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298B1 - 전류 퓨즈 - Google Patents

전류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298B1
KR102277298B1 KR1020167008917A KR20167008917A KR102277298B1 KR 102277298 B1 KR102277298 B1 KR 102277298B1 KR 1020167008917 A KR1020167008917 A KR 1020167008917A KR 20167008917 A KR20167008917 A KR 20167008917A KR 102277298 B1 KR102277298 B1 KR 102277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element
melting
point metal
mai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853A (ko
Inventor
요시히로 요네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01H85/045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cartridg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01H69/022Manufacture of fuses of printed circuit 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격을 향상시킴과 함께, 아크 방전에 수반하는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확실히 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전류 퓨즈를 제공한다. 전류 퓨즈(1)는, 절연 기판(2)과, 절연 기판(2)에 설치된 메인 퓨즈 소자(3)와, 절연 기판(2)에 설치되고 메인 퓨즈 소자(3)보다도 융점이 높은 서브 퓨즈 소자(4)를 갖고, 메인 퓨즈 소자(3)와 서브 퓨즈 소자(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류 퓨즈{ELECTRIC POWER FUSE}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3-212358호(2013년 10월 9일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당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하여 도입한다.
본 발명은, 전류 경로 상에 실장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 자기 발열에 의하여 용단되어, 당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전류 퓨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 자기 발열에 의하여 용단되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전류 퓨즈가 사용되고 있다. 전류 퓨즈로서는, 일반적으로 Pb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퓨즈 소자로서, 땜납을 유리관에 봉입한 홀더 고정형 퓨즈나, 세라믹 기판 표면에 Ag 전극을 인쇄한 칩 퓨즈, 구리 전극의 일부를 가늘게 하여 플라스틱 케이스에 내장한, 나사 고정 또는 삽입형 퓨즈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19345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전류 퓨즈에 있어서는, 탑재되는 전자 기기나 배터리 등의 고용량화, 고정격화에 수반하여 전류 정격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저융점 금속의 퓨즈 소자를 기판 상에 탑재하고 표면 실장 가능하게 형성된 전류 퓨즈에 있어서는, 정격을 초과한 전압이 인가되어 대전류가 흐름으로써, 용단될 때 아크 방전이 발생하면, 퓨즈 소자가 광범위하게 용융되어, 증기화된 금속이 폭발적으로 비산된다. 그 때문에, 비산된 금속에 의하여 새로이 전류 경로가 형성되거나, 또는 비산된 금속이 단자나 주위의 전자 부품 등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아크 방전을 신속히 정지시키고 회로를 차단하는 대책으로서, 중공 케이스 내에 소호재를 충전한 것이나, 방열재의 둘레에 퓨즈 소자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타임 래그를 발생시키는, 고전압 대응의 전류 퓨즈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전압 대응의 전류 퓨즈에 있어서는, 소호재의 봉입이나 나선 퓨즈의 제조와 같이, 어느 쪽도 복잡한 재료나 가공 프로세스가 필요해져, 퓨즈 소자의 소형화나 전류의 고정격화 등의 면에서 불리하다.
이상과 같이, 정격을 향상시킴과 함께, 아크 방전에 수반하는 저융점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확실히 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전류 퓨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퓨즈는,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에 설치된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절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보다도 융점이 높은 서브 퓨즈 소자를 갖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서브 퓨즈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퓨즈는,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메인 퓨즈 소자보다도 융점이 높은 서브 퓨즈 소자를 갖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의 저항값은 상기 서브 퓨즈 소자의 저항값 이하이며, 상기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서브 퓨즈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메인 퓨즈 소자와, 상대적으로 융점이 높은 서브 퓨즈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저융점의 메인 퓨즈 소자가 용단되면 고융점의 서브 퓨즈 소자측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메인 퓨즈 소자가 용단되는 순간에 서브 퓨즈 소자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메인 퓨즈 소자의 아크 방전이 방지되고, 또한 아크 방전의 발생은 고융점의 서브 퓨즈 소자의 용단 시에 있어서의 소규모일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정격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아크 방전에 수반하는 저융점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류 퓨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제1 면측을, (B)는 제2 면측을 도시한다.
도 2는 절연 기판의 제1 면측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메인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작동 전에 있어서의 전류 퓨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제1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제2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메인 퓨즈 소자가 용단된 전류 퓨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제1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제2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서브 퓨즈 소자가 용단되어 있는 전류 퓨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제1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제2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서브 퓨즈 소자가 모두 용단된 전류 퓨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제1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제2 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절연 기판에 측면 전극을 설치한 전류 퓨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제1 면측을, (B)는 제2 면측을 도시한다.
도 9는 절연 기판에 감합 오목부를 설치한 전류 퓨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제1 면측을, (B)는 제2 면측을 도시한다.
도 10은 고융점 금속층과 저융점 금속층을 갖고, 피복 구조를 구비하는 가용 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는 고융점 금속층을 내층으로 하고 저융점 금속층으로 피복한 구조를 도시하고, (B)는 저융점 금속층을 내층으로 하고 고융점 금속층으로 피복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고융점 금속층과 저융점 금속층의 적층 구조를 구비하는 가용 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는 상하 2층 구조, (B)는 내층 및 외층의 3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고융점 금속층과 저융점 금속층의 다층 구조를 구비하는 가용 도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고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선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저융점 금속층이 노출되어 있는 가용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A)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것, (B)는 폭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
도 14는 고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저융점 금속층이 노출되어 있는 가용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고융점 금속층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융점 금속이 충전된 가용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고융점 금속에 의하여 둘러싸인 저융점 금속이 노출된 가용 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가용 도체를 사용한 단락 소자를, 보호 캡을 생략하고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전류 퓨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전류 퓨즈(1)는, 회로 기판 상에 표면 실장 가능한 전류 퓨즈이며, 도 1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판(2)과, 절연 기판(2)에 설치된 메인 퓨즈 소자(3)와, 절연 기판(2)에 설치된 메인 퓨즈 소자(3)보다도 융점이 높은 서브 퓨즈 소자(4)를 갖는다. 전류 퓨즈(1)는 회로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당해 회로 상에 있어서 메인 퓨즈 소자(3)와 서브 퓨즈 소자(4)가 병렬로 접속된다.
[절연 기판]
절연 기판(2)은, 예를 들어 알루미나, 유리 세라믹스, 멀라이트, 지르코니아 등의,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여 대략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절연 기판(2)은, 내열 충격성이 우수하고, 또한 열전도율도 높은 세라믹스 재료를 사용하면, 후술하는 메인 퓨즈 소자(3)나 서브 퓨즈 소자(4)의 열을 빼앗아 아크 방전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절연 기판(2)은 그 외에도, 유리 에폭시계 프린트 기판, 페놀 기판 등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용 도체 메인 퓨즈 소자(3)나 서브 퓨즈 소자(4)의 용단 시의 온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절연 기판(2)은, 제1 면(2a)에 메인 퓨즈 소자(3)가 탑재되고, 제1 면(2a)과 반대측의 제2 면(2b)에 서브 퓨즈 소자(4)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2a)에는, 서로 대향하는 측연부에, 메인 퓨즈 소자(3)가 접속되는 한 쌍의 메인 전극(6a, 6b)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전극(6a, 6b)은, 예를 들어 Ag나 Cu,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등의 고융점 금속이 패터닝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퓨즈 소자]
메인 퓨즈 소자(3)는,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 자기 발열에 의하여 용단되는 어느 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b를 주성분으로 하는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RoHS 등의 환경 요구에 대응하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과 고융점 금속을 함유할 수도 있다. 저융점 금속으로서는, Sn을 주성분으로 하는 Pb 프리 땜납 등의 땜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융점 금속으로서는, Ag, Cu,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융점 금속과 저융점 금속을 함유함으로써, 전류 퓨즈(1)를 회로 기판에 리플로우 실장하는 경우에, 리플로우 온도가 저융점 금속의 용융 온도를 초과하여 저융점 금속이 용융되더라도, 저융점 금속의 외부로의 유출을 억제하여 메인 퓨즈 소자(3)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단 시에도, 저융점 금속이 용융됨으로써 고융점 금속을 용식(땜납 먹힘)함으로써, 고융점 금속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신속히 용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퓨즈 소자(3)는, 절연 기판(2)의 제1 면(2a)에 이격하여 형성된 메인 전극(6a, 6b) 사이에 걸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을 통하여 메인 전극(6a, 6b) 상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퓨즈 소자(3)는, 절연 기판(2)의 제1 면(2a) 상에 배치되는 주면부(3a)와, 주면부(3a)의 양 측연부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절연 기판(2)의 메인 전극(6a, 6b)이 설치되어 있는 측연부와 인접하는 양 측면(2c, 2d)에 감합되는 측벽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b)는, 절연 기판(2)의 양 측면(2c, 2d)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지며, 양 측면(2c, 2d)에 감합됨으로써 선단부가 절연 기판(2)의 제2 면(2b)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메인 퓨즈 소자(3)는, 측벽부(3b)의 선단부가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속 전극에 접속됨으로써 회로 상에 접속된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측벽부(3b)가 절연 기판(2)의 제2 면(2b)측으로 더 굴곡되어, 절연 기판(2)의 측면 및 제2 면(2b)에 감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퓨즈 소자(3)는, 측벽부(3b)의 선단부가 서브 전극(7a, 7b)과 접속하고, 이 서브 전극(7a, 7b)을 통하여 서브 퓨즈 소자(4)와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전류 퓨즈(1)는, 메인 퓨즈 소자(4)가 탑재된 제1 면(2a) 상에 보호 캡(5)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 캡(5)은, 메인 퓨즈 소자(3)를 넘어 절연 기판(2)의 제1 면(2a) 상에 탑재되며, 이것에 의하여 메인 퓨즈 소자(3)를 보호함과 함께, 절연 기판(2)에 가압한다. 보호 캡(5)은, 리플로우 온도에도 견딜 수 있는 나일론계나 LCP계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서브 퓨즈 소자]
서브 퓨즈 소자(4)는, 메인 퓨즈 소자(3)의 용단 시에 있어서 대전류의 우회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아크 방전을 억제하는 것이며,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판(2)의 제2 면(2b)에 형성되어 있다. 서브 퓨즈 소자(4)는, 제2 면(2b)의 양 측연부에 형성된 서브 전극(7a, 7b) 사이를 연결하는 도전 패턴으로서 형성되며, 예를 들어 Ag, Cu,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등의, 메인 퓨즈 소자(3)보다도 고융점의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서브 퓨즈 소자(4)는, 제2 면(2b)에 형성된 서브 전극(7a, 7b)과 동일한 재료에 의하여 동시에, 또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퓨즈 소자(4)는 서브 전극(7a, 7b)과 함께, 고융점 금속의 패턴 인쇄에 의하여 절연 기판(2)의 제2 면(2b)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퓨즈 소자(4)는, 서브 전극(7a, 7b)이, 전류 퓨즈(1)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접속 전극에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을 통하여 접속됨으로써, 회로 상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하여, 서브 퓨즈 소자(4)는, 마찬가지로 측벽부(3b)를 통하여 회로 기판의 접속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메인 퓨즈 소자(3)와 병렬로 접속된다.
서브 퓨즈 소자(4)는 메인 퓨즈 소자(3)보다도 융점이 높기 때문에,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경우에, 메인 퓨즈 소자(3)가 용단된 후에 용단된다. 따라서 전류 퓨즈(1)는, 메인 퓨즈 소자(3)의 용단 시에 있어서, 서브 퓨즈 소자(4)가 대전류의 우회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메인 전극(6a, 6b) 사이에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전위가 발생하는 일이 없으며, 아크 방전에 의한 메인 퓨즈 소자(3)의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저항값]
또한, 서브 퓨즈 소자(4)의 저항값은 메인 퓨즈 소자(3)의 저항값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류 퓨즈(1)는, 메인 퓨즈 소자(3)에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경우에는, 먼저 메인 퓨즈 소자(3)가 발열하여 용단된다. 즉, 전류 퓨즈(1)는, 서브 퓨즈 소자(4)를 메인 퓨즈 소자(3)에 비하여 고융점, 고저항으로 함으로써, 항상 메인 퓨즈 소자(3)에 많은 전류가 흐르고, 메인 퓨즈 소자(3)가 용단된 후에 서브 퓨즈 소자(4)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차단부]
여기서, 서브 퓨즈 소자(4)는, 일부에, 협폭으로 형성된 차단부(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10)는, 다른 부위보다도 폭이 협소화됨으로써, 고저항의 부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퓨즈 소자(4)는, 메인 퓨즈 소자(3)의 용단 후,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면, 차단부(10)가 가장 빨리 발열하여 용단된다. 전류 퓨즈(1)는, 차단부(10)가 용단됨으로써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이때, 전류 퓨즈(1)는, 협폭으로 형성된 차단부(10)가 용단되는 점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차단부(10)를 구성하는 용융 금속의 양이 적어 폭발적인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퓨즈 소자(4)는, 차단부(10)가 복수 병렬됨으로써, 서브 전극(7a, 7b)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 패턴을 병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도전 패턴을 구성하는 차단부(10)의 폭을 더욱 협소화하여 고저항화할 수 있다. 전류 퓨즈(1)는, 서브 퓨즈 소자(4)에 전류가 흐르면, 복수의 차단부(10)가 순차 용단되어 가며, 마지막 차단부(10)의 용단 시에 아크 방전이 발생한다. 이때, 복수 병렬되어 있는 각 차단부(10)는 더 협소화되어 있기 때문에, 용단 부위도 좁고, 또한 용융 금속의 양도 적기 때문에, 아크 방전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층]
또한, 서브 퓨즈 소자(4)는 절연층(11)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11)으로서는, 유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절연층(11)에 의하여 피복됨으로써, 서브 퓨즈 소자(4)는 아크 방전에 의한 차단부(1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퓨즈 소자(4)는, 공기를 배제하고 유리 등의 절연층(11)에 피복됨으로써, 통전에 의하여 발열된 열을 절연층(11)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고열에 의한 아크 방전의 지속을 방지하여, 신속히 아크 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 공정]
이어서, 전류 퓨즈(1)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절연 기판(2)의 제1, 제2 면(2a, 2b)에, 예를 들어 Ag 페이스트를 인쇄, 소성함으로써, 메인 전극(6a, 6b), 서브 전극(7a, 7b) 및 서브 퓨즈 소자(4)를 형성한다. 이때, 서브 퓨즈 소자(4)는, 서브 전극(7a, 7b)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 복수의 차단부(10)가 병렬됨으로써, 서브 전극(7a, 7b)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절연 기판(2)의 제1 면(2a)에 메인 퓨즈 소자(3)를 탑재한다. 메인 퓨즈 소자(3)는 메인 전극(6a, 6b) 상에 탑재된다. 이때, 메인 퓨즈 소자(3)는 접속용의 땜납을 통하여 메인 전극(6a, 6b) 상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측벽부(3b)가 절연 기판(2)의 측면(2c, 2d)에 감합되어, 측벽부(3b)의 선단부가 절연 기판(2)의 제2 면(2b)과 대략 같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호 캡(5)이 메인 퓨즈 소자(3)를 넘어 절연 기판(2)의 제1 면(2a) 상에 탑재된다.
이 전류 퓨즈(1)는, 절연 기판(2)의 제2 면(2b)이 회로 기판에의 실장면이 되고,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속 전극에, 메인 퓨즈 소자(3)의 측벽부(3b)의 선단부 및 서브 전극(7a, 7b)이 접속용 땜납 등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류 퓨즈(1)는 회로 기판의 전류 경로에 내장됨과 함께, 당해 회로 상에 있어서 메인 퓨즈 소자(3)와 서브 퓨즈 소자(4)가 병렬로 접속된다.
[퓨즈 동작]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류 퓨즈(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는 보호 캡(5)을 생략하고 있다. 전류 퓨즈(1)는, 정격 전류가 통전되고 있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저항값이 서브 퓨즈 소자(4)보다도 낮은 메인 퓨즈 소자(3)측에 전류의 대부분이 통전된다. 또한 전류 퓨즈(1)는, 메인 퓨즈 소자(3) 및 서브 퓨즈 소자(4)의 저항값을 동등한 것으로 했을 경우에는, 양쪽에 전류가 흐른다.
어떠한 이상에 의하여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면,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저융점의 메인 퓨즈 소자(3)의 주면부(3a)의 중앙부터 발열하여 용단에 이른다. 또한, 고융점으로 형성되어 있는 서브 퓨즈 소자(4)는, 메인 퓨즈 소자(3)와 함께 통전되었을 경우에도, 자기 발열에 의한 용단에는 시간이 필요해지는 점에서, 메인 퓨즈 소자(3)가 먼저 용단된다. 또한, 서브 퓨즈 소자(4)는 메인 퓨즈 소자(3)보다도 고저항으로 형성됨으로써, 전류의 대부분이 메인 퓨즈 소자(3)측에 흐르는 점에서, 메인 퓨즈 소자(3)가 먼저 용단된다.
도 5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퓨즈 소자(3)가 용단되면, 병렬 접속되어 있던 서브 퓨즈 소자(4)에 전체 전류가 흐른다. 서브 퓨즈 소자(4)는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차단부(10) 중 비교적 저항값이 낮은 개소부터 발열, 용단되어 가며,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지막 차단부(10)가 용단됨으로써 회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전류 퓨즈(1)에 따르면, 메인 퓨즈 소자(3)가 용단되었을 때도,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서브 퓨즈 소자(4)에 전류가 흐르는 점에서, 용단된 메인 퓨즈 소자(3) 사이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퓨즈 소자(3)를 구성하는 저융점 금속이 폭발적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류 퓨즈(1)에 따르면, 서브 퓨즈 소자(4)에, 다른 부위보다도 협소화됨으로써 고저항화된 차단부(10)를 설치함으로써, 당해 차단부(10)가 용단된다. 차단부(10)는, 용융 금속의 양이 적기 때문에, 용단 부위에 있어서 아크 방전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폭발적인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류 퓨즈(1)에 따르면, 이 차단부(10)를 복수 병렬시켜, 보다 협소화된 복수의 도전 패턴을 설치함으로써, 용단 시에 있어서의 차단부(10)의 용융 금속의 양을 더 저감시킬 수 있어, 아크 방전에 의한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전류 퓨즈(1)에 따르면, 서브 퓨즈 소자(4)를 절연층(11)에 의하여 피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아크 방전의 발생을 억제하여,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류 퓨즈(1)는, 서브 퓨즈 소자(4)가 절연층(11)에 의하여 피복됨으로써, 공기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자기 발열에 의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차단부(10)가 용단되었을 때 아크 방전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그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여 단시간에 아크 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전류 퓨즈(1)는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판(2)의 측면(2c)에, 메인 전극(6a) 및 서브 전극(7a)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측면 전극(12a)을 형성하고, 절연 기판(2)의 측면(2d)에, 메인 전극(6b) 및 서브 전극(7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측면 전극(12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측면 전극(12a, 12b)을 설치함으로써, 전류 퓨즈(1)는, 메인 전극(6a)과 서브 전극(7a), 메인 전극(6b)과 서브 전극(7b)이 각각 접속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류 퓨즈(1)는, 메인 전극(6a, 6b) 상에 탑재된 메인 퓨즈 소자(3)와, 서브 전극(7a, 7b)과 접속되어 있는 서브 퓨즈 소자(4)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류 퓨즈(1)는, 측면 전극(12a, 12b)을 설치함으로써, 메인 퓨즈 소자(3)에의 통전 저항을 서브 퓨즈 소자(4)보다도 저감시켜, 용단된 메인 퓨즈 소자(3)의 아크 방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류 퓨즈(1)는, 측면 전극(12a, 12b)을 대신하여, 또는 이들에 추가하여, 메인 전극(6a, 6b) 및 서브 전극(7a, 7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루홀 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퓨즈 소자(3)는, 메인 전극(6a, 6b)에 접속되는 주면부(3a)만을 가지며, 측벽부(3b)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측벽부(3b)를 없앰으로써, 보호 캡(5)을, 측벽부(3b)를 도출시키는 부분 개방형에서(도 1의 (A) 참조), 메인 퓨즈 소자(3)를 절연 기판(2)의 제1 면(2a) 상에 밀폐하는 밀폐형으로 할 수 있다. 전류 퓨즈(1)는, 메인 퓨즈 소자(3)의 아크 방전 억제 효과에 의하여, 보호 캡(5)이 용융 금속의 폭발적 비산에 의하여 벗겨지는 사태도 억제된다.
[감합 오목부]
또한, 전류 퓨즈(1)는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판(2)의 측면(2c, 2d)에, 메인 퓨즈 소자(3)의 측벽부(3b)가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감합 오목부(13)는, 측벽부(3b)의 두께 이상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감합 오목부(13)에 측벽부(3b)가 감합되었을 때, 절연 기판(2)의 측면(2c, 2d)으로부터 측벽부(3b)가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합 오목부(13)를 형성함으로써, 전류 퓨즈(1)는 메인 퓨즈 소자(3)의 위치 결정을 도모할 수 있으며, 추가로 다면 형성 기판에서의 메인 퓨즈 소자(3)의 실장이나 보호 캡(5)의 실장이 가능해져,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극 표면 코팅 처리]
또한, 전류 퓨즈(1)는, 메인 전극(6a, 6b)이나 서브 전극(7a, 7b), 또는 서브 퓨즈 소자(4)의 표면 상에는, Ni/Au 도금, Ni/Pd 도금, Ni/Pd/Au 도금 등의 피막이, 공지된 도금 처리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류 퓨즈(1)는, 메인 전극(6a, 6b)이나 서브 전극(7a, 7b), 또는 서브 퓨즈 소자(4)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류 퓨즈(1)를 리플로우 실장하는 경우나 과전류 차단 직전의 상태인 경우에, 메인 퓨즈 소자(3)를 접속하는 접속용 땜납, 또는 메인 퓨즈 소자(3)의 외층을 형성하는 저융점 금속이 용융됨으로써, 메인 전극(6a, 6b)이나 서브 전극(7a, 7b), 또는 서브 퓨즈 소자(4)를 용식(땜납 먹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퓨즈 소자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과 고융점 금속을 함유할 수도 있다. 저융점 금속으로서는, Sn을 주성분으로 하는 Pb 프리 땜납 등의 땜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융점 금속으로서는, Ag, Cu,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층으로서 고융점 금속층(70)이 설치되고, 외층으로서 저융점 금속층(71)이 설치된 가용 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퓨즈 소자(3)는, 고융점 금속층(70)의 전체면이 저융점 금속층(71)에 의하여 피복된 구조로 할 수도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제외하고 피복된 구조일 수도 있다. 고융점 금속층(70)이나 저융점 금속층(71)에 의한 피복 구조는, 도금 등의 공지된 성막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퓨즈 소자(3)는, 내층으로서 저융점 금속층(71)이 설치되고, 외층으로서 고융점 금속층(70)이 설치된 가용 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층(71)의 전체면이 고융점 금속층(70)에 의하여 피복된 구조로 할 수도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제외하고 피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융점 금속층(70)과 저융점 금속층(71)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전극(6)에 탑재되는 하층과, 하층 상에 적층되는 상층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로서 형성되며, 하층이 되는 고융점 금속층(70)의 상면에, 상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71)을 적층할 수도 있고, 반대로 하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71)의 상면에, 상층이 되는 고융점 금속층(70)을 적층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층과, 내층의 상하면에 적층되는 외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층이 되는 고융점 금속층(70)의 상하면에, 외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71)을 적층할 수도 있고, 반대로 내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71)의 상하면에, 외층이 되는 고융점 금속층(70)을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융점 금속층(70)과 저융점 금속층(71)이 교대로 적층된, 4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퓨즈 소자(3)는, 최외층을 구성하는 금속층에 의하여, 전체면 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제외하고 피복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내층을 구성하는 저융점 금속층(71)의 표면에 고융점 금속층(70)을 스트라이프형으로 부분적으로 적층시킬 수도 있다. 도 13은 메인 퓨즈 소자(3)의 평면도이다.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층(71)의 표면에,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선상의 고융점 금속층(70)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으로써, 길이 방향을 따라 선상의 개구부(7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72)로부터 저융점 금속층(71)이 노출되어 있다.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층(71)이 개구부(72)로부터 노출됨으로써, 용융된 저융점 금속과 고융점 금속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고융점 금속층(70)의 침식 작용을 보다 촉진시켜 용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구부(72)는, 예를 들어 저융점 금속층(71)에, 고융점 금속층(70)을 구성하는 금속의 부분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융점 금속층(71)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선상의 고융점 금속층(70)을 폭 방향으로 복수 형성함으로써, 폭 방향을 따라 선상의 개구부(7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융점 금속층(71)의 표면에 고융점 금속층(70)을 형성함과 함께, 고융점 금속층(70)의 전체면에 걸쳐 원형의 개구부(73)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73)로부터 저융점 금속층(71)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 개구부(73)는, 예를 들어 저융점 금속층(71)에, 고융점 금속층(70)을 구성하는 금속의 부분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층(71)이 개구부(73)로부터 노출됨으로써, 용융된 저융점 금속과 고융점 금속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고융점 금속의 침식 작용을 보다 촉진시켜 용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층이 되는 고융점 금속층(70)에 다수의 개구부(74)를 형성하고, 이 고융점 금속층(70)에, 도금 기술 등을 이용하여 저융점 금속층(71)을 성막하고, 개구부(74) 내에 충전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메인 퓨즈 소자(3)는, 용융되는 저융점 금속이 고융점 금속에 접하는 면적이 증대되므로, 보다 단시간에 저융점 금속이 고융점 금속을 용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층(71)의 체적을 고융점 금속층(70)의 체적보다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퓨즈 소자(3)는, 정격 전류 값을 초과하는 과전류 가열되어 저융점 금속이 용융됨으로써 고융점 금속을 용식하고, 이것에 의하여 신속히 용융, 용단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층(71)의 체적을 고융점 금속층(70)의 체적보다도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 용식 작용을 촉진하여 신속히 메인 전극(6a, 6b)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퓨즈 소자(3)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외층을 구성하는 고융점 금속에 의하여 피복되어 주면부(3a)보다도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연부(3c)와, 내층을 구성하는 저융점 금속이 노출되어 제1 측연부(3c)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연부(3d)를 갖고, 제2 측연부(3d)가, 메인 퓨즈 소자(3)의 통전 방향의 양 측단부가 되는 방향으로, 메인 전극(6a)과 메인 전극(6b) 사이에 걸쳐 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측연부(3c)는, 측면이 고융점 금속층(70)에 의하여 피복됨과 함께, 이것에 의하여 메인 퓨즈 소자(3)의 주면부(3a)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측연부(3d)는 측면에, 외주가 고융점 금속층(70)에 의하여 둘러싸인 저융점 금속층(71)이 노출되어 있다. 제2 측연부(3d)는, 제1 측연부(3c)와 인접하는 양 단부를 제외하고 주면부(3a)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퓨즈 소자(3)는, 제2 측연부(3d)가 메인 전극(6a)으로부터 메인 전극(6b) 사이에 걸친 메인 퓨즈 소자(3)의 통전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류 퓨즈(1)는, 메인 전극(6a, 6b) 사이에 걸친 메인 퓨즈 소자(3)를 신속히 용융, 단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보호 캡(5)을 생략하고 있다.
즉, 제2 측연부(3d)는 제1 측연부(3c)보다도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측연부(3d)의 측면은, 내층을 구성하는 저융점 금속층(71)이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측연부(3d)는, 저융점 금속층(71)에 의한 고융점 금속층(70)의 침식 작용이 작용하고, 또한 침식되는 고융점 금속층(70)의 두께도 제1 측연부(3c)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고융점 금속층(70)에 의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측연부(3c)에 비하여, 적은 열 에너지로 신속히 용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메인 퓨즈 소자(3)는, 저융점 금속층(71)을 구성하는 땜납박 등의 저융점 금속박을, 고융점 금속층(70)을 구성하는 Ag 등의 금속으로 피복함으로써 제조된다. 저융점 금속층박을 고융점 금속 피복하는 공법으로서는, 긴 형상의 저융점 금속박에 연속하여 고융점 금속 도금을 실시할 수 있는 전해 도금법이, 작업 효율상, 제조 비용상, 유리해진다.
전해 도금에 의하여 고융점 금속 도금을 실시하면, 긴 형상의 저융점 금속박의 에지 부분, 즉, 측연부에 있어서 전계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해져, 고융점 금속층(70)이 두껍게 도금된다(도 16 참조). 이것에 의하여, 측연부가 고융점 금속층에 의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긴 형상의 도체 리본(40)이 형성된다. 이어서, 이 도체 리본(40)을,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도 16 중 C-C'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메인 퓨즈 소자(3)가 제조된다. 이것에 의하여, 메인 퓨즈 소자(3)는, 도체 리본(40)의 측연부가 제1 측연부(3c)로 되고, 도체 리본(40)의 절단면이 제2 측연부(3d)로 된다. 또한, 제1 측연부(3c)는 고융점 금속에 의하여 피복되며, 제2 측연부(3d)는, 단부면(도체 리본(40)의 절단면)에, 상하 한 쌍의 고융점 금속층(70)과 고융점 금속층(70)에 의하여 협지된 저융점 금속층(71)이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1: 전류 퓨즈
2: 절연 기판
2a: 제1 면
2b: 제2 면
2c, 2d: 측면
3: 메인 퓨즈 소자
3a: 주면부
3b: 측벽부
4: 서브 퓨즈 소자
5: 보호 캡
6: 메인 전극
7: 서브 전극
10: 차단부
11: 절연층
12: 측면 전극
13: 감합 오목부

Claims (28)

  1.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에 설치된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절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보다도 융점이 높은 서브 퓨즈 소자를 갖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저융점 금속과 고융점 금속을 함유하며,
    상기 저융점 금속의 체적이, 상기 고융점 금속의 체적보다도 크고, 상기 저융점 금속이 용융되어, 상기 고융점 금속을 용식하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서브 퓨즈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전류 퓨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의 저항값은 상기 서브 퓨즈 소자의 저항값 이하인 전류 퓨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상기 절연 기판의 한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 퓨즈 소자는 상기 절연 기판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류 퓨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퓨즈 소자는, 상기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을 연결하는 도전 패턴인 전류 퓨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퓨즈 소자는, 은 또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 패턴인 전류 퓨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퓨즈 소자는, 일부에 협폭으로 형성된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류 퓨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퓨즈 소자는 복수의 도전 패턴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전류 퓨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퓨즈 소자는 절연층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전류 퓨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유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인 전류 퓨즈.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세라믹 기판 또는 유리 에폭시계 프린트 기판인 전류 퓨즈.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한쪽 면에 제3, 제4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제4 전극 사이에 걸쳐 상기 메인 퓨즈 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전류 퓨즈.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한쪽 면에 형성된 제3, 제4 전극과, 다른 쪽 면에 형성된 제1, 제2 전극이 각각 스루홀 전극 또는 측면 전극을 개재하여 연속되어 있는 전류 퓨즈.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상기 절연 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제3, 제4 전극과 저융점 금속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류 퓨즈.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상기 절연 기판의 한쪽 면에 탑재됨과 함께, 상기 절연 기판의 측면, 또는 상기 절연 기판의 측면을 통해 상기 절연 기판의 다른 쪽 면측에 감합되어 있는 전류 퓨즈.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 상의 보호 부재가 탑재되어 있는 전류 퓨즈.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 및 상기 서브 퓨즈 소자는,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접속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 전극을 개재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전류 퓨즈.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땜납인 전류 퓨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은 땜납이며,
    상기 고융점 금속은 Ag, Cu, 또는 Ag 또는 Cu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전류 퓨즈.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내층이 상기 고융점 금속이고, 외층이 상기 저융점 금속의 피복 구조인 전류 퓨즈.
  2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내층이 상기 저융점 금속이고, 외층이 상기 고융점 금속의 피복 구조인 전류 퓨즈.
  2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상기 저융점 금속과 상기 고융점 금속이 적층된 적층 구조인 전류 퓨즈.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상기 저융점 금속과 상기 고융점 금속이 교대로 적층된 4층 이상의 다층 구조인 전류 퓨즈.
  2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내층을 구성하는 상기 저융점 금속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고융점 금속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류 퓨즈.
  2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상기 고융점 금속의 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의 층 상에 형성된 상기 저융점 금속의 층을 갖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저융점 금속이 충전되어 있는 전류 퓨즈.
  2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외층을 구성하는 상기 고융점 금속에 의하여 피복되어 주면부보다도 상기 고융점 금속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연부와, 내층을 구성하는 상기 저융점 금속이 노출되어 상기 제1 측연부보다도 상기 고융점 금속이 얇은 두께로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연부를 갖고, 상기 제2 측연부가, 해당 메인 퓨즈 소자의 통전 방향의 양 측단부가 되는 방향으로 되는 전류 퓨즈.
  26.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메인 퓨즈 소자보다도 융점이 높은 서브 퓨즈 소자를 갖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의 저항값은 상기 서브 퓨즈 소자의 저항값 이하이며,
    상기 메인 퓨즈 소자는, 저융점 금속과 고융점 금속을 함유하고,
    상기 저융점 금속의 체적이, 상기 고융점 금속의 체적보다도 크고, 상기 저융점 금속이 용융되어, 상기 고융점 금속을 용식하고,
    상기 메인 퓨즈 소자와 상기 서브 퓨즈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전류 퓨즈.
  27. 삭제
  28. 삭제
KR1020167008917A 2013-10-09 2014-10-07 전류 퓨즈 KR102277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2358A JP6214318B2 (ja) 2013-10-09 2013-10-09 電流ヒューズ
JPJP-P-2013-212358 2013-10-09
PCT/JP2014/005111 WO2015052923A1 (ja) 2013-10-09 2014-10-07 電流ヒュー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853A KR20160065853A (ko) 2016-06-09
KR102277298B1 true KR102277298B1 (ko) 2021-07-15

Family

ID=5281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17A KR102277298B1 (ko) 2013-10-09 2014-10-07 전류 퓨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70267B2 (ko)
JP (1) JP6214318B2 (ko)
KR (1) KR102277298B1 (ko)
CN (1) CN105593965B (ko)
TW (1) TWI670742B (ko)
WO (1) WO2015052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9608A (ja) * 2013-10-16 2015-04-23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保護素子用ヒューズエレメント材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回路保護素子
JP6483987B2 (ja) * 2014-09-26 2019-03-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及び発熱体内蔵ヒューズ素子
JP6719983B2 (ja) * 2015-06-04 2020-07-0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保護素子、短絡素子、切替素子
JP2017073373A (ja) * 2015-10-09 2017-04-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JP6756490B2 (ja) * 2016-02-19 2020-09-1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流ヒューズ
JP6707428B2 (ja) * 2016-09-16 2020-06-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保護素子
JP7010706B2 (ja) * 2018-01-10 2022-01-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CN208093500U (zh) * 2018-04-03 2018-11-13 厦门赛尔特电子有限公司 一种高压熔断器
JP7368144B2 (ja) * 2019-08-27 2023-10-24 Koa株式会社 チップ型電流ヒューズ
US11636993B2 (en) 2019-09-06 2023-04-2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abrication of printed fuse
US11087943B2 (en) * 2019-09-06 2021-08-1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abrication of printed fuse
KR20210121786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hv 버스 바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4763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 리드 및 이의 제조 방법
JP7086165B1 (ja) * 2020-12-24 2022-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遮断機構
JP1701719S (ko) 2021-01-18 2021-12-06
TWI743008B (zh) * 2021-03-11 2021-10-11 功得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貼片保險絲
JP1716066S (ja) 2021-09-01 2022-05-27 ヒューズ
KR102617588B1 (ko) * 2021-11-03 2023-12-26 한국자동차연구원 퓨즈 용단 장치
CN114464509A (zh) * 2022-02-25 2022-05-10 中国振华集团云科电子有限公司 一种表贴式厚膜熔断器结构及其制造方法
JP7416505B1 (ja) 2023-08-22 2024-01-17 内橋エステック株式会社 保護素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901B2 (ja) * 1994-03-25 2000-09-1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
JP2008123778A (ja) * 2006-11-10 2008-05-29 Nec Schott Components Corp 保護装置
JP2011175957A (ja) * 2010-01-28 2011-09-08 Kyocera Corp ヒュー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869Y2 (ko) * 1972-01-20 1978-04-13
US4320374A (en) * 1979-03-21 1982-03-16 Kearney-National (Canada) Limited Electric fuses employing composite aluminum and cadmium fuse elements
JPS5622754U (ko) * 1979-07-30 1981-02-28
US4337452A (en) * 1981-03-11 1982-06-29 Gould Inc. Electric fuse having terminal caps and blades projecting through said caps
US4357588A (en) * 1981-06-03 1982-11-02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voltage fuse for interrupting a wide range of currents and especially suited for low current interruption
JPH02144821A (ja) * 1988-11-25 1990-06-04 Fujikura Ltd ヒューズ形成方法
AT394637B (de) * 1990-10-18 1992-05-25 Electrovac Lotpille
JPH05250975A (ja) * 1993-02-01 1993-09-28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つめ付き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3774871B2 (ja) * 1995-10-16 2006-05-17 松尾電機株式会社 遅延型薄膜ヒューズ
JPH09283000A (ja) * 1996-04-09 1997-10-31 Sony Tektronix Corp ヒューズ構体及び接続ソケット
US6501107B1 (en) * 1998-12-02 2002-12-31 Microsoft Corporation Addressable fuse array for circuits and mechanical devices
JP3820143B2 (ja) * 2001-02-16 2006-09-13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表面実装型小型ヒューズ
JP3088901U (ja) * 2002-03-28 2002-10-04 進吉 楊 チップ型ヒューズ
TWI323906B (en) * 2007-02-14 2010-04-21 Besdon Technology Corp Chip-type f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289122B2 (en) * 2009-03-24 2012-10-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flowable thermal fuse
JP2011023213A (ja) * 2009-07-16 2011-02-03 Panasonic Corp 回路保護素子
CN102064060A (zh) * 2011-01-26 2011-05-18 上海长园维安电子线路保护股份有限公司 温度熔断器及其制造方法
JP5896412B2 (ja) * 2012-05-17 2016-03-30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保護素子用ヒューズ素子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回路保護素子
JP6437239B2 (ja) * 2013-08-28 2018-12-1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901B2 (ja) * 1994-03-25 2000-09-1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
JP2008123778A (ja) * 2006-11-10 2008-05-29 Nec Schott Components Corp 保護装置
JP2011175957A (ja) * 2010-01-28 2011-09-08 Kyocera Corp ヒュー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5042A (zh) 2015-04-16
US20160240342A1 (en) 2016-08-18
CN105593965B (zh) 2018-10-26
KR20160065853A (ko) 2016-06-09
JP6214318B2 (ja) 2017-10-18
CN105593965A (zh) 2016-05-18
WO2015052923A1 (ja) 2015-04-16
TWI670742B (zh) 2019-09-01
JP2015076295A (ja) 2015-04-20
US10170267B2 (en)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298B1 (ko) 전류 퓨즈
JP6483987B2 (ja)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及び発熱体内蔵ヒューズ素子
JP6420053B2 (ja) ヒューズエレメント、及びヒューズ素子
KR102523229B1 (ko) 보호 소자 및 실장체
JP6576618B2 (ja) 保護素子
US20220319792A1 (en) Protection element
TWI685872B (zh) 熔絲元件、及熔絲單元
KR102102840B1 (ko) 보호 소자
TWI656554B (zh) 阻斷元件及阻斷元件電路
JP6184805B2 (ja) 遮断素子、及び遮断素子回路
TWI731050B (zh) 保護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