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629B1 -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0629B1 KR102350629B1 KR1020190176899A KR20190176899A KR102350629B1 KR 102350629 B1 KR102350629 B1 KR 102350629B1 KR 1020190176899 A KR1020190176899 A KR 1020190176899A KR 20190176899 A KR20190176899 A KR 20190176899A KR 102350629 B1 KR102350629 B1 KR 102350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ulder
- tire
- tie bar
- pitch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및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가지며, 상기 타이바가 양측의 상기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설정되는 타이바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타이어에 요구되는 성능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의 그립 성능, 주행 가능한 거리(마일리지)의 향상을 위한 마모 성능, 적은 연료로도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연비 성능이 대표적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중에 생성되는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외력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은 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및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가지며, 상기 타이바가 양측의 상기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설정되는 타이바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숄더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으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일 방향이나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 유닛은 크기가 다른 상기 숄더 블록이 상기 일 방향 또는 상기 반대 방향을 따라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타이바가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타이바의 길이에 따라 상기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타이바가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타이바의 높이에 따라 상기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횡 방향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숄더 유닛과 타측에 배치된 제2 숄더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제1 숄더 유닛에서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를 따라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되고, 상기 제2 숄더 유닛에서 상기 원주 방향의 일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타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를 따라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트레드부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및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가지는 타이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숄더 유닛은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숄더 블록과, 상기 제1 숄더 블록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숄더 블록과, 상기 제1 숄더 블록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피치보다 작은 제3 피치를 가지는 제3 숄더 블록을 가지고,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제1 숄더 블록과 상기 제3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이바, 및 상기 제1 숄더 블록과 상기 제2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타이바와 크기가 다른 제2 타이바를 가지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숄더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숄더 블록, 상기 제1 숄더 블록 및 상기 제3 숄더 블록의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타이바는 상기 일 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제1 숄더 블록의 상기 제1 피치에 따라 부피가 설정되고, 상기 제2 타이바는 상기 일 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숄더 블록의 상기 제2 피치에 따라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이바와 상기 제2 타이바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 상기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상기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및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폭이 설정되는 숄더 횡그루브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숄더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으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숄더 횡그루브는 상기 일 방향이나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폭의 크기가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및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가지며, 상기 타이바가 양측의 상기 숄더 블록의 피치의 편차에 따라 크기가 설정되는 타이바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이바 유닛은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의 피치의 편차가 크면, 상기 타이바의 부파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바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 상기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상기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조절하여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트레드부의 전체 영역을 가상의 평면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평면에 다른 크기의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숄더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 및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양측의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되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는 일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 상기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상기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은 트레드부의 숄더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배열하고, 숄더 블록 사이에 부피가 다른 타이바를 배치하여, 타이어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타이바의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타이어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이즈가 서로 간섭 및 산란되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은 타이바의 부피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숄더 블록을 균형있게 연결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타이어의 숄더부에 다양한 크기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더라도, 숄더 블록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원주방향으로 숄더 블록들은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숄더 블록들에 가해진 힘이 타이바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숄더 블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숄더 블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숄더 블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숄더 블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1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 사이드월부(12), 비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는 지면과 접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G)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의 아래에는 바디 플라이(14), 벨트층(15), 캡 플라이(16), 이너라이너(17)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는 트레드부(11)와 비드부(13) 사이를 연결한다.
비드부(13)는 사이드월부(12)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차량의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는 비드 코어(13a)와 비드 필러(13b)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a)는 비드 필러(13b)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3)는 비드 필러(13b)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b)는 비드 코어(13a)로부터 사이드월부(1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b)는 비드 코어(13a)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a)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b)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는 트레드부(11), 사이드월부(12) 및 비드부(13)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 플라이(14)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는 벨트층(15)의 아래에 배치되고, 사이드월부(12)로 연장되어 비드부(13)에서 턴업되되,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는 비드부(13)에서 턴업되므로, 바디 플라이(14)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는 비드부(13)에서 턴업되어 사이드월부(12)를 향하여 연장되고, 단부(14E)는 바디 플라이(14)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비드 코어(13a)와 비드 필러(13b)가 배치된다.
바디 플라이(14)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바디 플라이(14)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5)은 제1 벨트층(15a)과 제2 벨트층(15b)을 구비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틸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
벨트층(15)은 트레드부(11)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 플라이(14)를 보호한다. 제1 벨트층(15a)은 이너라이너(17)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벨트층(15b)은 제1 벨트층(15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벨트층(15a)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는 벨트층(15)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는 제1 벨트층(15a)의 단부와, 제2 벨트층(15b)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캡 플라이(16)는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17)는 타이어(1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너라이너(17)는 공기가 벨트층(15)로 침투되어, 벨트층(15)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는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트레드부(11)는 가상의 중심선(CL)을 중심으로 복수의 트레드 블록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레드부(11)는 중앙 유닛(110), 미들 유닛(120) 및 숄더 유닛(130)을 가질 수 있다.
중앙 유닛(110)은 복수개의 중앙 블록들이 중심선(CL)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유닛(120)은 복수개의 미들 블록들이 중앙 유닛(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은 트레드부(11)의 폭 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들을 구비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들을 구비할 수 있다.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방향으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숄더 블록들이 트레드부(11)의 숄더에 배치될 수 있다. 피치는 숄더 블록에서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로 정의된다. 즉, 피치는 숄더 블록에서 이웃하는 숄더 횡그루브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을 구성하는 숄더 블록은 다양한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가지 피치의 크기를 가지는 숄더 유닛(13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숄더 유닛(130)은 제1 피치(P1)를 가지는 제1 숄더 블록(131), 제2 피치(P2)를 가지는 제2 숄더 블록(132), 제3 피치(P3)를 가지는 제3 숄더 블록(133)을 구비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에서 제1 피치(P1)가 가장 크고, 제3 피치(P3)가 가장 작은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숄더 블록(131), 제2 숄더 블록(132) 및 제3 숄더 블록(133)의 배열은 특정 배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이어의 설계 변수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숄더 블록들의 배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숄더 유닛(130)은 크기가 다른 숄더 블록들이 원주 방향의 일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을 따라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숄더 유닛(130)을 구성하는 숄더 블록들이 특정 순서에 구속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숄더 유닛(130)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숄더 유닛(130A)과 타측에 배치된 제2 숄더 유닛(130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숄더 유닛(130A)과 제2 숄더 유닛(130B)은 서로 독립적으로 숄더 블록들이 배열될 수 있다. 제1 숄더 유닛(130A)과 제2 숄더 유닛(130B)에 배치되는 타이바는 서로 반대의 방향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바 유닛(140)은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구비할 수 있다. 타이바는 숄더 블록 사이를 연결하거나,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만 연결되거나, 양측의 숄더 블록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타이바가 양측의 숄더 블록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이바 유닛(140)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을 구성하는 숄더 블록들이 다양한 피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타이바도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타이바 유닛(140)은 타이바가 숄더 블록의 방향성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결정될 수 있다. 타이바 유닛(140)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될 수 있다. 즉, 타이바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정방향(제1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제2 방향)을 따라, 일측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숄더 유닛(130A)에서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의 제1 방향을 따라서, 타이바는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 대응하여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제2 숄더 유닛(130B)에서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의 제2 방향을 따라서, 타이바는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타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에 대응하여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이바 유닛(140)은 서로 크기가 다른 제1 타이바(141), 제2 타이바(142) 및 제3 타이바(1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타이바(141)는 제1 숄더 블록(131)과 제3 숄더 블록(133) 사이에 배치되며, 제2 타이바(142)는 제1 숄더 블록(131)과 제2 숄더 블록(132) 사이에 배치되며, 제3 타이바(143)는 제2 숄더 블록(132)과 제3 숄더 블록(1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이바(141)는 제1 숄더 블록(131)의 제1 피치(P1)에 따라 부피가 설정되며, 제2 타이바(142)는 제2 숄더 블록(132)의 제2 피치(P2)에 따라 부피가 설정되며, 제3 타이바(143)는 제3 숄더 블록(133)의 제3 피치(P3)에 따라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숄더 유닛(130A)에서의 타이바는 제1 방향에 따라 그 크기가 정의된다. 타이바는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후방에 배치된 숄더 블록이 타이바의 크기를 결정한다.
제1 방향으로 보면, 제2 숄더 블록(132)과 제1 숄더 블록(131) 사이에 배치된 제2 타이바(142)는 후방에 배치된 제2 숄더 블록(132)의 제2 피치(P2)에 따라 부피가 설정된다. 제1 숄더 블록(131)과 제3 숄더 블록(133) 사이에 배치된 제1 타이바(141)는 후방에 배치된 제1 숄더 블록(131)의 제1 피치(P1)에 따라 부피가 설정된다. 제3 숄더 블록(133)과 제1 숄더 블록(131) 사이에 배치된 제3 타이바(143)는 후방에 배치된 제3 숄더 블록(133)의 제3 피치(P3)에 따라 부피가 설정된다.
제2 숄더 유닛(130B)에서의 타이바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그 크기가 정의된다. 타이바는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에서 제2 방향을 따라 후방에 배치되느 숄더 블록이 타이바의 크기를 결정한다.
제2 방향으로 보면, 제2 숄더 블록(132)과 제1 숄더 블록(131) 사이에 배치된 제2 타이바(142)는 후방에 배치된 제2 숄더 블록(132)의 제2 피치(P2)에 따라 부피가 설정된다. 제1 숄더 블록(131)과 제3 숄더 블록(133) 사이에 배치된 제1 타이바(141)는 후방에 배치된 제1 숄더 블록(131)의 제1 피치(P1)에 따라 부피가 설정된다. 제3 숄더 블록(133)과 제1 숄더 블록(131) 사이에 배치된 제3 타이바(143)는 후방에 배치된 제3 숄더 블록(133)의 제3 피치(P3)에 따라 부피가 설정된다.
일 실시예로, 타이바의 부피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 그루브의 폭,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타이바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제1 타이바(141), 제2 타이바(142) 및 제3 타이바(143)는 높이(H)는 동일하고, 숄더 횡 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L)도 같으나, 숄더 횡그루브의 폭에 의해서 각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된다. 제1 타이바(141)는 폭이 D1으로 설정되고, 제2 타이바(142)는 폭이 D1보다 작은 D2로 설정되며, 제3 타이바(143)는 폭이 D2보다 작은 D3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며,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폭이 설정되는 숄더 횡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으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숄더 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숄더 횡그루브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폭의 크기가 정의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제1 방향을 따라 제2 숄더 블록(132), 제1 숄더 블록(131) 및 제3 숄더 블록(133)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숄더 블록(132)과 제1 숄더 블록(131) 사이의 숄더 횡그루브는 제2 숄더 블록(132)의 제2 피치(P2)에 의해서 폭이 D2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숄더 블록(131)과 제2 숄더 블록(132) 사이의 숄더 횡그루브는 제1 숄더 블록(131)의 제1 피치(P1)에 의해서 폭이 D1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즉, 숄더 횡 그루브의 폭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후방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피치에 따라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숄더 유닛(130)은 제1 피치(P1)를 가지는 제1 숄더 블록(131)과, 제1 숄더 블록(131)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피치(P1)보다 작은 제2 피치(P2)를 가지는 제2 숄더 블록(132)과, 제1 숄더 블록(131)의 타측에 배치되며 제2 피치(P2)보다 작은 제3 피치(P3)를 가지는 제3 숄더 블록(133)을 포함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을 따라 제2 숄더 블록(132),제1 숄더 블록(131) 및 제3 숄더 블록(133)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바 유닛(140)은 제1 숄더 블록(131)과 제3 숄더 블록(13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이바(141), 제1 숄더 블록(131)과 제2 숄더 블록(13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타이바(141)와 크기가 다른 제2 타이바(1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타이바(141)는 일 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제1 숄더 블록(131)의 제1 피치(P1)에 따라 부피가 설정되고, 제2 타이바(142)는 일 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숄더 블록(132)의 상기 제2 피치(P2)에 따라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제1 타이바(141)와 제2 타이바(142)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의 숄더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배열하고, 숄더 블록 사이에 부피가 다른 타이바를 배치하여, 타이어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타이바의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타이어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이즈가 서로 간섭 및 산란되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타이바의 부피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숄더 블록을 균형있게 연결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타이어의 숄더부에 다양한 크기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더라도, 숄더 블록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원주방향으로 숄더 블록들은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숄더 블록들에 가해진 힘이 타이바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의 숄더 블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A-A 방향으로 본 단면이며, 도 5는 도 2에서 B-B 방향으로 본 단면이며, 도 6은 도 2에서 C-C 방향으로 본 단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타이바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바 유닛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될 수 있다.
원주 방향의 제1 방향으로 보면, 타이바는 후방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피치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이바(241)는 제1 숄더 블록(131)의 제1 피치(P1)에 따라 부피가 결정되고, 제2 타이바(242)는 제2 숄더 블록(132)의 제2 피치(P2)에 따라 부피가 결정되며, 제3 타이바(243)는 제3 숄더 블록(133)의 제3 피치(P3)에 따라 부피가 결정된다.
일 실시예로, 타이바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타이바의 높이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타이바(241)는 H1의 높이를 가지고, 도 5에서 제2 타이바(242)는 H1보다 작은 H2의 높이를 가지며, 도6 에서 제3 타이바(243)는 H2보다 작은 H3의 높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는 트레드부(11)의 숄더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배열하고, 숄더 블록 사이에 부피가 다른 타이바를 배치하여, 타이어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타이바의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타이어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이즈가 서로 간섭 및 산란되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는 타이바의 부피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숄더 블록을 균형있게 연결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타이어의 숄더부에 다양한 크기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더라도, 숄더 블록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원주방향으로 숄더 블록들은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숄더 블록들에 가해진 힘이 타이바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숄더 블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타이바를 구비한 타이바 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바 유닛(340)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될 수 있다.
원주 방향의 제1 방향으로 보면, 타이바는 후방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피치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이바(341)는 제1 숄더 블록(131)의 제1 피치(P1)에 따라 부피가 결정되고, 제2 타이바(342)는 제2 숄더 블록(132)의 제2 피치(P2)에 따라 부피가 결정되며, 제3 타이바(343)는 제3 숄더 블록(133)의 제3 피치(P3)에 따라 부피가 결정된다.
일 실시예로, 타이바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타이바의 높이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바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타이바의 길이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바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을 따라 연장되며, 타이바의 폭의 길이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상세히, 제1 타이바(341)는 H1의 높이, L1의 길이, 및 D1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타이바(342)는 H2의 높이, L2의 길이, 및 D2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 타이바(343)는 H3의 높이, L3의 길이, 및 D3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타이바는 이웃하는 숄더 블록의 피치에 따라 부피가 결정되되, 높이, 길이,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타이바의 부피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타이바 유닛은 타이바가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타이바의 길이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부피가 다른 타이바들은 폭과 높이는 같으나,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는 트레드부(11)의 숄더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배열하고, 숄더 블록 사이에 부피가 다른 타이바를 배치하여, 타이어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타이바의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타이어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이즈가 서로 간섭 및 산란되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는 타이바의 부피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숄더 블록을 균형있게 연결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타이어의 숄더부에 다양한 크기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더라도, 숄더 블록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원주방향으로 숄더 블록들은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숄더 블록들에 가해진 힘이 타이바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0)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타이어(400)는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타이바를 구비한 타이바 유닛(44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바 유닛(440)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가지며, 타이바가 양측의 숄더 블록의 피치의 편차에 따라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웃하는 숄더 블록의 피치의 편차가 크면, 타이바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원주 방향의 제1 방향으로 보면, 서로 피치가 다른 제1 숄더 블록(131), 제2 숄더 블록(132) 및 제3 숄더 블록(133)이 랜덤하게 배치된다. 제1 숄더 블록(131)과 제3 숄더 블록(133)은 피치 편차가 가장 크므로, 제1 숄더 블록(131)과 제2 숄더 블록(132) 사이에는 부피가 가장 큰 제1 타이바(441)가 배치된다. 서로 같은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 사이에는, 예컨대 제2 숄더 블록(132)과 제2 숄더 블록(132) 사이에는 부피가 가장 작은 제3 타이바(443)가 배치된다. 또한, 제1 숄더 블록(131)과 제2 숄더 블록(132) 사이에는 제2 타이바(442)가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바 유닛(440)은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조절하여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0)는 트레드부(11)의 숄더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배열하고, 숄더 블록 사이에 부피가 다른 타이바를 배치하여, 타이어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타이바의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타이어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이즈가 서로 간섭 및 산란되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0)는 타이바의 부피가 이웃하는 숄더 블록의 피치 편차에 따라 결정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숄더 블록을 균형있게 연결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타이어의 숄더부에 다양한 크기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더라도, 이웃하는 숄더 블록의 피치 편차에 타이바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원주방향으로 숄더 블록들은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숄더 블록들에 가해진 힘이 타이바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타이어 제조 방법은, 트레드부의 전체 영역을 가상의 평면으로 변환하는 단계(S10), 상기 가상의 평면에 다른 크기의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숄더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20), 및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의 전체 영역을 가상의 평면으로 변환하는 단계(S10)는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평면화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후, 상기 가상의 평면에 중앙 블록, 미들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평면에 다른 크기의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숄더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20)에서는 트레드부(11)의 숄더에 숄더 유닛(130)을 배치할 수 있다. 숄더 유닛(130)은 피치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숄더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피치가 다른 숄더 블록들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S30)에서는 숄더 블록의 피치 크기를 고려하여, 타이바 유닛(140)을 배열할 수 있다. 타이바는 양측에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 크기를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레드부(11)에서 양측 숄더에 배치된 타이바 유닛은 서로 다른 방향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트레드부에 일측에 배치된 제1 숄더 유닛(130A)은 제1 방향을 따라 볼 때, 타이바의 후방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피치가 타이바의 부피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트레드부(11)의 타측에 배치된 제2 숄더 유닛(130B)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 볼 때, 타이바의 후방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피치가 타이바의 부피를 설정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S30)에서, 타이바는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조절하여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타이바를 배치하는 단계(S30)에서, 이웃하는 숄더 블록의 피치 편차를 고려하여, 타이바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다. 이웃하는 숄더 블록의 피치 편차가 크면, 타이바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방법은 트레드부(11)의 숄더에 배치된 숄더 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배열하고, 숄더 블록 사이에 부피가 다른 타이바를 배치하여, 타이어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숄더 블록이 배치되고, 타이바의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본 발명의 타이어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타이어는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이즈가 서로 간섭 및 산란되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방법은 타이바의 부피가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숄더 블록을 균형있게 연결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타이어의 숄더부에 다양한 크기의 숄더 블록이 배치되더라도, 숄더 블록의 크기에 따라 타이바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원주방향으로 숄더 블록들은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숄더 블록들에 가해진 힘이 타이바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트레드부
12: 사이드월부
13: 비드부
100: 타이어
110: 중앙 유닛
120: 미들 유닛
130: 숄더 유닛
140: 타이바 유닛
12: 사이드월부
13: 비드부
100: 타이어
110: 중앙 유닛
120: 미들 유닛
130: 숄더 유닛
140: 타이바 유닛
Claims (18)
-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및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가지며, 상기 타이바가 양측의 상기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설정되는 타이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숄더 유닛은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숄더 블록;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숄더 블록;
상기 제2 피치보다 작은 제3 피치를 가지는 제3 숄더 블록;을 가지며,
상기 제1 숄더 블록, 상기 제2 숄더 블록 및 상기 제3 숄더 블록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으로 무작위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되는, 타이어.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의 크기는 상기 타이바의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타이어.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횡 방향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숄더 유닛과 타측에 배치된 제2 숄더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제1 숄더 유닛에서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를 따라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되고,
상기 제2 숄더 유닛에서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숄더 블록 중 타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를 따라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정의되는, 타이어. - 삭제
- 삭제
- 삭제
-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숄더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폭이 설정되는 숄더 횡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 유닛은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숄더 블록;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숄더 블록;
상기 제2 피치보다 작은 제3 피치를 가지는 제3 숄더 블록;을 가지며,
상기 제1 숄더 블록, 상기 제2 숄더 블록 및 상기 제3 숄더 블록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으로 무작위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타이어.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횡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중 일측에 배치된 블록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폭의 크기가 정의되는, 타이어. -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피치를 가지는 숄더 블록을 가지는 숄더 유닛;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바를 가지며, 상기 타이바가 양측의 상기 숄더 블록의 피치의 편차에 따라 크기가 설정되는 타이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숄더 유닛은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숄더 블록;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숄더 블록;
상기 제2 피치보다 작은 제3 피치를 가지는 제3 숄더 블록;을 가지며,
상기 제1 숄더 블록, 상기 제2 숄더 블록 및 상기 제3 숄더 블록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으로 무작위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타이어.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숄더 블록의 피치의 편차가 크면, 상기 타이바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타이어.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는
상기 숄더 블록 사이에 배치된 숄더 횡그루브의 폭, 상기 숄더 횡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상기 숄더 횡그루브의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조절하여 부피가 설정되는, 타이어.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6899A KR102350629B1 (ko) | 2019-12-27 | 2019-12-27 |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6899A KR102350629B1 (ko) | 2019-12-27 | 2019-12-27 |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4021A KR20210084021A (ko) | 2021-07-07 |
KR102350629B1 true KR102350629B1 (ko) | 2022-01-17 |
Family
ID=7686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6899A KR102350629B1 (ko) | 2019-12-27 | 2019-12-27 |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062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5120Y1 (ko) * | 2004-11-17 | 2005-02-07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소음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077Y1 (ko) * | 1998-07-08 | 2001-03-02 | 조충환 | 승용차용 래디알타이어 |
-
2019
- 2019-12-27 KR KR1020190176899A patent/KR1023506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5120Y1 (ko) * | 2004-11-17 | 2005-02-07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소음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4021A (ko)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84358A1 (en) | Pneumatic tire | |
JPWO2015005194A1 (ja) | 空気入りタイヤ | |
CN109955655B (zh) | 充气轮胎 | |
CN106414114A (zh) | 充气轮胎 | |
KR102350629B1 (ko) |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6935213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WO2018179638A1 (ja) | 空気入りタイヤ | |
KR102304425B1 (ko) | 타이어 | |
WO2017188409A1 (ja) |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 |
KR102126000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2314845B1 (ko) | 타이어 | |
KR102425078B1 (ko) | 타이어 | |
KR102291034B1 (ko) | 타이어 | |
KR20210035559A (ko) | 공기입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60088938A (ko) | 벨트가 검 스트립 둘레에 랩을 갖는 타이어 | |
KR102182620B1 (ko) | 공기입 타이어의 비드코어 제조방법 | |
WO2018179637A1 (ja) | 空気入りタイヤ | |
KR102278587B1 (ko) | 타이어 | |
KR102118105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2605834B1 (ko) | 타이어 | |
KR102535308B1 (ko) | 전기차용 타이어 | |
KR102113313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2097076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20200047196A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1775105B1 (ko) | 타이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