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943A - 차량용 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943A
KR20210079943A KR1020190172215A KR20190172215A KR20210079943A KR 20210079943 A KR20210079943 A KR 20210079943A KR 1020190172215 A KR1020190172215 A KR 1020190172215A KR 20190172215 A KR20190172215 A KR 20190172215A KR 20210079943 A KR20210079943 A KR 2021007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rea
light
reg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희
안경진
이재익
이해륜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943A/ko
Publication of KR2021007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별로 점등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있어서, 램프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1 영역; 램프 하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된 각 영역별로 독립적인 점등 제어를 수행하여, 다양한 광 이미지를 형성하고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시스템{LAMP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기능별로 다양한 패턴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램프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헤드 램프는 야간 운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존재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s, DRL)은 주간 운행시 상시 점등되어 보행자나 다른 운전자가 차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미리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미등(Tail Lamp)는 차량의 위치를 후방에 알리고, 제동등(Break Lamp)은 감속 상황을 알리며, 후진등(Back up Lamp)은 차량 후진 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차량에 구비된 각종 램프는, 램프의 점멸 속도, 광원의 색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나 이처럼 램프의 점멸 속도나 점등 색을 조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램프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 한계가 있고, 정보 전달의 명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833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독립적인 점등 제어를 수행하고, 램프의 각 기능별로 다양한 조합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별로 점등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있어서, 램프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1 영역; 램프 하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영역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소정의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4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영역은 배터리의 충전량을 반영하여 발광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5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영역은 차량이 정지 중인지 여부 또는 자율주행모드인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표시부는, 차량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부 사이에서 광을 차폐하는 비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 대하여 점등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표시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하여 점등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광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3 영역의 광표시부는, 서로 연속적인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각각은 별도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헤드 램프와 인접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 램프의 점등시 연속적인 광 이미지 또는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별로 점등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간 주행시 차량의 위치 표시를 위해 광 표시부가 점등되는 제1 기능; 차량의 야간 주행시 차량의 위치 표시를 위해 광 표시부가 점등되는 제2 기능;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광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점등되는 제3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능 수행시에는, 상기 제2 기능 및 상기 제3 기능 수행시에 비하여, 광원에 더 높은 전류값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능 내지 상기 제3 기능 수행시, 수행되는 기능별로 점등 영역, 점등 색상, 인가되는 전류 값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광 이미지를 형성하여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램프의 다양한 기능에 따라 점등 색상, 점등 영역, 점등 이미지 등을 조정함으로써 정보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광 표시부의 모든 발광부가 점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복수의 광 표시부에서 일부 발광부(L)가 점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렌즈의 확대도이고, 도 7은 제3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렌즈의 확대도이고, 도 8은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기능별 점등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영역을 구현하기 위한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의 측단면이 표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영역이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순차 점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이 차량의 헤드램프의 인접 영역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식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별로 점등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1)에 있어서, 램프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1 영역(10); 램프 하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2 영역(20); 상기 제1 영역(10)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3 영역(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0)은 램프의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광 이미지는 제1 영역(10)의 전면(全面)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영역(10)에 형성되는 광 이미지는 정보 전달을 위한 특정 문자나 기호를 형성할 수도 있고, 관찰자에게 심미감을 유발하기 위한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영역(20)은 램프의 하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영역(20)은 배치 위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 제1 영역(10)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은 서로 동일한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이한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영역(30)은 램프의 상부에 배치되고, 차량의 턴 시그널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영역(3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소정의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3 영역(30)에 표시되는 형상을 '<' 및 '>'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3 영역(30)에 표시되는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형상 또는 기호가 제3 영역(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각각에서 형성되는 상기 광 이미지들을 조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황에 대응되는 총합적인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이란 차량을 운행하면서 처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 예를 들어 차량의 주변환경, 차량의 주행방향, 차량의 주행모드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s), 포지션 램프 점등과 같은 차량의 주변환경을 나타내는 경우나, 턴 시그널 램프, 후진 램프 점등과 같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자율주행 모드, 수동주행 모드, 반자율 주행 모드와 같이 차량의 주행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들이 상기 주행 상황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은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10, 20, 30)에 더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제4 영역(40)과,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5 영역(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영역(40)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4 영역(40)을 램프의 중심부에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였다. 그러나 제4 영역(40)의 배치 위치 및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4 영역(40)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한 관찰자가 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배치 위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영역(40)은 배터리의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발광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베티리 충전량을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알아본다.
제5 영역(50)은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5 영역(50)은 상술한 주행 방향, 배터리 잔여량 등을 제외한 다양한 주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영역(50)은 차량이 정지 중인지 주행 중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5 영역(50)은 차량이 자율주행모드인지 운전자에 의한 수동주행모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5 영역(50)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보행자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는 주의력을 강화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영역(10) 내지 제5 영역(50) 각각은 별도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모듈을 조립하여 하나의 램프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술한 제1 영역(10) 내지 제5 영역(50) 각각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제1 영역(10) 내지 제5 영역(50)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표시부는 차량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부(L)와 복수의 발광부(L) 사이에서 광을 차폐하는 비발광부(D)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광 표시부의 점등 제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광 표시부의 모든 발광부가 점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복수의 광 표시부에서 일부 발광부(L)가 점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영역(10) 내지 제5 영역(50) 각각은 하나의 광 표시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광 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에 구비된 광 표시부(10a, 30a)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영역(20), 제4 영역(40) 및 제5 영역(50) 역시 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영역(10) 또는 제3 영역(30)은 하나의 광 표시부(10a, 30a)를 통해 차량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특히, 광 표시부(10a, 30a)에 있어서 광을 조사하는 영역을 발광부(L), 광을 차폐하는 영역을 비발광부(D)라고 한다. 비발광부(D)는 복수의 발광부(L)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발광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비발광부(D)는 렌즈의 일 면에 불투명한 실드를 설치하거나, 차폐 물질로 렌즈의 일 면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광 표시부(10a, 30a)의 발광부(L)에서 조사되는 광은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L)는 녹색, 청색, 청녹색, 황색, 호박색, 앰버색, 주황색, 적색 등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 표시부(10a, 30a)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은 이후 서술할 기능에 따라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발광부(L) 사이에 형성된 비발광부(D)의 면적을 넓히면 발광부(L)와 비발광부(D) 사이의 명암이 극명하게 대비되어, 각 발광부(L)의 점등을 통해 점이나 선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반면 발광부(L) 사이에 형성된 비발광부(D)의 면적을 좁히면 인접한 발광부(L)끼리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것처럼 광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광 표시부(10a, 30a)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L)는 일률적으로 점등되거나, 복수의 발광부(L) 각각이 개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발광부(L)를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점등할 수도 있다. 즉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부(L) 중 일부 행이나 일부 열만 점등할 수도 있다. 복수의 발광부(L)의 배치 형태는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하려는 광 이미지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은 복수의 광 표시부(10a, 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 표시부(10a, 30a)마다 별도로 점등 제어를 할 수 있다. 복수의 광 표시부(10a, 30a)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L)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점등 제어 또는 일괄적인 점등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제1 영역(10)의 전체 면적이 점등되고, 그 사이 사이에 배치된 제3 영역(30)의 전체 면적은 소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반면 도 4는 제1 영역(10)의 전체 면적이 소등되고, 그 사이 사이 배치된 제3 영역(30)의 일부 면적이 점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제3 영역(30)은, 광 표시부(30a)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L) 중에서도 왼쪽 방향을 가리키는 꺾쇠표 즉,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만이 점등되고 있다. 이처럼 하나의 광 표시부(30a)를 특정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포함된 발광부(L)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점등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영역(10)과 제3 영역(3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광 표시부(10a, 30a) 중 일부 광 표시부(10a, 30a)만 점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영역(10)에 포함된 광 표시부(10a)와 제3 영역(30)에 포함된 광 표시부(30a)가 동시에 점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영역(10)의 광 표시부(10a) 및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영역(30)의 광 표시부(30a)가 동시에 점등되어, 연속적인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은, 제1 영역(10)만 점등하는 경우, 제3 영역(30)만 점등하는 경우,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의 일부 광 표시부(10a, 30a)에 대해서 점등하는 경우 등으로 다양하게 점등 제어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 표시부(10a, 30a)에 대하여 점등 및 소등 상황을 다양하게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1 영역(10)과 제3 영역(30)은 서로 중첩(전,후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0) 내의 일부 영역에 제3 영역(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영역(10)과 제3 영역(30)이 동시에 점등되면, 서로 중첩된 부분이 특정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 영역(10)과 제3 영역(30) 사이의 배치 및 점등 관계 등은 제2 영역(20) 및 제5 영역(50)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20)과 제5 영역(50)은 복수의 광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거나 서로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영역(20)에 포함된 광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여(또는 중첩하여) 배치되는 제5 영역(50)의 광 표시부가 동시에 점등되면 서로 연속적인(또는 중첩되는)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을 구현하는 램프 어셈블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렌즈의 확대도이고, 도 7은 제3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렌즈의 확대도이고, 도 8은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램프 어셈블리는 제1 영역(10)을 형성하는 제1 렌즈(100), 제1 렌즈(100)의 후면에 설치되어 제3 영역(30)을 형성하는 제2 렌즈(320) 및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32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렌즈(320)를 투과한 광 중 일부를 차폐하는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320)의 상부에는 브라켓(110)이 결합된다. 브라켓(110)은 LED를 포함하는 PCB(120,121,122)가 설치된다. 따라서 PCB(120,121,122)에 포함된 광원을 통해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320) 각각에는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이때, 광은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320)의 상부면에서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으로 광의 조사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320) 각각은 도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100)는 패턴 형성 영역(110)과 갭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형성 영역(110)과 갭 영역(120)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패턴 형성 영역(110)은 도광을 위한 옵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 형성 영역(110)은 제1 영역(10)의 광 표시부(10a)에 대응된다.
갭 영역(120)은 평활한 렌즈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 렌즈(320)를 투과한 광을 투광시키는 영역이다. 패턴 형성 영역(110)과 갭 영역(120)을 번갈아 가며 배치함으로써, 제1 영역(10)과 제3 영역(30)이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320)는 도광을 위한 돌출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일단(314)을 통하여 광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제2 렌즈(320)의 전방에는 차폐부(312)를 구비한 플레이트(310)가 배치된다.
플레이트(310)의 일면에는 전체 영역에 걸쳐 차폐부(312)가 형성되어, 제2 렌즈(320)를 투과한 광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 플레이트(310)의 일부 영역에는 통공(311)이 형성되어 있어 제2 렌즈(320)에서 조사되는 광의 유일한 투과부 역할을 한다. 이때 돌출부의 일단(314)이 통공(3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의 일단(314)이 삽입된 통공(311)이 제3 영역(30)의 발광부(L)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플레이트(310)에 구비된 차폐부(312)가 비발광부(D)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렌즈(100) 및 제 2 렌즈가 결합하면(도 8), 제1 렌즈(100)의 패턴 형성 영역(110)과 제2 렌즈(320) 및 플레이트(310)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광 표시부(313)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320)가 동시에 점등되면,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에 연속적인 광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렌즈(100)의 후면에 제2 렌즈(320)를 배치하고, 제1 렌즈(100)에 패텬 형성 영역과 갭 영역(120)을 형성함으로써 제2 렌즈(320)를 투과한 광이 제1 렌즈(100)를 잇따라 투과하는 구조는,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의 형성뿐 아니라, 제2 영역(20) 및 제5 영역(50) 형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램프 어셈블리는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을 형성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영역(10) 및 제3 영역(30)을 형성하기 위한 점등 장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의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기능별 점등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은, 포지션 기능, 웰컴 기능, 차량 상태 표시 기능 및 주행 방향 표시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능은 주간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 DRL)기능으로, 주간에 대향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차량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엔진 시동시 광 표시부(10a, 30a)가 자동 점등되는 기능이다. 포지션 기능 및 후술할 기타 기능들에 비하여, 주간주행등 기능 수행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은 가장 밝은 광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주간주행등 기능 수행시 발광부(L)는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기능은 포지션(Position) 기능으로, 차량의 정지된 경우 야간 주행시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광 표시부(10a, 30a)가 점등되는 기능이다. 광 표시부(10a, 30a)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점등될 수 있다. 포지션 기능 수행시 발광부(L)는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3 기능은 주행 방향 표시 기능으로, 차량의 주행 방향을 표현하는 도형의 형상으로 광 표시부(10a, 30a)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점등되는 기능이다. 주행 방향 표시 기능 수행시 발광부(L)는 황색 또는 앰버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4 기능은 웰컴(Welcome) 기능으로 운전자가 주차된 차량의 근접 위치로 접근하는 경우 소등되어 있던 램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자동으로 점등되는 기능이다.
제5 기능은 자율주행 상태 표시 기능으로, 자율주행의 각 단계별로 상이한 생삭의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자율주행 시스템의 차량 점유 정도를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전 자율 주행 상태일 경우 광 표시부(10a, 30a)는 녹색 혹은 청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6 기능은 주행 상태 표시 기능으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 상태, 정차 또는 주행 여부 등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기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표시부(10a, 30a)는 차량 정지시 녹색 또는 청녹색, 가속시 적색, 감속시 황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7 기능은 차량 상태 표시 기능으로,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이다. 차량 상태 표시 기능 수행시, 광 표시부(10a, 30a)는 발광 영역을 조정하거나, 광원의 점멸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량,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 소모품의 교환 알림, 뒷좌석 승객의 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4 영역(40)에서 배터리 충전 상황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은,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광원에 소정의 전류 값을 인가할 수 있다. 특히 주간주행등 기능 수행시에는 나머지 기능 수행시에 비해 더 높은 전류 값을 광원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수행시에는 제1 영역(10) 또는 제2 영역(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점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은 제1 영역(10) 또는 제2 영역(20)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이 점등되고, 제3 기능 및 제4 기능 수행시는 제3 영역(30) 또는 제5 영역(50)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능 내지 제4 기능이 제1 영역(10) 또는 제2 영역(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기능 내지 제7 기능 수행시 점등 제어의 태양은 전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고, 각 기능에 따라 점등되는 영역이나, 점등되는 광원의 색 등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4 영역(40)을 점등하는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의 구조 및 제4 영의 다양한 점등 제어 모습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영역을 구현하기 위한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의 측단면이 표시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는 브라켓(480)의 전면에 LED가 포함된 PCB(470)가 설치되고, PCB(470)의 전방에 제1 바디부(460), 제3 렌즈(450), 제2 바디부(440), 제4렌즈(430) 및 제5 렌즈(420)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5 렌즈(420)의 전면에는 베젤(4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렌즈(450), 제4 렌즈(430) 및 제5 렌즈(420)는 LED에서 방출되는 광이 발광 면을 조성할 수 있도록,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관찰자의 입장에서 발광 영역으로 인식되는 제3 렌즈(450), 제4 렌즈(430) 및 제5 렌즈(420)의 중첩 영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영역(40)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는 제4 영역(40)을 형성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4 영역(40)을 형성하기 위한 점등 장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영역이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순차 점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0%)된 상태에서 완전 충전(100%)되는 동안, 윙 타입 램프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제4 영역(40)의 점등 영역이 변화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0% 경우에는 제4 영역(40)의 전체 면적이 소등된다. 이후 시간의 경과로 배터리의 충전량이 증가하면, 제4 영역(40)의 중심부에서 양단으로 진행하며 점등 영역이 증가한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100%에 도달하면 제4 영역(40)의 전체 면적이 점등된다. 이처럼 점등 방향이 중심부에서 양단으로 진행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제4 영역(4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등 영역이 확장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처럼 제4 영역(40)은 배터리의 충전량을 반영하여 점등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충전 상태와는 반대로, 차량의 방전이 진행되는 경우는 상술한 과정이 역순으로 진행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량이 소정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제4 영역(40)이 점멸되기 시작하거나, 점멸되는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재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서술한 제4 영역(40)의 점등영역과 배터리의 충전량 사이의 상관관계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차량에 구비된 소모품의 잔여량 등으로 치환하여도 동일하게 성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이 차량의 헤드램프의 인접 영역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이 좌측 헤드램프(LH) 및 우측 헤드램프(RH) 사이에 형성되고, 이때 제3 영역(30)의 광 표시부(30a)가 헤드램프의 인접영역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 헤드램프(LH) 및 제3 영역(30)이 동시에 점등됨으로써 좌측 헤드램프(LH)와 제3 영역(30)에 걸쳐 연속적인 광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연속적인 광 이미지는, 헤드램프(LH, RH)와 제3 영역(30)이 동일하거나 또는 통일감 있는 형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헤드램프 및 이에 인접한 제3 영역(30)은, 연속적인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연속적인 발광 패턴이란 헤드램프 및 이에 인접한 제3 영역(30)에 있어서 광 조사 영역이 소정 형상을 이루며 분포하는 경우 즉, 헤드램프 및 이에 인접한 제3 영역(30)의 발광 면이 소정 패턴을 이루며 배치되는 경우 형성될수 있다.
연속적인 광 이미지 또는 광 패턴은, 일 방향으로 진행하며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함으로써, 헤드램프 영역까지 연속적인 동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영역(30)뿐만 아니라, 제1 영역(10), 제2 영역(20), 제4 영역(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헤드램프의 인접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각 영역은 헤드램프(LH, RH)와 연속적인 광 이미지 또는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용 램프 시스템
10: 제1 영역
20: 제2 영역
30: 제3 영역
40: 제4 영역
50: 제5 영역
10a, 30a: 광 표시부

Claims (18)

  1.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별로 점등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있어서,
    램프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제1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1 영역;
    램프 하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제2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여 상기 램프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제3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에서 형성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광 이미지들이 조합되어 차량의 주행상황에 대응되는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소정의 형태를 표시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제4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4 영역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배터리의 충전량을 반영하여 발광 영역을 변화시키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소정 형상의 제5 광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5 영역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영역은 차량이 정지 중인지 여부 또는 자율주행모드인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표시부는,
    차량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부 사이에서 광을 차폐하는 비발광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 대하여 점등 제어가 수행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표시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하여 점등 제어가 수행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광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3 영역의 광표시부는, 서로 연속적인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각각은 별도의 모듈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헤드 램프와 인접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 램프의 점등시 연속적인 광 이미지 또는 발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5.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별로 점등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간 주행시 차량의 위치 표시를 위해 광 표시부가 점등되는 제1 기능;
    차량의 야간 주행시 차량의 위치 표시를 위해 광 표시부가 점등되는 제2 기능;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광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점등되는 제3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수행시에는, 상기 제2 기능 및 상기 제3 기능 수행시에 비하여, 광원에 더 높은 전류값이 인가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내지 상기 제3 기능 수행시, 수행되는 기능별로 점등 영역, 점등 색상, 인가되는 전류 값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차량의 헤드 램프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램프의 점등시 상기 제1 기능 내지 제3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연속적인 광 이미지 또는 발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KR1020190172215A 2019-12-20 2019-12-20 차량용 램프 시스템 KR20210079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15A KR20210079943A (ko) 2019-12-20 2019-12-20 차량용 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15A KR20210079943A (ko) 2019-12-20 2019-12-20 차량용 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943A true KR20210079943A (ko) 2021-06-30

Family

ID=7660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215A KR20210079943A (ko) 2019-12-20 2019-12-20 차량용 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9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533B1 (ko) 2023-06-16 2023-11-01 주식회사 태건리너텍 하수 오니를 처리한 부숙 연료 및 그 처리 방법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20Y1 (ko) 2015-09-16 2017-04-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20Y1 (ko) 2015-09-16 2017-04-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533B1 (ko) 2023-06-16 2023-11-01 주식회사 태건리너텍 하수 오니를 처리한 부숙 연료 및 그 처리 방법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2063B2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画像投射方法
JP3984023B2 (ja) 車輌用灯具
CN111278680B (zh) 调头转向尾灯及利用其的无人驾驶方法
KR20100114916A (ko) 광빔 및 홀로그래픽 3d 영상을 발생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US11975648B2 (en) Communication light device for vehicles
CN110997407B (zh) 自动驾驶车辆
JP2011238171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180073069A (ko) 차량용 램프
KR20210079943A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JP2019192432A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付きウィンドウパネル、車載ディスプレイ
WO2017051558A1 (ja)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US9598001B2 (en) Hazard beacon
JP7172283B2 (ja) 車両用灯具
CN111354208A (zh) 一种车辆掉头提醒系统、方法及车辆
KR20160109940A (ko)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KR20180080922A (ko) 점등과 점멸을 동시에 표시하는 교통 신호등
CN113631422A (zh) 车辆用灯具
KR20210075516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348896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2666448B1 (ko)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KR20180076634A (ko) 차량용 램프
JP6253486B2 (ja) 車両用灯具
KR101356684B1 (ko) 차량용 헤드램프
WO2021085148A1 (ja) 二輪車用灯具、二輪車用灯具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灯具
US20240210006A1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