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34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34B1
KR102291034B1 KR1020190160005A KR20190160005A KR102291034B1 KR 102291034 B1 KR102291034 B1 KR 102291034B1 KR 1020190160005 A KR1020190160005 A KR 1020190160005A KR 20190160005 A KR20190160005 A KR 20190160005A KR 102291034 B1 KR102291034 B1 KR 10229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ilm
tire
inner liner
disposed
bel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028A (ko
Inventor
주원경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14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14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 B60C2009/145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at the inner side of the carcass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벨트층과, 상기 벨트층 아래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와, 상기 벨트층의 단부를 커버하는 캡 플라이, 및 상기 이너라이너에 부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 플라이에 대응하는 구간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밀폐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타이어에 요구되는 성능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의 그립 성능, 주행 가능한 거리(마일리지)의 향상을 위한 마모 성능, 적은 연료로도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연비 성능이 대표적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열을 줄여 연비가 향상되며, 공기의 누출이 방지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벨트층와, 상기 벨트층 아래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와, 상기 벨트층의 단부를 커버하는 캡 플라이, 및 상기 이너라이너에 부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 플라이에 대응하는 구간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밀폐 필름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은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일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의 두께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의 공기 투과율은 상기 이너라이너 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은 중앙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은 상기 캡 플라이 및 상기 벨트층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밀폐층, 및 상기 제1 밀폐층과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트레드부의 원주 방향의 제1 그루브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밀폐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며,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그루브를 구비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벨트층과, 상기 벨트층 아래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 및 상기 이너라이너에 부착되되, 상기 제1 그루브에 대응하는 구간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밀폐 필름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은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 그루브의 폭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의 두께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의 공기 투과율은 상기 이너라이너 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필름은 중앙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내부에 밀폐 필름을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침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밀폐 필름은 캡 플라이 및 벨트층의 단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이너라이너의 두께를 보강하고 이너라이너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밀폐 필름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이너라이너의 부틸 함량을 낮추어, 주행시에 이너라이너에서 생성되는 발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동시에 밀폐 필름이 이너라이너에 부착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비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지면과 접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116)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116)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114)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의 아래에는 바디플라이(140), 벨트층(150), 캡 플라이(160), 바디 플라이(140) 및 밀폐 필름(180)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30) 사이를 연결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이드월부(120)는 제1 사이드월(121)과 제2 사이드월(12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사이드월(121)은 단부가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삽입되며, 제2 사이드월(122)의 단부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차량의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로부터 사이드월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바디플라이 코드(PC)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벨트층(150)의 아래에 배치되고, 사이드월부(120)로 연장되어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되, 내부에 바디플라이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므로, 바디플라이(14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어 사이드월부(120)를 향하여 연장되고, 단부(140E)는 바디플라이(140)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가 배치된다.
바디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바디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틸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벨트층(151)은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플라이(140)를 보호한다. 제1 벨트층(151)은 이너라이너(17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벨트층(152)은 제1 벨트층(1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벨트층(151)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제1 벨트층(151)의 단부와, 제2 벨트층(152)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캡 플라이(160)는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너라이너(170)는 공기가 밸트부(150)로 침투되어, 밸트부(150)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너라이너(170)는 특히 종래의 이너라이너보다 부틸의 함량이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타이어(100)는 이너라이너(170)의 부틸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타이어(100)의 발열을 최소화 하여 연비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일예로, 이너라이너(170)는 전체 컴파운드의 중량%를 기준으로 부틸 함량이 40 중량% 내지 70 중량%를 가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은 종래보다 낮은 부틸함량을 가져서, 주행시에 이너라이너(170)에서 생성되는 발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플라이(140)의 아래에 배치되어 비드부(1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플라이(1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이너라이너(170)에 부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캡 플라이(160)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이어(100)의 외부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 필름(180) 공기 투과성이 매우 적은 재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밀폐 필름(180)은 열 가소성 수지나 열 경화성 수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비닐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밀폐 필름(180)은 소정의 길이(L1)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캡 플라이(160)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밀폐 필름(180)의 일부는 캡 플라이(160)의 길이(C)에 단부가 중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밀폐 필름(180)은 벨트층(15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1 벨트층(150)의 단부 및 제2 벨트층(152)의 단부와 모두 중첩되도록, 소정의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이드월부(120)가 턴업되면 제1 사이드월(1)의 단부는 적어도 E 이상의 길이로 트레드부(110)의 단부 아래에 삽입된다. 밀폐 필름(180)은 E구간의 아래에 배치되므로, 제1 사이드월(121)의 단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밀폐 필름(180)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주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밀폐 필름(180)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밀폐 필름(180)은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폭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모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의 두께(t2)는 이너라이너(170)의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박막으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이너라이너(170)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 필름(180)의 두께(t2)는 바디 플라이(140)의 두께(t3)보다 작을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타이어(100)의 내부에 박막으로 형성되므로, 이너라이너(170)의 표면에서의 단차를 최소화하여 내부 공기 유동 방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이너라이너(170)보다 낮은 공기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즉, 밀폐 필름(180)은 공기 투과율이 매우 적어 공기의 침투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이너라이너(170)는 부틸 ?t량이 적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밀폐 필름보다 공기 투과율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밀폐 필름(180)은 이너라이너(170)보다 낮은 변형율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너라이너(170)는 부틸의 함량을 적은 고무 컴파운드로 형성되므로, 형상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밀폐 필름(180)은 공기 투과율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재료로 형성되므로 변형율이 낮다. 다만, 밀폐 필름(180)은 공기가 누설될 수 있는 취약 영역에 부착되므로, 주행 중에 타이어(100)의 형상 변형을 허용하고, 타이어(100)에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타이어는 내부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높은 함량의 부틸 고무를 사용하였다. 부틸의 함량이 높으면 공기 누출은 방지되나, 주행중에 발열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주행 및 연비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타이어는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너라이너의 두께를 증가시켰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전체 타이어의 중량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주행 및 연비 성능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내부에 밀폐 필름(180)을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침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밀폐 필름(180)은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타이어의 제조시에, 트레드부(110)와 사이드월부(120)가 접하는 영역에서 이너라이너(170)가 크게 팽창되므로, 상대적으로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얇아진다. 블래더(미도시)가 팽창하면서 타이어의 골격을 형성시에, 캡 플라이(160)의 아래 부분은 타이어의 중심에서 멀리 위치되므로,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얇게 성형된다.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얇아지면,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여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트레드부(110)와 사이드월부(120)가 접하는 영역에서는 벨트층(150)의 단부와 캡 플라이(160)가 배치되므로,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면서 벨트층(150)과 캡 플라이(160)의 세퍼레이션을 유발하게 된다.
밀폐 필름(180)은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얇아지는 벨트층(150)의 단부와 캡 플라이(160)의 아래에 배치되므로, 두께가 얇아진 이너라이너(170)를 보강하며, 벨트층(150) 및 캡 플라이(160)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밀폐 필름(180)의 공기 투과율이 이너라이너(170)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너라이너(170)의 발열을 최소화 하면서 타이어(100)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부틸 함량이 낮은 고무 컴파운드로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발열을 낮추어 연비 성능을 낮출수 있다. 동시에, 밀폐 필름(180)가 이너라이너(170)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 누설을 없애고, 타이어(10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밀폐 필름(280)은 이너라이너(170)에 부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캡 플라이(160)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은 타이어(200)의 내부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이어(200)의 외부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필름과 같이, 이너라이너(170) 보다 낮은 공기 투과률을 가진다. 또한, 밀폐 필름(280)은 이너라이너(170)의 두께(t1)보다 작은 두께(t2)를 가지고, 바디 플라이(140)의 두께(t3)보다 작은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은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은 소정의 길이(L1')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캡 플라이(160)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밀폐 필름(280)의 일부는 캡 플라이(160)의 길이(C)에 단부가 중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밀폐 필름(280)은 벨트층(15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은 제1 벨트층(151)의 단부 및 제2 벨트층(152)의 단부와 모두 중첩되도록, 소정의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은 중앙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의 두께(t2)는 중앙부(281)에서 가장 두껍고, 양단(282)은 점점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폐 필름(280)은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이너라이너(170)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가장 얇아진 부분에 중앙부(281)가 배치되고, 양단(282)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므로, 이너라이너(170)와 밀폐 필름(280)의 단차를 없애고, 밀폐 필름(280)이 매끄럽게 부착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와 밀폐 필름(280)의 단차가 없으므로, 타이어(200)의 내부공기의 유동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는 내부에 밀폐 필름(280)을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침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밀폐 필름(280)은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 필름(280)의 두께는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형성되어, 타이어(200)의 내부 공기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밀폐 필름(380)은 이너라이너(170)에 부착되되, 제1 그루브(114)에 대응하는 구간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380)은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38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필름(180)과 같이, 이너라이너(170) 보다 낮은 공기 투과률을 가진다. 또한, 밀폐 필름(380)은 이너라이너의 두께(t1)보다 작은 두께(t2)를 가지고, 바디 플라이(140)의 두께(t3)보다 작은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밀폐 필름(380)은 소정의 길이(L2)를 가지되, 제1 그루브(114)의 폭(D)을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밀폐 필름(380)의 길이(L2)는 제1 그루브(114)의 폭(D)보다 길게 형성된 수 있다.
트레드부(110)에서 보면, 제1 그루브(114)의 저면은 밸트부(15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트레드부(110)가 얇게 형성되므로,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는 상대적으로 공기 누출에 취약하게 된다. 밀폐 필름(380)은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되므로, 공기가 제1 그루브(114)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는 내부에 밀폐 필름(380)을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침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밀폐 필름(380)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밀폐 필름(480)은 이너라이너(170)에 부착되되, 제1 그루브(114)에 대응하는 구간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480)은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48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필름(180)과 같이, 이너라이너(180) 보다 낮은 공기 투과률을 가진다. 또한, 밀폐 필름(480)은 이너라이너(180)의 두께(t1)보다 작은 두께(t2)를 가지고, 바디 플라이(140)의 두께(t3)보다 작은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밀폐 필름(480)은 소정의 길이(L2)를 가지되, 제1 그루브(114)의 폭(D)을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밀폐 필름(480)의 길이(L2)는 제1 그루브(114)의 폭(D)보다 길게 형성된 수 있다.
밀폐 필름(480)은 중앙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폐 필름(480)의 두께(t2)는 중앙부(481)에서 가장 두껍고, 양단(482)은 점점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폐 필름(480)은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이너라이너(170)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의 두께가 가장 얇아진 부분에 중앙부(481)가 배치되고, 양단(482)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므로, 이너라이너(170)와 밀폐 필름(480)의 단차를 없애고, 밀폐 필름(480)이 매끄럽게 부착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와 밀폐 필름(480)의 단차가 없으므로, 타이어(400)의 내부공기의 유동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0)는 내부에 밀폐 필름(480)을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침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밀폐 필름(480)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 필름(480)의 두께는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형성되어, 타이어(400)의 내부 공기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밀폐 필름(580)은 배치 위치가 다른 제1 밀폐층(581)과, 제2 밀폐층(58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밀폐층(581)은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제2 밀폐층(582)은 제1 밀폐층(581)과 이격되게 배치되되, 트레드부(110)의 원주 방향의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된다. 즉, 제1 밀폐층(581)은 전술한 밀폐 필름(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 밀폐층(582)은 전술한 밀폐 필름(3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00)는 내부에 밀폐 필름(580)을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침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밀폐 필름(580)은 제1 밀폐층(581)이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 밀폐층(582)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6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밀폐 필름(680)은 배치 위치가 다른 제1 밀폐층(681)과, 제2 밀폐층(68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밀폐층(681)은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제2 밀폐층(682)은 제1 밀폐층(681)과 이격되게 배치되되, 트레드부(110)의 원주 방향의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된다. 즉, 제1 밀폐층(681)은 전술한 밀폐 필름(2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 밀폐층(682)은 전술한 밀폐 필름(4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600)는 내부에 밀폐 필름(680)을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침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밀폐 필름(680)은 제1 밀폐층(681)이 캡 플라이(160) 및 벨트층(150)의 단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 밀폐층(682)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 필름(680)의 두께는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형성되어, 타이어(600)의 내부 공기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타이어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벨트층(150)을 배치하고, 벨트층(150)의 아래에 바디 플라이(140) 및 이너라이너(170)를 배치한다. 바디 플라이(140)의 단부에는 비드부(130)가 배치되며, 제2 사이드월(122)이 비드부(130)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제1 사이드월(121)이 제2 사이드월(122)과 연결된다. 사이드월부(120)가 턴업되면, 제1 사이드월(121)의 단부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특히, 끝단의 i는 벨트층(150)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1 밀폐 필름(180)과 제2 밀폐 필름(380)은 이너라이너(170)의 아래에 부착된다. 제1 밀폐 필름(180)은 캡 플라이(160), 벨트층(150)의 단부에 배치되며, 제2 밀폐 필름(380)은 트레드부(110)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4)의 아래에 배치된다. 블래더(미도시)가 팽창하면, 제1 밀폐 필름(180)과 제2 밀폐 필름(380)은 이너라이너(170)에 밀착되게 되어, 이너라이너(170)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 벨트층(150)의 단부에는 이너라이너(170)가 얇게 성형되는데, 제1 밀폐 필름(180)이 이너라이너(170)의 두께를 보강하고,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여 캡 플라이(160)와 벨트층(150)이 이너라이너(17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14)의 아래는 트레드부(110)에서 두께가 가장 얇아, 공기의 누출에 취한한 부분이나, 제2 밀폐 필름(380)이 제1 그루브(114)의 아래를 커버하므로, 내부 공기나 외부 공기가 이너라이너(17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 월부
130: 비드부
140: 바디플라이
150: 벨트층
160: 캡 플라이
170: 이너라이너
180, 280, 380, 480, 580, 680: 밀폐 필름

Claims (11)

  1. 지면과 접촉하며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그루브를 구비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벨트층;
    상기 벨트층 아래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
    상기 벨트층의 단부를 커버하는 캡 플라이; 및
    상기 이너라이너에 부착되는 밀폐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 필름은,
    상기 캡 플라이 및 상기 벨트층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밀폐층; 및
    상기 제1 밀폐층과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트레드부의 원주 방향의 제1 그루브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밀폐층을 구비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층은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일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필름의 두께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두께보다 작은,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필름의 공기 투과율은 상기 이너라이너 보다 낮은,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필름은 중앙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타이어.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폐층은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 그루브의 폭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타이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60005A 2019-12-04 2019-12-04 타이어 KR102291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05A KR102291034B1 (ko) 2019-12-04 2019-12-04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05A KR102291034B1 (ko) 2019-12-04 2019-12-04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28A KR20210070028A (ko) 2021-06-14
KR102291034B1 true KR102291034B1 (ko) 2021-08-20

Family

ID=7641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005A KR102291034B1 (ko) 2019-12-04 2019-12-04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93B1 (ko) * 2006-12-06 2008-03-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JP2013082397A (ja) * 2011-10-12 2013-05-0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KR101491333B1 (ko) * 2013-10-23 2015-02-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93B1 (ko) * 2006-12-06 2008-03-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JP2013082397A (ja) * 2011-10-12 2013-05-0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KR101491333B1 (ko) * 2013-10-23 2015-02-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28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01073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2291034B1 (ko) 타이어
JP69352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18398B1 (ko) 타이어
KR10212600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304425B1 (ko) 타이어
KR10203001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8295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425078B1 (ko) 타이어
JP200508201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04424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KR102350629B1 (ko)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76210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2334327A (zh) 轮胎
KR102182620B1 (ko) 공기입 타이어의 비드코어 제조방법
KR102205465B1 (ko) 공기입 타이어
JPH06336103A (ja) 空気入り安全タイヤ付き車輪
KR102535308B1 (ko) 전기차용 타이어
CN112313088B (zh) 充气轮胎
KR102303271B1 (ko) 타이어
KR102278587B1 (ko) 타이어
JP74487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605834B1 (ko) 타이어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287885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