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816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816B1
KR102136816B1 KR1020180129335A KR20180129335A KR102136816B1 KR 102136816 B1 KR102136816 B1 KR 102136816B1 KR 1020180129335 A KR1020180129335 A KR 1020180129335A KR 20180129335 A KR20180129335 A KR 20180129335A KR 102136816 B1 KR102136816 B1 KR 102136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tire
protrusion
transverse groove
height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196A (ko
Inventor
김우강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8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41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 B60C11/005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with cap and b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0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tread rubber
    • B60C2011/0016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 B60C2011/0033Thickness of the t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며, 차량의 주행시에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월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그루브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그루브에서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횡 그루브의 저면은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차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그 목적으로 하는 승차감, 소음, 조종성, 배수성 등의 성능을 초기에 최대한 발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타이어에 있어서, 그 기본성능인 드라이 트랙션 성능, 웨트 트랙션 성능, 소음 성능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트레드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종만입부와,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횡만입부를 구비하며, 만입부들에 의해 다수의 트레드 블록이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일반적인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110)에는 제1 메인 그루브(111), 제2 메인 그루브(112)를 구비하고, 제1 메인 그루브(111)와 제2 메인 그루브(112) 사이나, 제2 메인 그루브(112)에서 사이드월을 향하여 횡 그루브가 형성된다. 보통 횡 그루브의 저면은 메인 그루브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메인 그루브와 같은 깊이(D)를 가진다.
사이드월에 인접한 트레드부의 아래에는 벨트층(150)을 커버하기 위해서 캡 플라이(160)가 배치되나, 횡 그루브의 깊이도 깊게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약하다. 즉, 트레드부에 의해서 커버되는 두께가 얇으므로, 벨트층(150)과 캡 플라이(160)는 주행 시에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비 개선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주행시에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월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그루브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그루브에서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횡 그루브의 저면은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차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횡 그루브는 저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횡 그루브의 길이방향을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교번하게 배치되는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 그루브는 이웃하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 사이의 단차는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상기 횡 그루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의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복수개가 상기 횡 그루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의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횡 그루브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그루브와 연결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 그루브의 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드부는 아래에 배치되는 벨트층을 커버하는 캡 플라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캡 플라이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차량의 주행시에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월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그루브, 및 상기 메인 그루브에서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며 저면에 단차를 가지는 횡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횡 그루브는 상기 메인 그루브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그루브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에서 함몰된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1 함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함몰부에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의 높이 차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의 높이 차이보다 크게 형성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횡 그루브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를 연결하고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는 제1a 경사부, 및 상기 제1 함몰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승하는 경사를 가지는 제2a 경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a 경사부의 길이는 상기 제2a 경사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a 경사부의 높이는 상기 제2a 경사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벨트층의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횡 그루브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벨트층에서 발생되는 변형 에너지를 최소화 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횡 그루브에 볼록한 돌출부와 오목한 함몰부를 교번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이드월과 인접한 트레드 블록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핸들링 성능,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을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양측로부터 연장된 사이드월(120), 및 사이드월(120)의 단부에 구비되는 비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140)와 벨트층(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층(150)의 상부에는 캡 플라이(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와 한 쌍의 사이드월(120)들 내측에 위치하여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17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복수개의 만입부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공기입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메인 그루브와, 공기입 타이어(100)의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횡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 블록(TB)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100a)는 블록에 형성되며, 만입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100a)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내부에 바디 플라이(140), 벨트층(150), 캡 플라이(160) 및 이너라이너(170)가 포함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공기입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 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타이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벨트층(150)은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트레드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층(15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 플라이(14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벨트층(151)과, 제1 벨트층(151)의 상면에 배치된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트레드부(110)와 벨트층(150) 사이에 배치된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 위에 부착되는 특수 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과 바디 플라이(140)에 지지되어, 주행시에 벨트층(15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공기입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 플라이(140)의 아래에 배치되어 비드부(1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 플라이(1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공기입 타이어(100)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되는 비드 코어(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로부터 사이드월(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확대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1 메인 그루브(111)와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제2 메인 그루브(112)를 구비한다. 제2 메인 그루브(112)의 외측에서 사이드월(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횡 그루브(200)는 다른 부분에서의 제1 횡 그루브 보다 높이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제1 메인 그루브(111)의 사이에 배치된 제1 횡 그루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의 깊이를 가져, 이웃하는 제1 메인 그루브(111)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제1 메인 그루브(111)와 제2 메인 그루브(112) 사이도 D의 깊이를 가져, 제1 메인 그루브(111)와 제2 메인 그루브(112)를 연결한다. D의 깊이는 메인 그루브들의 깊이와 같으므로, 상기 제1 횡 그루브들은 제1 메인 그루브(111)와 제2 메인 그루브(112)의 깊이와 같게 형성된다.
그러나, 제2 메인 그루브(112)에서 사이드월(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횡 그루브(200)는, 즉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2 횡 그루브(200)는 D보다 적은 깊이를 가진다. 제2 횡 그루브(200)는 일정한 깊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와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부가 교번하면서 배치된다. 이로써, 제2 횡 그루브(200)의 저면에는 사이드월(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차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횡 그루브(200)는 돌출 유닛(210)과 함몰 유닛(220)을 구비한다.
돌출 유닛(210)은 제2 횡 그루브(200)의 저면에서 돌출되며, 제2 횡 그루브(200)를 따라 배치된다. 돌출부의 개수는 특정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돌출 유닛(210)이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돌출 유닛(210)은 제1 돌출부(211), 제2 돌출부(212) 및 제3 돌출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11)는 제2 메인 그루브(112)와 연결되며, 제2 메인 그루브(112)의 저면에서 T1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211)에 의해서 제2 메인 그루브(112)와 제2 횡 그루브(200) 사이에는 둔턱이 형성된다. 제2 돌출부(212)는 제1 돌출부(211)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 함몰부(221)와 연결되며, T2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제3 돌출부(213)는 제2 돌출부(212)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함몰부(222)와 연결되며, T3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함몰 유닛(220)은 제2 횡 그루브(200)를 따라 배치되며, 제2 횡 그루브(200)의 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다. 다만, 함몰 유닛(220)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보다 돌출된 높이는 적어서 상대적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함몰부의 개수는 특정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함몰 유닛(220)이 2개의 함몰부를 구비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함몰 유닛(220)은 제1 함몰부(221) 및 제2 함몰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함몰부(221)는 제1 돌출부(211)와 제2 돌출부(212) 사이에 배치되며, t1의 높이를 가진다. 제2 함몰부(222)는 제2 돌출부(212)와 제3 돌출부(213) 사이에 배치되며, t2의 높이를 가진다.
돌출 유닛(210)의 돌출부와 함몰 유닛(220)의 함몰부는 제2 횡 그루브(200)를 따라 교번하도록 배치되며,
돌출 유닛(210)의 돌출부는 복수개가 제2 횡 그루브(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의 돌출부의 높이는 사이드월(120)을 향하여 줄어들게 형성된다. 즉, 돌출부의 돌출량은 제2 횡 그루브(200)에서 사이드월(120)을 향할수록 줄어들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돌출 유닛(210)의 제1 돌출부(211)의 높이(T1)는 제2 돌출부(212)의 높이(T2)보다 크고, 제2 돌출부(212)의 높이(T2)는 제3 돌출부(213)의 높이(T3)보다 크다. 또한, 돌출 유닛(210)이 돌출부를 4개 이상 구비한다면, 사이드월(120)을 향할수록 제2 횡 그루브(200)의 저면에 수렴하도록 돌출부의 높이가 줄어들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제1 돌출부(211)의 높이(T1)는 D/2이고, 제2 돌출부(212)의 높이(T2)는 D/3이며, 제3 돌출부(213)의 높이(T3)는 D/6일 수 있다.
함몰 유닛(220)의 함몰부는 복수개가 제2 횡 그루브(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의 함몰부의 높이는 사이드월을 향하여 줄어들게 형성된다. 즉, 함몰부의 돌출량은 제2 횡 그루브(200)에서 사이드월(120)을 향할수록 줄어들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함몰 유닛(220)의 제1 함몰부(221)의 높이(t1)는 제2 함몰부(222)의 높이(t2)보다 크다. 또한, 함몰 유닛(220)이 함몰부를 3개 이상 구비한다면, 사이드월(120)을 향할수록 제2 횡 그루브(200)의 저면에 수렴하도록 함몰부의 높이가 줄어들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제1 함몰부(221)의 높이(t1)는 D/4이고, 제2 함몰부(222)의 높이(t2)는 D/9일 수 있다.
돌출 유닛(210)과 함몰 유닛(220)의 사이에는 경사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경사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돌출부와 함몰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승방향이나 하강 방향으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경사 유닛은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는 제1a 경사부(231)와 제1b 경사부(233)를 가지고, 상승하는 경사를 가지는 제2a 경사부(232)와 제2b 경사부(234)를 가질 수 있다.
제1a 경사부(231)는 제1 돌출부(211)와 제1 함몰부(221) 사이를 연결하고 하강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b 경사부(233)는 제2 돌출부(212)와 제2 함몰부(222) 사이를 연결하고 하강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a 경사부(232)는 제1 함몰부(221)와 제2 돌출부(212) 사이를 연결하고 상승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b 경사부(234)는 제2 함몰부(222)와 제3 돌출부(213) 사이를 연결하고 상승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경사 유닛은 하강하는 경사부의 길이가 상승하는 경사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a 경사부(231)의 슬로프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의 길이는 제2a 경사부(232)의 슬로프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b 경사부(233)의 슬로프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의 길이는 제2b 경사부(234)의 슬로프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 유닛은 하강하는 경사부의 높이가 상승하는 경사부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a 경사부(231)의 높이는 제1 돌출부(211)와 제1 함몰부(221) 사이의 단차로 d1을 가지고, 제2a 경사부(232)의 높이는 제1 함몰부(221)와 제2 돌출부(212) 사이의 단차로 d2를 가진다. 이때, d1은 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b 경사부(233)의 높이는 제2 돌출부(212)와 제2 함몰부(222) 사이의 단차로 d3을 가지고, 제2b 경사부(234)의 높이는 제2 함몰부(222)와 제3 돌출부(213) 사이의 단차로 d4를 가진다. 이때, d3은 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국, 하강하는 경사부가 형성하는 단차가 상승하는 경사부가 형성하는 단차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2 횡 그루브(200)에서 사이드월(120)로 갈수록 돌출량이 줄어들고, 돌출부와 함몰부 사이의 단차도 줄어들고 제2 횡 그루브(200)의 저면에 수렴하게 된다.
도 5를 보면, 캡 플라이(160)는 단부(161)가 벨트층(15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캡 플라이(160)는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에 의해서 형성된 단차를 커버하는 단차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단부(161)와 단차부(162)는 돌출 유닛(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단부(161)는 제2 돌출부(212)의 OL1 영역에서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2 돌출부(212)가 캡 플라이(160)의 단부(161)를 두껍게 커버할 수 있다.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은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므로, 양 층 사이에 변형 에너지가 발생한다. 캡 플라이(160)의 단부(161)는 배치상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보다 더 쉽게 변형될 수 있으나, 제2 돌출부(212)가 두껍게 커버하므로,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형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단차부(162)는 제3 돌출부(213)의 OL2 영역에서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3 돌출부(213)가 캡 플라이(160)의 단차부(162)를 두껍게 커버할 수 있다.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은 폭 방향으로의 길이 차에 의해서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에 의해서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돌출부(213)가 단차부(162)를 커버하므로, 제3 돌출부(213)가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형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6을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는 횡 그루브는 제1 메인 그루브(111)와 제2 메인 그루브(112)와 같인 깊이(D)를 가지고 사이드월 측으로 연장된다. 즉, 트레드부(110)에서 횡 그루브는 D의 깊이를 가지고, 돌출된 부분이나 함몰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
공기입 타이어(100)의 벨트층(150)은 서로 다른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으로 형성되므로,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 사이에는 변형이 쉽게 발생된다.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이 슬립되거나, 분리되어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및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은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므로, 벨트층(150)의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에서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의 결합력은 약하므로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에너지 손실에 의해서 연비 등의 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벨트층의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횡 그루브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벨트층에서 발생되는 변형 에너지를 최소화 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횡 그루브에 볼록한 돌출부와 오목한 함몰부를 교번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이드월과 인접한 트레드 블록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핸들링 성능,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기입 타이어
200: 제2 횡 그루브
210: 돌출 유닛
220: 함몰 유닛

Claims (12)

  1. 차량의 주행시에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월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그루브;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그루브에서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횡 그루브의 저면은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횡 그루브는
    저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횡 그루브의 길이방향을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교번하게 배치되는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는 복수개가 상기 횡 그루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의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줄어드는, 공기입 타이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횡 그루브는
    이웃하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 사이의 단차는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갈수록 줄어드는, 공기입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상기 횡 그루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의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줄어드는, 공기입 타이어.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횡 그루브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그루브와 연결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 그루브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아래에 배치되는 벨트층을 커버하는 캡 플라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캡 플라이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9. 차량의 주행시에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월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그루브; 및
    상기 메인 그루브에서 상기 사이드월을 향하여 연장되되 저면에 단차를 가지는 횡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횡 그루브는
    상기 메인 그루브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그루브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에서 함몰된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1 함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함몰부에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의 높이 차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의 높이 차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횡 그루브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를 연결하고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는 제1a 경사부; 및
    상기 제1 함몰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승하는 경사를 가지는 제2a 경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a 경사부는
    길이가 상기 제2a 경사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거나, 높이가 상기 제2a 경사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29335A 2018-10-26 2018-10-26 공기입 타이어 KR102136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35A KR102136816B1 (ko) 2018-10-26 2018-10-26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35A KR102136816B1 (ko) 2018-10-26 2018-10-26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96A KR20200047196A (ko) 2020-05-07
KR102136816B1 true KR102136816B1 (ko) 2020-07-23

Family

ID=7073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35A KR102136816B1 (ko) 2018-10-26 2018-10-26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291B1 (ko) * 2020-05-27 2021-12-2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숄더부 강화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7455A (ja) * 2001-08-03 2004-12-16 ブリヂストン/フアイヤーストーン・ノース・アメリカン・タイヤ・エルエルシー テーパ付きタイバーを有する空気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128B2 (ja) * 1992-04-08 2000-05-15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タイヤの石噛み込み防止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7455A (ja) * 2001-08-03 2004-12-16 ブリヂストン/フアイヤーストーン・ノース・アメリカン・タイヤ・エルエルシー テーパ付きタイバーを有する空気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96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183B2 (en) Tread with an improved drainage space
RU2456168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2006273240A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KR102136816B1 (ko) 공기입 타이어
CN111572285B (zh) 充气轮胎
US20200298627A1 (en) Pneumatic tire
JP478544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22003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8295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8295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2365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94013B1 (ko) 타이어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1810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5384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9707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85303B1 (ko) 휠 조립체
KR10220546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1331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605834B1 (ko) 타이어
KR102425078B1 (ko) 타이어
KR10211331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82620B1 (ko) 공기입 타이어의 비드코어 제조방법
JP2019111931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14845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