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500B1 - 비대면 택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택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500B1
KR102272500B1 KR1020200159231A KR20200159231A KR102272500B1 KR 102272500 B1 KR102272500 B1 KR 102272500B1 KR 1020200159231 A KR1020200159231 A KR 1020200159231A KR 20200159231 A KR20200159231 A KR 20200159231A KR 102272500 B1 KR102272500 B1 KR 10227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river
information
face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2020015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택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 단말, 운전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 단말 및 운전자 단말을 통해 목적지, 선택경로 및 최종요금정보를 전송하고 조회할 수 있어 비대면으로 택시를 호출하고 요금을 결제 할 수 있고, 평가정보, 안전도점수 및 수입정보를 기준으로 배차 우선순위가 산정되므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존재하는 카페, 식당, 쉼터, 관광지 등을 추천하므로 효율적인 동선으로 이동할 수 있고, 다국의 언어로 이용할 수 있어 외국인의 국내 여행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비용 설정이 가능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탑승자 계정정보 및 운전자 계정정보를 통해 격리 대상자 여부 및 2주 이내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어 전염병 확산 방지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택시 시스템{NON-FACED TAXI SYSTEM}
본 발명은 택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탑승자 단말, 운전자 단말, 차량 및 서버로 구성된 비대면 택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 중에서, 택시는 원하는 목적지를 지정하여 빠르게 이동하기 용이한 수단이다. 종래 탑승자가 도로 또는 택시정류장에서 빈 택시를 직접 찾아가며 잡아야 했던 아날로그적 시스템으로부터, 카카오택시와 같이 탑승자와 운전자 간의 빠른 배차를 제공하는 다양한 플랫폼이 소개되고 있다. 탑승자가 미리 목적지를 설정하고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여 본인의 이동경로를 고려해 배차를 승인하는 플랫폼이 등장함으로써, 택시 이용이 보다 편리해져 이를 이용하는 고객이 급증함에 따라 택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이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복잡하게 노선을 확인해야 하는 지하철이나 버스보다 목적지를 바로 지정할 수 있는 택시가 이용하기에 보다 편리하여, 관광 산업에서 중요한 교통 수단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처럼 택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었으나, 코로나 19의 급격한 확산으로 인해 타 지역간 이동이 급감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최소화하는 생활이 권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스나 지하철보다는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불특정 다수의 승객에게 노무를 제공하게 되므로 택시 역시 안전성을 장담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택시 산업 및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 산업이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방역시스템이 구비된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하여, 전염병 확산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 방지, 나아가 국내 관광산업 발전과 대중교통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212호 (2018.01.08.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대면으로 택시를 호출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대면으로 요금을 결제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차의 우선순위를 산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배차를 실시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경로 상의 카페, 식당, 쉼터, 관광지 등을 추천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국의 언어로 이용 가능한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유로운 비용 설정이 가능한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부, 출력부 및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탑승자 단말 및 운전자 단말, 운전자 단말이 설치되는 차량 및 제2 통신모듈, 메모리부 및 제어부로 구비된 서버로 구성되어, 탑승자 단말의 출력부가 최단거리경로정보, 최저요금경로정보, 추천경유지경로정보 및 상기 경로정보들의 각 요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운전자 단말에 입력된 할인요금 및 탑승자 단말에 입력된 추가요금을 반영하여 최종요금을 산정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 단말 및 운전자 단말을 통해 목적지, 선택경로 및 최종요금정보를 전송하고 조회할 수 있으므로, 비대면으로 택시를 호출하고 요금을 결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정보, 안전도점수 및 수입정보를 기준으로 배차 우선순위가 산정되므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존재하는 카페, 식당, 쉼터, 관광지 등을 추천하므로, 효율적인 동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국의 언어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외국인의 국내 여행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유로운 비용 설정이 가능하므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 계정정보 및 운전자 계정정보를 통해 격리 대상자 여부 및 2주 이내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염병 확산 방지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에 격벽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에 격벅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 및 운전자 단말에 탑승자 계정정보 및 운전자 계정정보 입력란이 출력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 및 운전자 단말에 결제 승인정보 및 결제 요청정보가 출력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은 탑승자 단말(100), 운전자 단말(200), 차량(C) 및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탑승자 단말(100)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및 무선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운전자 단말(200)은 입력부(210), 출력부(220) 및 무선통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PC 등의 전자기기로 구비될 수 있다. 탑승자 단말(100)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도록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 등의 전자기기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운전자 단말(200)의 경우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하여 큰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태블릿PC 등의 전자기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단말들은 입력부와 출력부 및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전자기기이면 족하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는 탑승자 계정정보, 목적지, 경유지, 선택경로, 평가정보 및 결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값을 입력 받는 구성이다. 입력부(110)는 카메라, 마이크 또는 자판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10)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터치 방식으로 언어 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자판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탑승자 단말(100)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입력언어로 하는 경우 입력부(11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입력언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미리 설정된 입력언어가 영어인 경우, 입력부(110)에는 알파벳이 표기된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자판기가 구비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입력값 중 탑승자 계정정보는 실명 인증된 탑승자의 연락처, 탑승자의 입국일자 정보, 탑승자의 거주지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탑승자 계정정보는 탑승자를 특정할 수 있는 인적 사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면 족하다.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입력값 중 목적지는 탑승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택시를 이용하여 도착하고자 하는 장소이며, 경유지는 목적지를 향해 가는 동안 경로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점이다. 일 실시예로, 현재 위치가 서울인 탑승자가 목적지를 경기도 오산으로 할 때,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경유지를 경기도 광주로 설정할 수 있다.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입력값 중 선택경로는 후술할 탑승자 단말(100)의 출력부(120)가 출력하는 복수개의 경로정보 중 탑승자가 선택한 경로이며, 평가정보는 목적지에 도착하여 운행이 종료된 후 탑승자가 운전자의 운행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정보이다. 상세하게, 평가정보는 다섯 개를 만점으로 하는 별점, 0점부터 100점까지의 점수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입력값 중 결제정보는 후술할 탑승자 단말(100)의 출력부(120)가 출력하는 최종요금정보에 대한 승인 및 결제를 위한 계좌정보 등을 의미한다. 입력부(110)에 결제정보를 입력할 때 추가요금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 목적지에 도착한 이후 운전자 단말(200)에서 서버(300)로 할인요금을 전송하고, 탑승자 단말(100)에서 서버(300)로 추가요금을 전송한 경우, 서버(300)가 이를 계산하여 탑승자 단말(100)로 최종요금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탑승자 단말(100)의 무선통신부(130)는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모듈(131), 서버(300)와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132) 및 탑승자 단말(100)의 출력부(120)에 출력된 최종요금정보를 기준으로 입력부(110)에 입력된 결제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모듈(13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무선통신부(130)에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이 더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서버(300)가 실시간으로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무선통신부(13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무선통신부(130)는 비상연락모듈(E)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무선통신부(130)에 비상연락모듈(E)이 구비되고, 입력부(110)에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명령(O)이 입력되는 경우, 비상연락모듈(E)이 가장 가까운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구조 요청 메시지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비상연락명령(O)은 미리 설정된 명령어로, 특정한 숫자를 일정 횟수 입력하거나, 특정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거나, 일정 데시벨 이상의 음량을 일정 시간 이상 입력하는 방식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탑승자 단말(100)의 출력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입력값 및 제1 통신모듈(132)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경로정보 및 최종요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광 출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2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출력부(120)가 출력하는 경로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최단거리경로정보, 목적지까지의 예상 소요 비용이 가장 낮은 최저요금경로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식당, 카페, 쉼터 및 관광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소를 포함하는 추천경유지경로정보 및 상기 각 경로정보들의 요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력부(120)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출력부(120)가 출력하는 최종요금정보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선택경로를 기준으로 책정되는 기본요금, 입력부(110)에 입력된 결제정보에 따라 상기 기본요금에 부가되는 추가요금 및 운전자 단말(200)이 서버(300)에 송신한 할인요금의 총 금액을 합한 값이다. 이 때, 최종요금정보는 서버(300)의 제어부(330)에 의해 산정된다.
탑승자 단말(10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로, 탑승자 단말(100)은 알콜센서(S)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알콜센서(S)가 측정한 체내 알코올 함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함량(P0) 이상인 경우 출력부(120)가 출력하는 추천경유지 정보에 쉼터가 최우선순위로 설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쉼터는 화장실 등이 구비된 장소로, 탑승자가 멀미 등으로 인한 구토 증상을 보이거나 혹은 보이기 전에 해당 장소에 방문함으로써 탑승자의 구토로 인한 운전자의 차량 내부 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200)의 입력부(210)는 운전자 계정정보, 배차승인 정보 및 할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 받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입력부(210)는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마이크 또는 자판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210)에 입력되는 입력값 중 운전자 계정정보는 실명 인증된 운전자의 연락처, 운전자의 입국일자 정보, 운전자의 거주지역, 운전자의 차량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 계정정보는 운전자를 특정할 수 있는 인적 사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면 족하다.
운전자 단말(200)의 무선통신부(230)는 운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모듈(231) 및 서버(300)와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23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무선통신부(230)에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이 더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30)가 구비됨으로써, 서버(300)가 실시간으로 운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무선통신부(23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무선통신부(230)는 비상연락모듈(E)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무선통신부(230)에 비상연락모듈(E)이 구비되고, 운전자 단말(200)의 입력부(210)에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명령(O)이 입력되는 경우, 비상연락모듈(E)이 가장 가까운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구조 요청 메시지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비상연락명령(O)은 미리 설정된 명령어로, 특정한 숫자를 일정 횟수 입력하거나, 특정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거나, 일정 데시벨 이상의 음량을 일정 시간 이상 입력하는 방식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운전자 단말(200)의 출력부(220)는 입력부(210)에 입력된 입력값 및 통신모듈(232)이 수신한 정보에 따라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에 입력된 목적지, 선택경로 및 평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광 출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2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출력부(220)는 탑승자 단말(100)에 입력된 상기 미리 설정된 입력언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탑승자 단말(100)에 미리 설정된 입력언어가 영어인 경우, 탑승자는 탑승자 단말(100)에 영어로 입력값을 입력하게 되고, 출력부(220)는 출력 시 영어를 한글로 번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부(220)가 미리 설정된 입력언어를 한국어로 번역함으로써, 탑승자가 외국인인 경우에도 운전자와의 의사소통을 수월하게 할 수 있어, 외국인 관광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서버(300)는 상기 제1 통신모듈(231, 232)과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310), 제2 통신모듈(310)이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20) 및 메모리(320)에 저장된 정보의 연산을 수행하고 제2 통신모듈(310) 및 메모리(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과 통신하는 서버(300)는,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기준으로 운전자 단말(200)의 배차 우선순위를 산정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서버(300)는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평가정보, 제2 통신모듈(310)이 수집한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평균 운행속도를 계산함으로써 산정되는 운전자 단말(200)의 안전도점수 및 제2 통신모듈(310)이 수집한 정보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운전자 단말(200)의 수입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운전자 단말(200)의 배차순위를 산정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운전자 단말(200) 중 평가정보의 점수가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1순위로 하고,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운전자 단말(200) 중 안전도점수가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2순위로 하고,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운전자 단말(200) 중 수입정보의 액수가 가장 낮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3순위로 하여 우선순위를 산정하게 된다.
상세하게, 서버(300)의 제어부(330)가 탑승자 단말(100)이 제2 통신모듈(310)에 전송한 추가요금 및 운전자 단말(200)이 제2 통신모듈(310)에 전송한 할인요금의 총 금액의 합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의 결과를 제2 통신모듈(310)을 통해 상기 탑승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구비되므로, 운전자 단말(200)의 수입정보를 수집하여 배차 우선순위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배차 우선순위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330)는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운전자 단말(200) 중 추가요금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1순위로 하고,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운전자 단말(200) 중 할인요금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2순위로 하여 우선순위를 산정할 수 있다.
배차 우선순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330)는 우선순위를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각 요소인 평가정보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산정한 평가등급, 안전도점수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산정한 안전도등급, 수입정보의 액수로 산정한 수입정보등급, 추가요금의 평균값으로 산정한 추가요금등급 및 할인요금의 평균값으로 산정한 할인요금등급 각각에 가중치(W)를 설정하여, 합이 큰 순서대로 운전자 단말(200)의 배차순위를 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평가정보의 가중치(W)를 0.3, 안전도점수의 가중치(W)를 0.3, 수입정보의 가중치(W)를 0.2, 할인요금의 평균값의 가중치(W)를 0.2로 할 때, 배차순위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는 순위점수는 다음의 계산식으로 산정된다.
Figure 112020126590649-pat00001
이 때, 평가등급, 안전도등급 및 할인요금등급은 평가점수 및 안전도점수를 높게 받고 할인요금의 평균값이 클수록 숫자가 큰 등급이 부여되며, 수입정보등급은 수입정보의 액수가 클수록 숫자가 낮은 등급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입정보등급과 할인요금등급이 서로 다른 기준으로 등급이 부여됨으로써, 운전자들이 배차 우선순위 확보를 위해 과도하게 할인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입정보등급을 순위점수에 반영함으로써 하나의 택시에 배차가 집중되는 불평등형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순위점수의 산정은 상기 계산식 또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C)의 내부에 격벽(B)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C)의 내부에 격벽(B)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C)은 운전자 좌석과 탑승자 좌석을 격리하는 격벽(B)을 구비하고, 운전자 단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U)가 격벽(B)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 단말(200)의 입력부에 배차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자외선 램프(U)에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C)의 내부로 자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오존(O3)을 발생시켜 상기 차량(C)의 내부를 소독하게 된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차량(C)의 내부에 공기순환장치가 구비되어, 자외선 램프(U)로부터 자외선이 방출되어 생성된 오존(O3)를 차량(C)의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U)의 작동 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운전자 단말(200)과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가 100m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동을 중지하고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순환장치가 작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격벽(B)에 자외선 램프(U)가 세 개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램프(U)의 설치 개수, 출력 강도 및 작동 시간은 차량(C) 내부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정도로 실시되면 족하다. 이와 같이 차량(C)의 내부에 자외선 램프(U)가 구비됨으로써, 차량(C)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균들을 오존(O3)으로 소독하여 살균할 수 있어 공기 중의 비말 접촉을 통한 전염병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은 가입단계(S100), 경로안내단계(S200), 경로선택단계(S300), 배차요청단계(S400), 배차분배단계(S500), 배차승인단계(S600), 운행시작단계(S700), 결제요청단계(S800), 결제승인단계(S900) 및 운행종료단계(S1000)의 열 단계로 구성된다.
가입단계(S100)는 탑승자 단말(100) 또는 운전자 단말(200)의 최초 실행 시 입력부(110, 210)에 탑승자 계정정보 또는 운전자 계정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경로안내단계(S200)는 탑승자 단말(100)의 무선통신부(130)가 위치정보모듈(131)이 수집한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에 입력된 목적지를 서버(300)에 전송하고, 서버(300)가 탑승자 단말(100)에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경로선택단계(S300)는 탑승자 단말(100)의 출력부(120)에 출력된 경로정보를 기준으로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에 선택경로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출력부(120)에 출력된 복수개의 경로정보 중 탑승자가 원하는 선택경로를 입력부(110)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배차요청단계(S400)는 탑승자 단말(100)의 무선통신부(130)가 선택경로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배차분배단계(S500)는 서버(300)가 평가정보, 안전도점수, 수입정보를 기준으로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운전자 단말(200)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여, 1순위로 산정된 운전자 단말(200)에 목적지, 선택경로 및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배차승인단계(S600)는 운전자 단말(200)의 무선통신부(230)가 입력부(210)에 입력된 배차승인 정보 및 위치정보모듈(231)이 수집한 운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 때, 서버(300)는 운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탑승자 단말(100)로 전달하게 되며, 이를 통해 탑승자는 탑승자 단말(100)의 출력부(120)에 출력된 운전자 단말(200)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운행시작단계(S700)는 서버(300)의 제2 통신모듈(310)이 수집한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운행단말(200)의 위치정보가 서로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110, 210)가 선택경로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출력부(110, 210) 모두에서 선택경로가 출력되므로, 운행 중 탑승자와 운전자가 모두 운행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운행 중 서버(300)는 탑승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경로 상의 카페, 식당, 쉼터, 관광지 등을 추가로 추천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방문을 원하는 경우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에 추천장소 방문 요청 명령을 입력하면 서버(300)가 이를 운전자 단말(200)로 전달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탑승자 단말(100) 또는 서버(300)에 인공지능(AI)이 구비되고, 인공지능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탑승자가 선호하는 장소를 추천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결제요청단계(S800)는 운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모듈(231)이 수집한 운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 또는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모듈(131)이 수집한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목적지와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통신모듈(132, 232)이 서버(300)로 입력부(110, 210)에 입력된 추가요금 또는 할인요금을 전송하고, 서버(300)의 제어부(330)가 최종요금정보를 연산하여 탑승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결제승인단계(S900)는 결제 모듈(133)이 입력부(110)에 입력된 결제정보 및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부(120)에 출력된 최종요금정보를 기준으로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이다. 이 때,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에 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결제요청단계(S800) 및 결제승인단계(S90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운행종료단계(S1000)는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110)에 입력된 평가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고, 목적지를 초기화하는 단계이다.
이하, 가입단계(S100), 결제요청단계(S800) 및 결제승인단계(S90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에 탑승자 계정정보 및 운전자 계정정보 입력란이 출력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은 최초 가입 또는 목적지 설정 전 입력부(110, 210) 각각에 탑승자 계정정보 및 운전자 계정정보를 입력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도 5의 <A>는 탑승자 단말(100)이 휴대용 전자기기로 구비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며, <B>는 운전자 단말(200)이 휴대용 전자기기로 구비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고, <C>는 탑승자 단말(100) 또는 운전자 단말(200)이 태블릿 PC등으로 구비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110, 210)가 각각 입력받는 탑승자 계정정보 및 운전자 계정정보는 실명 인증된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연락처 정보, 탑승자 및 운전자의 입국일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실명 인증된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연락처 정보는 최초 가입 시 요구되는 정보이며, 입국일자 정보는 목적지 설정 전 항상 요구되는 정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염병 등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 계정정보 또는 운전자 계정정보가 정부 지침에 따른 격리 대상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서버(300)가 탑승자 단말(100) 또는 운전자 단말(200)로부터의 정보 수신을 차단하여 격리 대상자가 무단으로 격리 장소를 벗어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해외입국자의 이동 경로를 용이하게 추적하기 위해,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입국일자가 2주 이내의 날짜인 경우 탑승자 단말(100) 또는 운전자 단말(200)의 이동경로를 서버(300)의 메모리(320)에 저장하여 외부서버(40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택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염병 등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는 온도센서(T)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온도센서(T)가 측정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0) 이상인 경우 탑승자 단말(100) 또는 운전자 단말(200)의 이동경로를 메모리(320)에 저장하여 외부서버(40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서버(400)는 정부기관의 서버로, 민간 서버에는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하여 서비스 이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입국일자가 2주 이내 또는 온도센서(T)가 측정한 온도가 기준온도(T0) 이상이라고 하여 무조건적으로 이동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며, 해당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전염병 등에 확진 되어, 추가적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경로의 추적이 불가피한 경우에만 메모리(320)에 저장된 이동경로를 외부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해당 이동경로는 저장일로부터 한 달 이후에는 서버(300)에서 영구적으로 삭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에 결제 승인정보 및 결제 요청정보가 출력되는 도면이다. 상세하게, 도 6의 <A>는 탑승자 단말(100)에 추가요금 입력을 위한 결제 승인정보가 출력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고, <B>는 운전자 단말(200)에 결제 요청정보가 출력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고, <C>는 탑승자 단말(100)에 최종요금정보의 승인을 위한 결제 승인정보가 출력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위치정보모듈(131)이 수집한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목적지와 동일하거나 근접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탑승자 단말(100)에 출금계좌정보, 기본요금, 추가요금을 확인 및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기본요금은 입력부(110)에 입력된 선택경로를 기준으로 책정되는 것으로, 탑승자는 이를 기준으로 추가요금을 부가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위치정보모듈(231)이 수집한 운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가 목적지와 동일하거나 근접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 단말(200)에 입금계좌정보, 기본요금, 할인요금을 확인 및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운전자는 기본요금을 기준으로 할인금액을 적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목적지 또는 그와 근접한 위치에 도착한 이후 운전자 단말(200)에서 서버(300)로 할인요금을 전송하고, 탑승자 단말(100)에서 서버(300)로 추가요금을 전송한 경우, 서버(300)가 이를 계산하여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단말(100)로 최종요금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서버(300)에 의해 산정된 최종요금정보 및 평가정보가 탑승자 단말(100)에 출력된다. 평가정보는 탑승자가 운전자의 운행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정보로, 도 6에서는 다섯 개를 만점으로 하는 별점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0점부터 100점까지의 점수 등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운전자 단말(200)의 배차 우선순위에 반영하기 위해 복수개의 운전자 단말(200)에 대한 만족도를 수치화하여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이와 같이 출력된 화면에 평가점수 및 결제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결제 모듈(133)이 결제를 승인하게 된다.
결제의 승인이 완료되면, 제1 통신모듈(132)이 서버(300)로 입력부(110)에 입력된 평가정보를 전송하고,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 각각의 목적지가 초기화됨으로써 운행이 종료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탑승자 단말
110 : 입력부 120 : 출력부
130 : 무선통신부 131 : 위치정보모듈
132 : 제1 통신모듈 133 : 결제모듈
200 : 운전자 단말
210 : 입력부 220 : 출력부
230 : 무선통신부 231 : 위치정보모듈
232 : 제1 통신모듈
300 : 서버
310 : 제2 통신모듈 320 : 메모리
330 : 제어부
400 : 외부서버
C : 차량 B : 격벽
U : 자외선 램프
T : 온도센서 S : 알코올센서
E : 비상연락모듈 O : 비상연락명령

Claims (8)

  1. 탑승자 단말(100), 운전자 단말(200), 상기 운전자 단말(200)이 설치되는 차량(C) 및 서버(300)로 구성되는 택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은,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이 구비된 무선통신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제1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310);
    상기 제2 통신모듈(310)이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20); 및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된 정보의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310) 및 메모리(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탑승자 단말(100)의 입력부에 입력되는 평가정보;
    상기 제2 통신모듈(310)이 수집한 정보를 기준으로 평균 운행속도를 계산함으로써 산정되는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안전도점수; 및
    상기 제2 통신모듈(310)이 수집한 정보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수입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배차순위를 산정하되,
    상기 탑승자 단말(100)이 상기 제2 통신모듈(310)에 전송한 추가요금; 및
    상기 운전자 단말(200)이 상기 제2 통신모듈(310)에 전송한 할인요금의 총 금액의 합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의 결과를 상기 제2 통신모듈(310)을 통해 상기 탑승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상기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기 운전자 단말(200) 중 상기 추가요금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1순위로 하고;
    상기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기 운전자 단말(200) 중 상기 할인요금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2순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기 운전자 단말(200) 중 상기 평가정보의 점수가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1순위로 하고;
    상기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기 운전자 단말(200) 중 상기 안전도점수가 가장 높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2순위로 하고;
    상기 탑승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기 운전자 단말(200) 중 상기 수입정보의 액수가 가장 낮은 운전자 단말(200)을 배차 3순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C)은,
    운전자 좌석과 탑승자 좌석을 격리하는 격벽(B)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U)가 상기 격벽(B)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입력부가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입력값은 배차 승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입력부에 상기 배차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자외선 램프(U)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차량(C)의 내부로 자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오존(O3)을 발생시켜 상기 차량(C)의 내부를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입력값은 실명 인증된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연락처 정보가 정부 지침에 따른 격리 대상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300)가 상기 탑승자 단말(100) 또는 상기 운전자 단말(200)로부터의 정보 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가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입력값은 탑승자 및 운전자의 입국일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입국일자가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의 날짜인 경우 상기 탑승자 단말(100) 또는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이동경로를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하여 외부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단말(100) 및 운전자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는 온도센서(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T)가 측정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0) 이상인 경우 상기 탑승자 단말(100) 또는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이동경로를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하여 외부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30)는 비상연락모듈(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20)에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명령(O)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상연락모듈(E)이 가장 가까운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구조 요청 메시지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택시 시스템.
KR1020200159231A 2020-11-24 2020-11-24 비대면 택시 시스템 KR10227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31A KR102272500B1 (ko) 2020-11-24 2020-11-24 비대면 택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31A KR102272500B1 (ko) 2020-11-24 2020-11-24 비대면 택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500B1 true KR102272500B1 (ko) 2021-07-02

Family

ID=7689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231A KR102272500B1 (ko) 2020-11-24 2020-11-24 비대면 택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50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18Y1 (ko) * 2003-12-12 2004-04-17 홍성자 택시운전석 자동 안전보호막
JP2006011726A (ja) * 2004-06-24 2006-01-12 Fujitsu Ten Ltd 配車システム
KR20120090445A (ko) * 2011-02-08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전한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69827A (ko) * 2014-12-09 2016-06-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자외선 살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728B1 (ko) * 2015-07-30 2017-01-06 전수황 나만의 콜택시 시스템
KR20170027336A (ko) * 2017-02-28 2017-03-09 양성홍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03662B1 (ko) * 2016-12-23 2017-11-30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위험운전 행동기준 지정계수 산출방법 및 통합단말표준 플랫폼 시스템
KR101818212B1 (ko) 2016-02-01 2018-01-15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이의 택시 호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20190012350A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키즈먼트 차량 운행예약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4905B1 (ko) * 2017-12-13 2020-02-07 (주)자스텍엠 운전 위험도 분석 차량 정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18Y1 (ko) * 2003-12-12 2004-04-17 홍성자 택시운전석 자동 안전보호막
JP2006011726A (ja) * 2004-06-24 2006-01-12 Fujitsu Ten Ltd 配車システム
KR20120090445A (ko) * 2011-02-08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전한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69827A (ko) * 2014-12-09 2016-06-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자외선 살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728B1 (ko) * 2015-07-30 2017-01-06 전수황 나만의 콜택시 시스템
KR101818212B1 (ko) 2016-02-01 2018-01-15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이의 택시 호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101803662B1 (ko) * 2016-12-23 2017-11-30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위험운전 행동기준 지정계수 산출방법 및 통합단말표준 플랫폼 시스템
KR20170027336A (ko) * 2017-02-28 2017-03-09 양성홍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12350A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키즈먼트 차량 운행예약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4905B1 (ko) * 2017-12-13 2020-02-07 (주)자스텍엠 운전 위험도 분석 차량 정보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5531B2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ES2326673T3 (es) Disposicion de ascensores.
US20190003848A1 (en) Facility-information guidance device, server device, and facility-information guidance method
JP2022087336A (ja) 制御方法及び遠隔監視方法
CN111033595A (zh) 共用车辆管理方法以及共用车辆管理装置
JP2016170794A (ja) 感染拡大防止支援システム、感染拡大防止支援サーバ、検査端末、移動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684109B2 (ja) 配送状況通知サーバ、配送状況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40587A (ja) 車両制御権設定方法、車両制御権設定装置、車両制御権設定プログラム及び車両制御方法
EP2980532A1 (en) Vehicula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EP3660458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onboard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01124616A (zh) 运行状况通知系统
JP7192380B2 (ja) 運転支援装置、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222305A (ja) 緊急時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272500B1 (ko) 비대면 택시 시스템
JP2006018550A (ja) 検札機能を備えた座席案内システム並びに検札及び座席案内方法
ITMI20111117A1 (it) Metodo e sistema per la condivisione in sicurezza di itinerari di viaggio in fase di percorrenza da soggetti offerenti a soggetti richiedenti il trasporto
KR20120095223A (ko)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2848B1 (ko) 모바일 카풀 제공 방법
KR20130035824A (ko) Cpa 방식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홍보/마케팅 시스템
JP5740693B2 (ja) タクシー運行支援装置およびタクシー運行支援システム
KR1011481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JP2019095945A (ja) 駐停車エリア活用システム及び駐停車エリア活用方法
JP4035814B2 (ja) 移動体集合位置提示システム
JP2009092634A (ja) 限定的空間内の案内システム及び携帯機器
KR101815885B1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