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166A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166A
KR20180038166A KR1020160128893A KR20160128893A KR20180038166A KR 20180038166 A KR20180038166 A KR 20180038166A KR 1020160128893 A KR1020160128893 A KR 1020160128893A KR 20160128893 A KR20160128893 A KR 20160128893A KR 20180038166 A KR20180038166 A KR 20180038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displa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근삼
조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8166A/ko
Priority to PCT/KR2017/010312 priority patent/WO2018066841A1/en
Priority to US15/716,815 priority patent/US20180103229A1/en
Publication of KR2018003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N2005/44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음향을 수신한 외부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통신부 및 응답 정보를 전송한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을 이용하여 손쉽게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 다양한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이 적용되고 있었다.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2진 CDMA(Binary CDMA) 또는 고주파/저주파 RF 통신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F 통신 연결을 위한 설정 과정으로서, 장치들 간의 페어링(Pairing)이 요구된다. 이러한 페어링 과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매뉴얼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사용자는 제공된 매뉴얼을 참조하여 장치들 간의 페어링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페어링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위와 같은 페어링 과정이 복잡하게 인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정상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음향을 이용하여 손쉽게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음향을 수신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한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타 외부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페어링된 외부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한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타 외부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고, 음향 출력 이후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타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상태에서 동작하지 않으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부는 USB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는,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한 음향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페어링된 외부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주변 장치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기 위한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를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시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가 전송된 이후,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가 전송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되면,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음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향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된 외부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주변 장치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기 위한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트리거 정보를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는 두 대의 전자 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페어링될 두 대의 장치 중 하나의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120), 통신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PC,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피커(120)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은 가청 주파수 대역 또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일 수 있다.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20㎐에서 20KHz의 음향이 될 수 있다. 또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의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10kHz~300GHz의 음향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외부 기기에 접속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4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4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MPU 등)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은 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일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고유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고유 장치명, 제조번호 등일 수 있다. 또는, 식별 정보는 임의적으로 프로세서(140)에 의해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될 필요가 있는 경우마다 새로운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식별 정보가 숫자인 경우, 핀(PIN) 번호로 명명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된 기기가 없는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공장에서 출하된 상태로 리셋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AC 전원이 인가되는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페어링된 기기가 없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14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부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14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리거 정보는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에 포함되어 통신부(130)로 수신될 수 있다.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특정 장치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장치에게 신호를 보낼 때 이용되는 것으로, 언다이렉트(undirected) 타입이고, 블루투스 패킷(예를 들어, 블루투스 클래식 패킷, 또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패킷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기설정된 주기로 스캔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상태, 일반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데, 일반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이고, 절전 상태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은 오프된 상태이다. 프로세서(140)는 일반 상태에서 동작하고, 절전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메인 프로세서와, 절전 상태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는 스피커(120)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고, 서브 프로세서는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는, 절전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부(130)를 통해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면,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업(wake-up)하여 일반 상태로 전환하고, 이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는 스피커(120)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140)와 통신부(130)는 USB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부(13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절전 상태에서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면 USB 방식을 통해 프로세서(140)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스피커(120)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된 이후, 그 음향을 수신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그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수신한 외부 장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고, 양 장치는 페어링될 수 있다.
음향은 벽을 통과하기 어려운 성질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 이후에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가 어떤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다는 것은, 그 외부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같은 공간에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은 같은 공간에 페어링할 외부 장치가 있는지 파악하는 용도이다. 또한, 그 음향은 페어링할 외부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용도인 것이다.
이 경우, 응답 정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일 수 있다.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특정 장치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장치에게 신호를 보낼 때 이용되는 것으로, 언다이렉트(undirected) 타입이고, 블루투스 패킷(예를 들어, 블루투스 클래식 패킷, 또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패킷 중 하나)일 수 있다.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거나,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처 외부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페어링된 외부 장치와는 다른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현재 페어링된 외부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할 수 있고, 페어링을 해제한 이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기기(제1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트리거 정보가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트리거 정보에는 트리거 정보를 전송한 장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현재 페어링된 장치와는 다른 장치(제2 장치)에서 트리거 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40)는 현재 페어링된 제1 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해제 이후, 식별 정보에 음향이 출력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이후, 음향을 수신한 제2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가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페어링 모드에 진입하여 제2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선 페어링의 해제 시점이, 현재 페어링된 제1 장치와는 다른 제2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수신된 시점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하고, 음향 출력 이후 그 음향을 수신한 제2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시점에 프로세서(140)는 제1 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제2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제2 장치와 같은 공간에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만 제1 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한다.
장치들 간의 일대일 연결만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서,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어링 해제를 위한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없어도 자동으로 현재 페어링된 장치와의 페어링 해제 후 타 장치와의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마이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폰, 리모컨 등과 같은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외부 기기에 접속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20)는 음향을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마이크(22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는 음향은 가청 주파수 대역 또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일 수 있다.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20㎐에서 20KHz의 음향이 될 수 있다. 또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의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10kHz~300GHz의 음향일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23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23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MPU 등)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마이크(220)에서 수신한 음향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수신한 음향을 분석하여 기정의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기정의된 식별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응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기정의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적인 음향(예컨대 말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서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 경우, 응답 정보는 해당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일 수 있다.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특정 장치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장치에게 신호를 보낼 때 이용되는 것으로, 언다이렉트 타입이고, 블루투스 패킷(예를 들어, 블루투스 클래식 패킷, 또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패킷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상술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주변 장치가 출력하도록 하는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와 페어링된 기기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거나, 전자 장치(20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트리거 정보를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시켜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특정 장치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장치에게 신호를 보낼 때 이용되는 것으로, 언다이렉트 타입이고, 블루투스 패킷(예를 들어, 블루투스 클래식 패킷, 또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패킷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의 복수의 버튼 중에서, 상기 트리거 정보의 전송을 유발시키는 버튼은 페어링 동작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버튼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가 리모컨이고, 전자 장치(200)와 페어링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가 TV인 경우, 리모컨에는 페어링을 위한 버튼이 일반 버튼들과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고, 페어링을 위한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트리거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후 TV와 리모컨이 페어링되면, 사용자는 리모컨의 일반 버튼, 예컨대 전원 온 버튼을 눌러서 TV의 전원을 켤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선 TV의 전원을 켜기 위해, 먼저 리모컨에서 TV와의 페어링을 위한 버튼을 눌러야 하고, 그 다음에 전원 온 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정보의 전송을 유발시키는 버튼은 전자 장치(200)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어떠한 버튼이더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가 리모컨이고, 전자 장치(200)와 페어링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가 TV인 경우, 사용자가 TV를 켜기 위해 리모컨에서 전원 온 버튼을 누르면 트리거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V와 리모컨 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프로세서(230)는 전원 온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즉 TV의 전원이 켜지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곧바로 TV로 전송한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다르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모컨으로 TV를 켜기 위해 전원 온 버튼만 누르면 되고, 리모컨과 TV 간의 페어링을 위해 별도의 조작을 더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마이크(220)를 항상 활성화시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상시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지만, 평소에는 마이크(220)를 활성화시키지 않다가, 상기와 같이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고 난 뒤에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트리거 정보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마이크(220)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와 외부 장치가 페어링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외부 장치에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가 TV이고 전자 장치(200)가 리모컨인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은, 볼륨 조절을 위한 제어명령, 채널 이동을 위한 제어명령 등일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로 구현된 경우와 상술한 전자 장치(200)가 리모컨으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선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고정 곡률(curvature)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bended) TV, 및/또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현재 화면의 곡률을 변경 가능한 곡률 가변형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120), 통신부(130), 마이크(160), 카메라(165), 입/출력부(180), 디스플레이부(110), 오디오 출력부(190), 저장부(185) 및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상태,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40)는 전원 공급부(17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RAM(141), ROM(142), CPU(143) 및 버스(144)를 포함한다. RAM(141), ROM(142), CPU(143) 등은 버스(144)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CPU(143)는 저장부(185)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85)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8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43)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85)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43)는 저장부(185)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52)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40)는 메인 프로세서 및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절전 상태에선 메인 프로세서는 동작하지 않으나, 서브 프로세서는 동작할 수 있고, 통신부(130)는 절전 상태에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절전 상태에서 서브 프로세서는 통신부(130)에 계속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상태에서 통신부(130)의 블루투스칩(132)에 의한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200')로부터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수신되면, 서브 프로세서는 패킷 분석을 통해 wake-up reason code를 해석하여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는 스피커(120)를 제어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는, 절전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유지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준비 상태로도 동작할 수 있고, 준비 상태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 가능하게 준비하는 상태로서, 메인 프로세서가 동작 가능하며, 메인 프로세서는 준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외한 다른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준비 상태에선 각종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사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튜너(1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채널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5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50)는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 유닛을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톱박스(set-top box), 입/출력부(180)에 연결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30)는 와이파이칩(131), 블루투스 칩(132), NFC칩(133), 무선 통신 칩(13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31), 블루투스 칩(132), NFC 칩(13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13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이 중 블루투스 칩(132)은 2.45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하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ISM 밴드는 별도의 라이센스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블루투스 칩(132)을 통한 블루투스 통신을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와 통신 연결한 후 전자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각종 정보들을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블루투스 칩(132)은 블루투스 4.0 이전의 블루투스 클래식 및 블루투스 4.0 이후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를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따르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과,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85)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160)는 음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40)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16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0)는 통신부(130) 또는 입/출력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16)는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비디오는 사용자 모션 인식에 사용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는 절전 상태에서도 카메라(16)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절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모션이 인식될 수 있다.
카메라(16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는 통신부(130) 또는 입/출력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부(18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부(180)는 HDMI 입력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81), 컴포넌트 입력 잭(182), PC 입력 포트(183), 및 USB 입력 잭(18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튜너(15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또는 통신부(130), 입/출력부(18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또는 저장부(185)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스피커(120) 및 헤드폰 출력 단자(19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비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튜너(150), 통신부(130), 마이크(160), 카메라(165), 입/출력부(180), 디스플레이부(170), 오디오 출력부(175) 및 전원 공급부(19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핀번호일 수 있다.
저장부(18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8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외부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절전 상태에서 통신부(130)를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와, 통신부(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절전 상태에선 다른 통신 방식은 제외하고 블루투스 통신 방식만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30), 입력부(240), 저장부(260) 및 전원 공급부(25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RAM(231), ROM(232), CPU(233), 및 버스(234)를 포함한다. RAM(231), ROM(232), CPU(233) 등은 버스(234)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10)는 와이파이칩(211), 블루투스 칩(212), NFC칩(213), 무선 통신 칩(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각종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블루투스 칩(212)은 블루투스 4.0 이전의 블루투스 클래식 및 블루투스 4.0 이후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를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따르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과,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241) 또는 터치 패드(24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사용자 입력 중 하나인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220), 사용자의 모션을 검출하는 센서(24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22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24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프로세서(23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243)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243)는 전자 장치(200')의 표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또는 파지를 검출하는 힘 센서(force sensor) 또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243)는 전자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를 검출하는 그립 센서(grip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의 모델명, 고유의 장치 ID(device ID), 블루투스 버전 또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이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5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200')의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50)는 전자 장치(200')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의 전원을 구성 요소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에 페어링된 기기가 없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버튼(241)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리는 이벤트, 센서(243)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잡은 것이 감지되는 이벤트, 전자 장치(200')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케스팅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 간의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가전제품(Consumer electronics, CE)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라면 장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그 중 페어링을 위한 버튼이 선택된다(S410). 제2 전자 장치(200'')는 페어링을 위한 버튼의 선택에 대응하여,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언다이렉트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한다(S420).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별도의 페어링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제2 전자 장치(200'')와 페어링된 기기가 없다면 어떠한 버튼이 눌러지더라도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언다이렉트 애드버타이징 패킷(Undir-Adv)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BLE 스캔 동작을 하여 제2 전자 장치(200'')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의 블루투스 모듈의 BLE 스캔 동작은 제1 전자 장치(100')가 파워 온 된 상태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엔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100')의 파워 온 버튼을 눌러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제1 전자 장치(100'')가 공장 리셋(Factory reset)된 상태라면, 전원 플러그에 연결되기만 하면 파워 온 버튼이 눌러질 필요도 없이 자동으로 파워 온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파워 오프 상태라도 전원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기만 한다면 블루투스 모듈의 BLE 스캔 동작은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엔 파워 온 버튼을 누르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없이도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트리거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링 트리거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블루투스 모듈은 SoC(System On Chip)로 음향 트리거를 전달한다(S430). 이 경우, SoC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블루투스 모듈은 SoC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이후, SoC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제어한다(S440). 이에 따라 스피커는 PIN 번호(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S450). PIN 번호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던 것일 수 있고, 음향 출력시마다 새롭게 생성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200'')에는 마이크가 마련되어 있어,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음향 수신 후 제2 전자 장치(200'')는 PIN 번호를 포함하는 언다이렉트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한다(S460). 이때, 제2 전자 장치(200'')는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제1 전자 장치(200'')는 PIN 번호를 포함하는 언다이렉트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에 다른 페어링 과정은 기존의 장치라도, 본 개시에 다른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하기만 한다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은 USB 동글(dongle)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도 4에서 도시한 것처럼, 블루투스 모듈과 SoC가 USB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트리거 전달 단계(S430)는 USB 방식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제어장치(200-1, 200-2) 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제어장치(200-1, 200-2)는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이다.
먼저, 도 5a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제어장치(200-1)가 페어링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켜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1에서 파워 온 버튼을 누르면, 파워 온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기 위해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1 간에 페어링이 되어야 하므로, 아래와 같은 페어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BLE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1)는 파워 온 버튼이 눌러지는 것에 대응하여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브로드캐스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BLE 스캔 동작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해석하여 패어링 트리거 신호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원격제어장치(200-1)는 마이크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고,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면서 패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여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200-1)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원격제어장치(200-1)는 파워 온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파워 온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장치(200-1)와 페어링이 이루어진 경우,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항상 연결 모드로 대기하도록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원격 제어장치(200-1)로부터 파워 온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빠르게 부팅될 수 있다.
도 5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1 원격 제어장치(200-1)가 페어링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원격제어장치(200-1)를 찾지 못해서 제2 원격 제어장치(200-2)로 전원을 키려는 시도를 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켜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2)에서 파워 온 버튼을 누르면, 파워 온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기 위해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2) 간에 페어링이 되어야 하므로, 아래와 같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BLE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2)는 파워 온 버튼이 눌러지는 것에 대응하여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브로드캐스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BLE 스캔 동작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2)로부터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정보가 현재 페어링되어 있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1)와 대응되지 않으면, 제1 원격제어장치(200-1)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정보는 원격제어장치마다 다르게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원격제어장치(200-2)로부터 현재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정보와, 현재 페어링된 원격제어장치(200-1)로부터 과거에 수신하였던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정보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제1 원격제어장치(200-1)와의 페어링을 해제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2)는 마이크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고,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면서 패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여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200-2)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원격제어장치(200-2)는 파워 온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파워 온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선 전원 오프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루투스 모듈이 활성화되어 항상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절약을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루투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어 있는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선 먼저 전원이 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물리 버튼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먼저 켜야만 한다. 하지만, 페어링 관련 지식이 없는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1)에서 전원 온 버튼을 눌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키려고 시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아직 원격제어장치(200-1)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에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 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Factory reset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 플러그에 연결되기만 하면,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자동으로 전원이 온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선, 초기 화면이 표시되거나, 페어링을 유도하기 위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리모컨의 아무 버튼이나 눌러주세요"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1)의 버튼 중 임의의 버튼, 예컨대 전원 오프 버튼을 누르면, 이에 대응하여 원격제어장치(200-1)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브로드캐스팅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BLE 스캔 동작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해석하여 패어링 트리거 신호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원격제어장치(200-1)는 마이크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고,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면서 패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여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200-1)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리모컨과 페어링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리모컨을 이용하여 TV를 조작하실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문구가 반드시 표시될 필요는 없고, 원격제어장치(200-1)는 사용자가 누른 전원 오프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에 따라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도 6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켜진 상태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1 원격 제어장치(200-1)가 페어링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원격제어장치(200-1)를 찾지 못해서 제2 원격 제어장치(200-2)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려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2)에서 가령, 파워 오프 버튼을 누르면, 파워 오프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기 위해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2) 간에 페어링이 되어야 하므로, 아래와 같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2)는 파워 오프 버튼이 눌러지는 것에 대응하여 트리거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브로드캐스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BLE 스캔 동작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2)로부터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정보가 현재 페어링되어 있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1)와 대응되지 않으면, 제1 원격제어장치(200-1)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원격제어장치(200-2)는 마이크를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고,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면서 패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BLE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여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200-2)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원격제어장치(200-2)는 파워 오프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파워 오프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를 통해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어링을 위해 사용자에게 복잡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제어장치(200-1, 200-2) 간의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게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한다(S710).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현재 출력중인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이 있는 경우라면, 현재 출력중인 음향과 겹쳐지지 않도록, 비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현재 출력중인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이 없는 경우라면,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한다(S720). 이 경우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가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어떠한 무선 통신 방식이더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한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한다(S73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한다(S740).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동작(예컨대, 볼륨 업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수행된 경우, 볼륨 업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영상을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를 통해 음향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한다(S810).
이 경우, 다른 잡음과 섞여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수신될 수 있으므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은 기설정된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200)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만을 추출하여 음향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200)는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S8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신이 출력한 음향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페어링 요청을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200)에서 페어링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음향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페어링될 장치들이 서로 한 공간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동일 공간에 존재함을 인식하기 위해 별도의 다른 방식(예컨대 IR 통신 방식 또는 이미지 센싱 방식 등)이 필요 없다. 따라서, IR 송수신부 등을 장치에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스피커 130: 통신부
140: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음향을 수신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한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타 외부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페어링된 외부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한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타 외부 장치로부터 트리거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고, 음향 출력 이후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타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상태에서 동작하지 않으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부는 USB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한 음향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페어링된 외부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주변 장치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기 위한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를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시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가 전송된 이후,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정보가 전송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되면,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인 전자 장치.
  18.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음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향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된 외부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주변 장치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기 위한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트리거 정보를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28893A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20180038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93A KR20180038166A (ko)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PCT/KR2017/010312 WO2018066841A1 (en) 2016-10-06 2017-09-20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716,815 US20180103229A1 (en) 2016-10-06 2017-09-27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93A KR20180038166A (ko)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66A true KR20180038166A (ko) 2018-04-16

Family

ID=6183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893A KR20180038166A (ko)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03229A1 (ko)
KR (1) KR20180038166A (ko)
WO (1) WO20180668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126A (ko) * 2022-07-11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9490B2 (en) * 2016-06-27 2021-03-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establishing classic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dual-mode Bluetooth devices, and dual-mode Bluetooth device
JP6639430B2 (ja) * 2017-01-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685588A4 (en) * 2017-09-19 2021-01-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TERMINAL
KR102458787B1 (ko) * 2018-07-02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KR102652811B1 (ko) 2018-09-04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43075A (ko) * 2018-10-1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 장치의 음향 출력 제어 시스템
US11294341B2 (en) 2019-04-16 2022-04-05 Distech Controls Inc. Controlled applianc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via the BLE standard
US11308793B2 (en) 2019-04-16 2022-04-19 Distech Control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led appliance via the BLE standard
US11194374B2 (en) * 2019-07-30 2021-12-07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waking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rom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TWI812887B (zh) * 2020-10-07 2023-08-2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偵測電路和喚醒方法
US20220233382A1 (en) * 2021-01-22 2022-07-28 Hill-Rom Services, Inc. Time-based wireless pairing between a medical device and a wall unit
US20220310111A1 (en) * 2021-03-23 2022-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perimposing high-frequency copies of emitted soun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216B2 (en) * 2008-06-30 2013-12-31 Telecom Italia S.P.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nnection of a wireless interface
NO332231B1 (no) * 2010-01-18 2012-08-06 Cisco Systems Int Sarl Metode for a parre datamaskiner og videokonferanseinnretninger
US8830889B2 (en) * 2011-02-23 2014-09-09 Lg Electronics Inc. Systems for remotely waking up application processor of mobile device
US9853969B2 (en) * 2014-10-01 2017-12-26 Gopro, Inc. Bluetooth low energy hostless private address resolution
US9820132B2 (en) * 2014-12-01 2017-11-14 Nokia Technologies Oy Wireless short-range discovery and connection setup using first and second wireless carrier
US20170256160A1 (en) * 2016-03-02 2017-09-07 Le Holdings(Beijing)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an operating mode of a remote con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126A (ko) * 2022-07-11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3229A1 (en) 2018-04-12
WO2018066841A1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81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US11019299B2 (en) Por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7637069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屏幕的方法
US9992439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10809961B2 (en) Display apparatus that connects display modu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50181169A1 (en) Security device, broadcast rece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3396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53673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47120B2 (en) Display device, an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same
CN108353205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电子设备的方法
KR1023153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076014B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146221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600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KR20200035788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KR1021607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US102005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2369040B (zh) 远程控制设备、远程控制设备的控制方法和电子系统
KR20220079193A (ko)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6671112A (zh) 控制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60284204A1 (en) Alarm apparatus with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