을 바라보는 면 또는 상기 아웃 도어(121)의 전면의 반대쪽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부재료 저장 카세트의 인출입 모습을 보여주는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부재료 저장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벽(163)에는 부재료 저장 카세트(30)가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재료 저장 카세트(30)는 상기 제 1 발효조 케이스(171)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1 카세트(31)와, 상기 제 2 발효조 케이스(172)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2 카세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세트(31)와 제 2 카세트(3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획벽(163)에는 상기 제 1 카세트(31)와 제 2 카세트(32)가 삽입되기 위한 카세트 삽입구(16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카세트(31)는, 상면에 제 1 캡슐 안착부(312)가 함몰 형성되는 제 1 카세트 바디(311)와, 상기 제 1 캡슐 안착부(312)에 끼워지는 제 1 캡슐(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캡슐 안착부(312)는 상기 제 1 카세트 바디(311)의 상면에 다수 개가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세트(32)는, 상기 제 1 카세트(31)와 마찬가지로, 제 2 카세트 바디(321)와, 제 2 캡슐(3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카세트 바디(321)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제 2 캡슐 안착부(32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세트(31)와 상기 제 2 카세트(32)가 상기 카세트 삽입구(164)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 1 카세트(31)와 제 2 카세트(32)의 전면은 상기 구획벽(163)의 전면과 동일 면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카세트(31) 및 제 2 카세트(32)의 후면에는 푸쉬풀(push-pull)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구획벽(163)의 후면에 해당하는 면에는 상기 푸쉬풀 스위치가 삽입되는 스위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카세트(31) 및 제 2 카세트(32)의 전면을 눌렀다 떼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 1 카세트(31) 및 제 2 카세트(32)가 전방으로 일정 거리 튀어나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 1 카세트(31) 및 제 2 카세트(32)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겨서 상기 캡슐 안착부(312,3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캡슐(313,323)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카세트 바디(311) 및 제 2 카세트 바디(321)의 저면과, 상기 카세트 삽입구(164)의 바닥면 중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R1,R2)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레일홈(314,324)이 형성되어, 상기 부재료 저장 카세트(3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 1 가이드 레일(R1)과 제 2 가이드 레일(R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일홈은 제 1 레일 홈(314)과 제 2 레일 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세트(31) 및 상기 제 2 카세트(32)는 급수 배관에 의하여 상기 제 1 발효조(191) 및 상기 제 2 발효조(192)와 각각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유로를 따라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부재료 저장 카세트(30)를 통과한 다음 상기 주재료 저장팩(20)으로 공급되어, 상기 발효조(19) 내부에 채워져서 맥주가 제조된다.
도 9는 맥주 제조 장치가 구비된 홈브루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어퍼 하우징(162)의 내부는 기계실(162a)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 하우징(161)의 내부는 제조실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조실은, 상기 제 1 발효조 케이스(171)가 수용되는 제 1 제 1 제조실(161a)과, 상기 제 2 발효조 케이스(172)가 수용되는 제 2 제조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실과 상기 기계실(162a)은 멀리언(165)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리언(165)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주입되어, 상기 기계실(162a) 내부의 열이 상기 제조실 내부로 열전도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에는 발효조(19)가 수용되며, 상기 발효조(19)는, 상기 제 1 제 1 발효조 케이스(171)에 수용되는 제 1 발효조(191)와, 상기 제 2 발효조 케이스(172)에 수용되는 제 2 발효조(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1 발효조(191) 및 상기 제 2 발효조(192)의 내부에는 상기 주재료 저장팩(20)이 각각 삽입된다. 
상기 기계실(162a) 내부에는 상기 발효조(19)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40)가 배치된다.
상기 냉각 장치(4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01)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402)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변, 및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01)와, 응축기(402)와, 팽창변, 및 증발기는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밀폐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로 정의되는 냉매 배관은 상기 발효조(19)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감겨서, 상기 발효조(19)의 내부가 맥주 제조에 적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계실(162a)에는 상기 발효조(19)에 연결되는 맥주 제조용 유로(102)를 정의하는 급수 배관과, 상기 주재료 저장팩(20)과 상기 부재료 저장 카세트(30)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발효조(19)와 상기 취출 코크(133)를 연결하는 맥주 공급 배관 등에 장착되는 다수의 밸브(403)가 수용된다. 
상기 다수의 밸브(403)는, 상기 급수 배관에 구비되는 급수 밸브, 상기 맥주 공급 배관에 구비되는 맥주 취출 밸브, 상기 연결 배관에 구비되는 캡슐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주 공급 맥주 공급 배관(106)은, 프런트 코크(133a)에 연결되는 프런트 배관(106a)과, 상기 리어 코크(133b)에 연결되는 리어 배관(10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401)와 상기 응축기(402)는 상기 팽창변 또는 증발기와 달리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401)와 상기 응축기(402)는 단열 부재에 의하여 감싸져서,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상기 냉장고(10)의 저장실로 유출되어, 저장실 부하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벽(163)의 양 측면, 상기 구획벽(163)의 양 측면을 마주하는 상기 제 1 발효조(191) 및 제 2 발효조(192)의 일 측면들 각각에는 상기 발효조(19)의 전후 방향 틸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구획벽(163)의 측면과 상기 발효조(19)의 측면 중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가이드 돌기(173)가 돌출되고, 다른 일측에는 인출 가이드 홈(16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 가이드 홈(16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173)는 상기 인출 가이드 홈(163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발효조(19)는, 상기 가이드 돌기(173)가 상기 인출 가이드 홈(163a)의 일 단부에 걸릴 때까지 틸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발효조(19)가 상기 로어 하우징(161)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173)는 상기 인출 가이드 홈(163a)의 타 단부에 걸리게 된다.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되는 도어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발효조 케이스에 구비되는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외면에는, 상기 발효조 케이스(17)가 상기 제 1 제조실(161a)을 정의하는 상기 아웃 도어(121)의 배면에 걸리도록 하는 래치 래치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50)는, 상기 도어(12)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발효조 케이스(17)가 관성에 의하여 틸팅되어, 상기 로어 하우징(16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관성에 의하여 상기 발효조 케이스(17)가 틸팅되면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후단이 상기 어퍼 하우징(162)의 하단에 부딪히면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래치 어셈블리(50)가 제공되는 것이 좋다.
상세히, 상기 래치 어셈블리(50)는, 핸들(51)과, 회전 링크(52)와, 수직 링크(53), 및 래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51)은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바닥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파지할 수 있게 설계된다.
상기 핸들(51)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러지는 핸들부(511)와, 상기 핸들부(51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누름부(513), 및 상기 핸들부(511)와 누름부(513)가 교차하는 절곡 지점에 형성되는 회전축(5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51)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상기 핸들부(511)만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내부 공간에 숨겨지도록 설계된다.
상기 회전 링크(52)는, 일단이 상기 누름부(513)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압되는 제 1 링크(521)와, 상기 제 1 링크(521)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522)과, 상기 회전축(5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링크(5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링크(523)와 상기 제 1 링크(521)는 소정 각도를 이루어 연장된다. 
상기 수직 링크(53)의 하단은 상기 제 2 링크(523)의 단부의 상면에 닿고, 상단은 상기 래치(54)에 닿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54)는, 저면에 상기 수직 링크(53)의 상단이 닿는 걸이부(541)와, 상기 걸이부(541)의 후단에 형성되는 회전축(5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541)는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조실(161a)의 후면에는 상기 걸이부(541)의 전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래치홀(161b)이 형성된다. 
상기 발효조 케이스(17)가 상기 제 1 제조실(161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부(541)의 전단은 상기 래치홀(161b)에 걸려서, 상기 발효조 케이스(17)가 저절로 틸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발효조 케이스(17)를 틸팅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핸들부(511)를 잡아 당긴다. 그러면, 상기 핸들(51)이 상기 회전축(512)을 중심으로 일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누름부(513)가 상기 제 1 제 1 링크(521)의 단부를 누르게 된다.
상기 제 1 링크(52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 링크(523)의 단부는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수직 링크(53)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수직 링크(53)가 상승하면서 상기 걸이부(541)를 들어올려서 상기 걸이부(541)의 전단이 상기 래치홀(161b)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조실(161a)의 벽면에는 푸쉬 스프링(S)이 장착되어, 상기 발효조 케이스(17)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걸이부(541)의 전단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푸쉬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걸이부(541)의 전단이 상기 래치홀(161b)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발효조 케이스(17)가 소정 각도만큼 틸팅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발효조 케이스(17)의 상단부를 잡고 잡아당기거나 상기 핸들부(511)를 잡은 손을 회전시켜서 상기 발효조 케이스(17)를 틸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벽(163)에는 연통홀(163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발효조 케이스(171)가 수용되는 제 1 제조실(161a)과, 상기 제 2 발효조 케이스(172)가 수용되는 제 2 제조실이 서로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냉기 공급구(16a)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제 1 제조실(161a)과 상기 제 2 제조실로 공급되어, 상기 제 1 발효조 케이스(171) 및 제 2 발효조 케이스(172)가 냉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6)

  1.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맥주 취출을 위한 취출 부재;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와 상기 취출 부재를 연결하는 맥주 공급 유로; 및
    상기 발효조 내부가 맥주 제조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는,
    제 1 발효조와,
    상기 제 1 발효조의 측방에서 상기 제 1 발효조가 수용되는 공간과 구분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제 2 발효조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면에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취출 부재가 구비되고, 배면 가장자리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밀착되는 아웃 도어와,
    상기 아웃 도어의 배면에서 형성되는 홈브루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 및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홈브루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브루 하우징은,
    상기 발효조가 수용되는 로어 하우징과,
    상기 로어 하우징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냉각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어퍼 하우징과,
    상기 로어 하우징과 상기 어퍼 하우징을 단열 구획하는 멀리언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하우징은,
    상기 제 1 발효조가 수용되는 제 1 제조실과,
    상기 제 1 제조실의 측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발효조가 수용되는 제 2 제조실, 및
    상기 제 1 제조실과 상기 제 2 제조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조실에 수용되며, 상면이 개구되는 제 1 발효조 케이스와,
    상기 제 1 발효조 케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는 제 1 케이스 커버와,
    상기 제 2 제조실에 수용되며, 상면이 개구되는 제 2 발효조 케이스, 및
    상기 제 2 발효조 케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는 제 2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효조는 상기 제 1 발효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발효조는 상기 제 2 발효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부재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연장되는 레버 바디와,
    상기 레버 바디의 상면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취출 레버, 및
    상기 레버 바디의 저면에 제공되는 맥주 취출 코크를 포함하고,
    상기 맥주 취출 코크는,
    상기 제 1 발효조와 상기 제 2 발효조 중 어느 하나에서 만들어진 맥주가 취출되는 프런트 코크와,
    상기 제 2 발효조와 상기 제 2 발효조 중 다른 하나에서 만들어진 맥주가 취출되는 리어 코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와 상기 맥주 취출 코크를 연결하는 맥주 공급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맥주 공급 배관은,
    상기 프런트 코크에 연결되는 프런트 배관과,
    상기 리어 코크에 연결되는 리어 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수도꼭지로부터 상기 캐비닛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급수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의 어느 지점에서 다수의 유로로 분지되고,
    상기 다수의 분지되는 유로 중 하나는 상기 발효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음용수 취출을 위해 상기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는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취출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상의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음용수 취출 코크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바닥에 제공되는 잔수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로 연장되는 분지 유로를 제외한 다수의 분지 유로는, 상기 음용수 취출 코크로 연장되는 음용수 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트레이는, 상기 맥주 취출 코크로부터 낙하하는 맥주를 포집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변과,
    상기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발효조의 외주면에 감기는 냉매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에는 상기 제 1 제조실과 상기 제 2 제조실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하우징의 일 측면에는 냉기 공급구와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효조 및 상기 제 2 발효조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주재료 저장팩과,
    상기 구획벽에 장착되는 부재료 저장 카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료 저장 카세트는,
    부재료 저장 캡슐과,
    상기 부재료 저장 캡슐이 안착되기 위한 캡슐 안착부가 형성되는 카세트 바디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 저장팩과 상기 부재료 저장 카세트는 급수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부재료 저장 캡슐을 통과한 물은 상기 주재료 저장팩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00096824A 2020-08-03 2020-08-03 냉장고 KR20220017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824A KR20220017029A (ko) 2020-08-03 2020-08-03 냉장고
US18/016,997 US20230348828A1 (en) 2020-08-03 2021-06-25 Refrigerator
EP21853000.4A EP4191172A1 (en) 2020-08-03 2021-06-25 Refrigerator
PCT/KR2021/008018 WO2022030756A1 (ko) 2020-08-03 2021-06-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824A KR20220017029A (ko) 2020-08-03 2020-08-0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029A true KR20220017029A (ko) 2022-02-11

Family

ID=8026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824A KR20220017029A (ko) 2020-08-03 2020-08-0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0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258A (ko) 2016-05-18 201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258A (ko) 2016-05-18 201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869B2 (en) Refrigerator
US20210341212A1 (en) Refrigerator
US11624540B2 (en) Refrigerator
US11709007B2 (en) Refrigerator
KR101621578B1 (ko) 냉장고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KR20160052501A (ko) 냉장고
KR20140008597A (ko)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090106942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220017029A (ko) 냉장고
KR20170096326A (ko) 냉장고
KR20220017030A (ko) 냉장고
KR20220017031A (ko) 냉장고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EP4191172A1 (en) Refrigerator
KR100504917B1 (ko) 냉장고의 디스팬서
US10670332B2 (en) Refrigerator
KR102474197B1 (ko) 냉장고
KR20210089549A (ko) 냉장고
KR101774136B1 (ko) 냉장고
KR101738294B1 (ko) 냉장고
KR20220017028A (ko) 냉장고
KR10095128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