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150B1 - 적층 박리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 박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150B1
KR102274150B1 KR1020197030320A KR20197030320A KR102274150B1 KR 102274150 B1 KR102274150 B1 KR 102274150B1 KR 1020197030320 A KR1020197030320 A KR 1020197030320A KR 20197030320 A KR20197030320 A KR 20197030320A KR 102274150 B1 KR102274150 B1 KR 10227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ody
fresh air
outer layer
inner lay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207A (ko
Inventor
신타로 카츠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9012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65D79/0084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in the sidewall or shoulde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27Hollow longitudinal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입구부(11), 몸통부(12) 및 저부(13)를 구비한 보틀(bottle) 형상 외층체(2)와,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내층체(3)를 가지며, 입구부(11)에 외층체(2)를 관통하는 외기 도입공(14)이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1)로서, 입구부(11)에서의 하부에는, 네크 링(15)이 설치되고, 네크 링(15)은 적어도 외기 도입공(14)의 직하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에 절결부(15a)를 가지며, 절결부(15a)는, 용기를 평면으로 보았을때 외기 도입공(14)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기준선(L2)의 양측에 각각 60 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적층 박리 용기(1, 20).

Description

적층 박리 용기
본 발명은, 보틀(bottle) 형상 외층체 내면에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가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박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층체와 내층체 사이에 이어진 외기 도입공이 입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화장수 등의 화장료, 샴푸나 린스 혹은 액체 비누 등의 미용 용품, 간장 등의 식품 조미료 등을 내용물로서 수납하는 용기로서, 보틀 형상 외층체와,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를 가지며, 입구부에 외층체를 관통하여 외층체와 내층체 사이에 이어진 외기 도입공이 설치된 적층 박리 용기(디라미네이션 용기라고도 함)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적층 박리 용기의 입구부에는, 예컨대, 내용물을 주출하는 주출통에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도입공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공(開孔)에 체크 밸브를 구비한 구성의 주출 캡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주출 캡이 장착된 적층 박리 용기는, 몸통부가 스퀴즈(압압, 押壓)됨으로써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는 한편, 몸통부의 스퀴즈가 해제될 때에는, 외기 도입공에서 외층체와 내층체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여 내층체를 감용 변형시킨 채로, 즉 내용물을 외기와 치환시키지 않고 외층체만을 원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과 외기의 접촉을 억제하여,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의 열화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290746호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적층 박리 용기는, 그 제조 과정에서, 내층체의 초기 박리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층체의 초기 박리 처리는, 블로 성형에 의해 적층 박리 용기를 형성한 후, 입구부에서 내층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외기 도입공에서 외층체와 내층체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일단, 내층체를 외층체에서 박리시키고, 이어서, 입구부에서 내층체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내층체를 외층체 쪽으로 되돌림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은 초기 박리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내층체를 외층체에서 박리하기 쉽도록 하여, 내용물의 주출 후, 외층체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때, 내층체를 외층체에서 확실하게 박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 박리 용기에서는, 내층체의 초기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도, 외층체에서 박리시킨 후, 재차 외층체 쪽으로 되돌려진 내층체가 외층체의 내면에 밀착하게 되어 버려,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외기 도입공에서 저부 쪽으로 향해서 외기 도입로가 형성되지 않아, 내층체가 외층체에서 박리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으며, 그 목적은, 초기 박리 처리에 의해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외기 도입공에서 저부 쪽으로 향해서 외기 도입로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주출 후, 외층체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할 때, 내층체를 외층체에서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적층 박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통 형상 입구부, 상기 입구부에 이어진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이어진 저부를 구비한 보틀(bottle) 형상 외층체와, 상기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상기 외층체에 대응한 형상을 이루는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를 가지며, 상기 입구부에 상기 외층체를 관통하여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 사이에 이어진 외기 도입공이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로서, 상기 입구부에서의 하부에는, 네크 링이 설치되고, 상기 네크 링은, 적어도 상기 외기 도입공의 직하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에 절결부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는, 용기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기준선의 양측에 각각 60 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기준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기 도입공의 하방측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세로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기준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상기 세로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세로 리브는,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과, 상기 절결부에서의 상기 상하 방향 기준선에서 가장 떨어진 단부를 통과하는 가상 직선을 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적어도 상기 외기 도입공의 직하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으며, 상기 세로 리브는, 상기 상하 방향 기준선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상기 가상 직선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 사이에 설치된 세로 띠 형상 접착대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는, 상기 접착대의 연장선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박리 처리에 의해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외기 도입공에서 저부 쪽으로 향해서 외기 도입로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주출 후, 외층체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할 때, 내층체를 외층체에서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적층 박리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적층 박리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적층 박리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1에서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에서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초기 박리 후의 외층체에 대한 내층체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의 (a)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적층 박리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적층 박리 용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청구 범위, 및 요약서에서, "상하 방향"이라는 것은, 도 1에 나타낸 자세를 기준으로 한 상하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고, 즉, "상방"이라는 것은 도 1에서의 상방을 의미하고, "하방"이라는 것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적층 박리 용기(1)는, 해당 적층 박리 용기(1)의 외각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 외층체(2)를 가지고 있다. 외층체(2)는, 통 형상(도시한 예에서는 원통 형상) 입구부(11)와, 입구부(11)에 이어진 몸통부(12)와, 몸통부(12)에 이어진 저부(13)를 구비한 보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몸통부(12)는, 입구부(11)의 하단에 이어지는 동시에 하방으로 향해서 확경하는 대략 타원 형상 숄더 부분(12a)과 숄더 부분(12a)에 이어진 외경이 대략 일정한 몸통 본체 부분(12b)을 가지고 있다. 몸통부(12)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스퀴즈(압압)되어 오목해질 수 있는 동시에, 스퀴즈가 해제되면 오목한 상태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외층체(2)의 내측에는 내층체(3)가 설치되어 있다. 내층체(3)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외층체(2) 보다도 두께가 얇은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외층체(2)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내층체(3)의 개구부는, 외층체(2)의 입구부(11) 개구단에 이어져 있으며, 내층체(3)의 내부는 이 개구부에 이어진 수용 공간(S)으로 되어 있다. 내층체(3)의 내부, 즉 수용 공간(S)에는, 예컨대, 화장수 등의 화장료, 샴푸나 린스 또는 액체 비뉴 등의 미용 용품, 간장 등의 식품 조미료 등의 액체상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내층체(3)는 감용 변형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외층체(2)의 내면에서 박리하여 수용 공간(S)의 용적을 감소시키도록 감용 변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층체(3)가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이라는 것은, 외층체(2)의 내면에 접착, 유사 접착 내지 용착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내층체(3)가, 해당 외층체(2)에 대해서 벗겨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층체(2)의 내면에 단순히 밀착 상태로 적층된 내층체(3)가, 해당 외층체(2)에 대해서 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서 외층체(2)와 내층체(3)를 서로 접착하는 접착대(4)가, 몸통부(12)에 설치되어 있다. 접착대(4)는, 입구부(11)에서 저부(13)까지 연장되는 가늘고 긴 세로 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착대(4)는, 후술하는 외기 도입공(14)의 둘레 방향 위치를 회피하는 것이라면, 1 개인 것도 좋고, 2 개 이상인 것도 좋으며, 예컨대, 파팅 라인을 사이에 두고 2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접착대(4)는, 적층 박리 용기(1)의 둘레 방향의 한쪽에만의 것이라도 좋고, 본 예에서와 같이 대향하는 위치에서 둘레 방향의 두 방향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접착대(4)는 필수 구성은 아니다.
적층 박리 용기(1)는, 상용성이 낮은 외층체용 합성 수지 재료와, 내층체용 합성 수지 재료를 공압출하여 적층 패리슨을 형성하고, 이 적층 패리슨을, 금형을 사용하여 블로 성형함으로써, 외층체(2)의 내면에 내층체(3)가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층 박리 용기(1)는, 미리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형성된 적층 구조의 프리폼을 이축 연신 블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입구부(11)에는, 예컨대, 내용물을 주출하는 주출통에 체크 밸브를 구비한 구성의 주출 캡 등의 주출구(도시 생략)가 타전에 의해 장착되고, 이 주출구를 통해서, 내용물이 주출된다. 이와 같은 적층 박리 용기(1)는, 입구부(11)에 상기 구성의 주출 캡을 장착한 경우에는, 외층체(2)의 몸통부(12)를 스퀴즈함으로써, 입구부(11)에서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다. 내용물의 주출 후, 외층체(2)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할 때에는, 후술하는 외기 도입공(14)에서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외기가 유입되므로, 내층체(3)의 수용 공간(S)을 감용 변형시킨 채로 외층체(2)를 원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주출한 후에, 입구부(11)에서 내층체(3)의 수용 공간(S)으로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서 수용 공간(S)에 수용된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여, 그 열화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11)에 주출구로서 펌프, 또는 외층체(2)를 기울여서 내층체(3)의 수용 공간(S)에 수용된 내용물을 자중(自重)으로 입구부(11)에서 주출시키는 구성의 주출 캡 등의 다른 구성의 주출구를 장착할 수도 있다.
입구부(11)에는, 입구부(11)에 주출구를 타전에 의해서 장착하기 위한 록킹 돌기(11a)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 돌기(11a)는, 주출구의 장착통 내주면에 설치된 록킹 홈과 언더 컷 결합함으로써, 주출구를 입구부(11)에 록킹할 수 있다. 록킹 돌기(11a)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적층 박리 용기(1) 내지 입구부(11)의 중심 축선(O)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개소에 간헐부를 갖는 한 쌍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층체(2)의 입구부(11)에는 한 쌍의 외기 도입공(1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외기 도입공(14)은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기 도입공(14)의 중심 축선이 중심 축선(O)에 대해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외기 도입공(14)은, 록킹 돌기(11a)의 간헐부에 배치되어 중심 축선(O)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외기 도입공(14)은, 각각 외층체(2)를 관통하여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연통하고 있으며, 내층체(3)가 외층체(2)에서 박리할 때 외층체(2)와 내층체(3)의 틈에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11)의 외기 도입공(14)이 설치된 부분, 즉 록킹 돌기(11a)의 간헐부는 평탄하게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외기 도입공(14)은, 접착대(4)에서 90 도 이상 어긋난 둘레 방향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예에서는, 2 개의 외기 도입공(14)은 각각, 접착대(4)에서 90 도 어긋난 둘레 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입구부(11)의 하부(본 예에서는 입구부(11)의 하단부)에는 네크 링(15)이 설치되어 있다. 네크 링(15)은, 입구부(1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고리 형상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입구부(11)에 네크 링(15)을 설치함으로써, 주출 캡 등의 주출구를 입구부(11)에 타전에 의해 장착할 때, 네크 링(15)에 타전용 록킹 장치를 록킹시킬 수 있다.
네크 링(15)은, 적어도 외기 도입공(14)의 직하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에 절결부(15a)를 가진다. 본 예에서는, 외기 도입공(14)의 직하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까지 연장되는 둘레 방향에 긴 절결부(15a)를 설치하였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 도입공(14)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기준선(L1)(도 1에서는 중심 축선(O)과 동일한 선으로 나타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절결부(15a)를 설치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네크 링(15)이 설치된 입구부(11)의 내면에는, 해당 네크 링(15)에 대응하는 대략 고리 형상 오목부(15b)(도 3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오목부(15b)의 깊이가 너무 깊게 되면, 외층체(2)에 대한 내층체(3)의 박리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오목부(15b)의 깊이는, 가능한한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네크 링(15)에,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절결부(15a)를 설치함으로써, 절결부(15a)의 내면측에서는 상기 오목부(15b)의 깊이가 작게 되어, 외층체(2)에 대한 내층체(3)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절결부(15a)의 영역에 있어서는, 초기 박리 처리 시, 및 용기 사용 시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에서 박리하기 쉬워, 외기 도입공(14)에서 도입된 외기의 도입로를 형성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외기 도입공(14)에서 도입된 외기는, 외기 도입공(14)에서 하방으로 향해서, 방사상으로 퍼져서 유입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적어도 외기 도입공(14)의 직하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에 절결부(15a)가 존재하도록 하여, 외기 도입공(14)에서 도입된 공기가, 하방으로 향해서 방사상으로 퍼지기 쉬운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외기 도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배치된 2 개의 외기 도입공(14)의 각각에 대응하는 절결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즉, 합계 2 개소에 절결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절결부(15a)는, 접착대(4)의 연장선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절결부(15a)를 설치한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3)의 외층체(2)로부터의 박리성을 더욱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절결부(15a)는, 외기 도입공(14)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기준선(L2)의 양측에, 각각 60 도까지(이점 쇄선(L3)으로 나타냄)의 범위 내에 있다. 절결부(15a)가, 해당 범위를 초과하여 커지게 되면, 네크 링(15)의 둘레 방향 길이가 작아지게 되어, 타전 시, 또는 반송 시 등에 있어서, 네크 링(15)을 하방에서 지지할 때의 지지 범위가 작아지게 되어, 기능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네크 링(15)의 둘레 방향 길이가 작아지게 되면 네크 링(15) 전체로서의 강도도 저하된다. 따라서, 절결부(15a)의 범위를 반경 방향 기준선(L2)의 양측에서의 각각 60 도까지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네크 링(15)의 기능성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절결부(15a)를 해당 범위 내로 함으로써, 외기 도입공(14)에서 외기를 도입할 때의 외기 도입 경로가 적절한 위치로 되어, 외기 도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2)의 한쪽 외기 도입공(14)의 하방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 기준선(L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2 개, 즉 합계 4 개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각각의 절결부(15a)의 하방측에, 한 쌍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12)의 다른 쪽의 외기 도입공(14)의 하방측 부분에도 4 개의 세로 리브(16)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부(12)의 중심 축선(O)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4 개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합계 8 개의 세로 리브(16)는, 각각 몸통부(12)의 숄더 부분(12a)에 설치되어, 상기한 상하 방향 기준선(L1)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세로 리브(16)의 상단은, 몸통부(12)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리브(16)의 상단은, 레크 링(15)에서도 상하 방향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a), 및 도 4의 (a)의 단면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세로 리브(16)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동시에 용기 내측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외층체(2) 및 내층체(3)의 양쪽이 오목 리브 형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4 개의 세로 리브(16)의 길이는 동일하며, 그 상하 방향 위치도 서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몸통부(12)에 세로 리브(16)를 설치함으로써, 내층체(3)의 초기 박리 처리를 행한 후, 내층체(3)의 대부분을 재차 외층체(2)의 내면에 밀착시키면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2)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외층체(2)와 내층체(3)를 밀착시키지 않고 해당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틈(G)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초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적층 박리 용기(1)는, 몸통부(12)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서의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틈(G)이 설치된 구성의 것이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컨대, 적층 박리 용기(1)를 블로 성형에 의해 형성한 후, 입구부(11)에서 내층체(3)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외기 도입공(14)에서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일단, 내층체(3)를 외층체(2)에서 박리시키고, 이어서, 입구부(11)에서 내층체(3)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내층체(3)를 외층체(2)에 적층된 원래 형태로 되돌림으로써 내층체(3)의 초기 박리 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이 초기 박리 처리에 있어서, 일단, 외층체(2)에서 박리된 내층체(3)는, 외층체(2)의 내면에 재차 적층되지만, 이때, 외층체(2)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과, 내층체(3)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서, 내층체(3)가 외층체(2)의 내면에 밀착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틈(G)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초기 박리 처리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밀착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몸통부(12)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 더욱 확실하게 틈(G)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세로 리브(1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 도입공(14)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외기 도입공(14)의 축심과, 절결부(15a)에서의 상하 방향 기준선(L1)에서 가장 떨어진 단부(15c)를 통과하는 가상 직선(L4)을 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외기 도입공(14)에서, 가상 직선(L4)을 따르도록 도입된 외기의 흐름이 세로 리브(16)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부드럽게 저부(13)를 향해서 유입되기 때문에, 외기 도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절결부(15a)에서의 상하 방향 기준선(L1)에서 가장 떨어진 단부(15c)라는 것은, 각각의 외기 도입공(14)에 대응하는 절결부(15a)에 있어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는 단부(15c)를 의도하고 있으며, 해당 외기 도입공(14)에 대하여, 중심 축선(O)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쪽에 설치된 절결부(15a)의 단부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세로 리브(16)는, 상하 방향 기준선(L1)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상 직선(L4)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세로 리브(16)의 외측 영역에 있어서, 가상 직선(L4)을 따르도록 외기 도입 경로가 형성되기 쉽게 되어, 외기 도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세로 리브(16)는, 필수 구성이 아니며, 또한, 세로 리브(16)의 개수, 위치, 및 길이 등은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4 개의 세로 리브(16)의 상방측 또는 하방측, 또는 상하 양측에, 세로 리브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네크 링(15)에, 외기 도입공(14)의 직하 범위 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까지 연장되는 절결부(15a)를 설치하고, 절결부(15a)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에서 박리하기 쉽도록 함으로써, 외기 도입공(14)에서 몸통부(12) 쪽으로도 확실하게 외기를 도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결부(15a)의 하방측 양측에, 한 쌍의 세로 리브(16)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절결부(15a)에서 각각의 세로 리브(16)를 향해서 연장되는 틈을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발생시켜, 외층체(2)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때 외기 도입공(14)에서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흡입된 외기를, 세로 리브(16) 부분의 틈(G)으로 이루어지는 외기 도입로를 통해서 저부(13) 쪽까지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몸통부(12)에 세로 리브(16)를 설치함으로써, 내층체(3)의 초기 박리 처리 후에, 몸통부(12)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 틈(G)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에서 박리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층체(2)를 스퀴즈하여 내용물을 주출한 후, 외층체(2)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내층체(3)를 외층체(2)에서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몸통부(12)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 생성된 틈(G)에 의해서도, 외기 도입공(14)에서 저부(13) 쪽으로 향한 외기 도입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주출 후, 외층체(2)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때, 내층체(3)를 그 저부(13) 쪽에서 몸통부(12) 쪽으로 향해서 외층체(2)에서 확실하게 박리되도록 하여, 내층체(3)의 수용 공간(S) 내부에 외기가 도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층체(3)가 외층체(2)에서 용이하게 박리함으로써, 스퀴즈된 외층체(2)가 확실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여, 외층체(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인 기능이 동일한 부분은, 도면 중,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적층 박리 용기(20)는, 각각 외기 도입공(14)의 하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 기준선(L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의 절결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절결부(15a)의 사이에는, 네크 링(1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절결부(15a) 사이에 네크 링(15)이 있으므로, 앞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네크 링(15)의 둘레 방향에서의 존재 범위가 커지게 되어 네크 링(15) 전체로서의 강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서, 네크 링(15)의 섭입 등에 기인하는 타전시 불량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방에서 네크 링(15)을 지지하는 경우의 지지 범위도 커지게 되므로, 반송시 등에서의 탈락 우려도 감소하며, 지지 영식이 다른 다양한 유형의 지지 지그(네크 서포트라고도 칭함)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한 쌍의 절결부(15a)는 상하 방향 기준선(L1)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1 개의 외기 도입공(14)에 대해서 한 쌍의 절결부(15a)를 설치하고 있지만, 1 개의 외기 도입공(14)에 대하여 어느 한쪽에만, 즉 1 개의 절결부(15a)만으로 하여도 좋다.
도 6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배치된 2 개의 외기 도입공(14)의 각각에 대응하는 절결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즉, 합계 4 개소에 절결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 개의 외기 도입공(14) 중, 어느 한쪽만의 외기 도입공(14) 측에만, 절결부(15a)를 설치하여도 좋다. 각각의 절결부(15a)는, 적어도 외기 도입공(14)의 직하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 또한, 반경 방향 기준선(L2)에서 60 도까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1 개의 외기 도입공(14)에 대하여, 상하 방향 기준선(L1)을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절결부(15a)를 적절한 범위에 설치함으로써, 외기 도입공(14)에서 도입된 외기를 하방으로 향해서 방사상으로 도입하기 쉽기 때문에, 외기 도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절결부(15a)는, 반경 방향 기준선(L2)에서 각각 30 도가 되도록 둘레 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외기 도입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반경 방향 기준선(L2)에서 양측에 각각 45 도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지그 등에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결부(15a)는, 1 개의 외기 도입공(14)에 대하여 1 개소라도 좋고, 3 개소 이상에 설치하여도 좋지만, 절결부(15a)의 개수가 많아지면 네크 링(15)의 강도가 저하하여, 기능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1 개의 외기 도입공(14)에 대해서 2 개(상하 방향 기준선(L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1 개씩)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세로 리브(16)는, 몸통부(12)의 숄더 부분(12a)의 범위 내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몸통 본체 부분(12b)에 도달하는 범위에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세로 리브(16)는, 각각 용기 내측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 리브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용기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볼록 리브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세로 리브(16) 중 일부를 오목 리브 형상으로 하면서 다른 세로 리브(16)를 볼록 리브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각각 오목 리브 형상의 것과 볼록 리브 형상의 것을 교대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서의 몸통부(12)의 형상 내지 구성을 더욱 복잡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초기 박리 처리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밀착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하여, 몸통부(12)의 세로 리브(16)가 설치된 부분에 더욱 확실하게 틈(G)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 박리 용기(1, 20)로서, 입구부(11), 몸통부(12) 및 저부(13)의 어느쪽도 평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적층 박리 용기(1, 20)는, 입구부(11), 몸통부(12) 및 저부(13)가 평면에서 보아 타원형의 형상이나 다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입구부(11)에 록킹 돌기(11a)를 대신하여 나사부를 설치하고, 주출구를 나사 결합에 의해 입구부(11)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1, 20 : 적층 박리 용기
2 : 외층체
3 : 내층체
4 : 접착대
11 : 입구부
11a : 록킹 돌기
12 : 몸통부
12a : 숄더 부분
12b : 몸통 본체 부분
13 : 저부
14 : 외기 도입공
15 : 네크 링
15a : 절결부
15b : 오목부
15c : 단부
16 : 세로 리브
S : 수용 공간
O : 중심 축선
L1 : 상하 방향 기준선
L2 : 반경 방향 기준선

Claims (7)

  1. 통 형상 입구부, 상기 입구부에 이어진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이어진 저부를 구비한 보틀(bottle) 형상 외층체와, 상기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상기 외층체에 대응한 형상을 이루는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를 가지며, 상기 입구부에 상기 외층체를 관통하여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 사이에 이어진 외기 도입공이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로서,
    상기 입구부에서의 하부에는, 네크 링이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외기 도입공의 직하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에는 절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절결부는, 용기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기준선의 양측에 각각 60 도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기준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 설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절결부 사이에는 상기 네크 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박리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기 도입공의 하방측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세로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기준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상기 세로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로 리브는,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기 도입공의 축심과, 상기 절결부에서의 상기 상하 방향 기준선에서 가장 떨어진 단부를 통과하는 가상 직선을 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적어도 상기 외기 도입공의 직하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으며,
    상기 세로 리브는, 상기 상하 방향 기준선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상기 가상 직선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7.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 사이에 설치된 세로 띠 형상 접착대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는, 상기 접착대의 연장선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KR1020197030320A 2017-04-28 2018-03-02 적층 박리 용기 KR102274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0704 2017-04-28
JP2017090704A JP6906844B2 (ja) 2017-04-28 2017-04-28 積層剥離容器
PCT/JP2018/008076 WO2018198533A1 (ja) 2017-04-28 2018-03-02 積層剥離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207A KR20190128207A (ko) 2019-11-15
KR102274150B1 true KR102274150B1 (ko) 2021-07-06

Family

ID=6391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320A KR102274150B1 (ko) 2017-04-28 2018-03-02 적층 박리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92677B2 (ko)
JP (1) JP6906844B2 (ko)
KR (1) KR102274150B1 (ko)
CN (1) CN110573429B (ko)
WO (1) WO2018198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8425B2 (ja) * 2019-03-28 2023-04-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組立体、二重容器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7317454B2 (ja) * 2020-01-31 2023-07-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7387231B2 (ja) 2020-02-27 2023-11-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7350455B2 (ja) 2020-02-27 2023-09-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CN111806831B (zh) * 2020-07-17 2022-04-12 广州华研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防光照的阻隔容器胚体及阻隔容器
KR102517952B1 (ko) 2021-06-02 2023-04-05 (주)나산기업 토출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291A (ja) * 2005-09-29 2007-04-12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
JP2012096815A (ja) * 2010-10-29 2012-05-24 Yoshino Kogyosho Co Ltd 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2014091537A (ja) * 2012-10-31 2014-05-19 Yoshino Kogyosho Co Ltd 積層剥離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058B2 (ja) * 1990-12-28 2000-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01838A (en) * 1991-01-23 1994-04-1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EP0550772B1 (en) * 1991-08-05 1998-12-09 Yoshino Kogyosho Co., Ltd. Bottle of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id bottle
EP0759399B1 (en) * 1995-03-10 2002-01-09 Yoshino Kogyosho Co., Ltd. Punching method for laminated container
CA2458934C (en) * 2001-08-31 2009-09-15 Yoshino Kogyosho Co., Ltd. Pouring vessel
AU2002343802B2 (en) * 2001-10-31 2007-11-22 Yoshino Kogyosho Co., Ltd. Blow-molded container
JP4535259B2 (ja) * 2004-09-30 2010-09-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JP4846428B2 (ja) * 2006-04-25 2011-1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ボトル
AU2012359320B2 (en) * 2011-12-26 2016-05-26 Yoshino Kogyosho Co., Ltd. Squeezable container
KR101673830B1 (ko) * 2012-10-31 2016-11-07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이중 용기
JP5917368B2 (ja) * 2012-10-31 2016-05-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125912B2 (ja) * 2013-03-29 2017-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594771B2 (ja) 2015-12-25 2019-10-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291A (ja) * 2005-09-29 2007-04-12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
JP2012096815A (ja) * 2010-10-29 2012-05-24 Yoshino Kogyosho Co Ltd 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2014091537A (ja) * 2012-10-31 2014-05-19 Yoshino Kogyosho Co Ltd 積層剥離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6844B2 (ja) 2021-07-21
CN110573429A (zh) 2019-12-13
US20200039678A1 (en) 2020-02-06
WO2018198533A1 (ja) 2018-11-01
JP2018188178A (ja) 2018-11-29
CN110573429B (zh) 2021-08-24
KR20190128207A (ko) 2019-11-15
US11192677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150B1 (ko) 적층 박리 용기
KR102076923B1 (ko) 이중 용기
JP6345062B2 (ja) 積層剥離容器
JP6808339B2 (ja)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JP7098229B2 (ja) 二重容器
JP6054706B2 (ja) 積層剥離容器
JP6730095B2 (ja) 二重容器
JP6614940B2 (ja) 二重容器
JP6407649B2 (ja) 積層剥離容器
JP7199781B2 (ja) 積層剥離容器
JP6671783B2 (ja) 積層剥離容器
JP6091982B2 (ja) 二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二重容器
JP6440190B2 (ja) 多段ボトル
JP2019210003A (ja) 積層剥離容器
JP2018090282A (ja) 二重容器
JP7098232B2 (ja) 積層剥離容器
WO2019087515A1 (ja) 二重容器
JP6366519B2 (ja) 二重容器
JP5937022B2 (ja) 二重容器
JP6957087B2 (ja) 積層剥離容器
JP7292804B2 (ja) 積層剥離容器
JP7317454B2 (ja) 積層剥離容器
JP2019131254A (ja) 積層剥離容器
JP7399557B2 (ja) 二重容器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7246946B2 (ja) 積層剥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