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248B1 -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248B1
KR102277248B1 KR1020197038526A KR20197038526A KR102277248B1 KR 102277248 B1 KR102277248 B1 KR 102277248B1 KR 1020197038526 A KR1020197038526 A KR 1020197038526A KR 20197038526 A KR20197038526 A KR 20197038526A KR 102277248 B1 KR102277248 B1 KR 102277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ailway vehicle
lighting
light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833A (ko
Inventor
슈헤이 코지마
야스요 코지마
Original Assignee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traffic conditions, e.g. fog, heavy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1형태에 따른 제어장치는 제어부를 가진다. 상기 제어부는 철도차량의 표지등을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제어모드와, 상기 표지등과 상기 표지등의 근방에 배치된 표시부를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제어모드를,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전환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용 등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를 탑재한 점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등구로서, 헤드램프 등의 표지등과, 외관 디자인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점등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34130호
최근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표지등에 디스플레이가 병설된 점등장치에 있어서, 장식성이 풍부한 연출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소망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점등장치에 장식성이 풍부한 연출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1형태에 따른 제어장치는 제어부를 가진다.
상기 제어부는 철도차량의 표지등을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제어모드와, 상기 표지등과 상기 표지등의 근방에 배치된 표시부를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제어모드를,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표지등의 발광 형태와, 동영상이나 색채정보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의 표시형태가 철도차량의 시츄에이션에 따라서 연동함으로써, 당해 철도차량에 장식성이 풍부한 연출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1 제어모드로서 상기 표지등의 복수 광원 일부 또는 전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과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역으로의 진입 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 일부를 점등시키고, 다른 일부를 점멸시킬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표지등의 헤드라이트 기능과, 장식성이 풍부한 연출 기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정지 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점멸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동영상, 색채정보 또는 문자정보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역에 정차한 철도차량에, 장식성이 더욱 풍부한 연출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차 밖의 승객에 대한 엔터테인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이상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이상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 일부를 적색으로 점등시킬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철도차량에 이상을 발생한 것을, 차 밖으로 효과적으로 주의 환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표시부를 적색으로 추가로 점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철도차량의 이상 시에 대응한 문자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추가로 표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상기 철도차량의 전측면에 걸쳐서 설치된 조명의 점등 제어를 추가로 실행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당해 철도차량의 라인 칼라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1형태에 따른 점등 시스템은 점등장치와, 제어장치를 가진다.
상기 점등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가지는 표지등과, 상기 복수의 광원 근방에 배치된 표시부를 가지고 철도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표지등을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제어모드와, 상기 표지등과 상기 표시부를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제어모드를,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전환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상기 표지등은 상기 철도차량의 전부 표지등 또는 후부 표지등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점등장치에 장식성이 풍부한 연출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점등 시스템이 적용되는 철도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점등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의 점등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어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1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제어장치의 제1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제어장치의 제2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제어장치의 제2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2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점등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의 제어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2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의 제어장치의 제1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점등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점등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등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철도차량(1)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철도차량(1)의 점등장치(10)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점등장치(10)의 사시도이다. 또, 점등 시스템(100)의 구성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등 시스템(100)은 점등장치(10)와, 제어장치(20)를 가진다(도 3 참조). 점등장치(10)는 철도차량(1)의 진행방향 전방에서의 선두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또, 점등장치(10)는 예를 들면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도시를 생략한 커버로 덮어져 있다.
[점등장치]
점등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지등(11)과, 표시부(12)와, 보조등(13)과, 레이저 조명(14)을 가진다. 이것들은, 선두차량(T)의 전면부(T1)와, 전면부(T1)를 통해서 좌우 대칭인 양 측면부(T2) 및 양 곡면부(T3)에 걸쳐서 동일한 라인을 구성하도록, 철도차량(1)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표지등(11), 보조등(13) 및 후술하는 제2 표시부(12b)는 전면부(T1)를 통해서 좌우 대칭의 구성이 되고 있다.
(표지등)
본 실시형태의 표지등(11)은 복수의 광원(11a)을 가진다. 복수의 광원(11a)은 철도차량(1)의 진행방향 전방으로 조명광을 출사 가능하게 구성되고, 철도차량(1)의 전부 표지등(헤드라이트)이다.
복수의 광원(11a)은 후술하는 제1 표시부(12a)와 보조등(13) 사이에서, 선두차량(T)의 전면부(T1)와 측면부(T2) 사이의 곡면부(T3)를 따르면서, 각 광원(11a)의 광축이 철도차량(1)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일정한 피치 간격으로 배열되고 있다.
또, 복수의 광원(11a)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L자 상태의 분리판(B)에 의해 구획된 셀(C) 내에 각각 배치되고 있다. 분리판(B)은 예를 들면, 광원(11a)이 출사하는 광의 지향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광반사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원(11a)은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LED 광원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탄 타입이나 FLUX 타입, 혹은, 표면 실장 타입(SMD)이나 COB 타입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철도차량(1)에 설치되는 광원(11a)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일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원(11a)의 수는 20개이고, 철도차량(1)의 양 곡면부(T3)에 10개씩 설치된다. 광원(11a)이 출사하는 조명광의 색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전형적으로는 백색이지만, 점등장치(10)의 사양 및 용도에 맞추어서 적당하게 결정되는데, 예를 들면 황색, 녹색, 청색, 적색, 분홍색 또는 등황색 등 일 수도 있다. 또, 표지등(11)이 배치되는 곡면부(T3)는 평면부일 수도 있다. 표지등(11)이 후부 표지등(미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광원(11a)은 전형적으로는, 적색의 조명광을 출사한다.
(표시부)
표시부(12)는 제1 표시부(12a)와, 제2 표시부(12b)로 구성된다. 제1 표시부(12a)는 선두차량(T)에 장착된 한쪽의 표지등(11)과, 다른 표지등(11) 사이에서, 철도차량(1)의 진행방향 전면(전면부(T1))에 배치된다. 제1 표시부(12a)는 전면이 화상 표시면이 되어 있고, 색채정보, 동영상(애니메이션), 정지 화상 또는 문자정보 등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표시부(12a)는 전형적으로는 LED 디스플레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표시부(12b)는 보조등(13)과 측면부(T2) 사이의 곡면부(T3)에서, 당해 곡면부(T3)를 따르면서 배치되고 있다. 제2 표시부(12b)는 제1 표시부(12a)와 같이, 전면이 화상 표시면이 되고 있고, 색채정보, 동영상(애니메이션), 정지 화상 또는 문자정보 등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표시부(12b)는 전형적으로는 LED 디스플레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 보조등 )
보조등(13)은 표지등(11)과 제2 표시부(12b) 사이에서의 곡면부(T3)에 배치되고, 조명광을 출사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조등(13)은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의 역에 정차 시의 지표로서 기능하는 정지 위치 조명이다.
보조등(13)은 예를 들면 LED 광원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에서 열거한 타입의 LED 광원을 채용할 수 있다. 보조등(13)이 출사하는 조명광의 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점등장치(10)의 사양 및 용도에 따라서 적당하게 결정는데, 예를 들면 백색, 황색, 녹색, 청색, 적색, 분홍색 또는 등황색 등 일 수도 있다.
(레이저 조명)
레이저 조명(14)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지등(11), 표시부(12) 및 보조등(13)보다 연직 하방에서, 철도차량(1)의 전주(전측면)에 걸쳐서 거의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조명광을 출사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레이저 조명(14)은 여러 파장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조명이고, 복수의 광섬유가 튜브상으로 패키지화된 레이저 조명으로서 구성된다.
레이저 조명(14)을 구성하는 광섬유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멀티 모드 파이버, 싱글 모드 파이버, 더블 클래드 파이버 또는 포토닉 결정 파이버 등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레이저 조명(14)이 출사하는 조명광의 색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점등장치(10)의 사양 및 용도에 따라서 적당하게 결정되는데, 예를 들면 백색, 황색, 녹색, 청색, 적색, 분홍색 또는 등황색 등 일 수도 있다.
[제어장치]
도 3은 점등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어장치(20)는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21)와, 점등회로(22)를 가진다.
(제어부)
제어부(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의 컴퓨터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가진다. CPU가, ROM이나 HDD에 수용된 프로그램을 RAM에 로드해서 실행하는 것에의해, 점등장치(10)에 후술하는 제1 및 제2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실행시킨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여러 기억 매체(내부 메모리)를 통해서 제어장치(20)에 인스톨된다. 혹은, 인터넷 등을 거쳐서 프로그램의 인스톨이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20)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이 사용되지만, 다른 임의의 컴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21)는 철도차량(1)의 주행상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검출부(30)의 출력에 의거해서 점등장치(1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21)는 철도차량(1)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제어모드에서는 복수의 광원(11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등시키고, 제2 제어모드에서는 복수의 광원(11a)과 표시부(12)를 점등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21)가 검출부(30)의 출력에 의거한 제어를, 예를 들면 레이저 조명(14)에 대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한 철도차량(1)의 라인 컬러의 변경이 실현된다. 또, 제어부(21)는 검출부(30)의 출력에 한정되지 않고, 철도차량(1)의 주행상태가 기록된 운행 데이터에 의거해서 점등장치(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검출부(30)는 철도차량(1)에 설치되고, 제어장치(20)와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접속된다. 검출부(30)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의 주행상태(주행 시, 정지 시 또는 역에 진입 시 등)이나, 이동량(주행거리 등) 등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모니터링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센서로서 철도차량(1)의 차륜 회전 수 등을 검출 가능한 차륜 속도 센서나, 철도차량(1)의 속도를 검출 가능한 속도 센서 등이 채용 가능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센서는 철도차량(1)의 현재위치를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에 의해 검출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나, 철도차량(1)의 도어 개폐를 검출 가능한 개폐 센서 등일 수도 있다.
또, 제어부(21)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0)의 출력에 의거하고, 점등장치(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점등장치(10)에 유저가 소망하는 점등패턴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입력부(40)로서는 예를 들면, 터치패널이나 키보드 등의 조작 디바이스가 채용된다.
(점등회로)
점등회로(22)는 점등장치(10)의 점등/소등을 전환하는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점등회로(22)는 제어부(21)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표지등(11), 표시부(12), 보조등(13) 및 레이저 조명(14)의 각각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의 ON/OFF를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표지등(11), 표시부(12), 보조등(13) 및 레이저 조명(14) 각각의 점등/소등이 제어된다.
<제어방법>
다음에, 제어장치(20)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어장치(20)가 점등장치(1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장치(20)는 철도차량(1)의 표지등(11)을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가 실행되는 제1 제어모드와, 표지등(11)과 표시부(12)를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가 실행되는 제2 제어모드를, 철도차량(1)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제1 제어모드 ]
우선, 검출부(30)는 철도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01). 이어서, 검출부(30)가 철도차량(1)의 주행상태를 검출했을 경우에(S01의 YES), 철도차량(1)이 역으로 진입했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링된다(S02). 이때, 제어부(21)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의 속도나 차륜의 회전 수 등을 검출한 검출부(30)의 출력에 의거해서 철도차량(1)이 주행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계속해서, 검출부(30)가 철도차량(1)의 역으로의 진입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S02의 NO), 제1 제어모드가 실행된다(S03). 도 5 및 도 6은 점등장치(10)를 간략화한 모식도이고, 제1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적용예 1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어모드로서 복수의 광원(11a) 전부와 레이저 조명(14)이 백색으로 점등하고, 보조등(13)이 소등한다(도 5 참조). 이것에 의해, 철도차량(1)의 진행방향 전방에 고출력으로 조명광이 출사되는 하이빔이 구성되고, 철도차량(1)의 헤드라이트 기능이 실현된다. 또, 적용예 1에서는 표시부(12)에 동영상, 색채정보 또는 문자정보 등의 임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2) 적용예 2
또, 제1 제어모드에서는 보조등(13) 측에 4개만의 광원(11a)과 레이저 조명(14)이 백색으로 점등하고, 표시부(12)부 보조등(13)을 소등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상기 하이빔보다 조명광의 출력이 낮은 또는 광축이 변경된 로우빔이 구성된다.
또, 제1 제어모드에서, 보조등(13)과 레이저 조명(14)의 조명광 색은 상기에서 설명한 색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흑색은 백색 점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제2 제어모드 ]
(점등패턴 1)
우선, 검출부(30)는 철도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01). 이어서, 검출부(30)가 철도차량(1)의 주행상태를 검출했을 경우에(S01의 YES), 철도차량(1)이 역으로 진입했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링된다(S02).
계속해서, 검출부(30)가 철도차량(1)의 역으로의 진입을 검출했을 경우에(S02의 YES), 제2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제1 점등패턴이 실행된다(S04). 이때, 제어부(21)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이 소정의 속도로까지 감속하고, 소정의 거리 (역에서의 주행거리 등) 주행한 것을 검출한 검출부(30)의 출력에 의거해서 철도차량(1)이 역으로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7은 점등장치(10)를 간략화한 모식도이고, 제1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점등패턴으로서 복수의 광원(11a)의 일부를 점등시키고, 다른 일부를 점멸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보조등(13) 측에 4개의 광원(11a)이 백색으로 점등되는 동시에, 제1 표시부(12a) 측으로부터 세서 6번째의 광원(11a)까지, 제1 표시부(12a)에서 6번째의 광원(11a)을 향해서 백색 점멸이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반복된다(도 7 참조).
이때, 제1 표시부(12a)에서는 광원(11a)의 발광 형태를 모방한 발광이 실행되고, 제2 표시부(12b)에는 예를 들면 문자정보가 표시된다. 또, 보조등(13)은 녹색의 점멸에서 점등으로 바뀌고, 레이저 조명(14)은 청색으로 점멸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제1 표시부(12a)에 표시된 문자정보는 일례이고, 이 문자정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점등장치(10)에 제1 점등패턴을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 철도차량(1)의 역으로의 진입 시에 있어서, 표지등(11)의 헤드라이트 기능과, 장식성이 풍부한 연출 기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제1 점등패턴에서 광원(11a), 제1 표시부(12a), 보조등(13) 및 레이저 조명(14)의 조명광 색은 상기에서 설명한 색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점등패턴 2)
우선, 검출부(30)는 철도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01). 이어서 검출부(30)가 철도차량(1)의 주행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S01의 NO)에, 철도차량이 긴급사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07). 긴급 모드의 상세하게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철도차량(1)이 긴급사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S07의 NO), 제2 제어모드로서, 철도차량(1)의 정지 시에 의거하는 제2 점등패턴이 실행된다(S05). 이때, 제어부(21)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의 차륜 회전이 정지한 것이나, 도어가 열린 것을 검출한 검출부(30)의 출력에 의거해서 철도차량(1)이 역에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8 및 도 9는 점등장치(10)를 간략화한 모식도이고, 제2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점등패턴으로서 복수의 광원(11a)을 점멸시키고,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에 각각 동영상, 문자정보를 표시시킨다.
(1) 적용예 1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광원(11a)의 전부에 있어서, 제1 표시부(12a) 측으로부터 보조등(13) 측을 향해서 재차 제1 표시부(12a) 측으로 되돌아가는 백색 점멸이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반복된다(도 8 참조). 이때, 보조등(13)은 소등하고, 레이저 조명(14)은 청색으로 점멸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에 색채가 그린, 블루, 오렌지, 화이트의 순서로 바뀌는 색채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고, 레이저 조명(14)의 색채가 상기의 차례로 서서히 바뀌는, 소위 페이드 인 제어가 실행될 수도 있다.
(2) 적용예 2
혹은, 복수의 광원(11a)의 전부에 있어서, 제1 표시부(12a) 측으로부터 보조등(13) 측을 향해서 재차 제1 표시부(12a) 측으로 되돌아가는 백색 점멸이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반복되는 발광 형태와, 보조등(13) 측으로부터 제1 표시부(12a) 측을 향해 재차 보조등(13) 측으로 되돌아가는 적색 점멸이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반복되는 발광 형태가 동시 진행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도 9 참조). 이때,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와 보조등(13)은 소등하고, 레이저 조명(14)은 분홍색으로 점등한다.
(3) 적용예 3
또는, 복수의 광원(11a)의 전부와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가 동기한 분홍색의 점등/점멸이 실행되거나, 복수의 광원(11a)의 전부가 분홍색으로 점등하고,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에 동영상이 표시되거나 할 수도 있다. 이때, 레이저 조명(14)은 분홍색으로 점등하고 나서 서서히 소등되고(소위, 페이드 아웃 제어), 보조등(13)은 소등한다.
점등장치(10)에 제2 점등패턴을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역에 정차한 철도차량(1)에, 장식성이 더욱 풍분한 연출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차 밖의 승객에 대한 엔터테인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긴급 모드 ]
우선, 검출부(30)는 철도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01) 이어서, 검출부(30)가 철도차량(1)의 주행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S01의 NO)에, 철도차량(1)이 긴급사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07).
이때,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이 고장에 의해 정지되었을 경우에, 승무원에 의한 입력부(40)를 통한 입력에 의거해서 철도차량(1)이 긴급사태라고 판단한다.
계속해서, 철도차량(1)가 긴급사태다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S07의 YES), 긴급 모드로서, 후술하는 이상 점등패턴과 동일한 발광 패턴이 실행된다(도 12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어모드와 제2 제어모드를 전환하는 제어가, 철도차량(1)의 운전이 정지하거나, 혹은 강제적으로 전원이 정지될 때까지 실행된다(S06).
또, 제2 점등패턴에 있어서, 광원(11a),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 보조등(13) 및 레이저 조명(14)의 조명광 색은 상기에서 설명한 색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빗금은 적색 점등을 나타내고 있고, 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점등 시스템(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점등 시스템(100)은 제어부(21)가 이상 검출부(50)의 출력에 의거해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상 검출부(50)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1)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철도차량(1)의 이상을 검출하고, 제어부(21)에 통지 가능하게 구성된 센서이다. 제어장치(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상 검출부(50)에서 이상이 검출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점등패턴을 실행하고,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철도차량(1)의 이상 시에 대응한 점등패턴을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센서(이상 검출(50))로서,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의 요동을 검출 가능한 진동 센서나, 검출부(30)의 고장 정보를 검출 가능한 센서 등이 채용 가능하지만,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어장치(20)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어장치(20)가 점등장치(1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2 제어모드 ]
(다른 점등패턴)
우선, 이상 검출부(50)가 철도차량(1)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한다(S09). 계속해서, 이상 검출부(50)가 철도차량(1)의 이상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S09의 NO),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점등패턴이 실행된다(S11)
(이상 점등패턴)
한편, 이상 검출부(50)가 철도차량(1)의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S09의 YES), 제2 제어모드로서 철도차량(1)의 이상 시에 의거하는 이상 점등패턴이 실행된다(S10). 이때, 제어부(21)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1)의 동력계나 팬터그래프 등의 이상이나, 이상한 요동 등을 검출한 이상 검출부(50)의 출력에 의거해서, 철도차량(1)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철도차량(1)에서의 차 내나 탑승자에게 긴급사태(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등에, 탑승자(승무원, 승객) 자신에 의한 입력부(40)를 통한 입력에 의거해서, 후술하는 이상 점등패턴이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 점등패턴과 다른 점등패턴을 전환하는 제어가, 철도차량(1)의 운전이 정지하거나, 혹은 강제적으로 전원이 정지될 때까지 실행된다(S12). 이하, 이상 점등패턴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점등장치(10)를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이상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 점등패턴으로서 복수의 광원(11a)의 일부와,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가 적색으로 점등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조등(13) 측에 4개의 광원(11a)이 적색으로 점등하고, 이것들의 광원(11a) 이외의 6개의 광원(11a)이 백색 점멸하고 나서, 추가로 고속으로 백색 점멸하는 발광 형태가 반복된다.
이때,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에서는 광원(11a)의 발광 형태를 모방한 발광이 실행된다. 또, 보조등(13)은 소등하고, 레이저 조명(14)은 광원(11a)의 점멸 시에 적색으로 점등하고, 고속 점멸 시에 백색으로 점등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에, 「긴급정지」, 「STOP」 등의 문자정보나 도형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점등장치(10)에 이상 점등패턴을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서, 철도차량(1)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차 밖에 효과적으로 주의 환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상 점등패턴에서, 광원(11a), 제1 표시부(12a), 보조등(13) 및 레이저 조명(14)의 조명광 색은 상기에서 설명한 색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로 변경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등장치(10)에서의 표지등(11)은 전부 표지등이지만, 철도차량(1)의 후부 표지등(미등)일 수도 있고, 이 뒷부분 표지등을 가지는 점등장치(10)에 상기한 점등패턴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제어모드에 의거하는 점등패턴으로서, 후부 표지등과 표시부(12)를 가지는 점등장치(10)에 이하에 설명하는 점등패턴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의 점등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점등패턴은 복수의 광원(11a)의 전부(후부 표지등)와,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에서, 제1 표시부(12a)로부터 제2 표시부(12b)를 향하는 적색 점멸이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반복된다. 이때, 보조등(13)은 소등하고, 레이저 조명(14)은 적색으로 점등한다.
이것에 의해, 철도차량(1)의 주행 시에 있어서, 점등장치(10)에, 후부 표지등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장식성이 풍부한 연출 기능도 발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부 표지등과, 이 전부 표지등 근방의 표시부(12)가 연동한 점등패턴이 실행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부 표지등을 가지는 점등장치(10)와, 후부 표지등을 가지는 점등장치(10) 상호간이 연동한 점등패턴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등장치(1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 표지등(11) 및 보조등(13)이 동일한 라인 상에 배치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점등장치(10)의 사양 및 용도에 따라서 레이아웃이 적당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표시부(12a, 12b)는, 표지등(11)의 연직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배치될 수동 있다. 혹은, 복수의 광원(11a)이 차량 진행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부가해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점등장치(10)의 점등패턴은 제어장치(20)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상기의 점등패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점등 시스템(100)은 전형적으로는 철도차량에 적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점등 시스템(100)은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선박 등의 이동체 전반에 적용될 수도 있고, 그 용도는 한정 되지 않는다.
1: 철도차량
10: 점등장치
11: 표지등
12: 표시부
13: 보조등
14: 레이저 조명
20: 제어장치
21: 제어부
22: 점등회로
30: 검출부
40: 입력부

Claims (10)

  1. 철도차량의 표지등을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제어모드와, 상기 표지등과 상기 표지등의 근방에 배치되어 동영상 또는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제어모드를,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1 제어모드로서 상기 표지등의 복수 광원 일부 또는 전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과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키는 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역으로의 진입 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 일부를 점등시키고, 다른 일부를 점멸시키는 제어장치.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정지 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점멸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동영상 또는 문자정보를 표시시키는 제어장치.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이상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 이상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로서 상기 복수의 광원 일부를 적색에 점등시키는 제어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검출부의 출력에 의거하고, 상기 철도차량의 이상 시에 대응하는 문자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추가로 표시시키는 제어장치.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상기 철도차량의 전측면에 걸쳐서 설치된 조명의 점등 제어를 추가로 실행하는 제어장치.
  8. 복수의 광원을 가지는 표지등과, 상기 복수의 광원 근방에 배치되어 동영상 또는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가지고, 철도차량에 장착된 점등장치와,
    상기 표지등을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제어모드와, 상기 표지등과 상기 표시부를 대상으로 하는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제어모드를, 상기 철도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전환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점등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등은 상기 철도차량의 전부 표지등 또는 후부 표지등인 점등 시스템.
  10. 삭제
KR1020197038526A 2017-06-27 2018-06-13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KR102277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5062 2017-06-27
JP2017125062A JP7011901B2 (ja) 2017-06-27 2017-06-27 制御装置及び点灯システム
PCT/JP2018/022553 WO2019003916A1 (ja) 2017-06-27 2018-06-13 制御装置及び点灯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33A KR20200041833A (ko) 2020-04-22
KR102277248B1 true KR102277248B1 (ko) 2021-07-13

Family

ID=6474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526A KR102277248B1 (ko) 2017-06-27 2018-06-13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57933B2 (ko)
EP (1) EP3647112B1 (ko)
JP (1) JP7011901B2 (ko)
KR (1) KR102277248B1 (ko)
CN (1) CN111108020B (ko)
SG (1) SG11201912929PA (ko)
TW (1) TWI669228B (ko)
WO (1) WO2019003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3765S1 (en) * 2018-08-18 2023-11-07 Byd Company Limited Train
USD1016669S1 (en) * 2018-08-18 2024-03-05 Byd Company Limited Train
US11066122B2 (en) * 2019-05-30 2021-07-20 Shimano Inc.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control device
JP7131501B2 (ja) * 2019-07-29 2022-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装置
USD936256S1 (en) * 2019-09-05 2021-11-16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51502S1 (en) * 2020-01-20 2022-05-10 Hyundai Motor Company Head lamp for an automobile
USD952916S1 (en) * 2020-01-30 2022-05-24 Kia Motors Corporatio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52917S1 (en) * 2020-03-05 2022-05-24 Kia Motors Corporatio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52915S1 (en) * 2020-03-05 2022-05-24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74610S1 (en) * 2020-07-01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s
USD964613S1 (en) * 2020-11-19 2022-09-20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340A1 (ja) * 2010-11-01 2012-05-10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前照灯制御装置
JP2014120221A (ja) * 2012-12-13 2014-06-30 Panasonic Corp 車両用前照灯
JP2015115272A (ja) * 2013-12-13 2015-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Led点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274A (ja) * 1994-12-15 1996-07-02 Masatoshi Shintani 移動体用照明灯照射方向自動可変装置
JP2004268625A (ja) * 2003-03-05 2004-09-30 Yamaha Corp 車両における状態報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327314A (ja) * 2005-05-24 2006-12-07 Aisin Aw Co Ltd 配光制御システム及び配光制御方法
KR100916585B1 (ko) * 2008-01-10 2009-09-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 차량의 외부등 점등 제어 및 소손 감지 장치
JP5177873B2 (ja) * 2008-07-11 2013-04-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101268755B1 (ko) * 2009-03-03 2013-05-29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철도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CN102848968B (zh) * 2011-06-29 2016-03-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远近光灯控制方法
JP5948174B2 (ja) 2012-07-23 2016-07-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鉄道車両用灯具
KR20140126928A (ko) * 2013-04-24 2014-11-0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234130A (ja) 2013-06-05 2014-12-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6548911B2 (ja) 2015-02-27 2019-07-24 コイト電工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ヘッドランプ
KR101662432B1 (ko) * 2015-03-09 2016-10-0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철도차량용 고휘도 led 전조등 자동제어 시스템
JP6300752B2 (ja) * 2015-03-30 2018-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灯制御装置及び光源点灯装置
CN106143284A (zh) * 2015-04-21 2016-11-23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可编辑式汽车组合后尾灯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340A1 (ja) * 2010-11-01 2012-05-10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前照灯制御装置
JP2014120221A (ja) * 2012-12-13 2014-06-30 Panasonic Corp 車両用前照灯
JP2015115272A (ja) * 2013-12-13 2015-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Led点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08020B (zh) 2023-04-21
JP2019006302A (ja) 2019-01-17
EP3647112A1 (en) 2020-05-06
SG11201912929PA (en) 2020-01-30
EP3647112C0 (en) 2023-07-26
CN111108020A (zh) 2020-05-05
KR20200041833A (ko) 2020-04-22
TWI669228B (zh) 2019-08-21
WO2019003916A1 (ja) 2019-01-03
TW201906751A (zh) 2019-02-16
JP7011901B2 (ja) 2022-02-10
EP3647112B1 (en) 2023-07-26
US20200122629A1 (en) 2020-04-23
EP3647112A4 (en) 2021-03-31
US10857933B2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248B1 (ko)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US10753568B2 (en) Vehicle communication grille
US10529229B2 (en) Traffic system linked illuminating vehicle assembly
CN108349430A (zh) 车辆用照明装置、车辆系统以及车辆
JP7137581B2 (ja) 移動体用表示装置
JP2005047494A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ブレーキ操作等表示システム
CN110997407A (zh) 自动驾驶车辆
JP2018090001A (ja) ポジション照明装置および車両
JP2018034614A (ja) 自動車状態報知装置及び自動車
KR102050467B1 (ko) 자동차의 조명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자동차
JP2011034433A (ja) 閉鎖空間照明装置、閉鎖空間照明システム
US9598001B2 (en) Hazard beacon
KR102033654B1 (ko) 차량 유턴 표시 장치
JP2009113540A (ja) 車両用信号灯装置
JPWO2017051558A1 (ja)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KR20180080922A (ko) 점등과 점멸을 동시에 표시하는 교통 신호등
JP2019043252A (ja) 車両用灯具
US20200247315A1 (en) Speed-dependent dark-mode for police vehicles
KR20210079943A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KR1016161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199884A1 (ja) 車両用灯具
JP2014037201A (ja) 車両運搬車用の乗降状態表示装置
KR20190081919A (ko) 차량용 램프
JP7411922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KR20160104989A (ko) 자동차 후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