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013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013B1
KR101894013B1 KR1020170107405A KR20170107405A KR101894013B1 KR 101894013 B1 KR101894013 B1 KR 101894013B1 KR 1020170107405 A KR1020170107405 A KR 1020170107405A KR 20170107405 A KR20170107405 A KR 20170107405A KR 101894013 B1 KR101894013 B1 KR 10189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yer
region
tire
tread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41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83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curvature of the tyr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0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tread rubber
    • B60C2011/0016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중첩 영역 및 상기 중첩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제1 영역에는 제1 고무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제2 고무층이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중첩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2 고무층이 상기 트레드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고무층의 제1 고무특성과 상기 제2 고무층의 제2 고무특성은 서로 다른,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종 트레드를 구비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그 목적으로 하는 승차감, 소음, 조종성, 배수성 등의 성능을 초기에 최대한 발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타이어에 있어서, 그 기본성능인 드라이 트랙션 성능, 웨트 트랙션 성능, 소음 성능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트레드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종그루브와,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횡그루브를 구비하며, 그루브들에 의해 다수의 트레드 블록이 형성된다.
한편, 차량의 고성능화에 따라 제동 및 핸들링 등 타이어 접지 성능 향상이 뛰어난 타이어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성능이 향상된 타이어는 웨트 그립(wet grip) 성능이 향상되지만, 연비 특성인 구름 저항 특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이 두 성능 모두를 구비하는 타이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모에 따라 이종 고무 재료의 접지 비율이 달라지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중첩 영역 및 상기 중첩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제1 영역에는 제1 고무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제2 고무층이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중첩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2 고무층이 상기 트레드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고무층의 제1 고무특성과 상기 제2 고무층의 제2 고무특성은 서로 다른,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은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고무층이 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트레드부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은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고무층이 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타이어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convexe)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타이어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concave)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고무층의 제1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상기 중첩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고무층의 제2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되,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의 합은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타이어가 림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외측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의 경도는 상기 제2 고무층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중첩 영역에서,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제2 고무층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중심 영역, 상기 중심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사이 및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중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는 제1 고무층이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중심 영역에는 상기 제1 고무층과 다른 고무특성을 갖는 제2 고무층이 배치되며, 상기 중첩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고무층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첩영역은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고무층이 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트레드부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첩영역은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고무층이 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서로 다른 고무특성을 갖는 제1 고무층과 제2 고무층이 중첩영역에서 중첩되도록 트레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모 정도에 따라 제1 고무층 또는 제2 고무층의 접촉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마모에 따라 타이어의 주(主) 성능에 변화를 줄 수 있다. 특히, 타이어는 웨트 그립 성능에 유리한 제1 고무층의 접촉 면적이 점점 더 커지도록 트레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그루브의 면적이 감소하여 저하되는 웨트 그립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선을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트레드부를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트레드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타이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선을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트레드부(110)를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사이드월부(120),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는 비드부(130) 및 카커스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와 한 쌍의 사이드월부(120)들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벨트층(24)과 카카스층(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트레드부(110)와 벨트층(24) 사이에는 캡 플라이(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월부(120)는 타이어(100)의 옆부분으로, 카카스층(40)을 보호하고, 타이어 (100)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20)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부(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되는 비드 코어(132) 및 비드 코어(132)에 부착된 비드 에이펙스(Apex,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카카스층(40)은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하며,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 충격 등을 견디고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카카스층(40)은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카카스층(40)은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와 카카스층(40) 사이의 벨트층(24)은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노면에 닿은 트레드부(110) 부위를 넓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레드부(110)와 카카스층(4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벨트층(24)은 스틸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와 벨트층(24) 사이에는 캡 플라이(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캡 플라이(27)는 벨트층(24) 위에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27)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23)는 튜브대신 타이어(100)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층으로,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23)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트레드부(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부(110)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원주방향 그루브와 원주방향 그루브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은 트레드부(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한편, 트레드부(110)는 중첩영역(B) 및 중첩영역(B)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의 제1 영역(A1)에는 제1 고무층(110A)이 배치되고, 제2 영역(A2)에는 제2 고무층(110B)이 배치될 수 있다. 중첩영역(B)에는 제1 영역(A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고무층(110A)과 제2 영역(A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고무층(110B)이 트레드부(11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레드부(110)는 중첩영역(B)에서 일부가 중첩되는 제1 고무층(110A) 및 제2 고무층(110B)을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무층(110A) 및 제2 고무층(110B)은 천연 고무(Natural Rubber, NR),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olution-Styrene Butadiene Rubber, SBR) 및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 B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고무층(110A)의 제1 고무특성과 제2 고무층(110B)의 제2 고무특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A1)에 배치되는 제1 고무층(110A)은 웨트 그립(wet grip) 성능 또는 배수 기능이 높은 제1 고무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A2)에 배치되는 제2 고무층(110B)은 제동성능 및/또는 핸들링 성능이 높은 제2 고무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무층(110A)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찰력은 제2 고무층(110B)의 히스테리시스 마찰력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1 고무층(110A)의 경도는 제2 고무층(110B)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1)은 타이어(100)가 차량의 림(Rim)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외측(O)에 대응되며, 제2 영역(A2)은 차량의 내측(I)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제2 고무층(110B)을 이용하여 제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1 고무층(110A)을 이용하여 배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캠버각(camber angle)과 같은 차량의 특성에 따라 제1 고무층(110A)과 제2 고무층(110B)의 위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타이어(100)는 사용에 의해 마모가 되는데 이로 인하여 트레드 블록에 구비되는 그루브들의 면적이 작아지며, 그루브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배수기능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마모에 따라 낮아지는 배수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1 고무층(110A)과 제2 고무층(110B)이 타이어(10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중첩되는 중첩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중첩영역(B)은 제1 고무층(110A)과 제2 고무층(110B)이 접하는 접촉면(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접촉면(P)은 트레드부(110)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고무층(110A)은 제2 고무층(110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중첩영역(B)에 배치된 제1 고무층(110A)의 제1 두께(t1)는 제1 영역(A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중첩영역에 배치된 제2 고무층(110B)의 제2 두께(t2)는 제2 영역(A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중첩영역(B)에서 제1 고무층(110A)의 제1 두께(t1) 및 제2 고무층(110B)의 제2 두께(t2)는 폭방향을 따라 달라지지만,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의 합은 폭방향에 대하여 일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영역(A1), 중첩영역(B) 및 제2 영역(A2)에서의 트레드부(110)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타이어(100)는 초기 접지면에서 제2 고무층(110B)의 면적 비율이 제1 고무층(110A)보다 크게 된다. 그러나,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트레드부(110)의 중첩영역(B)에 의해 제1 고무층(110A)의 면적 비율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제1 고무층(110A)은 웨트 그립 성능이 높은 고무특성을 가지므로,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배수 성능에 좀 더 유리해질 수 있으며, 마모에 의해 그루브 면적이 작아짐에 따른 배수 성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트레드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촉면(P)이 경사면이 아닌 일정한 곡률 반경(R1)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면(P)이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제1 고무층(110A)과 제2 고무층(110B)의 면적 비율은 일정하게 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촉면(P)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와 같이, 접촉면(P)은 타이어(100)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convexe) 곡면일 수 있다. 마모 정도가 동일한 경우 접촉면(P)이 경사면일 때보다 볼록한 곡면일 때, 제1 고무층(110A)의 면적의 증가 비율이 더 클 수 있다. 반대로, 도 5에서와 같이, 접촉면(P)은 타이어(100)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concave) 곡면일 수도 있다. 마모 정도가 동일한 경우 접촉면(P)이 경사면일 때보다 오목한 곡면일 때, 제1 고무층(110A)의 면적의 증가 비율이 더 작을 수 있다.
접촉면(P)의 형상은 타이어(100)의 종류, 트레드블록의 패턴 형태, 그루브의 깊이 및 형태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루브의 경사각도가 커서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배수 성능이 빠르게 저하되는 타이어(100)의 경우에 접촉면(P)은 타이어(100)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를 통해 배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빠르게 보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촉면(P)은 제1 영역(A1)에 인접하며 제1 곡률반경(R3)을 갖는 제1 곡면(P1)과, 제2 영역(A2)에 인접하며 제2 곡률반경(R4)을 갖는 제2 곡면(P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면(P1)은 타이어(100)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 곡면이며, 제2 곡면(P2)은 타이어(100)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이 경우, 마모가 일정 정도 진행되는 경우, 제2 고무층(110B)의 면적이 천천히 감소하므로 타이어(100)는 핸들링 성능에 더 유리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마모가 일정 정도보다 더 마모되는 경우 제1 고무층(110A)의 면적이 급속히 증가하므로 타이어(100)는 배수 성능을 빨리 보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면(P)은 타이어(10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L)과 만나지 않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의 경우에는 트레드부(110)의 중첩영역(B)은 중심선(CL)이 지나가는 위치에 배치되었으나, 도 7의 경우 중첩영역(B)을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할 수 있다. 타이어(100)는 접촉면(P)에 중심선(CL)이 지나가지 않도록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함으로써, 접지면에서의 제1 고무층(110A) 및 제2 고무층(110B) 중 어느 하나의 면적을 다른 하나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이어(100)는 핸들링 성능 및 웨트 그립 성능 중 어느 하나의 성능을 타이어(100)의 기본 성능인 주(主) 성능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부 성능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첩영역(B)에 대한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중첩영역(B)이 타이어(100)의 내측(I)으로 치우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110-1)를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10-1)는 중심영역(CA), 중심영역(CA)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하고, 중심영역(CA)과 제1 영역(A1)의 사이 및 중심영역(CA)과 제2 영역(A2)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첩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1)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는 제1 고무층(110A)이 배치되고, 중심영역(CA)에는 제1 고무층(110A)과 다른 고무특성을 갖는 제2 고무층(110B)이 배치될 수 있다. 중첩영역(B)에는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A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고무층(110A)과 중심영역(C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고무층(110B)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고무층(110A)의 제1 고무특성과 제2 고무층(110B)의 제2 고무특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A1)에 배치되는 제1 고무층(110A)은 웨트 그립(wet grip) 성능 또는 배수 기능이 높은 제1 고무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A2)에 배치되는 제2 고무층(110B)은 제동성능 및/또는 핸들링 성능이 높은 제2 고무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무층(110A)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찰력은 제2 고무층(110B)의 히스테리시스 마찰력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1 고무층(110A)의 경도는 제2 고무층(110B)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중첩영역(B)은 제1 고무층(110A)과 제2 고무층(110B)이 접하는 접촉면(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촉면(P)은 트레드부(110)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9에서와 마찬가지로 접촉면(P)은 일정한 곡률 반경(R5)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접촉면(P)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제1 고무층(110A)과 제2 고무층(110B)의 면적비율이 일정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접촉면(P)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제1 고무층(110A)의 면적 및 제2 고무층(110B)의 면적 중 어느 하나의 증가 비율이 더 클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접촉면(P)을 타이어의 내부를 향하는 오목면으로 도시하였으나, 타이어(100)의 외부를 향하는 볼록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중첩영역(B)은 중심영역(CA)의 양측에 배치되며, 접촉면(P)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는 제2 고무층(110B)을 중심영역(CA)에 포함되도록 배치시키고, 양측에 제2 고무층(110B)과 다른 고무특성을 갖는 제1 고무층(110A)을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제로 캠버각(zero camber angle)을 갖는 경우, 타이어(100)의 중심선(CL) 근처에서 핸들링 성능에 유리한 제2 고무층(110B)을 배치시키고, 트레드부(110)의 다른 부분에는 연비 성능에 유리한 제1 고무층(110A)을 배치시킴으로써, 타이어(100)가 두 가지 성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제1 고무층(110A)의 접지 비율이 제2 고무층(110B)의 접지 비율보다 더 커지므로, 배수 성능을 보완하여 연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서로 다른 고무특성을 갖는 제1 고무층과 제2 고무층이 중첩영역에서 중첩되도록 트레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모 정도에 따라 제1 고무층 또는 제2 고무층의 접촉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마모에 따라 타이어의 주(主) 성능에 변화를 줄 수 있다. 특히, 타이어는 웨트 그립 성능에 유리한 제1 고무층의 접촉 면적이 점점 더 커지도록 트레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그루브의 면적이 감소하여 저하되는 웨트 그립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타이어
110-1: 트레드부
110A: 제1 고무층
110B: 제2 고무층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월부
130: 비드부

Claims (12)

  1.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중첩 영역 및 상기 중첩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제1 영역에는 제1 고무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제2 고무층이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중첩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2 고무층이 상기 트레드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고무층의 제1 고무특성과 상기 제2 고무층의 제2 고무특성은 서로 다르며,
    상기 중첩영역은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고무층이 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제1 곡률반경을 갖고 상기 타이어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 제1 곡면과, 제2 곡률반경을 갖고 상기 타이어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제2 곡면을 포함하는,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고무층의 제1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상기 중첩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고무층의 제2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되,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의 합은 일정한, 타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타이어가 림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외측에 대응되는, 타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의 경도는 상기 제2 고무층의 경도보다 낮은,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중첩 영역에서,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제2 고무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타이어.
  10.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중심 영역;
    상기 중심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사이 및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중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는 제1 고무층이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부의 상기 중심 영역에는 상기 제1 고무층과 다른 고무특성을 갖는 제2 고무층이 배치되며,
    상기 중첩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고무층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첩영역은 상기 제1 고무층과 상기 제2 고무층이 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제1 곡률반경을 갖고 상기 타이어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 제1 곡면과, 제2 곡률반경을 갖고 상기 타이어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제2 곡면을 포함하는, 타이어.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07405A 2017-08-24 2017-08-24 타이어 KR10189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05A KR101894013B1 (ko) 2017-08-24 2017-08-24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05A KR101894013B1 (ko) 2017-08-24 2017-08-24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013B1 true KR101894013B1 (ko) 2018-08-31

Family

ID=6340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05A KR101894013B1 (ko) 2017-08-24 2017-08-24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3343A1 (en) * 2020-09-01 2022-03-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asymmetrical tread with reduced shoulder heat gen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2104A (ja) * 1988-12-14 1990-06-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タイヤ
JP2008179303A (ja) * 2007-01-25 2008-08-07 Bridgestone Corp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2013189183A (ja) * 2012-02-15 2013-09-26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3199154A (ja) * 2012-03-23 2013-10-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2104A (ja) * 1988-12-14 1990-06-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タイヤ
JP2008179303A (ja) * 2007-01-25 2008-08-07 Bridgestone Corp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2013189183A (ja) * 2012-02-15 2013-09-26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3199154A (ja) * 2012-03-23 2013-10-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3343A1 (en) * 2020-09-01 2022-03-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asymmetrical tread with reduced shoulder heat gen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2443B2 (en) Pneumatic tire
US20120160380A1 (en) Motorcycle tire
US9937755B2 (en) Motorcycle tire
WO2017038109A1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1032373A (zh) 充气轮胎
US20100006196A1 (en) Pneumatic tire
KR101894013B1 (ko) 타이어
WO2017043227A1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6093069A1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9198333A1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08195101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5384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8295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01984B1 (ko) 타이어
US20200189322A1 (en) Tire tread
JPS6226105A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07285302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379523B1 (ko) 비대칭 트레드 패턴의 공기입 타이어
KR102113315B1 (ko) 공기입 타이어
KR20180012532A (ko) 탈부착형 림 프로텍터 및 이를 구비한 타이어
JP202010899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001542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0015411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90372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605834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