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966B1 -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966B1
KR102273966B1 KR1020140140726A KR20140140726A KR102273966B1 KR 102273966 B1 KR102273966 B1 KR 102273966B1 KR 1020140140726 A KR1020140140726 A KR 1020140140726A KR 20140140726 A KR20140140726 A KR 20140140726A KR 102273966 B1 KR102273966 B1 KR 10227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panax
oil
composition
bitter t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347A (ko
Inventor
김수환
박찬웅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40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966B1/ko
Priority to PCT/KR2015/010434 priority patent/WO2016060394A1/ko
Priority to CN201580056418.7A priority patent/CN107072229A/zh
Publication of KR2016004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삼씨유를 함유하는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의 쓴맛 억제제는 인삼의 쓴맛을 차폐시켜 용이한 섭취를 가능하게 하고, 인삼의 쓴맛 억제제 함유 인삼 조성물은 인삼 특유의 쓴맛을 차폐시킴과 동시에 인삼 지표성분의 손실을 막아 인삼 건강기능 식품 개발에 유용하며, 일반 식품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Agent for Masking Bitterness of Ginseng and Ginse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삼씨유를 함유하는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식품 및 음료는 종종 과도한 쓴맛 또는 신맛과 주로 관계가 있는, 불쾌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맛을 띤다. 제품의 맛은 소비자에 의한 최종적인 수용을 결정할 때 근본적인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불쾌한 맛을 차폐하거나 체감시키고자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쓴맛이 나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물에 녹지 않는 것이 많으며, 다른 기본적인 맛인 단맛, 신맛, 짠맛에 비하면 미각을 느낄 때까지의 시간이 길고, 또 맛이 오래 남아 가시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인삼, 홍삼, 녹차 등의 뿌리식물에서 쓴맛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성분은 당과 탄수화물로 구성된 배당체인 사포닌이 대표적이다.
뿌리식물의 대표 천연물인 홍삼의 경우 자체로도 쓴맛을 가진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을 말하는 것으로, 홍삼의 주요성분으로는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 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 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있으나, 특히 홍삼의 효능물질로 알려진 사포닌은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효능을 가진다.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은 간기능회복, 피로회복 효능을 가지며, 진세노사이드 Rb2는 당뇨조절, 비만 및 동맥경화방지, 간세포증식 효능을 갖는다. 진세노사이드 Rh1은 간기능개선, 피로회복, 혈소판응집억제 효능을 가지고, 진세노사이드 Rh2는 항암 및 면역력 증강 효능을 가지며, 진세노사이드 Rg1은 기억력강화 및 치매예방, 당뇨조절, 비만방지, 피로회복 효능을 갖는다. 진세노사이드 Rg2는 기억력강화 및 치매예방, 혈소판응집억제 효능을 가지며, 진세노사이드 Rg3은 항암제 및 항암제내성억제기능, 면역력증강 효능을 갖는다. 진세노사이드 Re는 간 보호, 골수세포 생성촉진, 기억력강화 및 치매예방 효능을 갖는다. 기타 Rf, Ro, Rd 등은 지질과산화억제, 뇌신경세포 진통작용, 알코올해독, 염증치료, 단백질 및 지질합성촉진, 부신피질호르몬 분비촉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홍삼의 주요성분 및 약리작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홍삼의 약리효능을 생각할 때, 홍삼을 장기간 복용하면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발병 가능성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홍삼은 그 쓴맛 및 특유의 향미로 인해 어린이와 쓴맛에 민감한 사람들은 섭취가 쉽지 않다. 게다가, 홍삼식품의 기능을 더하기 위해 대부분의 제품에 천연물을 같이 이용해 쓴맛이 배가 된다.
현재 홍삼과 같은 천연물 제품의 쓴맛을 차폐(masking)시키기 위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CD)을 이용함으로써 사포닌을 덱스트린(dextrin) 고리형 구조에 포접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8-0018658호).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천연 식품첨가물로, 제품에 처리되면 쓴맛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으나, 지표성분(기능성분)의 값이 낮게 검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지표성분이란 어떤 제품이 일정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함유되어야 할 성분을 표준으로 설정한 것으로, 지표성분은 반드시 유효성분일 필요는 없다. 홍삼의 지표성분으로 지정된 성분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 Rg1, 및 Rg3이 있다.
식품의 쓴맛을 차폐시키기 위해 통용되고 있는 다른 방법 중 하나는, 여분의 당 또는 기타 감미제를 첨가함으로써 식품의 단맛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설탕이나 감미제를 첨가할 경우 대부분은 제품에 부가적인 열량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건강을 위해 저열량 식품을 원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와 맞지 않고, 특히 당뇨병 환자들과 같이 혈당 농도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섭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52009에서,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을 새롭게 발명한바 있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쓴맛 제품에 처리할 경우,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당으로 흡수되기 어렵고, 인삼 지표성분(Rg1,Rb1)의 손실도 줄일 수 있어, 흔히 통용되는 당 또는 감미료를 이용한 쓴맛 억제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비슷한 관점에서, 싸이클로덱스트린, 당, 또는 감미제 등 별도의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식품 원료만을 이용하여 지표성분의 손실 없이 쓴맛을 차폐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인삼씨의 유지 성분이 이러한 쓴맛 억제제의 요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또는 홍삼 지표성분(기능성분)의 손실 없이 쓴맛을 차폐시킬 수 있는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삼의 쓴맛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인삼의 쓴맛 억제제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의 쓴맛 억제제는 인삼의 쓴맛을 차폐시켜 용이한 섭취를 가능하게 하고, 인삼의 쓴맛 억제제 함유 인삼 조성물은 인삼 특유의 쓴맛을 차폐시킴과 동시에 인삼 지표성분(기능성분)의 손실을 막아 인삼 건강기능 식품 개발에 유용하며, 일반 식품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쓴맛 억제제로 사용될 인삼씨유의 제조과정을 도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1의 7점 척도법을 도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홍삼 농축액에 인삼씨유를 혼합한 후, 관능평가 및 지표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삼씨유가 첨가된 홍삼 농축액이 인삼씨유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쓴맛이 경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인삼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삼의 쓴맛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씨유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인삼씨유를 착유하는 방법은 용매 추출법, 냉침법, 온침법, 침적법 등 여러 방법이 가능하나, 물리적 착유 또는 초임계 추출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초임계 추출의 경우, 유기 용매는 인삼 및 인삼박 분말 내 지용성 성분인 지방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주정 또는 올리브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은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 1g에 대하여 유기 용매를 50ml∼1L를 첨가하여 4 내지 65℃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높은 추출 수율을 얻기 위해, 초임계 조건에서 추출이 가능하다. 초임계 추출은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유체(일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다음, 추출조의 압력을 300 내지 500bar로 유지하며 상온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함량, 온도 및 시간은 추출 수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최대의 추출 수율을 얻기 위한 범위이다.
또한, 인삼 씨를 압착하는 압착법(물리적 착유)에 의해 인삼씨유(오일)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지용성 성분을 추출함에 있어서,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착유기에 넣고 압착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은 고형상태이기 때문에, 착유기에 의한 압착법으로도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법과 착유기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씨유에 대하여 필요한 경우 정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제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감압 여과 후 이온교환수지 또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친 후 동결 건조하거나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추출된 인삼씨유는, 추출된 후에 농축되거나 또는 농축된 액을 건조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된 분말상의 가공인삼 추출물, 예를 들어 인삼이 연조 또는 건조된 엑스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 이후에는, 후 가공처리의 일례로써 식초를 이용해서 추가 추출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유는 인삼의 종(species)에 따라 고려인삼 (Panax ginseng), 화기삼 (Panax quinquefolia), 전칠삼 (삼칠, Panax notoginseng), 베트남삼 (Panax vietnamensis), 죽절삼 (Panax japonicu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 (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 (Panax wangianus), 파낙스 비핀나티푸스 (Panax bipinnatifidus), 및 파낙스 슈도진생 (Panax pseudo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의 쓴맛 억제제는 호두유,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홍화씨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식용 유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식용 유지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삼의 쓴맛 억제제는 인삼씨유를 주성분으로 하나, 인삼씨유 외에도 상기 기재된 다른 종류의 식용 유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삼씨유는 80~99.9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 식용 유지는 0.1~20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삼의 쓴맛 억제제는 통상적으로 유지에 사용되는 항산화제를 비롯한, 염류, 유기산류, 향료, 당류, 다당류, 알코올류, 약효 성분 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홍삼 근에 추출 용매를 혼합한 후 인삼 농축액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인삼씨유와 혼합하여 인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인삼씨유를 함유하는, 인삼의 쓴맛 억제제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홍삼, 백삼, 흑삼, 산삼, 장뇌삼 및 산양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가공 방법이나 재배 환경에 따라 홍삼, 백삼, 흑삼, 산삼, 장뇌삼 또는 산양삼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한 개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삼은 수삼, 즉 원형을 유지한 생인삼을 말하고,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과정에서 갈변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흑삼은 홍삼을 더 여러 번 찌고 건조하여 흑색으로 변화한 인삼을 말한다. 산삼은 자생 인삼을 말하며, 장뇌삼은 심어서 기른 산삼을 말한다. 산양삼은 산간의 삼림 하에서 인위적으로 종자나 묘삼을 파종 이식하여 재배한 인삼이다.
또한, 상기 인삼의 종(species)으로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 화기삼 (Panax quinquefolia), 전칠삼 (삼칠, Panax notoginseng), 베트남삼 (Panax vietnamensis), 죽절삼 (Panax japonicu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 (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 (Panax wangianus), 파낙스 비핀나티푸스 (Panax bipinnatifidus), 또는 파낙스 슈도진생 (Panax pseudoginseng)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은 인삼의 동체, 세근, 씨, 꽃, 열매, 잎, 및 줄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삼 동체(胴體)는 인삼 뿌리의 주근인 몸통부분을 의미하고, 인삼 세근(細根)은 인삼의 동체를 제외한 나머지 얇은 뿌리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60중량% 이상인 인삼 농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삼 농축액의 고형분 함량은 60중량%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2014) 식품일반에 대한 공통기준 및 규격에 따르면, 인삼 또는 홍삼 사용제품류 제조에 사용되는 가용성 인삼 및 홍삼성분은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어야 하며, 고형분 함량이 90% 이상일 경우 흐름성이 좋지 않아 제조공정상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으며 농축액의 손실이 많아질 수 있다.
상기 인삼 농축액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홍삼 근에 물과 주정과 같은 추출 용매를 혼합한 후 추출기에 넣고 65-75℃에서 9-11시간 동안 3-5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여과하고,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500-700mmHg, 온도 65-75℃에서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쓴맛 억제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8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쓴맛 억제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8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내지 5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0.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쓴맛 억제 효과가 미미하고, 8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인삼씨유 특유의 성분의 맛으로 대체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 실시예 1]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및 인삼씨유와의 혼합
실시예 1-1. 인삼씨유의 제조
인삼 씨를 압착하는 압착법에 의해 인삼씨유(오일)를 제조하였다. 먼저, 인삼 씨를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압착이 가능한 것만 선별하였다. 이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식품용 착유기(DS-1500, 다산식품산업기계, 한국)에 투입 후 상온에서 5분간 압착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인삼씨유 원액을 정제하고, 여과하였다.
실시예 1-2.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및 인삼씨유와의 혼합
먼저, 추출기에 원료 홍삼 500g을 투입하고 물과 주정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용매 1.5L를 추출기에 넣었다. 70℃에서 10시간 동안 4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250mesh 여과기로 가압식 여과하였다.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600mmHg, 온도 70℃에서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키고, 살균탱크에 옮겨 83℃에서 20분간 스팀 살균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아래 표 1과 같이, 제조된 홍삼 농축액을 10-19g 범위 내에서, 인삼씨유를 1-10g 범위 내에서 함께 혼합하고, 각각의 혼합물에 대하여 20인의 전문패널에게 쓴맛 경감 정도를 평가하게 한 결과, 전체 인삼 조성물(홍삼 농축액)에 대한 인삼씨유의 중량부와 그에 따른 쓴맛 차폐효과가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홍삼 농축액 15g, 인삼씨유 5g을 혼합하였을 때 쓴맛 차폐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삼
농축액(g)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인삼씨유(g) 1 2 3 4 5 6 7 8 9 10
인삼씨유
중량부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쓴맛
차폐효과
+ + ++ ++ +++ ++ ++ + + +
(+: 쓴맛을 약간 느낄 수 있음, ++: 쓴맛을 거의 느낄 수 없음, +++: 쓴맛을 전혀 느낄 수 없음)
[ 비교예 1] 순수 홍삼 농축액의 제조
추출기에 원료 홍삼 500g을 투입하고 물과 주정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용매 1.5L를 추출기에 넣고 70℃에서 10시간 동안 4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250mesh 여과기로 가압식 여과하였다.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600mmHg, 온도 70℃에서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키고, 살균탱크에 옮겨 83℃에서 20분간 스팀 살균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순수 백삼 농축액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홍삼 대신 백삼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백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쓴맛 억제제와의 혼합
상기 실시예 1에서 쓴맛 억제제로 사용된 인삼씨유 대신 다른 쓴맛 억제제를 사용한 대조군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비교예 1의 홍삼 농축액 15g에 사이클로덱스트린 5g (구입처:NIHON SHOKUHIN KAKO CO., LTD)을 혼합하였다.
[ 실험예 1] 관능평가 및 지표성분 측정
실험예 1-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시료(홍삼 농축액 15g, 인삼씨유 5g)와 비교예 1, 2 및 3의 시료에 대하여 쓴맛 경감 정도 및 선호도 조사를 위해 잘 훈련된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및 3 각각을 고형분 60% 기준으로 총 중량 20g 되도록 제조하여 제공하였다. 7점 척도법(도 2)을 이용하여 하기의 패널설문내역을 평가하였다. 쓴맛 및 전체선호도에 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번호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쓴맛 6.42 6.75 4.35 4.26
전체 선호도 3.64 3.54 5.12 5.3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명 패널의 각 시료별 평가 평균값을 볼 때, 쓴맛 차폐 및 전체 선호도에서 실시예 1의 시료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95% 수준에서도 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인삼씨유가 인삼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되면 인삼의 쓴맛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지표성분 측정
관능평가와 더불어, 각 시료에 대한 지표성분 함량을 건강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전문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번호 비교예 3 실시예 1
지표성분
함량
차폐 전 9.9mg/10g 10mg/10g
차폐 후 2.2mg/10g 9.8mg/10g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씨유를 쓴맛 억제제로 사용하면, 인삼(홍삼) 지표성분의 감소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삼씨유를 쓴맛 차폐제로서 인삼 건강기능식품에 처리하여도, 인삼에 함유된 Rg1, Rb1, Rg3와 같은 효능물질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인삼씨유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삼의 쓴맛 억제제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씨유 및 인삼의 중량비는 3~7 : 17~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유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 화기삼 (Panax quinquefolia), 전칠삼 (삼칠, Panax notoginseng), 베트남삼 (Panax vietnamensis), 죽절삼 (Panax japonicu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 (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 (Panax wangianus), 파낙스 비핀나티푸스 (Panax bipinnatifidus), 및 파낙스 슈도진생 (Panax pseudo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의 쓴맛 억제제는 호두유,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홍화씨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식용 유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유 80~99.9중량% 및 상기 식용 유지 0.1~20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유 및 인삼의 중량비는 1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의 인삼은 홍삼, 백삼, 흑삼, 산삼, 장뇌삼 및 산양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의 인삼은 고려인삼 (Panax ginseng), 화기삼 (Panax quinquefolia), 전칠삼 (삼칠, Panax notoginseng), 베트남삼 (Panax vietnamensis), 죽절삼 (Panax japonicu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 (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 (Panax wangianus), 파낙스 비핀나티푸스 (Panax bipinnatifidus), 및 파낙스 슈도진생 (Panax pseudo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은 인삼의 동체, 세근, 씨, 꽃, 열매, 잎, 및 줄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60중량% 이상인 인삼 농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의 쓴맛 억제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조성물은 인삼 내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계열 지표성분의 보존을 증진시키거나 손실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조성물.
KR1020140140726A 2014-10-17 2014-10-17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10227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26A KR102273966B1 (ko) 2014-10-17 2014-10-17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PCT/KR2015/010434 WO2016060394A1 (ko) 2014-10-17 2015-10-02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CN201580056418.7A CN107072229A (zh) 2014-10-17 2015-10-02 人参苦味抑制剂及含有其的人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26A KR102273966B1 (ko) 2014-10-17 2014-10-17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47A KR20160045347A (ko) 2016-04-27
KR102273966B1 true KR102273966B1 (ko) 2021-07-08

Family

ID=5574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726A KR102273966B1 (ko) 2014-10-17 2014-10-17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73966B1 (ko)
CN (1) CN107072229A (ko)
WO (1) WO2016060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168B1 (ko) * 2016-11-29 2018-08-1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쓴맛 차폐용 조성물
KR102358663B1 (ko) * 2016-12-30 2022-02-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82248B1 (ko) * 2018-01-10 2020-02-27 농업회사법인 그린생명주식회사 무농약 인삼 농축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10121892A (ko) 2020-03-31 2021-10-08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씨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04986B1 (ko) * 2021-07-28 2023-1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태반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213B1 (ko) 2013-03-07 2014-09-05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씨 배유 추출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894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서흥캅셀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를 함유한 츄어블 연질캡슐제
KR20120110667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동원고려인삼 인삼의 특유 향과 쓴맛을 감소시킨 인삼음료 제조방법
KR101280300B1 (ko) * 2011-05-04 2013-07-01 이현기 인삼씨오일을 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20133406A (ko) * 2011-05-31 2012-12-11 (주)아모레퍼시픽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101429820B1 (ko) * 2012-10-31 2014-08-12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629441B1 (ko) * 2014-01-14 2016-06-13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종자 오일을 함유하는 드레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213B1 (ko) 2013-03-07 2014-09-05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씨 배유 추출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394A1 (ko) 2016-04-21
CN107072229A (zh) 2017-08-18
KR20160045347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966B1 (ko)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7183433B (zh) 一种火龙果果汁及其加工方法
JP6038900B2 (ja) 苦味抑制剤およびこれを含む高麗人蔘組成物
KR20140112777A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150098525A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380625B1 (ko) 한약재 농축액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홍삼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693361B1 (ko)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5808A (ko) 홍삼 및 과일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671961B1 (ko)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54B1 (ko)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618A (ko)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09168B1 (ko) 기능성분강화 홍삼추출액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El-Gindy et al. Chemical studies and utilization of Tamarindus indica and its seeds in some technological application
KR20110128676A (ko) 다이어트용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2853B1 (ko) 민들레 추출액 및 홍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068014A (ko)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7494B1 (ko)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20150023580A (ko)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20170069404A (ko) 인삼열매의 과육 추출액과 황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9786A (ko) 배즙에 오가피를 넣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