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383B1 - 화장료 포장체 및 화장료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 포장체 및 화장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383B1
KR102267383B1 KR1020207004516A KR20207004516A KR102267383B1 KR 102267383 B1 KR102267383 B1 KR 102267383B1 KR 1020207004516 A KR1020207004516 A KR 1020207004516A KR 20207004516 A KR20207004516 A KR 20207004516A KR 102267383 B1 KR102267383 B1 KR 10226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ontainer body
container
cosmetic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558A (ko
Inventor
사다하루 마스모리
와타루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ublication of KR2020002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Abstract

경질 수지제의 용기 본체(1)와 경질 수지제의 덮개(2)와 경질 수지제의 빠짐방지 링(3)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1)는 외통부(12)를 구비하고, 덮개(2)의 하면에는 환형상 돌기(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 링(3)은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실편(32)을 구비하고 있고,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22)는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50)에 감입하여,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과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의 선단부에 당접한다.

Description

화장료 포장체 및 화장료 용기
본 발명은 액상 파운데이션 등의 액상 화장료를 수용하는 화장료 포장체와, 액상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화장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4와 같이 화장료를 수용한 용기는 덮개와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패킹을 구비하고 있다. 패킹은 고무나 일래스토머 등의 연질 탄성재로 구성되어 있다. 패킹의 큰 탄성력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와 덮개 사이의 기밀성이 확보되어 있다.
화장료에는 용매나 자외선 흡수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화장료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 등이 패킹에 부착하면, 패킹이 팽윤하는 일이 있다. 그 결과, 덮개가 닫히기 어렵게 되어 기밀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제 등이 패킹에 부착함으로써 패킹이 열화되어 기밀성이 저하되는 일도 있다.
한편, 액상의 파운데이션이 스펀지 등의 유지체에 함침되어, 그 유지체가 화장료 용기에 수용된 것도 존재하고 있다. 그 화장료 용기의 한 예를 도 16∼도 19에 도시하고 있다. 화장료 용기는 외용기(100)와 내용기(200)를 구비한 이중 구조이다. 내용기(200)는 외용기(100)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다. 도 16은 내용기(200)가 외용기(10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내용기(200)가 외용기(100)로부터 떼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외용기(100)는 외용기 본체(101)와 겉덮개(102)를 구비하고 있다. 내용기(200)는 내용기 본체(201)와 속덮개(202)와 빠짐방지 링(203)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체(300)는 내용기 본체(201)에 수용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는 유지체(30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와 같이 내용기 본체(201)의 측면부(201a)의 상부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원통형상의 외통부(201b)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201a)의 상부와 외통부(201b)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개구한 환형상 홈(201c)이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 링(203)은 내용기 본체(201)에 수용된 유지체(300)가 내용기 본체(201)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빠짐방지 링(203)은 내용기 본체(201)의 개구 연부(緣部)에 장착되어 있다. 빠짐방지 링(203)은 내용기 본체(201)의 측면부(201b)의 상부의 외주면에 감합하는 원통형상의 감합부(203a)와, 그 감합부(203a)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차양부(203b)를 구비하고 있다. 빠짐방지 링(203)의 환형상 차양부(203b)는 내용기 본체(201)의 개구부의 주연부를 덮는다. 빠짐방지 링(203)의 환형상 차양부(203b)에 의해, 유지체(300)의 내용기 본체(201)로부터의 빠져나감이 방지된다.
속덮개(202)의 하면에 패킹(210)이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패킹(210)은 속덮개(202)와 일체로 되어 있다. 패킹(21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돌기(21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와 같이 속덮개(202)를 닫으면, 패킹(210)의 환형상 돌기(210a)는 내용기 본체(201)의 환형상 홈(201c)에 들어간다. 환형상 돌기(210a)의 외주면은 내용기 본체(201)의 외통부(201b)의 내주면에 밀착한다. 이 환형상 돌기(210a)와 외통부(201b)의 밀착에 의해, 내용기(200)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패킹(210)은 속덮개(202)에 마련되는 외에 내용기 본체(201)의 환형상 홈(201c)에 마련되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 용기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에 포함되는 용매 등에 의해 패킹(210)이 팽윤하거나 열화되거나 한다. 그 결과, 내용기(200)의 기밀성이 저하된다. 파운데이션이 액상이기 때문에 내용기(200)의 기밀성이 저하되면 파운데이션이 건조하거나, 감량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9-3783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11-5645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5-206199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2005-239241호 공보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개구 연부에 빠짐방지 링을 구비한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기밀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 포장체는 원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경질 수지제의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에 힌지 연결된 경질 수지제의 덮개와, 용기 본체에 수용되고,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유지체와, 그 유지체의 용기 본체로부터의 빠져나감을 방지하게 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연부에 장착된 경질 수지제의 빠짐방지 링을 구비한 화장료 포장체로서, 용기 본체는 저면부와, 그 저면부의 주연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측면부와, 그 측면부의 외측에 환형상 홈을 통하여 위치하는 외통부를 구비하고, 덮개의 하면에는 환형상 돌기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 링은 용기 본체의 측면부의 상부 외주면에 감합하는 원통형상의 감합부와, 그 감합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주연부를 덮는 환형상 차양부와, 감합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실편(seal piece)을 구비하고 있고,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는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의 외통부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감입하여, 용기 본체의 외통부의 내주면과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는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의 외통부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감입한다. 그리고, 환형상 돌기는 용기 본체의 외통부의 내주면에 당접함과 함께,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에도 당접한다. 환언하면, 환형상 돌기는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의 외통부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억지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환형상 돌기와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의 외통부와의 사이에서 용기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용기 본체와 덮개와 빠짐방지 링은 어느 것이나 고무나 일래스토머 등의 연질 수지제가 아니라 경질 수지제이기 때문에 용기 본체나 덮개나 빠짐방지 링에 액상 화장료가 부착하여도, 용기 본체나 덮개나 빠짐방지 링은 팽윤하거나 열화되거나 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기밀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덮개는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환형상 돌기의 전둘레 중 힌지부에 가까운 부분은 환형상 실편의 상면에 간섭하기 쉽다. 그 때문에 환형상 실편은 감합부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경사하여 늘어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형상 실편의 기단부는 감합부의 상단부보다도 소정 거리 하측에 위치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힌지부에 가까운 개소에서 덮개의 회동에 수반하여 환형상 돌기와 환형상 실편이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 링의 감합부의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하측으로 향하여 확경하면서 환형상 실편의 상면과 연속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에 가까운 개소에서 덮개의 회동에 수반하는 환형상 돌기와 감합부나 환형상 실편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형상 돌기의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중도부에는 국소적으로 박육으로 된 환형상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상 돌기의 중도부에 환형상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환형상 돌기의 선부(先部)가 환형상 잘록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가 용기 본체의 외통부의 내주면에 밀착하기 쉬워지고, 또한, 환형상 돌기가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기밀성이 보다 한층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 용기는 원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며,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유지체를 수용하기 위한 경질 수지제의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에 힌지 연결된 경질 수지제의 덮개와, 유지체의 용기 본체로부터의 빠져나감을 방지하게 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연부에 장착된 경질 수지제의 빠짐방지 링을 구비한 화장료 용기로서, 용기 본체는 저면부와, 그 저면부의 주연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측면부와, 그 측면부의 외측에 환형상 홈을 통하여 위치하는 외통부를 구비하고, 덮개의 하면에는 환형상 돌기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 링은 용기 본체의 측면부의 상부 외주면에 감합하는 원통형상의 감합부와, 그 감합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주연부를 덮는 환형상 차양부와, 감합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실편을 구비하고 있고,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는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의 외통부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감입하여, 용기 본체의 외통부의 내주면과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덮개 닫힘 상태에서 덮개의 환형상 돌기가 용기 본체의 외통부와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에 당접함으로써, 용기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환형상 돌기와 덮개와 빠짐방지 링이 경질 수지제이기 때문에 화장료가 부착하여도 기밀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의 화장료 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화장료 용기의 용기 본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동 화장료 용기의 덮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동 화장료 용기의 덮개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동 화장료 용기의 빠짐방지 링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로부터 떨어진 개소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로부터 떨어진 개소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덮개가 닫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로부터 떨어진 개소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에 가까운 개소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에 가까운 개소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덮개가 닫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에 가까운 개소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덮개가 닫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에 가까운 개소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덮개가 닫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동 화장료 용기의 힌지부에 가까운 개소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화장료 용기의 도 6에 대응한 주요부 단면도.
도 15는 동 화장료 용기의 도 8에 대응한 주요부 단면도.
도 16은 화장료 용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동 화장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동 화장료 용기의 내용기를 분해한 단면도.
도 19는 동 화장료 용기의 내용기의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료 포장체와 그것에 사용되는 화장료 용기에 관해 도 1∼도 13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화장료 포장체는 화장료 용기와, 그 화장료 용기에 수용된 유지체(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화장료 용기는 외용기와 내용기를 구비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서의 내용기이다. 화장료 용기로서의 내용기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외용기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다. 내용기는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유지체(4)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1)와, 그 용기 본체(1)에 힌지 연결된 덮개(2)와, 용기 본체(1)의 개구 연부에 장착된 빠짐방지 링(3)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체(4)>
유지체(4)는 액상 화장료를 흡착 유지한다. 액상 화장료는 예를 들면 액상의 파운데이션이나 치크이다. 유지체(4)는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유연한 연질의 것이다. 유지체(4)는 다공질의 구조이다. 유지체(4)는 예를 들면 스펀지이고, 합성 수지로부터 발포 성형된 것으로 하여 좋다. 발포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이 바람직하다. 액상 화장료는 유지체(4)에 함침된다. 유지체(4)는 평면시 원형상이다. 유지체(4)는 중심선의 방향의 치수가 직경보다도 작은 원주형상이다.
<용기 본체(1)>
용기 본체(1)는 상면에 원형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용기 본체(1)는 저면부(10)와 측면부(11)와 외통부(12)와 플랜지부(13)와 힌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부(10)는 원형상이고, 평탄한 판형상이다. 측면부(11)는 저면부(10)의 주연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 있다. 측면부(11)는 원통형상이다. 저면부(10)와 측면부(11)에 의해, 유지체(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다. 측면부(11)의 높이는 유지체(4)의 높이보다도 높다. 측면부(11)의 상단부의 내측에 원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측면부(11)의 상단부가 개구 연부이다.
외통부(12)는 측면부(11)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통부(12)는 원통형상이다. 외통부(12)는 측면부(11)와 동축형상이다. 외통부(12)와 측면부(11)의 사이에는 환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의 공간은 상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측면부(11)와 외통부(12)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개구한 환형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홈은 수용부의 개구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통부(12)의 하단부는 측면부(11)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에 환형상의 연결부(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5)는 저면부(10)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15)는 측면부(11)의 외주면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략 수평으로 늘어나 있다. 연결부(15)는 환형상 홈의 바닥이다. 외통부(12)는 측면부(11)보다도 상측에 돌출하고 있다. 외통부(12)의 상단부는 측면부(11)의 상단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15)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측면부(11)의 상부의 외주면에는 환형상의 계합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은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테이퍼 각도로 확경하고 있다.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의 테이퍼 각도는 예를 들면 2도∼6도이다. 즉,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의 구배는 예를 들면 1도∼3도이다.
플랜지부(13)는 외통부(12)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설되어 있다. 플랜지부(13)는 외통부(12)의 상단부의 전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외통부(12)의 상단부의 전둘레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힌지부(14)는 플랜지부(13)에 마련되어 있다. 힌지부(14)는 외통부(12)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힌지부(14)의 중심선은 수평 방향에 따르고 있다. 힌지부(14)의 중심선은 측면부(11)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외통부(12)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덮개(2)>
덮개(2)는 수용부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수용부를 기밀상태로 하기 위한 것이다. 덮개(2)는 용기 본체(1)에 개폐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덮개(2)는 용기 본체(1)의 힌지부(14)에 연결되어 있다. 덮개(2)는 힌지부(14)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한다. 도 1(a)는 개2가 닫혀진 덮개 닫힘 상태이고, 도 1(b)는 덮개(2)가 열려진 덮개 열림 상태이다. 덮개(2)는 전체로서 원형상이다. 덮개(2)의 외주부에 용기 본체(1)의 힌지부(14)에 연결되는 힌지부(20)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2)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부를 상측부터 덮음과 함께,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상단부를 상측부터 덮는다. 덮개(2)는 수용부의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환형상 홈을 덮고 있다. 덮개(2)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퍼프를 수용하기 위한 퍼프 수용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퍼프 수용 오목부(21)는 상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퍼프는 원반형상이고 퍼프 수용 오목부(21)는 퍼프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시 원형상이다.
덮개(2)의 하면의 외주부는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상단면에 전둘레에 걸쳐서 당접한다. 덮개(2)의 하면의 주요부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또한, 덮개(2)의 하면의 주요부는 빠짐방지 링(3)에 대해서도 상측DFH 이간하고 있다. 덮개(2)의 하면에는 환형상 돌기(22)가 하측으로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환형상 돌기(22)는 덮개(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돌기(22)의 재질은 덮개(2)의 재질과 같다. 환형상 돌기(22)에 의해 덮개(2)의 하면은 내측의 부분과 외측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덮개(2)의 하면중, 환형상 돌기(22)보다도 외측의 부분은 환형상의 외주부이고, 환형상 돌기(22)보다도 내측의 부분은 원형상의 주요부이다. 또한, 덮개(2)의 하면의 외주부의 높이는 주요부의 높이보다도 약간 높다.
환형상 돌기(22)의 확대도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환형상 돌기(22)의 두께는 환형상 돌기(22)의 지름 방향의 치수이다. 환형상 돌기(22)의 두께는 환형상 돌기(22)의 상단부 즉 기단부로부터 하단부 즉 선단부에 걸쳐서, 전체로서 서서히 얇게 되어 있다. 환형상 돌기(22)의 내주면(22a)은 요철이 없는 미끄러운 면이다. 환형상 돌기(22)의 외주면(22b)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에는 환형상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돌기(22)의 외주면(22b)에 환형상 오목부(23)가 형성됨에 의해, 환형상 돌기(22)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에는 국소적으로 박육으로 된 환형상 잘록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돌기(22)의 전체 길이 중 환형상 잘록부(24)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을 단지 선부(25)라고 칭한다.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은 일정한 테이퍼 각도로 하측으로 향하여 축경하고 있다. 덮개(2)가 수평인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의 테이퍼 각도는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의 테이퍼 각도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의 테이퍼 각도는 예를 들면 2도∼6도이다. 또한, 환형상 돌기(22)의 외주면(22b)의 환형상 오목부(23)보다도 상측의 위치에는 환형상 오목부(23)보다도 작고 얕은 환형상의 계합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돌기(22)의 내주면(22a)은 일정한 테이퍼 각도로 하측으로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또한, 환형상 돌기(22)의 내주면(22a)의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선부(25)의 내주면(25a)이, 하측으로 향하여 일정한 테이퍼 각도로 확경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의 테이퍼 각도는 후술하는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seal side;32c)의 테이퍼 각도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의 테이퍼 각도는 예를 들면 2도∼30도이다. 즉,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의 구배는 예를 들면 1도∼15도이다.
<빠짐방지 링(3)>
빠짐방지 링(3)은 용기 본체(1)의 수용부에 수용된 유지체(4)가 수용부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빠짐방지 링(3)은 전체로서 환형상이다. 빠짐방지 링(3)은 원통형상의 감합부(30)와, 그 감합부(30)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차양부(31)와, 감합부(30)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실편(32)을 구비하고 있다.
감합부(30)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외주면의 상부에 감합한다.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외주면의 상부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외주면중 연결부(15)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감합부(30)의 하단면은 용기 본체(1)의 연결부(15)의 상면에 당접하든지 또는 연결부(15)의 상면보다도 상측으로 약간 이간하고 있다. 감합부(30)의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환형상의 계합 볼록부(33)가 돌설되어 있다. 감합부(30)의 내주면의 계합 볼록부(33)는 용기 본체(1)의 계합 오목부(16)에 계합한다. 감합부(30)의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하측으로 향하여 확경되고 있는 테이퍼면(34)이 형성되어 있다. 그 테이퍼면(34)은 환형상 실편(32)의 상면과 연속하고 있다.
환형상 차양부(31)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부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용기 본체(1)의 개구부의 주연부를 상측부터 덮는다. 환형상 차양부(31)의 하면은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면에 당접한다. 환형상 차양부(31)의 하면에는 환형상의 위치 결정 돌기(35)가 돌설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35)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부의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위치 결정 돌기(35)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부의 내주면에 감합한다. 위치 결정 돌기(35)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부의 내주면에 당접하든지 또는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부의 내주면의 내측에 간극을 통하여 위치한다. 용기 본체(1)의 측면부(11)의 상단부는 빠짐방지 링(3)의 감합부(30)와 위치 결정 돌기(35) 사이에 위치한다. 환형상 차양부(31)의 내연은 위치 결정 돌기(35)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환형상 차양부(31)의 내경은 유지체(4)의 직경보다도 작다.
환형상 실편(32)은 감합부(30)의 상단부보다도 하측으로 이간한 위치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 또한 하측으로 향하여 경사하여 늘어나 있다. 환형상 실편(32)은 우산형상이다. 환형상 실편(32)의 기단부는 감합부(30)의 상단부보다도 소정 거리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형상 실편(32)의 선단부는 환형상 실편(32)의 기단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형상 실편(32)은 수평면에 대해 하측으로 45도를 넘는 각도로 경사하고 있다. 환형상 실편(32)의 상면은 환형상 실편(32)의 기단측에 위치한 급경사면(32b)와 환형상 실편(32)의 선단측에 위치한 완경사면(32c)을 구비하고 있다. 급경사면(32b)은 완경사면(32c)보다도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크다. 완경사면(32c)은 수평면이라도 좋다. 감합부(30)의 테이퍼면(34)은 급경사면(32b)과 연속하고 있다. 환형상 실편(32)의 하면(32a)의 테이퍼 각도는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지만,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 변화하고 있어도 좋다. 환형상 실편(32)의 상면의 선단측에 완경사면(32c)이 형성됨에 의해, 환형상 실편(32)의 선단부에는 국소적으로 후육(厚肉)이 된 후육부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실편(32)의 하면(32a)과 감합부(30)의 외주면 사이의 경계부는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환형상 실편(32)의 기단부에서의 꺾어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환형상 실편(32)의 선단부에는 환형상 실면(32d)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실면(32d)은 환형상 실편(32)에서 가장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환형상 실면(32d)은 환형상 실편(32)의 상면의 완경사면(32c)의 지름 방향 외측에 연속하고 있다. 환형상 실면(32d)은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테이퍼 각도로 축경하고 있는 원추대형상의 테이퍼면이다. 환형상 실면(32d)의 테이퍼 각도는 예를 들면 2도∼30도이다. 즉, 환형상 실면(32d)의 구배는 예를 들면 1도∼15도이다. 환형상 실면(32d)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환형상 실면(32d)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대해 지름 방향 내측에 이간하고 있다. 환형상 실면(32d)과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의 사이에는 환형상의 간극(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상의 간극(50)은 상측일수록 넓고, 하측일수록 좁다. 환형상 실면(32d)은 용기 본체(1)의 환형상 홈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한다.
<재질>
용기 본체(1)와 덮개(2)와 빠짐방지 링(3)은 어느 것이나 경질의 합성 수지제이다. 용기 본체(1)와 덮개(2)와 빠짐방지 링(3)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와 덮개(2)와 빠짐방지 링(3)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품이다. 경질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덮개(2)의 개폐 동작>
도 6∼도 8에 힌지부(14, 20)와는 180도 반대측의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부분은 힌지부(14, 20)로부터 가장 먼 개소이다.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상태로 덮개(2)는 닫혀 간다. 도 8은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덮개(2)가 닫히는 도중에 도 7과 같이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단부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상단부의 내측의 모따기부(12b)에 당접한다.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상단부의 내측에 모따기부(12b)가 형성되어 있으면,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상단부와의 간섭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에 당접한 후, 환형상 잘록부(24)를 지점으로 하여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가 지름 방향 내측으로 휜다. 그리고,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는 덮개(2)가 닫혀 가는 동작에 수반하여,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을 활주하면서 하강하여 간다.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은 상측을 향하여 소정의 테이퍼 각도로 확경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과의 간섭의 정도는 작다. 그 때문에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는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을 하측으로 향하여 스무스하게 활주하여 간다.
도 8과 같은 덮개 닫힘 상태가 되면,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과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50)에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가 쐐기와 같이 감입하다. 또한, 덮개(2)가 닫혀 갈 때,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는 힌지부(14, 20)에 가장 가까운 부분부터 환형상 홈에 서서히 진입하여 가고,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전둘레 중 힌지부(14, 20)로부터 가장 먼 부분은 마지막으로 환형상 홈에 진입한다. 도 8은 힌지부(14, 20)로부터 가장 먼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덮개 닫힘 상태에서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당접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면접촉한다. 또한,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은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에 당접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은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에 면접촉한다.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과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과의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50)에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가 억지로 진입함으로써, 환형상 실편(32)은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에 의해 지름 방향 내측으로 눌려짐과 함께 하측으로도 눌려지게 된다. 이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에 의한 가압에 의해, 환형상 실편(32)은 환형상 실편(32)의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 내측 또한 하측으로 약간 휘게 된다. 환형상 실편(32)은 고무나 일래스토머가 아니라 경질 수지제이기 때문에 환형상 실편(32)은 크게 변형하는 일은 없고, 환형상 실편(32)의 휘는 양은 근소하다.
한편,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는 환형상 실편(32)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되밀리게 된다.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는 환형상 실편(32)부터 반발력을 받는다. 그 반발력에 의해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눌려진다.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는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꽉눌린다. 환형상 실편(32)은 경질 수지제이기 때문에 큰 반발력이 생긴다.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는 환형상 실편(32)과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끼여진다.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은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에 밀착하고,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은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밀착한다. 따라서,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과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의 사이, 및,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과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의 사이에서, 내용기가 밀봉되어, 수용부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도 9∼도 13에 힌지부(14, 20)측 개소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개소는 힌지부(14, 20)에 가장 가까운 개소이다.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13에 도시하고 있는 상태로 덮개(2)는 닫혀 간다. 도 13은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환형상 돌기(22)는 힌지부(14, 20)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힌지부(14, 20)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덮개(2)가 닫힐 때에 환형상 돌기(22)는 상측이면서 지름 방향 내측부터 하측이면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빠짐방지 링(3)의 감합부(30)의 외주면의 상단부에 테이퍼면(3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합부(30)의 상단부와 환형상 돌기(22)의 선단부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또한,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의 기단부가 감합부(30)의 상단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환형상 실편(32)이 감합부(30)로부터 경사 하측으로 향하여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환형상 돌기(22)의 선단부와 환형상 실편(32)의 기단부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덮개(2)가 닫히는 도중에 도 12와 같이 환형상 돌기(22)의 선단부는 환형상 실편(32)의 상면의 완경사면(32c)에 접촉한다. 그리고, 환형상 돌기(22)의 선단부는 환형상 실편(32)의 완경사면(32c)을 하측에 가압하면서 환형상 실편(32)의 완경사면(32c)을 타고 넘어, 도 13과 같이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과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50)에 들어간다.
이상과 같이, 덮개 닫힘 상태가 되면,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가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과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50)에 강제적으로 들어가고, 내용기의 수용부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용기 본체(1)와 덮개(2)와 빠짐방지 링(3)은 어느 것이나 고무나 일래스토머 등의 연질 수지가 아니라 경질 수지제이기 때문에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나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나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에 액상 화장료가 부착하여도,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나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나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이 팽윤하거나 열화되거나 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내용기의 수용부의 기밀성이 장시간 확보되고, 유지체(4)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의 건조와 감량이 억제된다.
또한, 빠짐방지 링(3)의 환형상 실편(32)의 선단부에 상측을 향하여 축경하고 있는 환형상 실면(32d)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환형상 실면(32d)에 덮개(2)의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이 면접촉하기 때문에 환형상 실편(32)과 환형상 돌기(22) 사이에서 높은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이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면접촉하기 때문에 환형상 돌기(22)와 외통부(12)와의 사이에서 높은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환형상 돌기(22)의 중도부에 환형상 잘록부(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가 환형상 잘록부(24)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외주면(25b)이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에 밀착하기 쉽고,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이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에 밀착하기 쉽다. 따라서, 내용기의 수용부의 기밀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22)는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와 환형상 실편(32)에 의해 끼워 넣어지고 있고, 환형상 돌기(22)에는 용기 본체(1) 및 환형상 실편(32)부터 상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환형상 실편(32)의 반발력이 큰 경우에는 환형상 돌기(22)에 작용한 상방향의 힘도 크고, 환형상 돌기(22)가 상측으로 위치 어긋나기 쉽게 된다. 즉, 덮개(2)가 열리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기 쉽다 된다. 그 때문에 도 14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내주면(12a)의 상부에 환형상 돌기(22)의 외주면(22b)의 환형상의 계합 오목부(26)에 계합하는 환형상의 계합 볼록부(17)를 형성하여도 좋다. 도 15와 같이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22)의 계합 오목부(26)에 용기 본체(1)의 외통부(12)의 계합 볼록부(17)가 계합함에 의해, 덮개(2)의 닫히는 상태가 보다 한층 확실한 것으로 되고, 환형상 돌기(22)의 상측으로의 들떠오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기밀성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이 일정한 테이퍼 각도로 상측을 향하여 축경한 테이퍼면이었지만, 환형상 실편(32)의 환형상 실면(32d)은 상하 방향에 따라 지름 방향 외측 볼록으로 만곡한 곡면이라도 좋다.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22)의 선부(25)의 내주면(25a)이 환형상 실면(32d)에 선접촉하여도 좋다.
환형상 돌기(22)의 외주면(22b)에 환형상 오목부(23)를 형성함에 의해 환형상 잘록부(24)가 형성되어 있는데, 환형상 돌기(22)의 내주면(22a)에 환형상 오목부를 형성함에 의해 환형상 잘록부(24)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환형상 돌기(22)의 외주면(22b)과 내주면(22a)에 각각 환형상 오목부를 형성함에 의해 환형상 잘록부(24)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장료 용기가 외용기와 내용기를 구비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서의 내용기이였지만, 외용기를 구비하지 않고, 단지 용기 본체(1)와 덮개(2)를 구비한 용기라도 좋다.
1 : 용기 본체 2 : 덮개
3 : 빠짐방지 링 4 : 유지체
10 : 저면부 11 : 측면부
12 : 외통부 12a : 내주면
12b : 모따기부 13 : 플랜지부
14 : 힌지부 15 : 연결부
16 : 계합 오목부 17 : 계합 볼록부
20 : 힌지부 21 : 퍼프 수용 오목부
22 : 환형상 돌기 22a : 내주면
22b : 외주면 23 : 환형상 오목부
24 : 환형상 잘록부 25 : 선부
25a : 내주면 25b : 외주면
26 : 계합 오목부 30 : 감합부
31 : 환형상 차양부 32 : 환형상 실편
32a : 하면 32b : 급경사면
32c : 완경사면 32d : 환형상 실면
33 : 계합 볼록부 34 : 테이퍼면
35 : 위치 결정 돌기 50 : 환형상의 간극

Claims (6)

  1. 원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경질 수지제의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에 힌지 연결된 경질 수지제의 덮개와,
    용기 본체에 수용되고,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유지체와, 그 유지체의 용기 본체로부터의 빠져나감을 방지하게 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연부에 장착된 경질 수지제의 빠짐방지 링을 구비한 화장료 포장체로서,
    용기 본체는 저면부와, 그 저면부의 주연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측면부와, 그 측면부의 외측에 환형상 홈을 통하여 위치하는 외통부를 구비하고,
    덮개의 하면에는 환형상 돌기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 링은 용기 본체의 측면부의 상부 외주면에 감합하는 원통형상의 감합부와, 그 감합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주연부를 덮는 환형상 차양부와, 감합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실편(seal piece)을 구비하고 있고,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는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의 외통부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감입하여 용기 본체의 외통부의 내주면과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환형상 실편은 감합부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경사져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형상 실편의 기단부는 감합부의 상단부보다도 소정 거리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포장체.
  4. 제3항에 있어서,
    빠짐방지 링의 감합부의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하측으로 향하여 확경되면서 환형상 실편의 상면과 연속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포장체.
  5. 제1항에 있어서,
    환형상 돌기의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중도부에는 국소적으로 박육으로 된 환형상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포장체.
  6. 원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며,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유지체를 수용하기 위한 경질 수지제의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에 힌지 연결된 경질 수지제의 덮개와,
    유지체의 용기 본체로부터의 빠져나감을 방지하게 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연부에 장착된 경질 수지제의 빠짐방지 링을 구비한 화장료 용기로서,
    용기 본체는 저면부와, 그 저면부의 주연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측면부와, 그 측면부의 외측에 환형상 홈을 통하여 위치하는 외통부를 구비하고,
    덮개의 하면에는 환형상 돌기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 링은 용기 본체의 측면부의 상부 외주면에 감합하는 원통형상의 감합부와, 그 감합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주연부를 덮는 환형상 차양부와, 감합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 실편을 구비하고 있고,
    덮개 닫힘 상태에서 환형상 돌기는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와 용기 본체의 외통부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감입하여, 용기 본체의 외통부의 내주면과 빠짐방지 링의 환형상 실편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KR1020207004516A 2017-11-28 2018-10-31 화장료 포장체 및 화장료 용기 KR102267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7687 2017-11-28
JPJP-P-2017-227687 2017-11-28
PCT/JP2018/040469 WO2019107051A1 (ja) 2017-11-28 2018-10-31 化粧料包装体及び化粧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558A KR20200029558A (ko) 2020-03-18
KR102267383B1 true KR102267383B1 (ko) 2021-06-21

Family

ID=6666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516A KR102267383B1 (ko) 2017-11-28 2018-10-31 화장료 포장체 및 화장료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87720B2 (ko)
KR (1) KR102267383B1 (ko)
CN (1) CN111148449B (ko)
WO (1) WO2019107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146797U (zh) * 2022-01-28 2022-08-09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化妆品内胆及复合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40A (ja) 1999-02-18 2000-09-05 Yoshida Industry Co Ltd 化粧料容器
JP2000236937A (ja) 1999-02-23 2000-09-05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化粧料容器
JP2002306234A (ja) 2001-04-18 2002-10-22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容器
KR200476640Y1 (ko) 2013-11-28 2015-03-17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화장용 콤팩트 용기
KR101569090B1 (ko) 2015-04-29 2015-11-13 (주)연우 콤팩트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4U (ko) * 1990-04-18 1992-01-06
JP3620668B2 (ja) 1995-08-01 2005-02-16 株式会社資生堂 気密化粧料容器
JPH09262131A (ja) * 1996-03-29 1997-10-07 Yoshida Kogyo Kk <Ykk> 気密化粧料容器
JP3847383B2 (ja) * 1996-10-01 2006-11-22 株式会社資生堂 気密化粧料容器
US5875918A (en) * 1997-02-20 1999-03-02 Charles Chang Hermetically-sealed container and closure construction
WO1999001051A1 (fr) * 1997-07-03 1999-01-14 Yoshida Industry Co., Ltd. Boitier etanche aux gaz contenant une substance de maquillage
JP4030156B2 (ja) * 1997-08-22 2008-01-09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化粧料容器
JP2000166637A (ja) * 1998-12-01 2000-06-20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化粧料容器
EP1153842B1 (en) * 1999-06-30 2009-04-22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tube container
JP4068397B2 (ja) * 2002-05-27 2008-03-26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容器
JP4062596B2 (ja) * 2002-06-28 2008-03-1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収納容器
KR200341801Y1 (ko) * 2003-10-28 2004-02-14 (주)연우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
JP2005206199A (ja) 2004-01-23 2005-08-04 Key Tranding Co Ltd 気密容器
JP4536398B2 (ja) 2004-02-27 2010-09-01 紀伊産業株式会社 密閉容器
JP4642382B2 (ja) * 2004-05-28 2011-03-02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化粧料容器
JP4963348B2 (ja) * 2004-07-28 2012-06-27 紀伊産業株式会社 化粧料用非係合爪型気密容器
JP4762635B2 (ja) * 2005-08-05 2011-08-31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コンパクト容器
TW200900330A (en) * 2007-06-22 2009-01-01 xin-yu Chen Sealing lid
US8439368B2 (en) * 2009-08-04 2013-05-14 Parker-Hannifin Corporation Articulating seal
US8789540B2 (en) * 2010-03-18 2014-07-29 Yong Jun Lee Sealing ring structure of a cosmetic container
KR101173162B1 (ko) * 2010-08-16 2012-08-16 변재삼 기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318467B1 (ko) * 2013-03-26 2013-10-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리필 케이스를 갖는 화장품용기
JP6124672B2 (ja) * 2013-04-30 2017-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WO2015008921A1 (ko) * 2013-07-15 2015-01-22 주식회사 정민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US9051096B2 (en) * 2013-10-11 2015-06-09 Ronald Tuan Sealing ring
KR101643456B1 (ko) * 2014-02-14 2016-07-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JP6353921B2 (ja) * 2014-03-07 2018-07-04 パムテク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内容器と内容器蓋間の密閉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US9311903B1 (en) * 2014-11-06 2016-04-12 The Kun Shoulder Rest Inc. Adjustable and foldable shoulder rest for violin or viola
KR101947716B1 (ko) * 2015-03-17 2019-02-14 (주)아모레퍼시픽 밀폐뚜껑을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CN106136556B (zh) * 2015-03-24 2019-07-23 共聚生化科技(昆山)有限公司 具有气密性的化妆盒
KR200478563Y1 (ko) * 2015-05-06 2015-10-21 마사끼산업 코리아 주식회사 다중 기밀구조를 갖는 리필 용기
KR101603066B1 (ko) * 2015-06-24 2016-03-15 펌텍코리아 (주) 내용기와 내용기뚜껑의 밀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65685B1 (ko) * 2015-07-06 2017-08-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휘발을 방지하는 콤팩트 용기
JP6754567B2 (ja) * 2015-12-17 2020-09-16 紀伊産業株式会社 物品収納ケース
KR20170127584A (ko) * 2016-05-11 2017-11-2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CN206624175U (zh) * 2017-03-23 2017-11-10 武汉苏泊尔炊具有限公司 保鲜盒的盖体组件及具有其的保鲜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40A (ja) 1999-02-18 2000-09-05 Yoshida Industry Co Ltd 化粧料容器
JP2000236937A (ja) 1999-02-23 2000-09-05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化粧料容器
JP2002306234A (ja) 2001-04-18 2002-10-22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容器
KR200476640Y1 (ko) 2013-11-28 2015-03-17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화장용 콤팩트 용기
KR101569090B1 (ko) 2015-04-29 2015-11-13 (주)연우 콤팩트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7720B2 (ja) 2021-06-16
CN111148449B (zh) 2022-08-19
CN111148449A (zh) 2020-05-12
KR20200029558A (ko) 2020-03-18
JPWO2019107051A1 (ja) 2020-10-01
WO2019107051A1 (ja)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3101B2 (en) Bar-like cosmetic delivering container
US7717281B2 (en) Closure cap with a sealing stud having increased deformability and a receptacle fitted with such a cap
KR101205820B1 (ko) 화장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보호 장치
KR102365483B1 (ko)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CN101151191A (zh) 用于容器的塑料封闭机构
EP3718914B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KR102267383B1 (ko) 화장료 포장체 및 화장료 용기
US20090120899A1 (en) Flip top container closure
US5573147A (en) Container in combination with a removable cap
JP7422356B2 (ja) キャップ
WO2013017597A1 (en) Packaging device provided with a sealing means
JP7008493B2 (ja) 容器蓋、及び容器蓋付き容器
CN110023200B (zh) 容器用的帽
JP3652458B2 (ja) 内容物吐出容器のスリットバルブ保持手段
EP4082932A1 (en) Application container
FR3079397A1 (fr) Applicateur comprenant une zone de souplesse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US20240115029A1 (en) Refill and pot for packaging a cosmetic product comprising such a refill
KR102294841B1 (ko) 화장품 용기
JP7129200B2 (ja) 容器蓋
EP3491961A1 (en) Annular member, container, package including the annular member and producing method of such annular member
JP6734635B2 (ja) 塗布具付容器
JP2022182711A (ja) 蓋付き注出キャップ
JP2021023387A (ja) 塗布容器
JP2022072509A (ja) 塗布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