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950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950B1
KR102082950B1 KR1020180094619A KR20180094619A KR102082950B1 KR 102082950 B1 KR102082950 B1 KR 102082950B1 KR 1020180094619 A KR1020180094619 A KR 1020180094619A KR 20180094619 A KR20180094619 A KR 20180094619A KR 102082950 B1 KR102082950 B1 KR 10208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sidewall
disposed
cap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039A (ko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9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60C15/065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cords in the respective bead reinforc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60C15/0635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using chippers between the carcass layer and chafer rubber wrapped around the b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서 연장된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구비된 비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사이드월부를 따라 연장되는 비드 필러와, 상기 비드 필러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로 구성된 비드 번들, 및 상기 비드 번들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에 상기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가 배치되는 비드 캡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타이어의 비드부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림과 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고속 주행 시, 타이어는 열이 발생하고, 굴신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비드부와 림의 접촉면이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와 림의 접촉면 변화는 고속 주행 시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의 성능에 변화를 가져와 성능의 급격한 열화를 초래할 수 있고, 비드 이탈이 발생할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부의 변형이 커져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의 크기도 커짐에 따라 고속 내구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림 장착성 향상을 위해 타이어의 비드부 형상을 변경하거나, 림 쿠션의 재질을 변경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기존의 구조들은 만족할 만한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속 주행시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림 장착성 향상 및 유동성을 감소시킨 타이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안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서 연장된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구비된 비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사이드월부를 따라 연장되는 비드 필러와, 상기 비드 필러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로 구성된 비드 번들, 및 상기 비드 번들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에 상기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가 배치되는 비드 캡;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드 캡은 상기 비드 와이어와 상기 비드 필러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 캡은 상기 비드 와이어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비드 필러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측벽,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비드 필러의 외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측벽은 제1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경사각과 다른 제2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 캡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된 제2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커넥터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 캡은 상기 제1 측벽의 단부에서 상기 비드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단, 및 상기 제2 측벽의 단부에서 상기 비드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및 상기 비드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비드부에서 턴업되어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상기 비드 필러, 상기 비드 와이어 및 상기 비드 캡이 배치되는 바디 플라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 캡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제1 비드 와이어가 제1 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층 위에는 복수개의 제2 비드 와이어가 제2 층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층의 제1 비드 와이어의 개수가 상기 제2 층의 상기 제2 비드 와이어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장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비드 번들을 감싸도록 비드 캡이 배치되어, 비드 번들의 위치를 설정 할 수 있다. 비드 캡은 비드 번들의 유동성을 감소시켜서 공기입 타이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 캡은 비드 번들의 저면에 배치된 비드 와이어의 개수를 줄여서,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비드 번들의 유동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드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드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양측로부터 연장된 사이드월부(120), 및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는 비드(bead)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140)와 벨트층(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층(150)의 상부에는 캡 플라이(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와 한 쌍의 사이드월부(120)들 내측에 위치하여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17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복수개의 그루브(115)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공기입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와, 공기입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 블록(TB)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내부에 바디 플라이(140), 벨트층(150), 캡 플라이(160) 및 이너라이너(170)가 포함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공기입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 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타이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므로, 바디 플라이(14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 비드 번들(131), 비드 필러(132) 및 비드 캡(10)이 배치된다. 즉, 비드 캡(10)은 바디 플라이(140)와 접촉을 유지한다.
바디 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바디 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벨트층(150)은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트레드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층(15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너라이너(17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벨트층(151)과, 제1 벨트층(151)의 상면에 배치된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트레드부(110)와 벨트층(150) 사이에 배치된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 위에 부착되는 특수 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과 바디 플라이(140)에 지지되어, 주행시에 벨트층(15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공기입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 플라이(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비드부(1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 플라이(1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비드부(130)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공기입 타이어(100)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고무가 코팅된 Steel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되는 비드 번들(131)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번들(131)는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C)가 그룹화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드 번들(131)는 비드 필러(13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드 번들(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번들(131)로부터 사이드월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번들(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번들(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비드 캡(10)은 비드 번들(131)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드 캡(10)은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C)의 외측을 지지하여, 비드 와이어(C)가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비드 캡(10)은 비드 번들(131)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C)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 캡(10)은 바디 플라이(14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으며, 바디 플라이(140)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한다. 또한, 비드 캡(10)의 내부에는 비드 와이어(C) 사이에 충전재나 보강재가 배치될 있다.
비드 캡(10)은 비드 번들(131)의 저면과 양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타이어의 림 방향을 따라 일주할 수 있다. 비드 캡(10)은 비드 번들(131)와 비드 필러(132)가 연결되는 영역에 개방될 수 있다. 즉, 비드 캡(10)은 비드 번들(131)와 비드 필러(132)가 연결되는 영역에 개구를 가져서, 비드 번들(131)와 비드 필러(132)는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드 캡(10)은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C)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비드부(130)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 되는 비드 와이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비드 캡(1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가 배치되어 제1 비드 와이어층을 형성하고, 제1 비드 와이어층 위에는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가 배치되어 제2 비드 와이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드 와이어층에서 비드 와이어의 개수는 제2 비드 와이어층에서 비드 와이어의 개수보다 적게 배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비드 와이어층의 비드 와이어의 개수는 3개이고 제2 비드 와이어층에서 비드 와이어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종래의 비드부는 비드 번들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지 않으므로, 비드 번들을 특정한 설정 위치로 배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비드 번들을 고정할 수 없으므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공정 중에 비드 와이어의 위치가 변경되고, 주행시에 비드 와이어의 위치가 이동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비드 와이어를 비드부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 하기 위해서, 가장 저면에서의 비드 번들의 개수가 가장 많고, 그 위로 갈수로 개수가 줄어 들었다. 이러한 종래의 비드 번들의 배치 구조에서는 비드 번들의 분리(separation)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비드 번들의 저면은 차량의 휠과 가장 인접한 부분이므로, 주행 중에 발생하는 휠의 마찰 및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비드 번들의 저면에서의 개수가 증가하면, 주행 중에 비드 와이어의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여 비드 번들이 변화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는 비드 번들(131)을 감싸도록 비드 캡(10)이 배치되어, 비드 와이어(C)의 위치를 설정 할 수 있다. 비드 캡(10)은 비드 와이어(C)의 유동성을 감소시켜서 공기입 타이어(10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 캡(10)은 비드 번들(131)의 저면에 배치된 비드 와이어의 개수를 줄여서,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비드 와이어의 유동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드 캡(1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드 캡(10)은 비드 번들(131)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11)와,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측벽(12) 및 제2 측벽(1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비드 캡(10)은 베이스(11)와 제1 측벽(12)을 연결하는 제1 커넥터(14)를 구비하고, 베이스(11)와 제2 측벽(13)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15)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1)는 비드 번들(131)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베이스(11)에는 제1 비드 와이어층과 접촉할 수 있으며, 베이스(11)의 양단에는 만곡된 제1 커넥터(14)와 제2 커넥터(15)가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벽(12)은 비드 필러(132)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측벽(12)은 비드부(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2)은 베이스(11)에 대해서 제1 경사각(α)을 가질 수 있다.
제2 측벽(13)은 비드 필러(132)의 외측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측벽(13) 비드부(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13)은 베이스(11)에 대해서 제2 경사각(β)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벽(12)과 제2 측벽(13)은 베이스(11)에 대해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12)과 제2 측벽(13) 사이의 거리는 비드부(130)의 상부로 거리가 좁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각(α)은 제2 경사각(β)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경사각(α)은 제2 경사각(β)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경사각(α)은 60도 이상이고 90도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경사각(β)은 80도 이상이고 100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측벽(12)은 비드부(13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비드부(130)의 내측단 (즉, Heel)의 형상과 유사하게 높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측벽(13)은 비드부(13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비드부(130)의 외측단(즉, Toe)의 형상과 유사하게 낮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넥터(14)와 제2 커넥터(15)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넥터(14)는 베이스(11)와 제1 측벽(12)을 연결하고 제1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커넥터(15)는 베이스(11)와 제2 측벽(13)을 연결하고 제2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곡률반경은 제2 곡률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비드 캡(10)은 양 측벽이 서로 비대칭 되도록 배치되므로, 비드 와이어(C)를 더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 비대칭인 측벽이 비드 캡(10)을 더 강하게 지지하므로, 주행 중에 비드 번들(131)가 분리되거나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드 캡(10a)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드 캡(10a)은 양측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단(12a)은 제1 측벽(12)에서 비드부(130)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제2 지지단은 제2 측벽(13)에서 비드부(13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단(12a)과 제2 지지단(13a)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비드 와이어(C)의 유동성을 줄일 수 있다. 특히, 타이어 제조 공정 중에서 비드 와이어(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비드 와이어(C)가 비드 캡(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비드 캡
100: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월부
130: 비드부
131: 비드 와이어
132: 비드 필러

Claims (9)

  1.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서 연장된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구비된 비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사이드월부를 따라 연장되는 비드 필러;
    상기 비드 필러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로 구성된 비드 번들; 및
    상기 비드 번들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에 상기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가 배치되는며, 상기 비드 와이어 사이에 충전재나 보강재가 배치되는 비드 캡;을 구비하는며,
    상기 비드 캡은
    상기 비드 와이어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비드 필러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측벽;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비드 필러의 외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단부에서 상기 비드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가장자리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비드 와이어를 가력하는 제1 지지단; 및
    상기 제2 측벽의 단부에서 상기 비드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가장 자리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비드 와이어를 가력하는 제2 지지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단과 상기 제2 지지단 사이는 상기 비드 필러와 접촉하도록 개방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비드 필러로 향하여 좁아지는, 공기입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측벽은 제1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경사각과 다른 제2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 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캡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된 제2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커넥터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공기입 타이어.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및 상기 비드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비드부에서 턴업되어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상기 비드 필러, 상기 비드 와이어 및 상기 비드 캡이 배치되는 바디 플라이;를 더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캡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제1 비드 와이어가 제1 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층 위에는 복수개의 제2 비드 와이어가 제2 층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층의 제1 비드 와이어의 개수가 상기 제2 층의 상기 제2 비드 와이어의 개수보다 작은, 공기입 타이어.
KR1020180094619A 2018-08-13 2018-08-13 공기입 타이어 KR10208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619A KR102082950B1 (ko) 2018-08-13 2018-08-13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619A KR102082950B1 (ko) 2018-08-13 2018-08-13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039A KR20200019039A (ko) 2020-02-21
KR102082950B1 true KR102082950B1 (ko) 2020-02-28

Family

ID=6963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619A KR102082950B1 (ko) 2018-08-13 2018-08-13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064B1 (ko) * 2021-03-19 2022-11-2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4697A (ja) * 2004-05-14 2005-11-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用のビードコア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19A (ja) * 1992-06-30 1994-01-2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4697A (ja) * 2004-05-14 2005-11-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用のビードコ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039A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4358A1 (en) Pneumatic tire
US3842884A (en) Radial ply tire with reinforcing belt
KR10208295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3001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3681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425078B1 (ko) 타이어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2600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85303B1 (ko) 휠 조립체
KR102605834B1 (ko) 타이어
KR102304425B1 (ko) 타이어
KR102182620B1 (ko) 공기입 타이어의 비드코어 제조방법
JP366971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04424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KR10211810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2365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1331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535308B1 (ko) 전기차용 타이어
KR10211331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99916B1 (ko) 탈부착형 중량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타이어
KR102350629B1 (ko)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8398B1 (ko) 타이어
KR102278587B1 (ko) 타이어
KR10209707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01984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