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638B1 - 치아우식 진단기 - Google Patents
치아우식 진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4638B1 KR102334638B1 KR1020210088513A KR20210088513A KR102334638B1 KR 102334638 B1 KR102334638 B1 KR 102334638B1 KR 1020210088513 A KR1020210088513 A KR 1020210088513A KR 20210088513 A KR20210088513 A KR 20210088513A KR 102334638 B1 KR102334638 B1 KR 1023346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emitting member
- optical
- diagnosis device
- sealing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02064 Dental Plaqu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693 gingiv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68 dent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035 D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151 Stomatognath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312 Tooth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029 Tooth deposi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65 gingiv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39 periodo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032 porphyr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18—Pen-shaped hou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1—Arrangements of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e.g. cable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전방에 위치하며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0); 및 상기 발광부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100)를 관통한 후 바디부(100) 후방으로 노출되는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재(200) 전방에는 발광부재(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우식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조사하여 치아우식 여부를 쉽게 확인하고, 나아가 사용과 보관이 매우 편리한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우식증(충치)과 잇몸질환(치은염, 치주염)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만성질환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만성질환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치아우식증과 잇몸질환은 서로 다른 과정을 거쳐 질환이 진행되지만, 원인은 치면 세균막(프라그, 치태)으로 동일하다. 유전적 특성이나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질병 때문에 더욱 악화될 수 있으나 임상학적인 근본적인 원인은 치면 세균막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잇몸질환은 유병률이 높은 사회적 질환으로 치아의 조기상실뿐 아니라 심혈관 질환에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면 세균막은 이러한 치주조직 질환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므로 치면 세균막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치면 세균막이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치주조직에 만성적인 자극이 원인이 되어 염증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나쁜 구강 건강은 아동의 입이 발달하는 방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매년 수많은 아동이 약 5천만 시간에 달하는 수업 시간을 빠지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아동의 자신감, 사회적 기술은 물론 성장한 후 성공할 수 있는 잠재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구강 건강은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필수적이다.
치아우식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2248141호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펜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원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LED이고,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하는 광원의 파장은, 구강 내 치태, 치석 및 음식물 잔사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환경 조건에서 병소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대산물이 치아를 투과한 광원의 파장에 흡광 특성을 보이게 하고, 상기 치아의 법랑질에 생긴 우식, 상기 치아의 시멘트질에 생긴 우식, 상기 치아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생긴 우식, 상기 치아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생긴 우식을 모두 반응색으로 변색시켜, 우식 위치, 우식 범위 및 우식 깊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402.2nm 이상이고 404.0nm 이하인 파장으로 설정된 치아질환 진단용 펜 라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휴대가 가능하고 우식 여부를 판할 수 있지만, 402.2nm 이상이고 404.0nm 이하에 해당되는 파장만을 조사할 수 있는 LED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고, 게다가 긴 펜 타입이기 때문에 보관이 불편하다. 이 외에도 우식은 치아의 전면부 뿐만 아니라 후면부에도 생기는데 후면부의 우식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사용과 보관이 용이한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치아의 전면부 뿐만 아니라 후면부 등 빛이 잘 조사되지 않는 구석진 부분까지도 빛을 잘 비출수 있는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전방에 위치하며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0); 및 상기 발광부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100)를 관통한 후 바디부(100) 후방으로 노출되는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재(200) 전방에는 발광부재(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서, 상기 필터부(4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외측면에는 제2 요철부(411)가 구비된 필터 프레임(410), 및 상기 필터 프레임(410)에 장착되며 405~410nm 파장의 광원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학 필터(42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서,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기 바디부(1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서, 상기 바디부(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서, 상기 바디부(100)는 일측 단부는 제1 밀폐면(113)이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제1 몸체(110), 상기 제1 몸체(1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며 양측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제2 몸체(120), 외측면은 상기 제1 몸체(110) 타측 가장자리 내면과 밀착하는 한편 내측면은 상기 제2 몸체(120) 외면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1 몸체(110)의 일측 가장자리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발광부재(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서, 상기 제1 몸체(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형성된 슬릿(111), 상기 슬릿(111) 인근의 표시부(112), 상기 제1 밀폐면(113)에 형성된 제1 관통구(114), 상기 제1 밀폐면(113)에 형성된 제2 관통구(115), 및 상기 제1 밀폐면(113) 외측에 형성된 제1 체결돌기(11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120)는, 일측 가장자리 외측면의 제1 플랜지(121) 및 타측 가장자리 외측면의 제1 요철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타측 가장자리 외측면의 제2 플랜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14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둘레면 소정 위치의 절개부(141), 상기 절개부(141) 인근의 돌기부(142), 및 일측 단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한 제2 체결돌기(144)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재(200)는 램프 프레임(210) 및 상기 램프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램프(220)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 프레임(210)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 몸체(110)의 제1 밀폐면(113)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밀폐면(113)과 마주 보는 일측 단면에는 중심점을 지나는 소정 폭을 갖는 절개홈(211), 일측은 상기 절개홈(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체결돌기(144)에 연결되는 힌지축(212), 및 상기 제1 몸체(110)의 제1 체결돌기(116)와 램프 프레임(21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체결구(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서, 상기 램프 프레임(210)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필터 프레임(410)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홈(21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서,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케이블(310), 및 상기 케이블(310) 일측 단부의 연결 단자(32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단자(320)는 휴대용 또는 비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 의하면, 특정 영역대의 파장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필터가 발광부재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있어, 램프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 의하면, 손으로 파지하는 바디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 의하면, 발광부재가 소정 각도로 절곡이 가능한 구조이어서, 치아 후면의 우식 여부 확인도 쉽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정면도로서, (a) 바디부 길이가 늘어난 상태, (b) 바디부 길이가 줄어든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정면도로서, (a) 발광부재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 (b) 발광부재가 45°절곡된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구성하는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구성하는 발광부재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구성하는 필터부의 착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정면도로서, (a) 발광부재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 (b) 발광부재가 45°절곡된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구성하는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구성하는 발광부재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구성하는 필터부의 착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정면도로서, (a) 바디부 길이가 늘어난 상태, (b) 바디부 길이가 줄어든 상태,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정면도로서, (a) 발광부재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 (b) 발광부재가 45°절곡된 상태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100), 소정 영역대의 파장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0), 발광부재(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0), 및 특정 영역대의 파장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는 사용시 또는 보관시 편리하도록 바디부(100)의 길이가 조절되며, 특히 치아의 안쪽 즉, 내측 면에 우식이 발생하였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바디부(100)를 기준으로 발광부재(200)는 소정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구성하는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소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연결부재(130) 및 제어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외형이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제1 몸체(110) 둘레면에는 후술할 제어부재(140)의 돌기부(142)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일자형 슬릿(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111)의 양측 단부와 이들 양측 단부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절개면이 넓어진 하나 이상의 고정홈(111′)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소정 위치에서 돌기부(14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슬릿(111) 인근, 보다 상세하게는 각 고정홈(111′) 부근에는 돌기부(142) 위치에 따라 발광부재(200)가 어느 정도 절곡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실별할 수 있도록 숫자 혹은 특수 문자 등의 표시부(112)가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슬릿(111)의 오른쪽 끝 부분에 ‘0’, 가운데 부분에 ‘1’ 그리고 왼쪽 끝 부분에 ‘2’라는 숫자가 표시부(112)가 새겨져 있고, 발광부재(200)가 45° 및 90° 절곡이 가능할 경우, 발광부재(200)가 전혀 절곡되지 않은 상태라면 슬릿(111)의 오른쪽 끝에 위치하는 고정홈(111′)에 돌기부(142)가 위치한다(도 1(a) 참조). 반면 발광부재(200)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라면 슬릿(111)의 왼쪽 끝에 위치하는 고정홈(111′)에 돌기부(142)가 위치하고(도 2(a) 참조)이고, 45° 절곡될 시에는 슬릿(11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고정홈(111′)에 돌기부(142)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슬릿(111)에 마련된 고정홈(111′)의 개수와 표시부(112)의 숫자 등은 발광부재(200)의 절곡 각도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볼 때 왼쪽에 해당되는 제1 몸체(110)의 일측 단부는 제1 밀폐면(113)으로 막혀 있는 반면 타측 단부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1 밀폐면(113)에는 제1 관통구(114), 제2 관통구(115) 및 제1 체결돌기(11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관통구(114)는 후술할 힌지축(212)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것이고, 제2 관통구(115)는 케이블(310) 통과, 그리고 제1 체결돌기(116)는 제1 몸체(110)와 램프 프레임(2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제2 몸체(12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제2 몸체(120)도 내부가 비어 있는 대략 원통형상이지만, 제1 몸체(110) 안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제1 몸체(110)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며, 양측 단부는 모두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 몸체(120) 일측 가장자리(도면에서 볼 때 왼쪽) 외측면에는 제1 플랜지(121)가 마련되며, 이러한 제1 플랜지(121)는 연결부재(130)와 서로 조립된 경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2 몸체(120) 타측 가장자리 외측면에는 둘레면 방향을 따라 원형 띠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1 요철부(1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몸체(110)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2 몸체(120)를 손으로 당길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전술한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연결부재(130) 외측면은 제1 몸체(110) 타측 가장자리 내면과 밀착 고정되어 있는 반면, 내측면은 제2 몸체(120) 외면에 위치하며, 타측 가장자리 외측면에는 제1 몸체(11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플랜지(131)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및 연결부재(130)의 조립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제2 몸체(120)의 제1 요철부(122)가 형성된 부분을 연결부재(130)의 왼쪽에서 관통시킨 후, 제1 몸체(110)에 연결부재(130)를 고정한다(도 4 참조).
따라서 제2 몸체(120)는 연결부재(130)와 제1 몸체(110) 내부로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한 반면, 제1 플랜지(121)에 의해 연결부재(13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은 방지된다.
제1 몸체(110) 일측 가장자리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발광부재(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14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재(14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절개부(141), 돌기부(142), 제2 밀폐면(143), 및 제2 체결돌기(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절개부(141)는 돌기부(142)를 손으로 가압할 때 일정 이상의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재(140)가 제1 몸체(110)에 수납될 시, 슬릿(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재(140)의 둘레면 상부에 위치한다. 비록 도면에서는 위에서 바라볼 때 3개의 절개라인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모양이지만 동일한 목적과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면 변경이 가능하다.
돌기부(142)는 발광부재(200)의 회동 각도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 3개의 절개라인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절개부(141) 중앙에 위치하며, 제1 몸체(110)의 슬릿(111)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재(200)를 90° 절곡시키고자 할 시에는 돌기부(142)를 누른 후 앞으로 밀고, 반대로 발광부재(200)를 직선형태로 되돌리려고 할 시에는 누른 뒤 뒤로 당긴다.
물론 발광부재(20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경우, 돌기부(142)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돌기부(142)는 고정홈(111′)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발광부재(200)의 위치가 고정됨은 자명하다.
도면에서 볼 때 왼쪽에 해당되는 제어부재(140)의 일측 단부는 제2 밀폐면(143)으로 막혀 있다. 그리고 제2 밀폐면(143)에는 후술할 힌지축(212)과 연결되는 제2 체결돌기(144)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운데에는 케이블(3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치아우식을 식별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소정 영역대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건강한 치아와 충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치면 세균막의 미생물 대사산물인 포피린(Porphyrin)은 400nm 부근인 소레대(Soret band)라고 불리는 파장대 영역에서 붉은 색의 형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치아우식 여부와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발광부재(200)는 바디부(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램프 프레임(210) 및 램프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램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램프 프레임(21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몸체(110)의 제1 밀폐면(113) 전방에 위치한다. 후면 즉, 제1 밀폐면(113)과 마주 보는 일측 단면에는 램프 프레임(210)의 폭 방향인 원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절개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몸체(110)와 램프 프레임(2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몸체(110)의 제1 체결돌기(116)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구(214)가 절개홈(211)을 통과한다. 여기서, 제2 체결구(214)는 제1 체결돌기(116)가 절개홈(211)에 안착된 후, 램프 프레임(210) 측면에서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를 기준으로 램프 프레임(210)이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은 절개홈(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체결돌기(144)에 연결되는 힌지축(212)이 마련되어 있다. 도면부호 213은 힌지축(212)의 타측과 제2 체결돌기(144)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이며,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램프 프레임(210)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후술할 필터 프레임(410)을 탈부착 시키기 위한 결합홈(21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여기서, 램프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램프(220)는 소정대의 파장,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450nm, 가장 바람직하게는 405~410의 파장을 조사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램프(2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원공급부(3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케이블(310), 및 연결 단자(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블(310) 일측은 전술한 램프(220)와 직간접으로 연결되며, 제1 몸체(110)의 제2 관통구(115) 및 제어부재(140)를 통과한 후 제2 몸체부(120) 후방으로 노출되며, 타측은 연결단자(320)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연결단자(320)는 전자기기, 예를 들면 휴대폰, 노트북, 패드 등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데스크탑 PC등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휴대폰, 노트북, 패드 등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좋고, 성인 대부분을 포함하여 많은 학생들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가장 좋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나 사양에 따라 연결 단자(320) 타입이 상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자기기와 연결단자(320)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램프(22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발광부재(200) 전방에 위치하면서, 발광부재(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부(4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부(400)는 특정 영역대의 광원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외측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요철부(411)가 구비된 필터 프레임(410), 그리고 405~410nm 파장의 광원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학 필터(420)가 필터 프레임(410)에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램프(220)에서 조사하는 빛의 파장대가 다소 넓게 분포하는 경우, 즉 400~700nm의 가시광선이나 400~450nm에 해당되는 단파장일 시에는, 파란색이나 녹색 등에 의해 치아우식 시 발현하는 붉은 색의 존재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 물론 405~410nm 파장대만을 조사하는 램프를 사용한다면 붉은 색을 확인하기 쉽지만, 특정 파장 영역대만을 조사하는 램프를 별도로 제조하거나 구입해야 하며, 이러한 램프는 고가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붉은 색의 형광이 명확하게 발현하는 특정 파장대인 405~410nm 파장의 광원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학 필터(420)가 구비된 필터부(400)를 램프 프레임(210)에 장착시킬 시에는, 조사하는 파장대가 다소 넓어도 치아우식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램프 프레임(210)에서 필터부(400)를 분리한 후, 필터부(400)를 눈앞으로 가져옴으로써 특정 파장대만이 통과된 빛이 시각 세포로 전달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광학 필터는 특정 파장 대역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비투과시키는 광학 필터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를 사용하여 치아우식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길게 연장시킨 후, 램프 프레임(210)에 필터부(4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단자(320)를 휴대폰과 연결한다.
발광부재(200)가 치아를 향하도록 조절하여 빛을 조사하고, 이때 적색 형광이 발현되는 부분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한다.
한편, 치아 내측 부분을 확인할 시에는, 제어부재의 돌기부를 전방으로 밀어 발광부재의 각도를 조절한 후 전술한 동일한 순서로 치아우식 여부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램프 프레임(210)으로부터 필터부(400)를 분리시킨 경우라면, 눈앞에 필터부(400)를 가까이 한 후, 필터부(400)를 통해 적색 형광이 발현되었는지를 확인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바디부
110 : 제1 몸체
111 : 슬릿 111′ : 고정홈
112 : 표시부 113 : 제1 밀폐면
114 : 제1 관통구 115 : 제2 관통구
116 : 제1 체결돌기
120 : 제2 몸체
121 : 제1 플랜지 122 : 제1 요철부
130 : 연결부재
131 : 제2 플랜지
140 : 제어부재
141 : 절개부 142 : 돌기부
143 : 제2 밀폐면 144 : 제2 체결돌기
200 : 발광부재
210 : 램프 프레임
211 : 절개홈 212 : 힌지축
213 : 제1 체결구 214 : 제2 체결구
215 : 결합홈
220 : 램프
300 : 전원공급부
310 : 케이블
320 : 연결단자
400 : 필터부
410 : 필터 프레임
411 : 제2 요철부
420 : 광학 필터
110 : 제1 몸체
111 : 슬릿 111′ : 고정홈
112 : 표시부 113 : 제1 밀폐면
114 : 제1 관통구 115 : 제2 관통구
116 : 제1 체결돌기
120 : 제2 몸체
121 : 제1 플랜지 122 : 제1 요철부
130 : 연결부재
131 : 제2 플랜지
140 : 제어부재
141 : 절개부 142 : 돌기부
143 : 제2 밀폐면 144 : 제2 체결돌기
200 : 발광부재
210 : 램프 프레임
211 : 절개홈 212 : 힌지축
213 : 제1 체결구 214 : 제2 체결구
215 : 결합홈
220 : 램프
300 : 전원공급부
310 : 케이블
320 : 연결단자
400 : 필터부
410 : 필터 프레임
411 : 제2 요철부
420 : 광학 필터
Claims (8)
- 소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전방에 위치하며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0); 및
상기 발광부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100)를 관통한 후 바디부(100) 후방으로 노출되는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재(200) 전방에는 발광부재(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4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외측면에는 제2 요철부(411)가 구비된 필터 프레임(410), 및 상기 필터 프레임(410)에 장착되며 405~410nm 파장의 광원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학 필터(4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기 바디부(1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100)는 일측 단부는 제1 밀폐면(113)이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제1 몸체(110), 상기 제1 몸체(1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며 양측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제2 몸체(120), 외측면은 상기 제1 몸체(110) 타측 가장자리 내면과 밀착하는 한편 내측면은 상기 제2 몸체(120) 외면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1 몸체(110)의 일측 가장자리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발광부재(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형성된 슬릿(111), 상기 슬릿(111) 인근의 표시부(112), 상기 제1 밀폐면(113)에 형성된 제1 관통구(114), 상기 제1 밀폐면(113)에 형성된 제2 관통구(115), 및 상기 제1 밀폐면(113) 외측에 형성된 제1 체결돌기(11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120)는, 일측 가장자리 외측면의 제1 플랜지(121) 및 타측 가장자리 외측면의 제1 요철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타측 가장자리 외측면의 제2 플랜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14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둘레면 소정 위치의 절개부(141), 상기 절개부(141) 인근의 돌기부(142), 및 일측 단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한 제2 체결돌기(144)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재(200)는 램프 프레임(210) 및 상기 램프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램프(220)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 프레임(210)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 몸체(110)의 제1 밀폐면(113)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밀폐면(113)과 마주 보는 일측 단면에는 중심점을 지나는 소정 폭을 갖는 절개홈(211), 일측은 상기 절개홈(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체결돌기(144)에 연결되는 힌지축(212), 및 상기 제1 몸체(110)의 제1 체결돌기(116)와 램프 프레임(21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체결구(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프레임(210)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필터 프레임(410)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홈(21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케이블(310), 및 상기 케이블(310) 일측 단부의 연결 단자(32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단자(320)는 휴대용 또는 비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치아우식 진단기.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8513A KR102334638B1 (ko) | 2021-07-06 | 2021-07-06 | 치아우식 진단기 |
JP2022532588A JP7457120B2 (ja) | 2021-07-06 | 2021-12-02 | 歯齲蝕診断機 |
PCT/KR2021/018154 WO2023282409A1 (ko) | 2021-07-06 | 2021-12-02 | 치아우식 진단기 |
US17/781,274 US20240180427A1 (en) | 2021-07-06 | 2021-12-02 | Dental caries diagnostic device |
EP21887880.9A EP4140394B1 (en) | 2021-07-06 | 2021-12-02 | Device for diagnosis of dental caries |
AU2021380854A AU2021380854B2 (en) | 2021-07-06 | 2021-12-02 | Dental caries diagnost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8513A KR102334638B1 (ko) | 2021-07-06 | 2021-07-06 | 치아우식 진단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4638B1 true KR102334638B1 (ko) | 2021-12-06 |
Family
ID=7890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8513A KR102334638B1 (ko) | 2021-07-06 | 2021-07-06 | 치아우식 진단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80427A1 (ko) |
EP (1) | EP4140394B1 (ko) |
JP (1) | JP7457120B2 (ko) |
KR (1) | KR102334638B1 (ko) |
AU (1) | AU2021380854B2 (ko) |
WO (1) | WO202328240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0538A (ko) | 2023-02-22 | 2024-08-29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센서를 이용한 치아우식 진단 키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816B1 (ko) * | 2003-01-14 | 2007-02-08 |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 진단용 촬영기 |
KR20070027540A (ko) * | 2004-04-30 | 2007-03-09 |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 생체 관찰기기, 구강 내 촬영장치 및 의료용 진료기구 |
KR101068462B1 (ko) * | 2010-02-10 | 2011-09-28 | (주)덴토스 |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치과용 수동핸드피스 |
KR102248141B1 (ko) | 2020-11-24 | 2021-05-03 | 김정태 | 치아질환 진단용 펜 라이트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5698A (en) * | 1978-06-08 | 1980-08-05 | Abcor, Inc. | Dental-caries detector |
SE442817B (sv) * | 1981-04-01 | 1986-02-03 | Hans Ingmar Bjelkhagen | Anordning for att okulert kunna faststella en diskrepans i en tandytas luminiscensformaga |
JPS57206422A (en) * | 1981-06-16 | 1982-12-17 | Osada Electric | Image scope for dental treatment |
EP0224896B1 (en) * | 1985-12-05 | 1991-08-14 |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 Dental viewing apparatus |
DE19709499A1 (de) * | 1997-03-07 | 1998-09-17 | Kaltenbach & Voigt | Zahnärztliche Behandlungsvorrichtung |
DE10006286C1 (de) * | 2000-02-14 | 2001-10-18 | 3M Espe Ag | Lichtwellenkonvertervorrichtung und deren Verwendung im Dentalbereich |
DE10013210A1 (de) * | 2000-03-17 | 2001-09-20 | Kaltenbach & Voigt |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Karies, Plaque, bakteriellen Befall, Konkrementen, Zahnstein und anderen fluoreszierenden Substanzen an Zähnen |
US6764309B2 (en) * | 2002-03-06 | 2004-07-20 | Nocari, Llc | Method and laser apparatus for preventing tooth decay |
DE20209441U1 (de) * | 2002-06-18 | 2002-09-05 | Ferton Holding S.A., Delemont |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bakteriellem Befall an Zähnen |
JP4475923B2 (ja) * | 2003-01-14 | 2010-06-09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診断用撮影器 |
JP4206821B2 (ja) * | 2003-05-20 | 2009-01-14 | 株式会社モリタ東京製作所 | 歯科光診断装置用プローブ |
JP2005304599A (ja) * | 2004-04-19 | 2005-11-04 | Morita Mfg Co Ltd | 頭部装着診断用光照射装置 |
US7270543B2 (en) * | 2004-06-29 | 2007-09-18 | Therametric Technologies, Inc. | Handpiece for caries detection |
JP4621512B2 (ja) * | 2005-02-18 | 2011-01-26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口腔用光照射器 |
US8360771B2 (en) * | 2006-12-28 | 2013-01-29 | Therametric Technologies, Inc. | Handpiece for detection of dental demineralization |
KR20080070112A (ko) * | 2007-01-25 | 2008-07-30 | 김용시 | 피부 검사용 카메라 |
US20100036260A1 (en) * | 2008-08-07 | 2010-02-11 | Remicalm Llc | Oral cancer screening device |
US8786689B1 (en) * | 2010-04-15 | 2014-07-22 | Yongqian R. Liu | Modular optical medical diagnostic system |
WO2013109978A1 (en) * | 2012-01-20 | 2013-07-25 |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 Dental demineralization detection, methods and systems |
KR101618684B1 (ko) * | 2014-10-08 | 2016-05-09 | 주식회사 굿닥터스 |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 |
KR102048424B1 (ko) | 2016-05-18 | 2019-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발효장치 |
JP2021040666A (ja) * | 2017-12-28 | 2021-03-18 | アイリス株式会社 | 口内撮影補助具、及びその口内撮影補助具を含む医療装置 |
JP2020054659A (ja) * | 2018-10-02 | 2020-04-09 | 株式会社吉田製作所 | 医療用ハンドピース |
IT201900000809A1 (it) * | 2019-01-18 | 2020-07-18 | Luca Perasole |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indossabile e attrezzatura da lavoro che lo comprende |
-
2021
- 2021-07-06 KR KR1020210088513A patent/KR1023346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2-02 US US17/781,274 patent/US20240180427A1/en active Pending
- 2021-12-02 AU AU2021380854A patent/AU2021380854B2/en active Active
- 2021-12-02 WO PCT/KR2021/018154 patent/WO202328240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02 JP JP2022532588A patent/JP7457120B2/ja active Active
- 2021-12-02 EP EP21887880.9A patent/EP41403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816B1 (ko) * | 2003-01-14 | 2007-02-08 |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 진단용 촬영기 |
KR20070027540A (ko) * | 2004-04-30 | 2007-03-09 |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 생체 관찰기기, 구강 내 촬영장치 및 의료용 진료기구 |
KR101068462B1 (ko) * | 2010-02-10 | 2011-09-28 | (주)덴토스 |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치과용 수동핸드피스 |
KR102248141B1 (ko) | 2020-11-24 | 2021-05-03 | 김정태 | 치아질환 진단용 펜 라이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0538A (ko) | 2023-02-22 | 2024-08-29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센서를 이용한 치아우식 진단 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40394A1 (en) | 2023-03-01 |
EP4140394B1 (en) | 2024-07-10 |
WO2023282409A1 (ko) | 2023-01-12 |
JP7457120B2 (ja) | 2024-03-27 |
AU2021380854A1 (en) | 2023-02-02 |
EP4140394C0 (en) | 2024-07-10 |
JP2023536673A (ja) | 2023-08-29 |
US20240180427A1 (en) | 2024-06-06 |
EP4140394A4 (en) | 2023-09-27 |
AU2021380854B2 (en) | 2023-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4204B2 (en) | Control of halitosis-generating and other microorganisms in the non-dental upper respiratory tract | |
CN112566586B (zh) | 用于口腔内处理的咬口器及方法 | |
CA2627783C (en) | Multi-function oral care device | |
US9808646B2 (en) | Device for personal use in phototherapy | |
KR102334638B1 (ko) | 치아우식 진단기 | |
TWD138917S1 (zh) | 雷射梳 | |
TWD146099S (zh) | 雷射梳(一) | |
TW201735875A (zh) | 具有導光功用的牙套 | |
AU2020200914A1 (en) | Oral device with activating element | |
KR102155553B1 (ko) | 페이스트-타입의 조성물의 조사 장치 | |
US20180103751A1 (en) | Toothbrush capable of seeing dental plaque | |
KR102104486B1 (ko) | 자외선 살균 화장품 용기 | |
KR20100025434A (ko) | 살균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구강 위생 장치 및 방법 | |
TW202007351A (zh) | 具照明之口腔鏡結構 | |
KR102188912B1 (ko) | 써미스터 돌출 구조를 갖는 심부체온측정기 | |
JP3202890U (ja) | 歯磨き剤用軟質チューブ及びその蓋体 | |
Burke et al. | A PREP panel, practice-based, evaluation of the handling of the kerr demi-ultra light curing unit | |
KR102286646B1 (ko) |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 |
CN213272107U (zh) | 可拆换照射头的口腔照明灯 | |
KR101715659B1 (ko) | 광테라피 기능을 갖는 구강 관리기구 | |
TWM494908U (zh) | 具牙菌斑檢測功能之牙刷 | |
KR101507105B1 (ko) | 잠망경식 칫솔 | |
TWM607304U (zh) | 可拆換照射頭的口腔照明燈 | |
BR102022011002A2 (pt) | Lanterna para transiluminação odontológica: dispositivo e método | |
JP2012090728A (ja) | 化粧用スケールキ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