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448B1 -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 Google Patents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448B1
KR102666448B1 KR1020230075185A KR20230075185A KR102666448B1 KR 102666448 B1 KR102666448 B1 KR 102666448B1 KR 1020230075185 A KR1020230075185 A KR 1020230075185A KR 20230075185 A KR20230075185 A KR 20230075185A KR 102666448 B1 KR102666448 B1 KR 10266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urn signal
emergency
blind spo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재용
Original Assignee
방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재용 filed Critical 방재용
Priority to KR102023007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 방향지시등이 방향지시 기능에 따른 점등과 비상점멸 표시 기능에 따른 점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면에서 주행하는 운전자가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것인지 비상 주행을 표시하는 것인지 구분이 가능한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SIDE-MOUNTED BLIND SPOT WARNING LIGHT}
본 발명은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 방향지시등이 방향지시 기능에 따른 점등과 비상점멸 표시 기능에 따른 점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면에서 주행하는 운전자가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것인지 비상 주행을 표시하는 것인지 구분이 가능한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진행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등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좌측과 우측 차체에 구비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서 좌측 방향지시등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을 점멸하여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진행할 방향을 미리 혹은 진행 중에 상대방 차량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좌측 방향지시등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의 전방에 있는 좌측 전방등과 후방에 있는 좌측 후미등을 점멸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반대로 우측 방향지시등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의 전방에 있는 우측 전방등과 후방에 있는 우측 후미등을 점멸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비상 주행 시에 이를 다른 차량에게 알리기 위한 비상점멸 기능이 필요하게 되며, 이와 같은 비상점멸 표시 기능은 종래의 좌우 측의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 지시등 점등장치는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서 차량의 좌측 또는 차량의 우측에 구비된 방향지시등을 점등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을 표시하거나, 차량의 좌측 및 차량의 우측에 구비된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등하여 비상 주행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버스나 트럭 등 큰 차량의 경우, 측면에 위치한 차량도 방향지시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차체의 측면에 측면 방향지시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좌측 방향지시등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의 좌측면에 있는 좌측 측면 방향지시등을 점멸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반대로 우측 방향지시등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의 우측 측면 방향지시등을 점멸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 차량의 좌측면에 있는 좌측 측면 방향지시등과 차량의 우측 측면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멸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좌측에 위치한 차량은 좌측 측면 방향지시등을 보고, 우측 차량이 좌측 방향지시등을 켠 것인지,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킨 것인지 구분할 수가 없다.
즉, 측면 방향지시등만 보고 내 차가 있는 차선으로 변경하겠다는 것인지,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 시켜야 하는 상황인지 판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133687]에서는 차량의 사이드 시그널 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133687](공개일자: 2010년12월22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 방향지시등이 방향지시 기능에 따른 점등과 비상점멸 표시 기능에 따른 점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면에서 주행하는 운전자가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것인지 비상 주행을 표시하는 것인지 구분이 가능한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빛이 투과 가능한 제1커버(110)가 구비되며, 차량의 일측 측면에 부착되는 제1램프하우징(100);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1비상등(120); 및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일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에 확산렌즈(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 중 어느 하나를 가로로 배열하고, 다른 하나를 세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빛이 투과 가능한 제2커버(210)가 구비되며, 차량의 타측 측면에 부착되는 제2램프하우징(200);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2비상등(220); 및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타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에 확산렌즈(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 중 어느 하나를 가로로 배열하고, 다른 하나를 세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 방향지시등이 방향지시 기능에 따른 점등과 비상점멸 표시 기능에 따른 점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등과 방향지시등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전자 및 차량의 측면에서 운전중인 운전자의 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이 조사되는 방향에 확산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여 다른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안도록 함으로써, 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의 배열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의 직관적인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의 색상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의 직관적인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의 형상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의 직관적인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형 차량의 운전자 시야 사각지대를 표시한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대형 차량 좌측에서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일측 측면 부착용이 차량의 좌측 측면에 설치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일측 측면 부착용이 차량의 좌측 측면에 두 지점에 설치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좌측 측면 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상부 도면)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하부 도면)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상부 도면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제1비상등과 제1측방향지시등이 구비된 발광면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도 4의 좌측 측면 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상부 도면)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하부 도면)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내부에 등기구, 반사체 및 확산렌즈의 배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측면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을 서로 달리 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타측 측면 부착용이 차량의 우측 측면에 설치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대형 차량의 운전자 시야 사각지대를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대형 차량 좌측에서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일측 측면 부착용이 차량의 좌측 측면에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일측 측면 부착용이 차량의 좌측 측면에 두 지점에 설치된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좌측 측면 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상부 도면)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하부 도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부 도면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제1비상등과 제1측방향지시등이 구비된 발광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좌측 측면 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상부 도면)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하부 도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내부에 등기구, 반사체 및 확산렌즈의 배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측면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을 서로 달리 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타측 측면 부착용이 차량의 우측 측면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모든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시야 사각지대(도 1의 어두운 부분)가 존재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본인이 아무리 조심해서 운전한다고 하더라고, 운전자의 시야 사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운전자의 시야 사각지대에 위치한 차량에서 경적을 울린다던지 방어운전을 하는 것이다.
도 2를 예로 설명하면, 대형 차량(버스) 좌측 후방에 위치한 차량은 대형 차량(버스) 후미의 방향지시등(좌/우 측 방향지시등)이 보이는 위치에 있어, 우측 대형 차량(버스)이 좌측 방향지시등을 켠 것인지,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킨 것인지 구분할 수가 있어, 이에 대한 대응 운전이 가능하나,
대형 차량(버스) 좌측 전방에 위치한 차량은 좌측 측면 방향지시등만 보이고, 대형 차량(버스) 후미의 방향지시등(좌/우 측 방향지시등)은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어, 우측 차량이 좌측 방향지시등을 켠 것인지,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킨 것인지 구분할 수가 없어, 정확한 대응 운전이 어렵다.
즉, 대형 차량(버스) 좌측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운전자는 우측에 위치한 대형 차량(버스) 좌측면 방향지시등만 보고 우측에 위치한 대형 차량(버스)이 내 차가 있는 차선으로 변경하겠다는 것인지,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 시킨 것인지 구분이 어렵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제1램프하우징(100),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을 포함한다.
제1램프하우징(100)은 빛이 투과 가능한 제1커버(110)가 구비되며, 차량의 일측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은 차량의 일측 측면에 부착 고정된다.
여기서 일측 측면은 좌측 측면 또는 우측 측면을 말한다.
상기 제1커버(110)는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램프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빛의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비상등(120)은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상기 제1비상등(120)은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상기 제1비상등(120)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의 전방에 버튼 등의 형태로 구비되며, 버튼의 형태인 경우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비상등(120)은 하나의 등기구와 특정 형상의 표시가 가능한 커버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엘이디가 특정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는 등 하나의 신호로 작동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일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차량의 일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방향지시등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운전대) 옆(일반적으로 좌측)의 방향지시등 스위치 또는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고, 스위치 또는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 차량의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좌측 방향지시등이 될 수도 있고, 우측 방향지시등이 될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좌측 측면에 설치된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좌측 방향지시등이 되고, 차량의 우측 측면에 설치된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우측 방향지시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하나의 등기구와 특정 형상의 표시가 가능한 커버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엘이디가 특정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는 등 하나의 신호로 작동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형성된 면을 발광면 이라 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이 형성된 면 역시 발광면 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사용할 경우, 종래의 사이드미러 사각지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도 옆의 차량이 차선 변경을 시도하는 것인지 비상등을 켜는 것인지 구분이 가능함에 따라, 경적을 울린다던지 브레이크를 잡아 방어운전을 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경우에 따라, 차량의 일측 측면에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스 전용차로가 우측에 있는 도로만 주행하는 버스의 경우, 좌측 측면에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버스 전용차로가 좌측에 있는 도로만 주행하는 버스의 경우, 우측 측면에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차량의 일측 측면에만 설치하여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양측 측면 모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경우에 따라, 차량의 일측 측면 서로 다른 지점에 다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이 큰 경우, 차량의 일측 측면 한 지점에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을 설치한다면, 측면 운전자의 시각 사각지역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이 위치될 경우, 확인이 어려울 수 있어, 차량이 큰 경우, 차량의 일측 측면 서로 다른 지점에 다수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면 전방에 설치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과 측면 후방에 설치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상기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각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7 참조)
도 11을 예로 설명하면, 측면 전방에 설치된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이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각으로 45도를 향하고 있어, 차량의 좌측 사이드미러 사각지대를 향해 발광되도록 하였고, 측면 후방에 설치된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이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각으로 80도를 향하고 있어, 차량의 좌측 사이드미러 사각지대를 향해 발광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좌측 차량의 운전자가 우측차량의 측면 전방에 설치된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이 좌측 차량의 필러 사각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다고 하더라도, 우측차량의 측면 후방에 설치된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이 시야에 들어오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운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에 확산렌즈(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산렌즈(500)는 빛의 확산각을 조절하는 렌즈로, 상기 확산렌즈(500)는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 각각의 램프(300) 마다 설치하거나, 특정 램프 군 단위로 설치하거나, 모든 램프가 커버되도록 통합 설치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각각의 램프(300) 마다 설치하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램프(300)의 일부를 감싸 형태의 반사부재(400)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300)로부터 빛을 조사하려는 방향으로 확산렌즈(5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렌즈(500)는 상기 제1비상등(120), 제1일측방향지시등(130) 또는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과 상기 제1커버(1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8 참조)
또는, 상기 확산렌즈(500)는 상기 제1커버(110) 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미러를 기준으로 차량의 사각지대가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각으로 45도 ~ 90도 정도이므로,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향하는 방향을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각으로 65도 ~ 70도 정도 향하도록 하고, 확산렌즈(500)로 확산각을 조절하여 눈부심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확산렌즈(500)는 빛을 투과시키는 기재의 일면에 분포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상기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일부는 상기 기재의 중심부에서 외각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기재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 즉, 글래스 또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와 같은 투명 재질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적용에 적당한 불투명 재질일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재와 별도로 제조된 후 접착 또는 압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의 제조 방법은, 합성 수지 계통을 사용할 경우 사출, 프레스 , 2P, 열경화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며, 유리 계통을 사용할 경우 리드로 및 전사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패턴의 크기 및 각도는 광원의 크기, 모양 및 발광 소자와 렌즈와의 간격, 조립 형태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하되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일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의 저면으로 입사된 빛을 광각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대략적으로 구 또는 타원구 형상을 가지며, 일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의 중심부에서 외각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광원이 기재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광원이 기재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원의 중심위치와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최고점이 대응되도록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재의 저면에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경우, 각 광원이 배치된 지점의 상부에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최고점이 배치되도록 최고점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 중 어느 하나를 가로로 배열하고, 다른 하나를 세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비상등(120)을 세로로 배열하였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가로로 배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비상등(120)을 가로로 배열하였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세로로 배열할 수 있다.
이는, 등의 점등되는 형태를 보고, 방향지시등 표시 인지 비상점멸 표시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색상은 황색 등 단일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을 황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비상등(120)을 적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황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비상등(120)을 적색 색상으로,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을 황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만 있다면 청색, 녹색, 백색, 주광색 등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색상은 램프(300) 자체의 색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램프(300)의 색상은 동일한 것을 사용(ex, 주광색)하고 커버(110, 210)의 색상을 달리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램프(300) 자체의 색상을 달리하는 경우, 상기 램프(300)로 RGB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비상등(120)을 세로 방향이 더 긴 타원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가로 방향이 더 긴 타원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는, 상기 제1비상등(120)을 정삼각형이 아닌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정삼각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 상기 제1비상등(120)을 원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방향성이 있는 도형 형상(화살표, 꺽쇠(<, >) 형상 등)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비상등(120)을 위측 방향을 가리키는 삼각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가리키는 삼각형(◁, ▷)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비상등(120)과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형상을 달리하는 몇가지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표시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차량의 양측 측면 모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예에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즉, 비상등과 방향지시등 구분이 가능한 램프 ASSY를 차량의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국을 예로 들면, 일반적인 버스 전용차로는 최우측 차선에 위치하지만, 고속도로 등 경우에 따라 최좌측 차선에 버스 전용차로가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즉, 구간마다 버스 전용차로가 좌측 차로가 될 수도 있고 우측 차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상등과 방향지시등 구분이 가능한 램프 ASSY도 양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제2램프하우징(200),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을 포함한다.
제2램프하우징(200)는 빛이 투과 가능한 제2커버(210)가 구비되며, 차량의 타측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은 차량의 일측 측면에 부착 고정된다.
여기서 일측 측면은 좌측 측면 또는 우측 측면을 말한다.
상기 제2커버(210)는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램프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빛의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비상등(220)은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상기 제2비상등(220)은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상기 제2비상등(220)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의 전방에 버튼 등의 형태로 구비되며, 버튼의 형태인 경우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비상등(220)은 하나의 등기구와 특정 형상의 표시가 가능한 커버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엘이디가 특정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는 등 하나의 신호로 작동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타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차량의 타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방향지시등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운전대) 옆(일반적으로 좌측)의 방향지시등 스위치 또는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고, 스위치 또는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 차량의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좌측 방향지시등이 될 수도 있고, 우측 방향지시등이 될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좌측 측면에 설치된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좌측 방향지시등이 되고, 차량의 우측 측면에 설치된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우측 방향지시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하나의 등기구와 특정 형상의 표시가 가능한 커버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엘이디가 특정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는 등 하나의 신호로 작동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에 빛의 확산각을 조절하는 확산렌즈(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산렌즈(500)는 빛의 확산각을 조절하는 렌즈로, 상기 확산렌즈(500)는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 각각의 램프 마다 설치하거나, 특정 램프 군 단위로 설치하거나, 모든 램프가 커버되도록 통합 설치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확산렌즈(500)는 상기 제2비상등(220), 제1타측방향지시등(230) 또는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과 상기 제2커버(2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확산렌즈(500)는 상기 제2커버(210) 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미러를 기준으로 차량의 사각지대가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각으로 45도 ~ 90도 정도이므로,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이 향하는 방향을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각으로 65도 ~ 70도 정도 향하도록 하고, 확산렌즈(500)로 확산각을 조절하여 눈부심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확산렌즈(500)는 빛을 투과시키는 기재의 일면에 분포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상기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일부는 상기 기재의 중심부에서 외각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기재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 즉, 글래스 또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와 같은 투명 재질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적용에 적당한 불투명 재질일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재와 별도로 제조된 후 접착 또는 압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의 제조 방법은, 합성 수지 계통을 사용할 경우 사출, 프레스 , 2P, 열경화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며, 유리 계통을 사용할 경우 리드로 및 전사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패턴의 크기 및 각도는 광원의 크기, 모양 및 발광 소자와 렌즈와의 간격, 조립 형태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하되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일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의 저면으로 입사된 빛을 광각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대략적으로 구 또는 타원구 형상을 가지며, 일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는 기재의 중심부에서 외각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광원이 기재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광원이 기재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원의 중심위치와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최고점이 대응되도록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재의 저면에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경우, 각 광원이 배치된 지점의 상부에 복수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복수의 프레넬렌즈의 최고점이 배치되도록 최고점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 중 어느 하나를 가로로 배열하고, 다른 하나를 세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비상등(220)을 세로로 배열하였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가로로 배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비상등(220)을 가로로 배열하였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세로로 배열할 수 있다.
이는, 등의 점등되는 형태를 보고, 방향지시등 표시 인지 비상점멸 표시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색상은 황색 등 단일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을 황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비상등(220)을 적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황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비상등(220)을 적색 색상으로,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을 황색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만 있다면 청색, 녹색, 백색, 주광색 등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색상은 램프(300) 자체의 색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램프(300)의 색상은 동일한 것을 사용(ex, 주광색)하고 커버(110, 210)의 색상을 달리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램프(300) 자체의 색상을 달리하는 경우, 상기 램프(300)로 RGB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비상등(220)을 삼각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원형화살표 형상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비상등(220)을 원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방향성이 있는 도형 형상(화살표, 꺽쇠(<, >) 형상 등)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비상등(220)을 위측 방향을 가리키는 삼각형(△)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가리키는 삼각형(◁, ▷)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비상등(220)과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형상을 달리하는 몇가지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표시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종래의 좌측 방향지시등(A), 종래의 우측 방향지시등(B) 또는 종래의 좌측 방향지시등(A) 및 종래의 우측 방향지시등(B)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좌측 방향지시등(A)은 차량의 좌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상기 종래의 우측 방향지시등(B)은 차량의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된다.
종래의 방향지시등(A, B)의 색상과 비상등(120, 220) 및 일측방향지시등(130, 230)의 색상은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향지시등(A, B)의 색상은 황색, 비상등(120, 220) 및 일측방향지시등(130, 230)의 색상은 적색으로 하거나, 종래의 방향지시등(A, B)의 색상은 황색, 비상등(120, 220) 및 일측방향지시등(130, 230)의 색상은 청색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제1램프하우징
110: 제1커버
120: 제1비상등
130: 제1일측방향지시등
200: 제2램프하우징
210: 제2커버
220: 제2비상등
230: 제1타측방향지시등
300: 램프
400: 반사부재
500: 확산렌즈

Claims (10)

  1. 빛이 투과 가능한 제1커버(110)가 구비되며, 차량의 일측 측면에 부착되는 제1램프하우징(100);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1비상등(120);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일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1일측방향지시등(130); 및
    상기 제1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켜도 작동되고, 차량의 일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켜도 작동되는 방향지시등(A);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에 확산렌즈(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이 형성된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이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각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방향지시등(A)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과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을 서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 중 어느 하나를 가로로 배열하고, 다른 하나를 세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1비상등(120) 및 제1일측방향지시등(130)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빛이 투과 가능한 제2커버(210)가 구비되며, 차량의 타측 측면에 부착되는 제2램프하우징(200);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점멸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2비상등(220); 및
    상기 제2램프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타측 방향지시등 표시 기능을 작동시키면 작동되는 제1타측방향지시등(230);
    을 포함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에 확산렌즈(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 중 어느 하나를 가로로 배열하고, 다른 하나를 세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은
    상기 제2비상등(220) 및 제1타측방향지시등(230)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KR1020230075185A 2023-06-12 2023-06-12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KR10266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85A KR102666448B1 (ko) 2023-06-12 2023-06-12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85A KR102666448B1 (ko) 2023-06-12 2023-06-12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448B1 true KR102666448B1 (ko) 2024-05-14

Family

ID=9107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185A KR102666448B1 (ko) 2023-06-12 2023-06-12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4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687A (ko) 2009-06-12 2010-12-22 이승신 차량의 사이드 시그널 램프
KR20130019470A (ko) * 2011-08-17 2013-02-27 이영근 비상 방향지시등
JP2020142650A (ja) * 2019-03-06 2020-09-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KR20210056635A (ko) * 2019-11-11 2021-05-20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기능성 램프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핸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687A (ko) 2009-06-12 2010-12-22 이승신 차량의 사이드 시그널 램프
KR20130019470A (ko) * 2011-08-17 2013-02-27 이영근 비상 방향지시등
JP2020142650A (ja) * 2019-03-06 2020-09-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KR20210056635A (ko) * 2019-11-11 2021-05-20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기능성 램프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2373B1 (en) Vehicle rear-view mirror
JP4723597B2 (ja) 照明装置
US20160318440A1 (en) Printed led exterior mirror indicators
US20140301101A1 (en) Multifunctional Multiple Color Center High Mounted Stop Lamp
US20070081350A1 (en) Rearview mirror and signal light arrangement
US10502390B1 (en) Vehicle lamp assembly having a bezek, lens and lamp housing with a micro mesh of holes in a side wall
US8021028B2 (en) Vehicle light
US10551024B2 (en) Combination rear lamp
KR102666448B1 (ko) 측면 부착형 사각지대 알림등
US20040057241A1 (en) Safety warning and winker light for vehicle
US9598001B2 (en) Hazard beacon
CN107082043B (zh) 三模式警用反射镜
US200901090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personal messages by a driver of a motor vehicle
US11187396B1 (en) Exterior light assembly for vehic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817742B2 (en) Vehicle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color changing legs
TWM609114U (zh) 機車用之日行燈結構
KR20210079943A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US20140119039A1 (en) Vehicle light device with light guide cover
WO2021085148A1 (ja) 二輪車用灯具、二輪車用灯具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灯具
US9267656B2 (en) Head lamp for vehicle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CN220809284U (zh) 一种用于外后视镜的辅助灯、外后视镜以及车辆
KR200341285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램프
TWM526518U (zh) 車輛後照鏡之車用發光裝置
KR200168343Y1 (ko) 차량의 유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