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424B1 -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424B1
KR102304424B1 KR1020190176267A KR20190176267A KR102304424B1 KR 102304424 B1 KR102304424 B1 KR 102304424B1 KR 1020190176267 A KR1020190176267 A KR 1020190176267A KR 20190176267 A KR20190176267 A KR 20190176267A KR 102304424 B1 KR102304424 B1 KR 10230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tire
disposed
bead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701A (ko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8Means facilitating folding of sidewalls, e.g. run-flat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에 인접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Tire and tir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타이어에 요구되는 성능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의 그립 성능, 주행 가능한 거리(마일리지)의 향상을 위한 마모 성능, 적은 연료로도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연비 성능이 대표적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으로 런플랫 주행 가능한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에 인접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제1 말단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의 외측에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단부에 배치된 제2 말단이 상기 비드부의 비드 필러의 정점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된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가장 깊은 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사이 구간에서 내측으로 만곡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타이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림에 장착되는 타이어를 가지는 타이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림은 상기 비드부의 단부가 장착되는 비드 장착부와, 상기 비드 장착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서포터, 및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서포터를 포함하는 타이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서포터는 내측면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분리되되, 분리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포터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높게 배치되는 내측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되며, 저점이 상기 내측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낮게 배치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단은 상기 제1 프로텍터의 말단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어는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상기 사이드월부가 폴딩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가 상기 제2 서포터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프로텍터가 상기 제1 서포터에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는 안정적으로 런플랫 주행 가능하다. 타이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타이어의 프로텍터 유닛이 림에 지지되고, 트레드부는 지면과의 접지면을 유지할 수 있다.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와 비드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프로텍터가 림에 지지되므로, 타이어의 전체적인 형상을 어느정도 유지하면서 런플랫 주행할 수 있어, 주행 가능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는 런플랫시에 사이드월부가 폴딩되어, 주행 가능 거리가 확장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가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므로, 내부 공기압이 줄어들면 쉽게 폴딩되고, 트레드부의 접지면을 유지하면서 타이어 조립체가 주행되는바, 런플랫 마일리지를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이어가 런플랫 주행 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조립체(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타이어(100)가 런플랫 주행 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 조립체(1)는 타이어(100) 및 림(20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 조립체(1)는 타이어(100)가 펑크 상황에서도 타이어(100)의 프로텍터 유닛(180)이 림(200)에 지지되어, 타이어 조립체(1)가 소정의 마일리지를 주행할 수 있다.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비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지면과 접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G)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의 아래에는 바디플라이(140), 벨트층(150), 캡 플라이(160) 및 이너라이너(170)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의 양단에는 제1 프로텍터(181)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30) 사이를 연결한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이드월부(120)는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 사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사이드월부(120)는 내부에 바디플라이(140) 및 이너라이너(17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바디플라이(140), 이너라이너(170)가 트레드부(110)의 말단에서 절곡되면서 타이어(100)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사이드월부(120)의 내면(120i)은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사이드월부(120)의 외면(120o)도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사이드월부(120)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사이드월부(120)은 폴딩될 수 있다. 타이어(100)는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 사이의 일 지점에서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차량의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로부터 사이드월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타이어(100)의 반경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인 정점(132P)을 가질 수 있다.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타이어(100)의 함몰부(DE)의 가장 깊은 저점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림(200)의 비드 장착부(220)에 장착되며, 비드 장착부(220)와 제1 서포터(230) 사이에서 제1 접촉면(200A)을 형성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장착부(220)에 밀착되어, 반경 방향으로 림(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며, 제1 서포터(230)의 일부 구간에 밀착되어, 폭 방향으로 림(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의 중심라인이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비드 코어(131)에서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비드부(130)와 사이드월부(120)의 경계 지점에는 함몰부(DE)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사이드월부(120)의 내면(120i)보다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바디플라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벨트층(150)의 아래에 배치되고, 사이드월부(120)로 연장되어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되, 내부에 바디플라이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사이드월부(120)를 따라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함몰부(DE)에서 비드부(130)를 감싸기 위해서 절곡될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감싸고, 비드 코어(131)에서 턴업되어 사이드월부(120)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때, 바디플라이(140)는 함몰부(DE)에서 다시 한번 절곡되며, 단부(140E)는 사이드월부(120)로 연장되어, 바디플라이(140)에 부착된다.
바디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바디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틸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벨트층(151)은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플라이(140)를 보호한다. 제1 벨트층(151)은 바디플라이(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벨트층(152)은 제1 벨트층(1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벨트층(151)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제1 벨트층(151)의 단부와, 제2 벨트층(152)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캡 플라이(160)는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너라이너(170)는 공기가 벨트층(150)로 침투되어, 벨트층(150)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사이드월부(120)을 따라 연장되며,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비드부(130)을 따라 연장되며, 사이드월부(120)와 비드부(130)의 경계 영역에서 함몰부(DE)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DE)는 사이드월부(120)와 비드부(130)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비드부(130)에 인접한 사이드월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DE)는 타이어(100)의 내측벽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함몰부(DE)는 사이드월부(120)와 비드부(1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연결되는 부분의 곡률이 급격하게 변경되어, 타이어(100)의 내측벽에서 오목하게 패여지게 형성된다.
함몰부(DE)는 폭 방향으로 가장 깊은 저점을 가지며, 상기 저점은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DE)의 상기 저점은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182)가 함몰부(DE)보다 원주 방향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비드부(13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타이어(100)의 펑크시에, 제2 프로텍터(182)는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며, 함몰부(DE)는 상기 저점을 따라 정상 주행일 때 보다 더 접히게 된다. 함몰부(DE)의 저점이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높고,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높게 배치되므로, 비드부(130)는 접히지 않으며, 특히 비드 필러(132)의 변형이나 분리없이 제1 서포터(230)로 더 틸팅된다. 따라서, 타이어(100)가 런플랫으로 주행되더라고, 비드부(130)의 형샹 변화 없이, 타이어(100)의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텍터 유닛(180)은 타이어(100)의 폭방향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 유닛(180)은 타이어(100)의 런플랫시에 림(200)의 서포터에 지지되므로, 타이어 조립체(1)가 소정의 마일리지를 주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텍터 유닛(180)은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181)와, 비드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프로텍터(18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81)는 트레드부(110)와 사이드월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프로텍터(181)은 폭 방향의 최외곽 지점인 제1 말단(181E)을 가지며, 제1 말단(181E)이 타이어(100)에서 가장 외측(L1)에 배치된다. 제1 프로텍터(181)는 제2 서포터(250)의 일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런플랫시에는 제1 프로텍터(181)의 하면이 제2 서포터(250)에 지지된다.
제2 프로텍터(182)는 비드부(130)에 인접한 영역에서, 비드부(1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프로텍터(182)는 폭 방향의 최외곽 지점인 L2에서 제2 말단(182E)을 가질 수 있다. 제2 말단(182E)은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낮게 배치되며, 함몰부(DE)의 저점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타이어(100)가 런플랫 주행중에, 제2 프로텍터(182)는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고, 제2 말단(182E)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함몰부(DE)가 더 벤딩되므로, 비드부(130)가 원형을 유지하고, 비드 필러(132)의 분리나 꺽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81)의 L1까지 연장된 제1 말단(181E)이 제2 프로텍터(182)의 L2까지 연장된 제2 말단(182E)보다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외측에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81)는 트레드부(110)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말단(181E)이 런플랫 주행시에 트레드부(110)와 지면의 접지면적을 넓혀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프로텍터(182)는 제2 말단(182E)이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어, 비드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림(200)은 허브(210), 비드 장착부(220), 제1 서포터(230), 연결부(240), 제2 서포터(250)를 구비할 수 있다.
허브(210)는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량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허브(210)의 양단에는 비드 장착부(220)가 연결되며, 허브(210)와 타이어(100)에 의해서, 타이어(100)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비드 장착부(220)는 비드부(130)의 단부가 장착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비드 장착부(220)의 제1 접촉면(200A)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서포터(230)는 비드 장착부(220)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비드부(13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2를 보면, 제1 서포터(230)는 내측면의 일부 구간이 비드부(130)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구간에서 비드부(130)의 외측면과 분리되며, 상기 분리 지점이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비드 장착부(220)에 인접한 제1 서포터(230)는 비드부(130)의 하단 외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제1 서포터(230)는 비드부(130)의 외측면과 분리지점을 형성하고, 분리지점에서 반경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제1 서포터(230)가 연장된다. 타이어(100)의 주행 중에 비드부(130)의 하단이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므로, 타이어(100)가 폭 방향으로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다.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의 변화나, 노면에 따라서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은 변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분리 지점은 제1 서포터(230)의 제1 지지면(200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서포터(230)는 제2 프로텍터(182)의 아래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타이어(100)의 런플래시에, 제1 서포터(230)의 제1 지지면(200B)은 제2 프로텍터(182)의 하면과 접촉된다. 타이어(100)가 펑크가 발생되면, 제2 프로텍터(182)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 더 틸팅되고, 상기 분리 지점이 사라지고,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까지 제1 지지면(200B)에 지지된다.
연결부(240)는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서포터(230)와 제2 서포터(25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40)는 제2 프로텍터(18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도 3과 같이 제2 프로텍터(182)가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도록 틸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포터(250)는 제1 서포터(230)에서 연장되어, 사이드월부(1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서포터(250)는 연결부(2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프로텍터(181)의 아래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터(250)는 사이드월부(120)의 외면(120o)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단(200C)과, 런플래시에 제1 프로텍터(181)를 지지하는 제2 지지면(200D)을 가질 수 있다.
내측단(200C)은 사이드월부(120)를 향하여 돌출되며, 연결부(240)의 내측면보다 사이드월부(120)의 외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서포터(250)는 내측단(200C)이 사이드월부(120)로 돌출되므로,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의 지지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며, 타이어(100)의 런플랫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내측단(200C)은 타이어(100)의 함몰부(DE)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함몰부(DE)는 정상 주행일 때 보다 런플랫 주행 시에 더 접히게 된다. 함몰부(DE)는 내측단(200C)보다 아래에 배치되므로, 제1 프로텍터(181)가 제2 서포터(25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면(200D)은 내측단(200C)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지지면(200D)에는 제1 프로텍터(181)의 하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런플랫시에는 제1 프로텍터(181)의 하부가 지지된다.
일 실시예로, 제2 지지면(200D)은 타이어(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곡률 반경이 변화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제2 지지면(200D)은 내측단에 인접한 영역에서 R1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외측에는 R1보다 큰 R2의 곡률반경을 가진다. 또한, 제2 지지면(200D)의 외곽에는 R2 보다 작은 R3의 곡률반경을 가진다.
제2 지지면(200D)에서 제1 프로텍터(181)와 마주보는 영역은 곡률이 완만하게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가 안정적으로 제2 서포터(25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프로텍터(181)와 마주보는 구간에서는 제2 지지면(200D)의 곡률 반경이 증가하게 배치되어,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의 하부가 제2 지지면(200D)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펑크 등으로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타이어 조립체(1)는 런플랫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월부(120)는 일 지점에서 폴딩 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 사이의 일 지점에서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되어 벤딩부(BE)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181)는 제2 서포터(250)에 지지되며, 비드부(130)에 인접한 제2 프로텍터(182)는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된다.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프로텍터 유닛(180)이 림(200)에 지지되므로, 타이어(100)는 소정의 마일리지 동안 런플랫 주행이 가능하다. 특히, 제1 프로텍터(181)는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되어, 런플랫시에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적을 유지하여, 런플랫 가능한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텍터(182)는 비드부(130)의 형상 변형없이,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므로, 비드부(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은 타이어(100)의 함몰부(DE)나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낮게 배치되므로, 비드부(130)의 변형없이, 비드부(130)가 제1 서포터(2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 및 타이어 조립체(1)는 안정적으로 런플랫 주행 가능하다.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타이어(100)의 프로텍터 유닛(180)이 림(200)에 지지되고, 트레드부(110)는 지면과의 접지면을 유지할 수 있다.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181)와 비드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프로텍터(182)가 림(200)에 지지되므로, 타이어(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어느정도 유지하면서 런플랫 주행할 수 있어, 주행 가능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 및 타이어 조립체(1)는 런플랫시에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되어, 주행 가능 거리가 확장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타이어(100)가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가 림(200)에 지지되면서,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될 수 있다. 즉, 사이드월부(120)가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므로, 내부 공기압이 줄어들면 쉽게 폴딩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유지하면서 타이어 조립체(1)가 주행되는바, 런플랫 마일리지를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타이어 조립체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월부
130: 비드부
140: 바디플라이
180: 프로텍터 유닛
181: 제1 프로텍터
182: 제2 프로텍터
200: 림
210: 허브
220: 비드 장착부
230: 제1 서포터
240: 연결부
250: 제2 서포터

Claims (13)

  1. 림에 장착되는 타이어를 가지는 타이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에 인접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림은
    상기 비드부의 단부가 장착되는 비드 장착부;
    상기 비드 장착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서포터; 및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서포터;를 포함하는, 타이어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제1 말단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의 외측에 더 돌출되는, 타이어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단부에 배치된 제2 말단이 상기 비드부의 비드 필러의 정점보다 낮게 배치되는, 타이어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된 함몰부;를 가지는, 타이어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가장 깊은 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 보다 높게 배치되는, 타이어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사이 구간에서 내측으로 만곡되게 배치되는, 타이어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타이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폴딩되는, 타이어 조립체.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터는
    내측면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분리되되, 분리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낮은, 타이어 조립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터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높게 배치되는 내측단;을 가지는, 타이어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되며, 저점이 상기 내측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낮게 배치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조립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단은 상기 제1 프로텍터의 말단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타이어 조립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상기 사이드월부가 폴딩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가 상기 제2 서포터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프로텍터가 상기 제1 서포터에 지지되는, 타이어 조립체.
KR1020190176267A 2019-12-27 2019-12-27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KR10230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7A KR102304424B1 (ko) 2019-12-27 2019-12-27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7A KR102304424B1 (ko) 2019-12-27 2019-12-27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01A KR20210083701A (ko) 2021-07-07
KR102304424B1 true KR102304424B1 (ko) 2021-09-24

Family

ID=7686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67A KR102304424B1 (ko) 2019-12-27 2019-12-27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389B2 (ja) * 1989-10-27 2000-07-1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装置
CN109789741B (zh) * 2016-09-25 2021-03-26 伽利略车轮有限公司 具有环形侧壁凹面的充气轮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01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4358A1 (en) Pneumatic tire
EP1363788B1 (en) A tyre for vehicle wheels with self-support functions, and a rim for said tyre
EP3599111B1 (en) Pneumatic tire
KR102304424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KR10208295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2600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JP715967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3001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304425B1 (ko) 타이어
KR102291034B1 (ko) 타이어
KR102182620B1 (ko) 공기입 타이어의 비드코어 제조방법
CN113226788A (zh) 缺气保用轮胎
KR102605834B1 (ko) 타이어
KR20210035559A (ko) 공기입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8398B1 (ko) 타이어
KR10220546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99916B1 (ko) 탈부착형 중량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타이어
KR102185303B1 (ko) 휠 조립체
CN112334327A (zh) 轮胎
KR102278587B1 (ko) 타이어
KR102113313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20015422A (ja) 空気入りタイヤ
CN220923714U (en) Tyre with stab-proof and explosion-proof performance
KR102553338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