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587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587B1
KR102278587B1 KR1020190179533A KR20190179533A KR102278587B1 KR 102278587 B1 KR102278587 B1 KR 102278587B1 KR 1020190179533 A KR1020190179533 A KR 1020190179533A KR 20190179533 A KR20190179533 A KR 20190179533A KR 102278587 B1 KR102278587 B1 KR 102278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tire
protrusions
disposed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941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2Protection against exteri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연장되는 비드부, 및 복수개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타이어에 요구되는 성능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의 그립 성능, 주행 가능한 거리(마일리지)의 향상을 위한 마모 성능, 적은 연료로도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연비 성능이 대표적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 저항을 줄이고, 연비 성능이 향상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연장되는 비드부, 및 복수개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메인 돌기, 및 상기 메인 돌기보다 크기가 작으며, 상기 메인 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서브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돌기는 높이가 상기 서브 돌기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인 돌기의 경사면과 상기 서브 돌기의 경사면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유동 가이드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연장되는 비드부와, 복수개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돌기부와 이웃되게 배치되며, 상기 비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2 돌기부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 메인 돌기, 및 상기 제1 메인 돌기보다 크기가 작으며, 상기 제1 메인 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2 메인 돌기, 및 상기 제2 메인 돌기보다 크기가 작으며, 상기 제2 메인 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 돌기를 구비하며, 인접한 상기 제1 서브 돌기와 상기 제2 서브 돌기는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연장되는 비드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돌기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패턴을 형성하는 돌기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돌기부가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돌기 그룹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돌기 그룹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돌기 유닛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 그룹은 복수개의 상기 돌기부가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고, 상기 돌기 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돌기 그룹이 상기 배열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 유닛은 상기 사이드월부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사이드월부의 외측에 돌기부가 배치되어, 타이어의 주행시의 공기 저항력을 줄여서 연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기부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고, 돌기 사이에 배치된 유동 가이드홈을 따라서 공기가 이동하므로, 공기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사이드월부의 외측에 크기가 다른 돌기가 배치되어, 공기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메인 돌기의 양측에 서브 돌기가 배치되며, 메인 돌기의 크기가 서브 돌기의 크기보다 크므로, 메인 돌기와 서브 돌기 사이에 배치된 유동 가이드홈을 따라 공기가 이동하되, 높이가 낮은 서브 돌기로 이동하는 공기가 쉽게 배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사이드월부의 외측에 크기가 다른 돌기가 배치되어, 주행 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사이드월부에서 생성되는 노이즈는 돌기부에 의해서 간섭 및 산란되어, 소음이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이드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비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지면과 접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115)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의 아래에는 바디 플라이(140), 벨트층(150), 캡 플라이(160) 및 이너라이너(17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30) 사이를 연결한다. 사이드월부(120)의 외측면에는 돌기부(180)가 원주 방향(C)으로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차량의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로부터 사이드월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 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벨트층(150)의 아래에 배치되고, 사이드월부(120)로 연장되어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되,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므로, 바디 플라이(14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어 사이드월부(120)를 향하여 연장되고, 단부는 바디 플라이(140)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가 배치된다.
바디 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바디 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틸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벨트층(151)은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 플라이(140)를 보호한다. 제1 벨트층(151)은 이너라이너(17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벨트층(152)은 제1 벨트층(1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벨트층(151)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의 양단을 커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사이드월부(12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돌기부(180)는 사이드월부(12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C)으로 이격되고 일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180)는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돌기를 구비한 돌기부(18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돌기부(180)는 중앙에 배치되는 메인 돌기(181)와, 메인 돌기(181)의 양측에 배치되는 서브 돌기(182)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돌기(181)는 원주 반향으로 소정의 길이(l)를 가진다. 메인 돌기(181)는 양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중앙에는 제1 피크(181P)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돌기(181)는 제1 피크(181P)가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삼각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돌기(182)는 메인 돌기(18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돌기(182)는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브 돌기(182)는 메인 돌기(181)와 같은 길이(l)로 연장될 수 있다.
서브 돌기(182)는 양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중앙에는 제2 피크(182P)를 가질 수 있다. 서브 돌기(182)도 메인 돌기(181)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제2 피크(182P)가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삼각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돌기(182)는 메인 돌기(181)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에 배치된 메인 돌기(181)는 h1의 높이를 가지고, 서브 돌기(182)는 h1보다 작은 h2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돌기(181)의 높이가 서브 돌기(182)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주행시에 유동의 흐름을 안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 돌기(18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서브 돌기(182)는 부피가 동일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한쌍의 서브 돌기(182)는 같은 높이 및 길이를 가져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메인 돌기(181)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서브 돌기(182)는 부피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레드부(110)에 인접한 서브 돌기의 크기가, 비드부(130)에 인접한 서브 돌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에는 외부 공기의 상대적으로 강항 유동이 형성되므로, 크기가 큰 서브돌기에 의해서 외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홈(183)은 메인 돌기(181)와 서브 돌기(182)에 의해서 형성된다. 유동 가이드홈(183)은 메인 돌기(181)의 경사면과 서브 돌기(182)의 경사면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홈(183)은 메인 돌기(181)의 플랫한 경사면과 서브 돌기(182)의 플랫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메인 돌기(181)의 제1 피크(181P)와 서브 돌기(182)의 제2 피크(182P)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므로, 유동 가이드홈(183)은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동 가이드홈(183)은 타이어(100)의 주행시에 사이드월부(120)에 인접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홈(183)은 사이드월부(120)의 주변 공기가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C)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타이어(100)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타이어(100)의 주행중에 공기는 메인 돌기(181)와 서브 돌기(182) 사이에 배치된 유동 가이드홈(183)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 된다. 이때, 서브 돌기(182)의 높이가 메인 돌기(181)보다 낮으므로, 유동이 가이드된 공기는 서브 돌기(182)측으로 배출되어, 타이어의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즉, 유동 가이드홈(183)은 사이드월부(120)에 인접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되, 서브 돌기(182) 측으로 가이드된 신속하게 공기를 배출하여, 사이드월부(120)에 공기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이드월부(120)가 받는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돌기부(180)는 메인 돌기(181)와 서브 돌기(182)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메인 돌기(181)와 서브 돌기(182)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돌기부(180)는 10㎛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돌기부(180)의 길이(l), 메인 돌기(181)의 높이(h1)나, 서브 돌기(182)의 높이(h2)는 10㎛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돌기부(180)가 매우 작은 크기를 가져며, 타이어(100)가 받는 공력을 감소시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20)의 외측에 돌기부(180)가 배치되어, 타이어(100)의 주행시의 공기 저항력을 줄여서 연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기부(180)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C)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돌기 사이에 배치된 유동 가이드홈(183)을 따라서 공기가 이동하므로, 공기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20)의 외측에 크기가 다른 돌기가 배치되어, 공기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메인 돌기(181)의 양측에 서브 돌기(182)가 배치되며, 메인 돌기(181)의 크기가 서브 돌기(182)의 크기보다 크므로, 메인 돌기(181)와 서브 돌기(182) 사이에 배치된 유동 가이드홈(183)을 따라 공기가 이동하되, 높이가 낮은 서브 돌기(182)로 이동하는 공기가 쉽게 배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20)의 외측에 크기가 다른 돌기가 배치되어, 주행 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에서 생성되는 노이즈는 돌기부(180)에 의해서 간섭 및 산란되어,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의 사이드월부에는 크기가 다른 제1 돌기부(280)와 제2 돌기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부(280)와 제2 돌기부(290)는 전술한 돌기부(180)와 형상이 유사하고, 다만 크기 및 배치에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제1 돌기부(280)와 제2 돌기부(290)의 크기 및 배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돌기부(280)는 복수개가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원주 방향(C)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돌기부(280)는 트레드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원주 방향(C)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 메인 돌기(281)와, 제1 메인 돌기(281)보다 크기가 작으며, 제1 메인 돌기(281)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 돌기(28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돌기부(290)는 일측이 제1 돌기부(280)와 이웃되고, 타측이 비드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돌기부(290)는 원주 방향(C)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2 메인 돌기(291)와, 제2 메인 돌기(291)보다 크기가 작으며, 제2 메인 돌기(291)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 돌기(292)를 구비할 수 있다. 인접한 제1 서브 돌기(282)와 제2 서브 돌기(292)는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돌기부(280)는 제2 돌기부(290)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제1 메인 돌기(281)의 부피는 제2 메인 돌기(291)의 부피보다 크고, 제1 서브 돌기(282)의 부피는 제2 메인 돌기(291)의 부피보다 클 수 있다.
트레드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돌기부(280)의 부피가 비드부(130)에 인접한 제2 돌기부(290)보다 커서, 타이어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타이어의 주행중에 트레드부(110)에 인접한 사이드월부(120)에서 강한 공기 유동이 생성되고, 비드부(130)에 인접한 사이드월부(120)는 상대적으로 약한 공기 유동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제1 돌기부(28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트레드부(110)에 인접한 사이드월부(120)에서 강한 공기 유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타이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타이어(300)의 사이드 월부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8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패턴을 가지는 돌기 유닛(380)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부(180)가 그룹화 되어 돌기 그룹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돌기 그룹이 패턴화 되어 돌기 유닛(380)을 형성할 수 있다. 돌기 유닛(380)은 사이드월부(1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8개의 돌기 유닛(u1, u2, u3, u4, u5, u6, u7, u8)에 의해서 사이드월부(120)에 패턴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이드월부(1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돌기부(180)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돌기부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타이어(300)는 복수개의 돌기부(180)가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돌기 그룹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돌기 그룹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돌기 유닛(380)이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돌기 그룹은 복수개의 돌기부(180)가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고, 돌기 유닛은 복수개의 돌기 그룹이 같은 배열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돌기부(180)는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어, 돌기 그룹을 형성한다. 돌기부(180)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열을 형성하고, 상기 열의 양측에는 이격된 공간에 돌기부(180)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돌기 그룹은 4개의 돌기부(180)가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3개의 돌기부(180)가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 예로, 10개의 돌기부(180)가 하나의 돌기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돌기 그룹은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어, 돌기 유닛(380)을 형성한다. 돌기 그룹은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열을 형성하고, 상기 열의 양측에는 이격된 공간에 돌기 그룹이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돌기 유닛(380)은 7개의 돌기부(18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유닛(380)은 3개의 돌기 그룹(g1, g5, g7)이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측에는 2개의 돌기 그룹(g2, g4)가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타측에는 2개의 돌기 그룹(g3, g6)가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돌기 유닛(380)은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보면, u1, u2의 돌기 유닛이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측에 u3 및 u4의 돌기 유닛이 배치되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타이어(300)는 돌기부(180)가 프랙탈 배열로 돌기 그룹을 형성하고, 돌기 그룹이 프랙탈 배열로 돌기 유닛(380)을 형성하며, 돌기 유닛(380)이 프랙탈 배열로 사이드월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는 복수개의 돌기부(180)가 패턴화된 배열을 형성하여, 타이어(300)의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부가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어 돌기 그룹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돌기 그룹이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어 돌기 유닛을 형성하므로, 타이어(300)의 주행 중에 사이드월부(120)에 인접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월부
130: 비드부
180: 돌기부
181: 메인 돌기
182: 서브 돌기
183: 유동 가이드홈

Claims (11)

  1.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연장되는 비드부; 및
    복수개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돌기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패턴을 형성하는 돌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유닛은 3개의 돌기 그룹이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측에는 2개의 돌기 그룹이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타측에는 2개의 돌기 그룹이 하나의 열로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메인 돌기; 및
    상기 메인 돌기보다 크기가 작으며, 상기 메인 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서브 돌기;를 구비하는, 타이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기는
    높이가 상기 서브 돌기의 높이 보다 큰, 타이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인 돌기의 경사면과 상기 서브 돌기의 경사면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유동 가이드홈;을 가지는, 타이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돌기부가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돌기 그룹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돌기 그룹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돌기 유닛이 배열되는, 타이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그룹은 복수개의 상기 돌기부가 기 설정된 배열로 배치되고,
    상기 돌기 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돌기 그룹이 상기 배열에 따라 배치되는, 타이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유닛은
    상기 사이드월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타이어.
KR1020190179533A 2019-12-31 2019-12-31 타이어 KR102278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533A KR102278587B1 (ko) 2019-12-31 2019-12-31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533A KR102278587B1 (ko) 2019-12-31 2019-12-31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941A KR20210085941A (ko) 2021-07-08
KR102278587B1 true KR102278587B1 (ko) 2021-07-16

Family

ID=7689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533A KR102278587B1 (ko) 2019-12-31 2019-12-31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1024A (ja) * 2017-02-14 2018-08-2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突起部材およびタイヤ用突起部材の取付方法
JP2018154303A (ja) * 2017-03-21 2018-10-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1024A (ja) * 2017-02-14 2018-08-2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突起部材およびタイヤ用突起部材の取付方法
JP2018154303A (ja) * 2017-03-21 2018-10-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941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4358A1 (en) Pneumatic tire
KR102278587B1 (ko) 타이어
KR10208295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2600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3681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9037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8295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425078B1 (ko) 타이어
KR102304425B1 (ko) 타이어
KR102318398B1 (ko) 타이어
KR10211810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9707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82620B1 (ko) 공기입 타이어의 비드코어 제조방법
KR102185303B1 (ko) 휠 조립체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94013B1 (ko) 타이어
KR102350629B1 (ko)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4424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KR102291034B1 (ko) 타이어
KR102304430B1 (ko) 타이어
KR102605834B1 (ko) 타이어
KR102267436B1 (ko) 스노우 타이어
KR10211331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568639B1 (ko) 타이어
KR102113315B1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