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937B1 -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937B1
KR102274937B1 KR1020180011198A KR20180011198A KR102274937B1 KR 102274937 B1 KR102274937 B1 KR 102274937B1 KR 1020180011198 A KR1020180011198 A KR 1020180011198A KR 20180011198 A KR20180011198 A KR 20180011198A KR 102274937 B1 KR102274937 B1 KR 10227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gram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312A (ko
Inventor
가즈요시 스미우치
미츠루 곤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79Controller construction, e.g. aspects of the interface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어 방법은,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처리의 실행 지시를,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단계, 상기 실행 지시가 접수되었을 경우, 복수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제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설정 화면에 대해 실행되는 조작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영역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방법{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 앱 같은 미리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 칭함)을 사용하여, 프린터 등의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는, 고도로 보안된 통신을 위해서 통신 장치와 장치 사이의 인증을 행하기 위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0329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에 의해 통신 장치와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앱에 의한 통신 전에 페어링 처리가 행하여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는, 미리결정된 앱에 의한 통신 전에 페어링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먼저 미리결정된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페어링 처리의 실행 지시를 접수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는 미리결정된 앱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아니라 미리결정된 앱 이외의 앱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페어링 처리를 위한 입력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미리결정된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페어링 처리의 실행 지시가 접수되어도,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 처리가 미리결정된 앱 이외의 앱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하여 실행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서는 불리하게도, 유저는, 미리결정된 앱에 의한 통신을 위한 페어링 처리 동안의 입력 처리에 대해서, 미리결정된 앱 이외의 앱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실행할 조작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리결정된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페어링 처리의 실행 지시가 부여되지만, 미리결정된 앱 이외의 앱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페어링 처리를 위한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구성에서 유저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위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프로그램 및 상기 제1 프로그램과 상이한 제2 프로그램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유닛,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보다 통신 속도가 빠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유닛을 갖는다. 제어 방법은,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기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지시를,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 지시가 접수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처리를 위한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에 대하여 실행되는 조작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영역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페어링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인쇄용 앱의 기동시에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설정용 앱에 의해 표시되는 예시적인 BT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통신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PIN 코드 표시 화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설정용 앱에 의해 표시되는 예시적인 BT 설정 화면 및 인쇄용 앱에 의해 표시되는 예시적인 토스트(Toast)를 도시한다.
도 7은 BT 설정 화면에서 유저가 행하는 조작 단계 및 BT 설정 화면에서 선택되는 통신 장치의 명칭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애드버타이즈(advertise)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및 접속 요구 정보의 수신을 위한 처리를 도시한다.
도 9는 BLE에 의한 애드버타이즈를 도시한다.
도 10은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이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루어진 변경, 개량 및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스마트폰이 적용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 데스크톱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디지털 카메라 같은 다양한 장치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가 적용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기기는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 풀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 및 모노크롬 프린터 같은 임의의 프린터가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프린터뿐만 아니라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 랩톱 PC, 태블릿 단말기,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기, 텔레비전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복사 기능, 팩시밀리 기능, 및 인쇄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따라 이하에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며 도시된 기능에 의해 특별히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입력 인터페이스(102), CPU(103), ROM(104), RAM(105), 외부 저장 장치(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표시 유닛(108), 통신 유닛(111), 및 근거리 통신 유닛(112)을 가질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마우스(110) 또는 키보드(109)를 조작함으로써 유저로부터 데이터 입력 또는 동작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이다.
CPU(103)는, 시스템 제어 유닛이며, 정보 처리 장치(101)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ROM(104)은, 예를 들어 CPU(103)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내장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라 칭함) 프로그램의 고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ROM(104)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에 저장되어 있는 임베디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인터럽트 처리 등에 대한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할 수 있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RAM(105)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전지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RAM(105)은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RAM(105)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의 설정 정보 및 정보 처리 장치(101)의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에어리어를 가질 수 있다. RAM(105)은 CPU(103)의 주 메모리 및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저장 장치(106)는 인쇄 실행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장치(151)에 의해 해석가능한 인쇄 작업을 생성하는 인쇄 작업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부 저장 장치(106)는, 통신 유닛(111)을 통해 접속하고 있는 통신 장치(151)에 대해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 송수신 제어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표시 유닛(108)에 대한 데이터의 표시 및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의 통지를 위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이다.
표시 유닛(108)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일 수 있으며, 데이터를 표시하고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유닛(108) 상에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결정 키, 취소 키, 및 전원 키 등의 조작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표시 유닛(108)을 통해서 유저로부터 입력을 접수할 수 있다.
통신 유닛(111)은, 통신 장치(151), 정보 처리 장치(101)의 외부 장치, 및 통신 장치(15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의 장치에 접속되고, 그들과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1)은 통신 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가능하다. 통신 유닛(111)과 통신 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의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통신 유닛(111)은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신 장치(151)와 통신해도 되고, 또는 정보 처리 장치(101) 및 통신 장치(15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통해 통신해도 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외부 장치"란, 외부 액세스 포인트 또는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비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지칭한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등록 상표) 및 Bluetooth(등록 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무선 LAN 라우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 방식으로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쳐 접속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유닛(112)은, 통신 장치(151) 등의 장치와 근거리에서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상이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 유닛(111)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 유닛(112)은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 내의 근거리 통신 유닛(157)과 접속가능하다.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및 WiFi Aware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근거리 통신 유닛(112)은, Bluetooth Low Energy(BLE)와 Bluetooth Classic에 기초한 통신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Bluetooth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유닛(111)은 근거리 통신 유닛(112) 보다 고속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는, 통신 유닛(111)의 통신가능 거리는 근거리 통신 유닛(112)의 통신가능 거리보다 긴 것으로 한다.
통신 장치(151)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장치에 대응한다. 통신 장치(151)는, ROM(152), RAM(153), CPU(154), 프린트 엔진(155), 통신 유닛(156), 및 근거리 통신 유닛(157)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유닛(156)은, 통신 장치(151)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정보 처리 장치(101) 등의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갖고 있다. 해당 액세스 포인트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통신 유닛(111)에 접속가능하다. 통신 유닛(156)은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 및 Bluetooth(등록 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유닛(156)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통신 유닛(156)을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해도 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정보 처리 장치(101) 등의 장치와 근거리에서 무선 접속을 실행하고,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 내의 근거리 통신 유닛(112)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및 WiFi Aware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서는,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Bluetooth Low Energy(BLE) 및 Bluetooth Classic에 기초한 통신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Bluetooth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유닛(156)은, 근거리 통신 유닛(157) 보다 고속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는, 통신 유닛(156)의 통신가능 거리는 근거리 통신 유닛(157)의 통신가능 거리보다 긴 것으로 한다.
RAM(153)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할 수 있는 SRAM일 수 있다. RAM(153)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전지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RAM(153)은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RAM(153)은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의 설정 정보 및 통신 장치(151)의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도 구비할 수 있다. RAM(153)은, CPU(154)의 주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되고,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인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신 버퍼의 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ROM(152)은, 예를 들어 CPU(154)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및 OS 프로그램의 고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ROM(15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은, ROM(152)에 저장되어 있는 임베디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인터럽트 처리 등에 대한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CPU(154)는, 시스템 제어 유닛이며, 통신 장치(151)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린트 엔진(155)은 화상 형성 처리를 수행하고 인쇄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형성 처리는 예를 들어 RAM(153)에 저장된 정보나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잉크 등의 기록제를 종이 등의 기록 매체 상에 도포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인쇄 작업"이란, 화상 형성 처리를 통신 장치(151)가 실행하게 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송신된 인쇄 작업은 송신 데이터양이 크고, 고속 통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쇄 작업은 근거리 통신 유닛(157)보다 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유닛(156)을 통해 수신된다.
통신 장치(151)에는,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 SD 카드 등의 메모리 디바이스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통신 장치(151)에 저장되는 정보는 당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접속 설정 처리에 의해 접속 모드가 설정되고, 설정된 접속 모드에 기초한 접속 형태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는, 인프라스트럭쳐 접속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 접속 모드가 인프라스트럭쳐 접속 모드로 설정된다. 직접 접속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 접속 모드는 직접 접속 모드로 설정된다.
예로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의 처리 분담을 상기와 같이 나타냈지만, 분담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처리는 그들 사이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분담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근거리 통신 유닛(112) 및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BLE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후술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애드버타이저(또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고, 근거리 통신 유닛(112)은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하는 스캐너(또는 마스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통신 유닛(111) 및 통신 유닛(156)이 무선 LAN(Wi-Fi)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도 8을 참고하여, BLE 규격에서의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및 BLE 접속 요구의 수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상기와 같이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2.4GHz의 주파수대를 40 채널(0 내지 39ch)로 분할해서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그 중 37번째 내지 39번째 채널을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및 BLE 접속 요구의 수신에 이용하고, 0번째 내지 36번째 채널을 BLE 접속 후의 데이터 통신(GATT 통신 등)에 이용하고 있다. 도 8은, 종축이 근거리 통신 유닛(157)에 의한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도시하며, 1개의 채널을 이용해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할 때의 소비 전력을 각 처리별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또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처리인 송신 처리에서의 총 소비 전력(Tx805) 및 BLE 접속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유효화하는 처리인 수신 처리에서의 총 소비 전력(Rx806)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전력(802)은 송신 처리에 의한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수신 전력(803)은 수신 처리에 의한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 동작 전력(801)은, 근거리 통신 유닛(157) 내의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을 경우의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Tx805와 Rx806의 전후에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는 것은, 송신 및 수신 처리의 실행 및 종료를 위해서는 사전에 마이크로컴퓨터가 기동하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을 복수 채널을 사용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채널의 수만큼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지 않고, 근거리 통신 유닛(157)이 전력 절약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근거리 통신 유닛(157)의 순간 소비 전력이 슬립 전력(804)과 동일해 진다.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미리결정된 채널을 사용해서 송신 처리를 행한 후, 동일한 채널을 사용해서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수신 처리를 행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BLE 접속 요구가 송신되는 것을 기다릴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이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BLE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BLE 접속을 확립하고,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GATT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드버타이즈 정보 송신 및 수신 처리를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여 3회 반복하고,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종료시키며, 그 후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전력 절약 모드가 되도록 시프트될 수 있다. 이하, 미리결정된 채널의 사용에 의한 애드버타이즈 정보 송신 및 수신 처리의 조합을 애드버타이즈라 지칭한다. 미리결정된 채널을 사용하여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하는 간격을 애드버타이즈 간격이라 칭한다. 제1 애드버타이즈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시프트되는 기간 동안에 반복되는 애드버타이즈의 횟수는 3회 이하라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근거리 통신 유닛(157)으로부터 통신 장치(151)의 주변에 브로드캐스트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면 초기화 처리를 행하고, 애드버타이징 상태로 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애드버타이징 상태로 되면, 애드버타이즈 주기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애드버타이즈 정보"란, 기본적인 헤더 정보(애드버타이즈 정보의 목적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등)를 포함하는 신호를 지칭하며 헤더(1001) 및 페리로드(1002)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이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51)의 존재를 식별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에 BLE 접속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51)와 BLE 접속을 행할 수 있다. 헤더(1001)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타입 및 페이로드(1002)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이다. 페이로드(1002)는, 식별 정보로서의 디바이스 명(1003)이나 탑재 프로파일 정보, 통신 장치(151)와 BLE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1004), 및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전력(Tx Power)(1005)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100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1006)는, 통신 장치의 MAC 어드레스, 통신 장치의 서비스 정보, 통신 장치 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또는 패스워드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통신 장치(151)로의 전원이 ON이 되었을 경우에 애드버타이징 상태로 되고,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을 개시한다. 단, 근거리 통신 유닛(157)이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을 개시하는 타이밍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BLE 기능을 유효로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조작이 행하여지는 타이밍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먼저, 제1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1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취했을 경우, 제1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것과 상이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 및 근거리 통신 유닛(157)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통신 장치(151)의 식별 정보, 및 통신 장치(151)에 포함되는 기능 및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서, 예를 들어 인쇄용 앱은(이하, 인쇄 앱)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핸들링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인쇄 앱이 핸들링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에서 인증 처리를 행하여, 장치 사이에서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판독 및 기입을 실행하기 위한 페어링 처리를 실시한다. GATT는, BLE 규격하에서 정보의 판독 및 기입(송수신)을 담당하는 프로파일이다. GATT 통신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는 GATT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할 수 있고, 통신 장치(151)는 GATT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다. GATT 베이스 프로파일에 의해, 통신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정보를 판독 및 기입할 수 있게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에서의 페어링이 실행되지 않을 때, 통신 장치(151)는 GATT 통신에 의한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허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의 통신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통신 장치(151)가 유지하는 정보가 페어링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101)에 부주의하게 취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어링되지 않은 장치 사이에서 허가되는 GATT 통신과, 페어링되지 않은 장치 사이에서 허가되지 않는 GATT 통신이 있는 것으로 한다. 기밀성이 낮은 정보는, 페어링되지 않은 장치 사이에서 허가되는 GATT 통신에 의해 통신될 수 있어 통신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기밀성이 높은 정보는, 페어링되지 않은 장치 사이에서 허가되지 않는 GATT 통신에 의해 통신될 수 있어 통신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는, 예를 들어 ROM(104) 및 외부 저장 장치(106)에 미리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미리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 내의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를 인쇄시키기 위한 인쇄 작업을, 통신 장치(151)에 송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인쇄 앱이라 칭한다. 인쇄 앱은 인쇄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앱은, 통신 장치(151)가 스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 통신 장치(151)에 세트된 원고를 스캔하는 기능, 통신 장치(151)를 위한 설정을 정하는 기능, 및 통신 장치(151)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인쇄 앱은, 인쇄 작업 이외에, 스캔 작업이나 설정 작업을 통신 장치(151)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미리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인쇄 앱에 한정되지 않고, 인쇄 이외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인쇄 앱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BLE에 의해 통신 장치(151)와 통신하는 경우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는, 인쇄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먼저 BLE 통신에 의해 WiFi 통신에 관한 접속 정보의 교환을 행한 후에, WiFi 통신에 의해 인쇄 작업을 통신 장치(151)에 송신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101)는, 인쇄 앱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통신 장치(151)와의 BLE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BLE를 위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앱은,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의 페어링 처리를 행하는 기능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인쇄 앱을 통해 실행되는 페어링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인쇄 앱의 기동시에 표시 유닛(108)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다. 기동 화면(300)을 통해, 유저는, 원하는 화상의 인쇄 및 통신 장치를 위한 설정의 규정 같은 통신 장치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1)가 "사진 인쇄" 버튼(301)의 누름을 검지하면,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장치(151)가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가 "스캔" 버튼(302)의 누름을 검지하면,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장치(151)가 원고를 스캔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인 스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가 BLE 페어링 버튼(303)의 누름을 검지하면, 정보 처리 장치(101)는 페어링 처리를 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1)는 설정용 애플리케이션(이후, 설정 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설정 앱은, OS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에 관한 설정을 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설정 앱은, OS가 정보 처리 장치(101)에 인스톨되는 일련의 처리 동안 인스톨되거나, 정보 처리 장치(101)의 착하시에 OS와 함께 미리 정보 처리 장치(101)에 인스톨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와 페어링을 행하기 위해서,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luetooth 설정 화면(이하, BT 설정 화면)에 대한 페어링을 위한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101)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 대한 페어링을 위한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에 탑재되어 있는 OS의 일부 종류나 정보 처리 장치(101)의 일부 모델에 따라서는, 설정 앱 이외의 프로그램, 즉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101)는, 인쇄 앱을 통해 페어링 처리를 행할 때에도,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을 이용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라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및 인쇄 앱 이외의 프로그램(여기서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양쪽에 대해 페어링 처리를 행하여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실행하는 페어링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흐름도는, 예를 들어 ROM(104) 또는 외부 저장 장치(106)에 저장되고, RAM(105)에 불러내어 지며, CPU(103)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는 인쇄 앱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 앱은,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을 통해 "페어링 중", "페어링 완료", 및 "페어링 실패"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의 통지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인쇄 앱이 실제로 이러한 이벤트의 발생의 통지를 수취할 것인지의 여부는 후술하는 통지 설정에서 규정될 수 있다. 이들 이벤트의 상세는 후술한다. 도 2a 및 도 2b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BLE 페어링 버튼(303)이 유저에 의해 눌러진 경우에 개시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CPU(103)는, S201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의 Bluetooth 기능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Bluetooth 기능이 유효하면, 정보 처리 장치(101)는 Bluetooth 또는 BLE에 의한 통신의 실행이 준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유닛(112)은 BLE 통신 규격하에서의 스캐너로서 동작한다. 그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101)가 BLE에 의한 통신의 실행 준비가 되면, CPU(103)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근거리 통신 유닛(112)을 시프트시키고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검색한다. CPU(103)가 Bluetooth 기능이 유효하다고 결정하면, 처리는 S203로 진행한다. CPU(103)가 Bluetooth 기능이 유효하지 않다(무효이다)고 결정하면, 처리는 S202로 진행한다.
S202에서는, CPU(103)는 무효화되어 있는 Bluetooth 기능을 유효화한다. 이 경우, CPU(103)는 Bluetooth 기능이 유효한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기 위한 다이알로그를 표시 유닛(108)에 표시한다. CPU(103)가 다이알로그를 통해서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면, Bluetooth 기능이 유효화될 수 있다.
계속해서, S203에서는, CPU(103)는, BLE 페어링 버튼(303)이 누려진 후에,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근거리 통신 유닛(112)이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CPU(103)가 애드버타이즈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결정하면, 처리는 S204로 이동한다. CPU(103)가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CPU(103)는 미리결정된 대기 시간 후에 다시 S203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다.
계속해서, S204에서는, CPU(103)는, 수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가 특정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101)는, 인쇄 앱을 통해 페어링 처리를 행하는 경우, 당해 인쇄 앱을 지원하는 모델 또는 벤더(vendor)의 통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로 인해, 특정한 식별 정보는, 수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가 당해 인쇄 앱을 지원하는 모델의 통신 장치 또는 당해 인쇄 앱을 지원하는 미리결정된 벤더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식별 정보는, 수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가 인쇄 서비스(화상 형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수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의 모델 또는 벤더의 명칭에 관한 정보이다. 식별 정보는, 인쇄 앱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를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또는 ID 정보이어도 된다. CPU(103)가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가 특정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처리는 S205로 이동한다. CPU(103)가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가 특정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CPU(103)는 미리결정된 대기 시간 후에 다시 S203의 처리를 행하여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다. BLE 페어링 버튼(303)의 누름을 검지한 후에 근거리 통신 유닛(112)이 복수의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CPU(103)는 각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대해서 S204의 결정을 행한다. CPU(103)가 애드버타이즈 정보 중 적어도 1개가 특정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처리는 S205로 이동한다.
S205에서는, CPU(103)는, 특정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 유닛(108)에 표시한다.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는, 특정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명칭, IP 어드레스, 또는 MAC 어드레스 등의 정보일 수 있다. 특정한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애드버타이즈 정보가 수신된 경우, CPU(103)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정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는 페어링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기 위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인쇄 앱은 페어링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S204에서 실행되는 필터링에 의해, 인쇄 앱을 지원하는(또는 인쇄 앱에 의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인쇄 앱을 지원하지 않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S206에서는, CPU(103)는, S205에서 표시한 화면을 통해, 페어링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의 선택이 유저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S205에서 표시한 화면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CPU(103)가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했다고 결정했을 경우, 처리는 S207로 이동한다. CPU(103)가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CPU(103)는 다시 S206의 처리를 행하고 유저로부터의 선택을 기다린다. CPU(103)가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페어링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 유닛(108)에 표시한 상태에서 다시 S203에서의 그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페어링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기 위한 화면에, 새롭게 수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원에 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CPU(103)가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했다고 결정했을 경우, CPU(103)는 페어링 처리의 실행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했다고 결정하고,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를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로서 결정한다. 여기에서는, 이하의 설명에 대해 명칭 "PrinterA"의 통신 장치를 유저가 선택한 것으로 한다.
S207에서는, CPU(103)는,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어 외부 저장 장치(106) 또는 ROM(104)의 미리결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가 송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일 수 있다.
계속해서, S208에서는, CPU(103)는, S207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에 대하여, GATT 통신의 개시 요구를 행한다. 이에 의해, 페어링 없이 통신될 수 있는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 사이의 GATT 통신을 겪을 수 있다.
계속해서, S209에서는, CPU(103)는, 정보 처리 장치(101)에 관한 식별 정보를,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에 GATT 통신에 의해 송신한다. 이 경우, CPU(103)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허가되는 GATT 통신에 의해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 GATT 프로파일 중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기입가능한 영역에 식별 정보를 기입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에 관한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의 명칭, IP 어드레스, 또는 MAC 어드레스 등의 정보일 수 있다. CPU(103)가 식별 정보를 성공적으로 송신하면, CPU(103)는 GATT 통신을 종료한다. 처리는 그 후 S210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CPU(103)는 식별 정보가 성공적으로 송신될 때까지 식별 정보의 송신을 반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성공적인 송신까지, 예를 들어 다이알로그를 표시 유닛(108)에 표시하여 처리의 중단을 접수할 수 있거나, 미리결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타임아웃시켜 처리를 중단시킬 수 있다.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가 GATT 통신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그것을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의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당해 식별 정보가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만 페어링 처리 요구를 접수할 수 있다.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페어링 처리 요구만을 접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인쇄 앱을 통해 페어링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만 페어링 처리 요구를 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페어링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 및 식별 정보의 저장으로부터 미리결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결과 중 하나가 예인 경우, 식별 정보는 저장 영역으로부터 삭제된다.
페어링 처리 요구를 접수하기 위해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는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의 페어링 처리 요구를 접수한 후에,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의 페어링 처리 요구를 접수한 후에,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가 페어링 처리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101)에 관한 정보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들이 일치하는 경우,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페어링 처리 요구를 접수하고 페어링 처리를 개시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는 페어링 처리 요구를 접수하지 않고 페어링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S210에서는, CPU(103)는, 페어링 처리에서 유저가 실행하는 조작 단계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 유닛(108)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페어링을 위한 정보의 입력 등의, 페어링 처리를 위한 조작이 정보 처리 장치(101)에서 동작하고 있는 설정 앱의 BT 설정 화면에서 행하여진다. 그로 인해, S208에서는, CPU(103)는, BT 설정 화면에서 유저가 행하는 조작 단계 및 BT 설정 화면에서 선택되는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알로그를 표시 유닛(108)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CPU(103)는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위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S210에서 CPU(10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S210에서는, CPU(103)는, 다음 단계로의 이동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한 것을 검지하면, CPU(103)는 표시 유닛(108)에 표시된 다이알로그를 폐쇄한다. 그 후 처리는 S211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S211에서는, CPU(103)는 인쇄 앱에 대한 이벤트의 통지 설정을 유효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 대해 행해진 조작에 따라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통지를 인쇄 앱이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에 의해, 인쇄 앱은, BT 설정 화면에 대해 행해진 조작에 기초하여 "페어링 중", "페어링 완료", "페어링 실패"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미리정해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S212에서는, CPU(103)는, S205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유저가 선택한 통신 장치를, S211에서 표시 유닛(108)에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토스트(Toast)를 표시한다. 즉, CPU(103)는, 명칭 "PrinterA"의 통신 장치를 BT 설정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토스트를 표시한다. 후술하지만, 이때 표시된 토스트는, BT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도, BT 설정 화면의 전면(front)에 계속해서 표시된다. 즉, 유저는 토스트에 표시된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BT 설정 화면에서 통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BT 설정 화면에서 어느 통신 장치를 선택할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용어 "토스트"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표시 유닛(108) 상의 최전면에 팝업 표시되는 통지 영역이다. 토스트는 미리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숨겨진다. 토스트는 크기가 한정되지 않지만,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및 BT 설정 화면을 완전히 덮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시 유닛의 부분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토스트가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도, 토스트를 제외한 영역을 조작하여 토스트의 뒤에 표시된 화면에 대해 조작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조작의 방해가 최소화된다. OS는 토스트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S205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유저가 선택한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토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CPU(103)는 토스트에 포함시키는 메시지의 데이터와 함께, 토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요구를 OS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CPU(103)는 인쇄 앱을 사용해서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CPU(103)는, 토스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로 이동하고 있는 때에도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어떤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는, 당해 프로그램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당해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표시 유닛(108)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대응한다. 한편, 어떤 프로그램이 포그라운드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는, 당해 프로그램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당해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표시 유닛(108)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대응한다.
장기간 동안 토스트의 표시를 유지하기 위해서, CPU(103)는 미리결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자동으로 숨겨진 토스트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CPU(103)는 미리결정된 횟수로 또는 토스트가 유저 조작에 의해 숨겨질 때까지 재표시를 반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S213에서, CPU(103)는, 표시 유닛(108)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으로부터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CPU(103)는 인쇄 앱을 백그라운드로 이동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인쇄 앱을 활성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인쇄 앱으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표시 유닛(108)에 표시시킨다. 표시 유닛(108)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으로부터 BT 설정 화면으로 변경하는 이 점까지 구성을 설명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이 페어링 처리의 실행 지시의 접수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으로부터 BT 설정 화면으로 직접적으로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의 일례이다. BT 설정 화면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의 Bluetooth 기능에 관한 설정이 규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BT 설정 화면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되는 통신 장치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화면이다.
먼저, CPU(103)는, 표시 유닛(108)에 도 4a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400)을 표시한다. BT 설정 화면은, 페어링 완료 디바이스 리스트(410),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 및 스캔 버튼(430)을 표시한다.
페어링 완료 디바이스 리스트(410)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의 페어링 처리가 이미 실행된(또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페어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1)가 페어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라는 표현은 정보 처리 장치(101)가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송신 장치를 지칭한다.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표시되는 통신 장치에 관해서는 특히 필터링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는 또한 인쇄 앱을 지원하지 않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프린터 이외의 장치 및 페어링 처리를 지시하고 있는 인쇄 앱을 지원하지 않는 프린터)를 표시할 수 있다. 유저는,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표시되는 통신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된 통신 장치와의 페어링 처리가 개시될 수 있다.
스캔 버튼(430)은,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의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해서, 정보 처리 장치(101) 주변의 BLE 지원 장치의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검색(스캔)을 정보 처리 장치(101)가 개시하게 하기 위한 버튼이다.
복귀 버튼(440)은,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의 직전에 표시 유닛(108)에 표시되는 화면을 다시 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버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귀 버튼(440)을 포함하는 BT 설정 화면(400)은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된다. BT 설정 화면(400)의 직전에 표시되는 화면이 설정 앱 이외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경우, 복귀 버튼(440)이 눌러지면 설정 앱 이외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BT 설정 화면(400)의 직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화면은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기 때문에, 복귀 버튼(440)이 눌러지면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홈 버튼(441)은 OS에 의해 표시되는 홈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버튼이다. 용어 "홈 화면"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쇄 앱 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을 지칭한다.
태스크 일람 버튼(442)은, 포그라운드에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이다. 그로 인해, 태스크 일람 버튼(442)이 눌린 것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에서 인쇄 앱이 선택되면,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CPU(103)는, 스캔 버튼(430)이 눌러지면, 정보 처리 장치(101)의 주위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할 준비가 된 상태인 스캐닝 상태로 정보 처리 장치(101)를 시프트시킨다. 이어서, CPU(103)가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하면, CPU(103)는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포함되는 당해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의 명칭(Complete Local Name)을 식별한다. 그리고, CPU(103)는, 식별된 명칭을,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추가해서 표시하고,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의 표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여기서는, 페어링 완료 디바이스 리스트(410) 및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표시되는 통신 장치의 명칭은 수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인 것으로 한다.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통신 장치의 명칭 외에,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개별 근거리 통신 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Bluetooth 디바이스 어드레스:BD_ADD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당해 식별 정보는, 페어링 완료 디바이스 리스트(410) 및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표시될 수 있다. CPU(103)는, 페어링 완료 디바이스 리스트(410) 또는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표시되는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1)의 저장 영역(RAM(105) 또는 외부 저장 장치(106)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표시되는 통신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통신 장치와의 페어링 처리가 개시된다. 그러나, 또한 BT 설정 화면은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며, 페어링 대상 통신 장치의 후보의 표시에서, 인쇄 앱에 적합한 통신 장치를 표시하기 위한 필터링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는, 예를 들어 S205에서 표시된 화면을 통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 이외의 통신 장치 또는 인쇄 기능을 갖지 않는 인쇄 앱을 지원하지 않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인쇄 앱을 통한 페어링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로서, 어느 통신 장치를 선택할지를 유저가 결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CPU(103)는, 표시 유닛(108)이 BT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인쇄 앱에 의해 BT 설정 화면의 전면에 유저 조작의 단계를 나타내는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CPU(103)는, 도 4a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400)의 포그라운드에 토스트(601)를 표시하는, 도 6a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600)을 표시할 수 있다. 토스트(601)는,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통신 장치인 "PrinterA"를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토스트는, S205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통신 장치 대신에 인쇄 앱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의 정보(명칭)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먼저 토스트는 S212에 표시되고, 그 후 BT 설정 화면이 S213에서 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BT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나서 토스트를 표시해도 된다.
계속해서, S214에서, CPU(103)는, 백그라운드에 있는 인쇄 앱이 포그라운드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표시 유닛(108)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이 BT 설정 화면으로부터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예를 들어, 복귀 버튼(440)이 눌러지거나, 태스크 일람 버튼(442)이 눌러진 것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선택 화면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선택되는 경우에, 인쇄 앱은 포그라운드로 이동된다. CPU(103)가 인쇄 앱이 포그라운드로 이동했다고 결정하는 경우, 처리는 S223으로 이동한다. CPU(103)가 인쇄 앱이 포그라운드로 이동하지 않았다고 결정한 경우, 처리는 S215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S215에서, CPU(103)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을 통해 인쇄 앱에 대하여 이벤트가 통지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CPU(103)가 이벤트가 통지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 통지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이하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103)가 통지된 이벤트가 "페어링 중"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처리는 S216로 이동한다. CPU(103)가 통지된 이벤트가 "페어링 완료"라고 결정하는 경우, 처리는 S218로 이동한다. CPU(103)가 통지된 이벤트가 "페어링 실패"라고 결정하는 경우, 처리는 S220으로 이동한다. 한편, CPU(103)가 이벤트가 통지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S214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이어서, 이벤트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페어링 중"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BT 설정 화면(600)을 통해서 페어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중"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유저가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에 표시되는 통신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페어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설정 앱은,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저장 영역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애드버타이즈 정보로부터 식별 정보 등의 페어링 처리를 위한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설정 앱은,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에 대하여, 결정된 정보 및 BLE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페어링 요구를 송신한다. 페어링 요구를 수신한 통신 장치는, 당해 통신 장치가 갖는 표시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PIN 코드 표시 화면(500)을 표시한다. PIN 코드 표시 화면(500)은, 페어링 처리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인 PIN 코드(501)와, 페어링 처리를 취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취소 버튼(502)을 표시한다.
설정 앱이 "페어링 중"을 나타내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의해 페어링 요구를 송신하면, 표시 유닛(108)은 도 4b에 나타내는 PIN 코드 입력 화면(450)을 표시한다. PIN 코드 입력 화면(450)은, 도 4a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400)의 전면에 PIN 코드 입력 다이알로그(454)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PIN 코드 입력 다이알로그(454)는, PIN 코드 입력 영역(451), OK 버튼(452), 및 취소 버튼(453)을 표시한다. PIN 코드 입력 영역(451)은 유저에 의한 PIN 코드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OK 버튼(452)은, 입력된 PIN 코드를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버튼이다. 취소 버튼(453)은 페어링 처리를 캔슬하기 위한 버튼이다.
일부 OS 사양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PIN 코드 입력 영역(451)에 PIN 코드(501)를 입력할 수 있는 (또는 입력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는) 고정된 기간이 정해질 수 있다. PIN 코드 입력 영역(451)에 PIN 코드(501)를 입력할 수 있는 기간은 예를 들어 30초이다. 이 경우, PIN 코드 입력 화면(450)이 표시되는 때로부터 30초 이내에 PIN 코드(501)의 입력 및 OK 버튼(452)의 누름이 행하여지지 않으면, PIN 코드(501)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에 송신되지 않는다. 이는 페어링 처리가 실패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기간 내에 PIN 코드 입력 영역(451)에 PIN 코드(501)가 입력된 후에 OK 버튼(452)이 눌러지면, 설정 앱은 입력된 PIN 코드(501)를 포함하는 정보를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는,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는 PIN 코드(501)가 PIN 코드 표시 화면(500)에 표시된 PIN 코드(501)(당해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PIN 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가 그들이 일치한다고 결정한 경우에는,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페어링되는 것을 허가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는, PIN 코드(501)에 기초하여 미리결정된 방법에 의해 작성된 링크 키를 BLE 규격의 SMP(Security Manager Protocol)를 이용해서 정보 처리 장치(101)에 송신한다. 그 후, 링크 키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저장 영역(ROM(104) 등)과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의 저장 영역(ROM(152) 등)에 저장된다. 이에 의해, 페어링이 완료되고,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 사이에서 BLE 통신의 실행이 허가된다. 페어링 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에, "페어링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설정 앱은, 페어링 처리가 완료되면, PIN 코드 입력 다이알로그(454)를 표시하지 않는 도 4c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460)을 표시한다. "페어링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의 발생시, "PrinterA"에 의해 나타내는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101)가 완전히 페어링된다. 그로 인해, 설정 앱은, 페어링 완료 디바이스 리스트(410)에 "PrinterA"를 추가하고, 페어링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420)로부터 "PrinterA"를 삭제한다.
한편,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는 PIN 코드(501)가 PIN 코드 표시 화면(500)에 표시된 PIN 코드(501)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결정되었을 경우에는, 페어링이 실패한다. 그로 인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101)에 링크 키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통신 장치는 페어링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1)에 송신한다. 페어링 처리가 실패했을 경우, 다시 페어링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그 후, 설정 앱은 표시 유닛(108)에 도 4a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400)을 다시 표시한다. 페어링은 PIN 코드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한하지 않고 실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의 PIN 코드 입력 화면(450)에서 취소 버튼(453)이 눌러진 경우나, 도 5의 PIN 코드 표시 화면에서 취소 버튼(502)이 눌러진 경우에도 페어링이 실패한다. 예를 들어 PIN 코드 입력 영역(451)에 장시간 동안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았을 경우에도, 페어링이 실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어링 처리가 실패했을 경우에, "페어링 실패"를 나타내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들 구성에 기초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처리를 설명한다.
S216에서는, CPU(103)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된 BT 설정 화면(600)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가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페어링 중"을 나타내는 이벤트의 통지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된 BT 설정 화면(600)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CPU(103)는, 더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중"을 나타내는 이벤트의 통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S207에서 저장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CPU(103)가 이들이 일치한다고 결정한 경우, 처리는 S217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S214로 이동한다. CPU(103)가 이들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CPU(103)는 BT 설정 화면(600)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가 S205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PU(103)는, 예를 들어 BT 설정 화면(600)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의 페어링 처리를 중지하도록 유저를 촉구하기 위한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CPU(103)는, 예를 들어 S205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토스트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 중"을 나타내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설정 앱은 표시 유닛(108)에 도 4b에 나타내는 PIN 코드 입력 화면(450)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OS 사양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PIN 코드 입력 영역(451)에 PIN 코드(501)를 입력할 수 있는(또는 입력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고정된 기간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CPU(103)는, S217에서는, PIN 코드(501)가 성공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토스트(603)를 PIN 코드 입력 화면(450)의 전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결과로서, 표시 유닛(108)은 도 6b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602)을 표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토스트(603)는, PIN 코드 입력 화면(450)의 표시로부터 30초 이내에 PIN 코드(501)를 입력하는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 및 입력되는 PIN 코드(501)의 자릿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PIN 코드(501)의 입력에서의 주의 사항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이는 PIN 코드(501)의 입력에서의 유용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CPU(103)는 S217 이후에 다시 S214의 처리를 실행한다.
S218에서는, CPU(103)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된 통신 장치가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페어링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의 통지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된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CPU(103)는, 더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중"을 나타내는 이벤트의 통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S207에서 저장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CPU(103)가 이들이 일치한다고 결정한 경우, 처리는 S219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S214로 이동한다. CPU(103)가 이들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CPU(103)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된 통신 장치가 S205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페어링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설정 앱은 표시 유닛(108)에 도 4c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460)을 표시한다. 페어링 처리가 정상적으로 (또는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즉,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된 통신 장치가 S205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일치하면),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즉, 복귀 버튼(440)이 눌러져서 인쇄 앱을 포그라운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S219에서는, CPU(103)는 인쇄 앱을 포그라운드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지를 포함하는 토스트(605)를 BT 설정 화면(460)의 전면에 표시한다. 결과로서, 표시 유닛(108)은 도 6c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604)을 표시한다. 토스트(605)는, 더 구체적으로는, 인쇄 앱을 포그라운드에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방법(복귀 버튼(440)을 누르는 것을 촉구하기 위함)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인쇄 앱을 포그라운드에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CPU(103)는 S219 후에 다시 S214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CPU(103)는 페어링 처리가 정상적으로(또는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S220에서는, CPU(103)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되는데 실패한 통신 장치가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페어링 실패"를 나타내는 이벤트의 통지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되는데 실패한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CPU(103)는, 더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실패"를 나타내는 이벤트의 통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S207에서 저장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결정 처리를 행한다. CPU(103)가 이들이 일치한다고 결정한 경우, 처리는 S221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S214로 이동한다. CPU(103)가 이들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CPU(103)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페어링되는데 실패한 통신 장치가 S205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토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 실패"를 나타내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설정 앱은 다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표시 유닛(108)에 도 4a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400)을 다시 표시한다. 즉, "PrinterA"에 의해 나타나는 통신 장치와의 페어링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S221에서, CPU(103)는, 페어링 처리를 다시 실행하도록 유저를 촉구하기 위한 통지를 포함하는 토스트(607)를 BT 설정 화면(400)의 전면에 표시한다. 결과로서, 표시 유닛(108)은 도 6d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606)을 표시한다. 토스트(607)는, 더 구체적으로는, 페어링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 및 페어링 처리를 정상적으로 행하기 위한 조작 방법(30초 이내에 올바른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통지)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페어링 처리가 실패해도, 페어링 처리를 다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CPU(103)는, 페어링 처리가 실패한 원인을 나타내는 통지를 토스트(607)에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S222에서는, CPU(103)는, S205에서 표시된 화면을 통해 유저가 선택한 통신 장치를 BT 설정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유저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토스트(601)를 표시한다. 결과로서, 표시 유닛(108)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BT 설정 화면(600)이 다시 표시된다. 이에 의해, 어느 통신 장치를 선택할지를 다시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CPU(103)는, S222 후에 다시 S214의 처리를 실행한다.
S223에서는, CPU(103)는,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페어링 상태에 관한 정보를 OS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의해, CPU(103)는,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PU(103)는, 예를 들어 설정 앱을 통해 수신한 "페어링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 및 "페어링 실패"를 나타내는 이벤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CPU(103)는, 저장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S224에서는, CPU(103)는, S223에서의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토스트나 다이알로그를 표시 유닛(108)에 표시한다. 표시 유닛(108)은 인쇄 앱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을 현재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CPU(103)는 당해 화면의 전면에 토스트나 다이알로그를 표시한다. CPU(103)가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었다고 결정하면, 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토스트나 다이알로그를 표시한다. CPU(103)가 S205에서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면, 페어링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토스트나 다이알로그를 표시한다. 페어링 처리가 실패한 경우, 페어링 처리를 다시 실행하기 위해서 S204로부터의 처리를 다시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S225에서는, CPU(103)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 대해 행해진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의 통지를 인쇄 앱이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한다. 이에 의해, 인쇄 앱은,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을 통한 페어링 처리 동안에만 이벤트의 통지를 접수할 수 있고, 발생한 이벤트에 기초하여 토스트를 표시한다.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토스트에 의한 통지를 행할 수 있다.
그 후, CPU(103)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표시 유닛(108)은 인쇄 앱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을 표시하기 때문에, CPU(103)는 유저 지시에 따라 인쇄 앱이 갖는 기능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03)는 페어링된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접속에 관한 설정 처리를 BLE를 통해 실행할 수 있거나 페어링된 통신 장치에 인쇄 작업은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구성에 의해, 유저는 페어링 처리가 종료된 후에도 계속해서 인쇄 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 앱에 의해 BLE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을 이용해서 페어링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인쇄 앱은 BT 설정 화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토스트를 표시한다. 이런 구성에 의해, 인쇄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BT 설정 화면에서 실행해야 할 조작을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앱을 이용하기 위해서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서 실행해야 할 조작을,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BT 설정 화면에서 유저가 오조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BT 설정 화면이 설정 앱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BT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은 설정 앱에 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인쇄 앱 이외의 프로그램에 의해 BT 설정 화면이 표시되는 어떠한 구성에도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설정 화면에서의 조작 방법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토스트를 표시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벌룬(balloon)이라고 불리는 통지 영역이 설정 화면에서의 조작 방법을 유저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처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결정된 앱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서 페어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됨에도 불구하고,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 처리가 미리결정된 앱 이외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하여 행하여 질 수 있어, 유저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프로그램 및 상기 제1 프로그램과 상이한 제2 프로그램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유닛,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보다 통신 속도가 빠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유닛을 갖고,
    상기 제어 방법은,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기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지시를,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 지시가 접수되었을 경우, 복수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처리를 위한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화면이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태로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에 대하여 실행되는 조작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영역을,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영역은,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를 상기 설정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촉구하기 위한 통지 영역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화면에서, 복수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유저로부터 접수되었을 경우, 상기 인증 처리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 영역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송신되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경우에 표시되는 통지 영역이고, 또한 상기 인증 정보를 성공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기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인증 정보를 성공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기간 내에 상기 인증 정보의 입력이 접수되었을 경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송신되지만, 상기 인증 정보를 성공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기간 내에 상기 인증 정보의 입력이 접수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송신되지 않는,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성공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기간 내에 상기 인증 정보의 입력이 접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 영역과 상기 설정 화면을 동시에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송신된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증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인증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 영역과 상기 설정 화면을 동시에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송신된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증 정보인 경우, 상기 인증 처리가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 영역과 상기 설정 화면을 동시에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영역은,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화면을 상기 설정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유저에게 촉구하기 위해,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송신된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증 정보인 경우에 표시되는 통지 영역인, 제어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화면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유저로부터 접수되었을 경우,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화면이 상기 설정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경되고,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한 통신의 대상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인증을 위한 인증 처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 영역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된 화면이 상기 설정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경되고,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한 통신의 대상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인증을 위한 인증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통지 영역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접수 화면을, 상기 설정 화면이 표시되기 전에,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지 영역은, 상기 인증 처리의 대상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접수 화면에서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를 선택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통지 영역인,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중,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미리결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인,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중, 기록 매체 상에 기록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인,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중, 미리결정된 벤더(vendor)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장치인, 제어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를 상기 통신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인쇄 작업을,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그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착하시에 미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제어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의 실행 지시가,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 중 제1 화면을 통해 유저로부터 접수되는 경우,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은,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 중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설정 화면으로 변경되는, 제어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영역이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된 후, 상기 설정 화면에서 실행된 조작에 따라, 이미 상기 설정 화면에서 표시된 상기 통지 영역의 내용과 상이한 내용을 갖는 상기 통지 영역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제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영역은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한 지시에 따라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통신을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통신을 위한 정보가 취득된 후에, 상기 제2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011198A 2017-01-31 2018-01-30 제어 방법 KR102274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6206 2017-01-31
JP2017016206A JP6639430B2 (ja) 2017-01-31 2017-01-31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312A KR20180089312A (ko) 2018-08-08
KR102274937B1 true KR102274937B1 (ko) 2021-07-09

Family

ID=6115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198A KR102274937B1 (ko) 2017-01-31 2018-01-30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73660B2 (ko)
EP (1) EP3355560B1 (ko)
JP (1) JP6639430B2 (ko)
KR (1) KR102274937B1 (ko)
CN (1) CN1083773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9430B2 (ja) 2017-01-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257540B (zh) * 2017-07-04 2020-05-19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蓝牙设备与移动设备配对的方法及装置
JP6703059B2 (ja) * 2018-09-11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85453B2 (ja) * 2018-09-12 2022-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96602B2 (ja) * 2018-12-28 2022-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第1の外部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391525B2 (ja) * 2019-03-29 2023-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533406B2 (en) * 2019-09-20 2022-12-2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objects used for executing processing and displaying a setting screen
JP7352161B2 (ja) * 2019-09-30 2023-09-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7484387B2 (ja) 2020-04-28 2024-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484391B2 (ja) 2020-04-30 2024-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セット、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2136579A (ja) * 2021-03-08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704559B (zh) * 2023-07-28 2023-11-03 南京大学 一种基于异步双光子干涉的量子指纹识别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360A (ja) * 2005-02-15 2006-08-31 Canon Inc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160227596A1 (en) * 2015-02-04 2016-08-04 Casio Computer Co., Ltd. Data processing system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plurality of apparatuses linking
JP2016144025A (ja) * 2015-02-02 2016-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107B2 (en) * 2001-08-14 2005-01-1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3840243B2 (ja) * 2004-08-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入力システム
JP4933292B2 (ja) 2006-02-28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無線通信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US20080168554A1 (en) * 2007-01-10 2008-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US20110018754A1 (en) * 2008-03-28 2011-01-27 Akira Tojima Remote operation apparatus, operation target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oper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arget apparatus, and remote operation system
JP4513893B2 (ja) * 2008-04-30 2010-07-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外部端末及び印刷システム
JP2011188208A (ja) 2010-03-08 2011-09-22 Seiko Epson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056874B2 (ja) * 2010-03-17 2012-10-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連携ジョブ実行方法および連携ジョブ実行プログラム
JP5617386B2 (ja) * 2010-07-05 2014-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2408180B1 (en) * 2010-07-16 2019-04-24 BlackBerry Limited Remote device pairing setup
JP2012084032A (ja) 2010-10-14 2012-04-2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8462734B2 (en) 2010-10-20 2013-06-11 Nokia Corporation Wireless docking with out-of-band initiation
KR101208212B1 (ko) * 2010-12-16 2012-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786413B2 (ja) 2011-03-31 2015-09-3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357920B2 (ja) * 2011-04-21 2013-12-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ホーム機器連携制御装置、およびホーム機器連携制御方法
JP2012252466A (ja) * 2011-06-01 2012-12-20 Canon Inc サーバー装置、情報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800688B2 (en) 2011-09-12 2017-10-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latform-enabled proximity service
KR102048865B1 (ko) 2011-10-17 2019-11-26 구글 엘엘씨 클라우드-기반 프린트 서비스에서의 로빙 프린팅
US8953192B2 (en) 2011-10-17 2015-02-10 Google Inc. Roving printing in a cloud-based print service using a mobile device
JP5919972B2 (ja) * 2012-04-05 2016-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6139829B2 (ja) * 2012-07-20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4109854A (ja) * 2012-11-30 2014-06-1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86045B2 (en) * 2012-12-19 2016-07-0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device trustworthiness
US20140256250A1 (en) * 2013-03-11 2014-09-11 Barnesandnoble.Com Llc Peer-to-peer data transfe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enabled styluses
JP6197450B2 (ja) * 2013-07-31 2017-09-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730257B2 (en) * 2013-11-06 2017-08-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252172B2 (ja) * 2013-12-27 2017-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602679B2 (en) * 2014-02-27 2017-03-21 Lifeprint Llc Distributed printing social network
JP6668611B2 (ja) * 2014-06-20 2020-03-1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EP3167560B1 (en) * 2014-07-07 2021-06-30 Ascensia Diabetes Care Holdings AG Improved device pairing with a dual use piezoelectric acoustic component and vibration sensor
JP6204882B2 (ja) * 2014-07-16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066993A (ja) * 2014-09-16 2016-04-2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488865B2 (ja) * 2014-12-04 2019-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355542B2 (ja) * 2014-12-04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64620A (ja) * 2015-03-06 2016-09-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JP6477132B2 (ja) * 2015-03-27 2019-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JP6608190B2 (ja) 2015-06-23 2019-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6321B2 (ja) * 2015-08-06 2020-04-22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第二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JP6528630B2 (ja) * 2015-09-30 2019-06-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モニタプログラム、画像形成システム
JP6314951B2 (ja) * 2015-10-08 2018-04-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784136B2 (ja) * 2015-11-26 2020-11-11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627568B2 (ja) * 2016-02-25 2020-01-0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666642B2 (en) * 2016-02-26 2020-05-26 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assisted mobile pairing of password-less computer login
JP6708059B2 (ja) * 2016-08-26 2020-06-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情報処理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10428557B2 (en) * 2016-09-15 2019-10-01 Ehsan Niroomand Wireless lock system
KR20180038166A (ko)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US10095451B2 (en) * 2016-10-11 2018-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Printing device proximity beacon identifications
US10219219B2 (en) * 2017-01-20 2019-0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for connecting a network receiver with one or more devices while minimizing power usage
JP6639430B2 (ja) 2017-01-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360A (ja) * 2005-02-15 2006-08-31 Canon Inc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6144025A (ja) * 2015-02-02 2016-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60227596A1 (en) * 2015-02-04 2016-08-04 Casio Computer Co., Ltd. Data processing system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plurality of apparatuses lin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24778A (ja) 2018-08-09
EP3355560B1 (en) 2020-07-08
KR20180089312A (ko) 2018-08-08
US20180219845A1 (en) 2018-08-02
EP3355560A1 (en) 2018-08-01
US10873660B2 (en) 2020-12-22
CN108377313A (zh) 2018-08-07
JP6639430B2 (ja) 2020-02-05
CN108377313B (zh)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937B1 (ko) 제어 방법
US119739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8694027B (zh) 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及信息处理装置
US104891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US20180054536A1 (en) Control method
EP338298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9916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establishes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enabling an access poin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200115352A (ko)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JP6929412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7238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JP6703059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100389A1 (en)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23036302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20322478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591533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