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386B1 -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 Google Patents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386B1
KR102266386B1 KR1020210009527A KR20210009527A KR102266386B1 KR 102266386 B1 KR102266386 B1 KR 102266386B1 KR 1020210009527 A KR1020210009527 A KR 1020210009527A KR 20210009527 A KR20210009527 A KR 20210009527A KR 102266386 B1 KR102266386 B1 KR 102266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ze
filler
lyophilisate
dr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천
리아 프리실라
곽민석
한정우
함정율
권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to KR102021000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8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macromolecular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생체적합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필러용 동결건조체이며, 상기 동결건조체는 일방향성 열린 기공(one directional open pore)을 함유하며, 상기 생체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이 동결건조체 총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0중량%인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필러용 동결건조체는 단순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일방향성 열린 기공을 갖고 있어 용해성이 매우 개선된다. 이러한 동결건조체를 이용하면 분산성이 향상된 필러용 주사제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Freeze-dried product for filler,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injection for fill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용해성이 우수한 필러용 동결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물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성형용 필러는 제품화 이후 유효기간을 최대한 오래 유지하고자 최종 제품의 제형을 주사기에 충진된 액상이 아닌 동결건조 제형을 주로 이용한다.
PLLA(Poly-L-lactic acid)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필러는 진피에 주입되어 물리적 수복을 통한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성형용 필러로서, 동결건조 제형으로 출시되었다. 제품의 사용을 위해서는 증류수 혹은 인산 완충액을 동결 건조 제품과 혼합하고 이를 분산시키는 과정을 거쳐 주사액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 방식에 따르면, 필러 주사제를 제조하는 과정이 적어도 5 시간 이상의 분산시간이 필요해 시술자가 주사액 준비과정에서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필러 주사제를 제대로 분산시키지 않고 주사 주입할 경우, 결절(Nodule)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필러 시술의 만족도를 급격히 낮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동결건조 제형의 용해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10-1502533에 따르면, 동결건조 제형의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롤로오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용해성이 높은 수용성 고분자를 혼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고분자를 혼합하는 과정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여러 성분이 함유된 제품은 식약처 허가절차에서 보다 많은 안전사항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502533
일 측면에 따라 용해성이 개선된 필러용 동결건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은 상기 필러용 동결건조체를 함유한 필러용 주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측면에 따라
상기 동결건조체는 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기공은 일방향성 열린 기공(one directional open pore)을 함유하며,
상기 생체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이 동결건조체 총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0중량%인 필러용 동결 건조체가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라 상술한 동결건조체와, 주사용수, 멸균수 및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가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생체 적합성 캐리어 및 증류수를 용해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7℃/min 내지 -5℃/min의 냉각속도로 -75℃ 내지 -65℃로 예비동결하여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된 예비동결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예비동결 조성물을 -70℃ 내지 -20℃로 동결건조하여 상술한 동결건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러용 동결건조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생체 적합성 캐리어가 소듐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이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가 폴리디옥사논인 경우, 상기 동결건조체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0.5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러용 동결건조체는 단순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일방향성 열린 기공을 갖고 있어 용해성이 매우 개선된다. 이러한 동결건조체를 이용하면 분산성이 향상된 필러용 주사제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동결건조체에 대한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동결건조체에 대한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동결건조체 및 비교예 7의 동결건조체의 물에 대한 용해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9 내지 11에서 얻어진 PDO 동결건조체의 물에 대한 용해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에서 결정화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필러용 주사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생체적합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필러용 동결건조체이며, 상기 동결건조체는 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기공은 일방향성 열린 기공(one directional open pore)을 함유하며, 상기 생체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이 5 내지 20중량%인 일방향성 열린 기공(one directional open pore)을 함유하며, 상기 생체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이 동결건조체 총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0중량%인 필러용 동결 건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동결 건조체의 내부에까지 일방향성 마이크로채널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는 일방향성 기공을 갖고 있어 무방향성 기공을 갖는 경우 대비 건조가 용이하여 수분 함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용해수에 대한 용해도 특성이 크게 개선된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필러는 제품화 이후 유효기간이 최대한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동결건조제형(이하, 동결건조체)으로 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동결건조체는 증류수와 혼합하고 이를 분산시키는 과정을 거쳐 필러용 주사제를 제조한다.
그런데 이 방식에 따르면, 필러용 주사제를 제조하는 과정이 적어도 5 시간 이상의 분산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필러용 주사제가 제대로 분산시키지 않고 주사 주입할 경우, 필러 시술의 만족도가 크게 낮아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예비동결과정의 냉각속도 및 예비동결건조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동결건조체의 구조를 용해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최적화한 본원발명을 완성하였다.
본원발명의 동결건조체는 예비동결시 냉각속도를 -5 내지 -7℃/min, -5.5 내지 -6.5℃/min, -5.8 내지 -6.2℃/min, 예를 들어 -6℃/min로 제어하여 급냉하는 방식에 따라 실시하여 내부 및 외부에 일방향성 열린 기공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일방향성 열린 기공이 형성되면, 필러용 주사제 제조시 이용되는 증류수에 대한 용해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에서 일방향성 열린 기공의 함량은 전체 기공을 기준으로 하여 95 내지 100부피%, 96 내지 99.8 부피%, 또는 97 내지 99.5 부피%이다. 여기에서 전체 기공은 열린 기공 및 닫힌 기공을 모두 합한 것이다. 일방향성 열린 기공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동결건조체의 용해성이 크게 제어될 수 있고, 일방향성 열린 기공의 함량이 95 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용해시 이용되는 증류수가 내부에까지 침투되기가 어렵게 되어 용해성 개선이 미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방향성 열린 기공"은 "일배향성 열린 기공"이며, 도 5에 나타난 결정화방향(D)으로 일방향성 또는 일배향성 동결을 제어하여 일방향성으로 동결을 유도하여 물결정의 배열을 단차원화 함으로써 일방향성 미세기공을 가지며, 기공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가 열린 구조로 형성되어 입자 외부와 연결된 기공으로 연속 기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닫힌 기공은 기공의 벽면이 모두 닫힌 구조로 형성되어 다른 기공과 연결되지 않은 독립 기공이고, 증류수 등이 포함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일방향성 또는 일배향성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은 동결건조체 (80)(또는 예비동결건조체)의 결정화방향(D)을 나타낼 수 있다. 동결건조체가 구형인 경우 직경 방향 또는 z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동결건조체가 비구형인 경우에는 장축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 또는 장축길이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이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결건조체의 결정화방향(D)으로 순차적으로 동결을 진행하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 일방향성 동결은, 열이 3 방향으로 전달되어 3축 방향으로 동결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동결과 구별되는 용어로서 일방향성으로 동결을 유도하여 용매결정의 배열을 단차원화 함으로써 일방향성 미세기공을 갖는 동결건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방향성은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결정화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동결건조체가 구형인 경우 직경방향 또는 z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동결건조체가 비구형인 경우에는 장축길이 방향 또는 장축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동결건조체의 결정화방향은 예비동결건조체 또는 예비동결 조성물의 결정화방향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에서 생분해성 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 8 내지 20 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이다. 생분해성 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적정농도로 고르게 분산시키기가 어렵게 되고 점도가 적절하지 않아 주사제로 이용하기가 적절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생분해성 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이 20 중량% 초과이면, 동결건조체 용해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분산이 어려워 실젝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작용원리가 하기 설명으로만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생분해성 미세 입자 및 생체적합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이용하여 동결건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혼합액의 예비동결건조과정을 실시하면 예비동결건조되는 대상의 중심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바깥쪽의 온도는 낮아서 바깥에서 안쪽 방향으로 예비동결과정이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예비동결건조시 냉각속도를 상술한 범위로 급냉하면 예비동결건조되는 대상의 중심과 외부의 온도차이가 더 커져서 결정화방향을 따르는 주방향위주의 결정성장이 진행되어 바깥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일방향성 마이크로채널 및 열린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방향성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일방향성 열린 기공을 갖는 동결건조체는 기공 자체가 마이크로 크기의 채널을 형성하여 물과 닿을 경우에 모세관힘을 일으킬 수 있다. 모세관힘을 통해 동결건조체 내부에 빠르게 물이 침투하여 용해속도를 급격히 끌어올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의 기공도는 20 내지 85%, 또는 30 내지 85%이다. 동결건조체의 기공도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는 내부 기공도는 20 내지 70%이고, 외부 기공도는 60 내지 85%이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에서 내부는 전체에 대하여 60 내지 95 부피%이고, 외부는 5 내지 40 부피%이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는 동결건조체 입자의 중심으로부터 표면까지의 총 거리 중, 중심으로부터 70 내지 95길이%, 80 내지 92 길이% 또는 90 길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는 동결건조체 입자의 중심으로부터 표면까지의 총거리 중, 최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 길이%, 8 내지 20 길이%, 예를 들어, 10 길이%의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필러용 주사제 제조시 용해성 및 분산성이 크게 증가된다.
동결건조체의 기공 직경은 100 내지 10,000 ㎛, 100 내지 1,000 ㎛, 또는 100 내지 500㎛이고, 상기 기공간 격벽의 너비는 0.001 내지 50 ㎛, 0.01 내지 40㎛, 0.05 내지 35㎛, 0.1 내지 20㎛ 또는 0.1 내지 10㎛이다. 이러한 기공도, 기공 직경, 및 기공간 격벽의 너비를 갖는 동결건조체는 주사제 제조시 이용되는 용해수에 대한 용해성이 크게 개선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결건조체의 기공도, 기공 간격, 기공 직경은 전자주사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분석 가능하다. 기공도는 구체적으로 동결건조체의 전체 면적 대비 기공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여 정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폴리-D-락트산(Poly-D-Lactic acid, PDLA),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PCL),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Mn)은 50,000 Dalton 내지 500,000 Dalton이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미만이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분해 속도가 증가하여 필러용 생체 소재로서의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0 Dalton 초과이면 높은 점탄성으로 인해 가공이 어려워 균일한 크기와 품질을 가지는 입자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일구현예에 의하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이며, 폴리디옥사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 Dalton이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은 필러용 동결건조체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0 내지 95 중량% 또는 80 내지 90 중량%이다. 필러용 동결건조체에서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이를 이용한 필러용 주사제 제조시 분산성이 우수하고 필러용 주사제를 이용한 경우 시술 만족도가 높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평균입경은 20 내지 100㎛, 20 내지 80㎛ 또는 20 내지 50㎛이며, 수분 함량은 0.5 내지 1.5%. 또는 1 내지 1.5%이며, 비표면적은 0.1 내지 5m2/g이다.
한편, 필러용 동결건조체 및 필러용 주사제 제조시, 생체 적합성 캐리어로는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생체 적합성 캐리어로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를 사용하고 이를 PDO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함께 제품화하는 경우, 제품 내 수분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넘어가면 제품이 짧으면 수개월에서 길게는 1년 이내에 셀룰로오스가 수산화 작용기로 돌아가 물에 용해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물에 용해되지 않음으로 인해 PDO 미세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여 원할한 주사제 제조가 불가능하여 제품을 구입한 소비가 필러 시술을 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PDO 필러에서만 발생된다.
PDO 미세입자는 공기중의 습기에 의해서도 분해될 만큼 습기에 민감한 재료이다. PDO 미세입자는 습기에 의해 분해되어 pH 2.8 내지 9까지 PDO로 인해 주사제의 산성도가 저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LLA 미세입자 및 PCL 미세입자는 pH 4.1 내지 2에서 산성도의 저하현상이 멈추었던 것과 대조되었고 pH 저하 차이로 인해 PDO는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재치환을 일으켜 물에 용해되지 않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결건조한 PDO 미세입자와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혼합물내 수분함량의 함량비를 1중량%로 낮출 경우 2년간 제품의 제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 및 PCL은 분해가 되어 산성도가 저하되지만 일정 수준에서 더 이상 낮아지지 않아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의 재치환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PDO는 산성도 저하가 이들보다 더 많이 나타나 결국 재치환을 일으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PDO 미세입자는 물에 대한 분산성이 좋지 못해, 제품화에 반드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사용되어야 하는 만큼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산성도 저하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길게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로서 폴리디옥사논을 이용하며, 생체적합성 캐리어로서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동결건조체에서는,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이 0.5 내지 1.5 중량%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동결건조제형의 안전성이 향상되어 예를 들어 최대 2년간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을 상술한 범위로 제어하는 단계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흡습제가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에서 보관하여 동결건조체의 수분을 상기 범위로 조절하는 과정에 따라 실시한다. 여기에서 흡습제로는 실리카겔 등과 같이 흡습능력이 우수한 것을 이용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 상술한 동결건조체와, 주사용수, 멸균수 및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가 제공된다. 상기 필러용 주사제는, 동결건조체 1g을 ii)주사용수, 멸균수 및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10ml에 분산한 다음, 동결건조체의 평균용해시간이 5분 이하, 또는 2.3 내지 3분이다.
상기 주사용수, 멸균수 및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은 80 내지 95 중량%이다.
상기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이고, 상기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이 0.5 내지 1.5 중량%이다.
본 발명의 필러용 동결건조체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폴리디옥사논이고, 상기 생체적합성 캐리어는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이며, 상기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이 0.5 내지 1.5 중량%, 또는 0.8 내지 1.2 중량%이다.
본 발명의 필러용 동결건조체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생체 적합성 캐리어 및 증류수를 용해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7℃/min 내지 -5℃/min의 냉각속도로 -75℃ 내지 -65℃로 예비동결하여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된 예비동결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예비동결 조성물을 -70℃ 내지 -20℃로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성물이다.
상기 동결건조체의 55 ℃, 91일 후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에 의하여 구해지는 pH 변화가 2.5 이하, 0.5 내지 2.3, 1.0 내지 2.3이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PDO일 때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전 pH는 6.8 내지 6.9이며, 예를 들어 6.9이며,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후 pH는 4.5 내지 5.96, 예를 들어 4.6 내지 5.9이다.
본 명세서에서 55 ℃, 91일 경과 후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은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를 55 ℃에서 91일간 보관하여 pH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동결건조체를 실제 25℃에서 2년을 보관한 것과 동일한 가속노화를 통한 동결건조체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상온(25℃)에서 2년간 샘플을 보관하는 것에는 많은 시간이 소모되므로, 온도를 높이고 시간을 가속하는 가속노화 테스트를 실시하여 각 동결건조체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샘플의 재료에 따라 다소 달라지지만, 아레니우스(Arrhenius) 방정식에 따르면 모든 반응속도는 10 ℃가 오를 때마다 2배 증가하며, 이를 근거로 습기에 의한 PDO과 미세입자의 분해반응 역시 이와 동일한 가속도를 따른다.
상기 동결건조체의 55 ℃, 91일 후 가속노화 용해실험에 의하여 구해지는 동결건조체 1g에 물 10 ml를 10ml에 분산한 경우 동결건조체의 평균용해시간이 90분 이하, 예를 들어 10분 내지 90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결건조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생체 적합성 캐리어 및 증류수를 용해하여 혼합액을 얻는다.
상기 혼합액을 몰드에 주입하고 -7℃/min 내지 -5℃/min, 예를 들어 -6℃/min의 냉각속도로 -75℃ 내지 -65℃로 예비동결하여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된 예비동결건조 조성물을 얻는다. 예비동결시간은 예를 들어 1 내지 48시간, 10 내지 30시간 또는 15 내지 24시간 동안 실시한다.
이어서, 예비동결건조 조성물을 몰드로부터 분리된다. 몰드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구형일 수 있다.
예비동결시 냉각속도가 -7℃/min 미만이거나 -5℃/min 초과이면 일방향성 기공 또는 일배향성 열린 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무방향성 기공이 일부 또는 많이 형성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예비동결 조성물을 -70℃ 내지 -20℃로 동결건조하는 과정을 실시하고 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목적하는 동결건조체를 얻을 수 있다.
동결건조시간은 예를 들어 1 내지 72시간, 5 내지 48시간 또는 15 내지 24시간 동안 실시한다. 동결건조의 냉각속도는 예비동결의 냉각속도보다 느리게 제어된다. 냉각속도는 -3℃/min 내지 -2℃/min이다. 이와 같이 동결건조의 냉각속도 대비 예비동결의 냉각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급냉 조건에 따라 실시하면 일방향성 열린 기공이 형성된 필러용 동결건조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용 주사제는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동결건조체를 주사용수, 멸균수 및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수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동결건조체 제조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함량은 필러용 주사제 전체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 10 내지 50wt%, 10 내지 30wt% 또는 15 내지 30wt%이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농도가 낮아 고르게 분산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함량이 80 중량% 초과이면 낮은 수분 함량으로 동결 건조 및 생체 적합성 캐리어와의 혼합이 어려울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수분을 제거하여 구형 다공성 입자를 준비한 후에 구형 다공성 입자를 멸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멸균은 감마선 멸균, 에틸렌옥사이드 멸균, 또는 감압 멸균으로 수행되나 반드시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멸균 방법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구형 다공성 입자 형태이므로 수화가 빠르게 진행되므로 주사제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주사제는 예를 들어 25℃에서 8,000 내지 30,000cps의 점도를 가지고, 압출력이 5N 내지 12N이다.
다르게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건조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용 동결건조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필러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물과 혼화하는(miscible) 유기 용매,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제3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 조성물로부터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고분자 미세 입자로부터 평균입경 20 내지 50㎛인 고분자 미세입자를 선별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과 혼화하는(miscible) 유기 용매,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혼합함에 의하여 안면용 필러 용도에 적합한 20 um 내지 100um의 입경을 가지며 향상된 입경 균일도를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높은 수율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물과 혼화하는(miscible) 유기 용매,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1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기 용매에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폴리-D-락트산(Poly-D-Lactic acid, PDLA),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PCL),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들의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디옥사논-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락트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폴리디옥사논이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Mn)은 예를 들어 50,000 내지 500,000 Dalton, 50,000 내지 300,000 Dalton, 또는 50,000 내지 200,000 Dalton이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미만이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분해 속도가 증가하여 필러용 생체 소재로서의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0 Dalton을 초과이면 높은 점탄성으로 인해 가공이 어려워 균일한 크기와 품질을 가지는 입자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은, 제1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20wt%, 0.1 내지 10wt%, 1 내지 10wt%, 3 내지 9wt%, 또는 4wt% 내지 8wt% 이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균일한 크기의 고분자 미세입자가 얻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비함유(free)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균일한 고분자 미세입자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계면에서 계면 활성을 가지는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조성물이 이러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의하여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가 간단해지고 불순물의 함량이 낮은 고분자 미세입자가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미세입자의 생체 적합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물과 혼화하는(miscible) 유기 용매이다. 본 명세서에서 "물과 혼화하는 유기 용매"는 물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혼화하는 유기 용매이다. 물과 혼화하는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물과 구분되는 별개의 상(phase)을 형성하지 않는 유기 용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물과 혼화하는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20℃의 물 100g에 대한 용해도가 예를 들어 3g 이상, 5g 이상, 10 g 이상, 20g 이상, 또는 50g 이상인 용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물과 혼화하지 않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종래의 제조방법과 구분된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 알콜, 할로겐화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지방족 알콜, 지방족 아마이드, 지방족 케톤, 지방족 에테르, 및 지방족 알데히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HFIP(1,1,1,3,3,3-Hexafluoro-2-propanol), 아세톤(Aceton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아세트산(Acetic acid), 다이옥산(Dioxane),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프로판올(Propan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펜탄(Pent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디옥사논이 사용되는 경우에, 폴리디옥사논을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로서 불화알콜이 사용될 수 있다. 불화알콜은 예를 들어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이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 용매의 비점은 예를 들어 10 내지 100℃ 미만, 20 내지 90℃, 또는 30 내지 80℃일 수 있다. 유기용매가 이러한 범위의 비점을 가짐에 의하여 유기 용매가 용이하게 휘발될 수 있다. 유기용매의 비점이 너무 낮으면 액상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유기 용매의 비점이 너무 높으면 유기용매의 증발이 어려워지고 잔류 용매의 함량이 증가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생체 적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용매의 함량은 제1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 내지 99.9wt%, 60 내지 99.9wt%, 70 내지 99.9wt%, 80 내지 99.9wt%, 또는 90 내지 99.9wt%이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 용매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제1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균일한 고분자 미세입자가 얻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용매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제1 조성물로부터 생성되는 고분자 미세입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2 조성물은 예를 들어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물 및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용액을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반드시 100%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조성물이 용매 중에서 물의 함량은 예를 들어 50 중량% 이상, 60중량% 이상, 70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이다. 제2 조성물이 포함하는 용매는 예를 들어 물이다.
제2 조성물이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ㅕ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및 그 염 등의 수용성 고분자, 및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등의 수용성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2 조성물이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제2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10 wt%, 3 내지 9wt%, 또는 4 내지 8wt%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계면활성제의 계면 활성이 약화되어 균일한 크기의 고분자 미세입자가 제조되기 어려울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고분자 미세입자의 크기가 지나치게 감소하여 생체 내에서 대식 세포에 의하여 탐색되어 필러로서 작용하지 못하거나, 고분자 미세입자의 응집이 발생하여 고분자 미세입자의 크기가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이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로서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콜이 사용되면, 폴리비닐알콜이 용해되는 용매로서 물 또는 물과 알킬알콜 혼합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조성물이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로서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되는 경우, 수용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50,000 내지 200,000 Dalton, 70,000 내지 170,000 Dalton, 또는 100,000 내지 150,000 Dalton일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Dalton 미만이면 계면 활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수용성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이 200,000 Dalton 초과이면 높은 농도로 인해 균일한 고분자 미세입자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상술한 계면활성제 외에 다른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이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다른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제2 조성물이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다른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Tween 60),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 (Tween 8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트리올레에이트(Tween 85) 중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제2 조성물은 다른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필러 용도에 적합한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고분자 미세입자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의 pH는 예를 들어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다. 제2 조성물의 pH는 예를 들어 5.0 내지 8.0, 5.0 내지 7.5, 5.0 내지 7, 또는 5 내지 6.5 일 수 있다. 제2 조성물이 이러한 범위의 pH를 가짐에 의하여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고분자 미세입자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이 준비된다.
혼합물이 준비되는 단계에서, 유기용매와 물은, 제1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기용매 100 부피부에 대하여 제2 조성물이 포함하는 물 50 내지 200 부피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 부피비는 1:0.5 내지 1:2, 1:0.6 내지 1:1.9, 1:0.6 내지 1:1.8, 1:0.7 내지 1:1.7, 1:0.7 내지 1:1.6, 1:0.7 내지 1:1.5, 1:0.8 내지 1:1.4, 1:0.8 내지 1:1.3, 또는 1:0.8 내지 1:1.2이다.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유기용매 100 부피부와 물 50 내지 200 부피부가 혼합됨에 의하여, 유기용매 100 부피와 물 800 부피부 이상이 혼합되는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물의 사용량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유기용매 100 부피와 물 800 부피부 이상이 혼합되는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과량의 물에 제1 조성물이 첨가됨에 의하여 생분해성 고분자의 급격한 석출이 진행되므로 균일한 입경을 가지는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가 어렵다. 이에 반해, 유기용매와 물이 유사한 부피비로 혼합되는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석출인 서서히 진행되므로, 균일한 입경을 가지는 고분자 미세입자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과량의 용매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사용되는 용매의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되며, 보다 간단하게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혼합물에서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15 내지 45 중량부 또는 20 내지 35 중량부이다.
다른 일구현예에 의하면, 혼합물에서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30 내지 50 중량부이다.
다음으로, 혼합물이 교반되어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제3 조성물이 준비된다.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이 교반되는 것은 순차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기가 회전하는 용기에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이와 동시에 교반이 진행될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은 100 내지 800rpm, 100 내지 700rpm, 200 내지 700rpm, 200 내지 600rpm, 300 내지 600rpm, 또는 300 내지 500rpm에서 수행될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예를 들어, 교반 속도, rpm)이 지나치게 느리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혼합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예를 들어, 교반 속도, rpm)이 지나치게 빠르면, 고분자 미세입자의 입자 크기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은 1일(즉, 24 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이 장시간 진행됨에 의하여 유기 용매가 서서히 휘발함에 의하여 생분해성 고분자가 서서히 균일한 조건에 고분자 미세입자로 석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미세 입자의 입자 크기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이 800rpm이상의 저속이므로, 교반 시간이 1일(즉, 24시간) 미만이면 고분자 미세 입자의 석출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 시간은 예를 들어, 1일 내지 10일, 2일 내지 9일, 3일 내지 8일, 3일 내지 7일, 또는 4일 내지 6일 수 있다. 혼합물의 교반 시간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조성물로부터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한다. 제3 조성물로부터 고분자 미세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여과, 침전, 세척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조성물로부터 고분자 미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제3 조성물에서 고분자 미세 입자를 침전시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고분자 미세 입자를 복수회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이 종료된 제3 조성물은 예를 들어 1 시간 이상, 2 시간 이상, 5 시간 이상, 12 시간 이상, 또는 24 시간 이상 방치한 후 상청액(supernatant)을 제거하고 고분자 미세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분리된 고분자 미세입자에 증류수틀 투입하고 100 내지 1000rpm에서 1 내지 2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증류를 제거하는 세척 과정을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 과정에 의하여 고분자 미세입자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은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용액에서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가 보다 간단해진다.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제조된 고분자 미세입자를 안정화 또는 숙성시기 위하여 과량의 알코올 또는 과량의 계면활성제 수용액 등에서 장시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므로 시간 및 용매의 소비가 컸다. 이에 반해, 본원발명은 이러한 안정화 단계 없이 고분자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제3 조성물을 준비한 후 분리 및/또는 세척에 의하여 고분자 미세입자를 수득하므로 제조 시간 및 용매 사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미세입자의 평균 입경(D50)은 20um 내지 50um, 21um 내지 49um, 23um 내지 50um, 23um 내지 45um, 또는 25um 내지 45um일 수 있다. 고분자 미세입자가 이러한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가짐에 의하여 필러로 적용하기에 보다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미세입자의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대식 세포에 의하여 탐색되어 필러로서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평균 입경이 300 um 초과이면, 주사제용으로 사용되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미세입자의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필러 주입에 필요한 주사 바늘의 직경이 증가하므로, 흉터 및 시술 시의 통증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안면용 필러의 경우 안면에 주입되어 안면의 미세한 볼륨 조절이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나, 필러의 입경이 증가함에 의하여 이러한 미세한 불륨 조절이 어려워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안면 성형 필러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20 내지 100mm 또는 40 내지 100 um일 수 있다. 안면 이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예를 들어 100 내지 300 um일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제조시 분리된 고분자 미세 입자로부터 평균입경 20 내지 50㎛인 고분자 미세입자를 선별해내는 단계에서 예를 들어, 크기 체별(size sieving)기를 사용하여 건식 또는 습식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 습식으로 분체할 경우, 동결 건조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고분자 미세입자 제조방법은 이러한 분류 과정 없이도 25 내지 50 um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필러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주름 개선, 안면 성형, 바디 성형, 남성 보형물, 또는 요실금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용 동결건조체 제조시 이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입자는 예를 들어 구형(spheric) 다공성(porous) 입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필러가 구형이며 다공성을 가짐에 의하여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하여 물 등에 빠르게 수화될 수 있다.
구형 다공성 입자는 예를 들어 0.2 내지 0.9g/cm3, 0.2 내지 0.8g/cm3, 0.2 내지 0.7g/cm3, 0.2 내지 0.6g/cm3, 또는 0.2 내지 0.5g/c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구형 다공성 입자가 이러한 범위의 밀도를 가짐에 의하여 물 등에 쉽고 빠르게 수화될 수 있다. 구형 다공성 입자는 예를 들어 3 내지 8mm, 3 내지 7mm, 3 내지 6m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형 다공성 입자가 이러한 범위의 입경을 가짐에 의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
제조예 1: 폴리디옥사논 미세 입자의 제조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본질 점도(Inherent Viscosity, IV) 1.55 dL/dg, 수평균 분자량 100,000 Dalton) 5g을 유기 용매인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ropanol, HFIP) 100ml에 용해시켜 제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로서 PVA(Polyvinyl alcohol, 수평균분자량 130,000 Dalton) 1.5g을 증류수 150ml에 용해시켜 pH 5.5 정도의 제2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혼합물을 400 rpm으로 5일 동안 교반하면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고분자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제3 조성물을 얻었다.
교반이 종료된 후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고분자 미세 입자를 침전시킨 후, 상청액(supernatant)을 제거하고 고분자 미세입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고분자 미세입자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다시 교반하여 세척하였다. 이러한 세척 단계를 총 3회 수행하여, PDO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고분자 미세입자를 20 μm 크기의 구멍을 가진 체에 최소 6시간 이상 올려 두어 물을 1차로 제거하였다. 이후 진공 건조기(5 Pa 이하)에서 최소 2일 이상의 건조과정을 통해 완전히 건조된 20 내지 200㎛의 평균입경을 갖는 미세입자를 수득하였다.
건조된 미세입자는 다양한 크기의 체를 통해서 PDO 미세입자를 분급하여 수득하였다.
제조예 1의 PDO 미세입자의 평균입경(D50)은 20 내지 100㎛이다.
제조예 2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디옥사논 대신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본질 점도(Inherent Viscosity, IV) 0.8~1.2 dL/dg, 수평균 분자량 (100,000) Dalton)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평균입경이 20~100 ㎛ 크기 범위를 갖는 PLLA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디옥사논 대신 폴리카프로락톤 (Poly-ε-caprolactone, PCL, 본질 점도(Inherent Viscosity, IV) 0.8~1.0 dL/dg, 수평균 분자량 (100,000) Dalton)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입경이 20~100 ㎛ 크기 범위를 갖는 PCL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예비동결건조체 및 동결건조체의 제조)
실시예 1: PDO 미세입자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가 혼합된 수용액의 제조
제조예 1의 PDO 미세입자 중, 평균 크기 50 μm를 갖는 PDO 미세입자를 이용하고 이 PDO 미세입자 4 g을 CMC (기준 점도: 2% 용액기준, 1125~2100 cP) 1 g이 물 100 ml에 완전히 용해된 용액에 분산시켜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의 일정량을 높이 5 mm 크기의 반 구체모양의 몰드에 부은 다음 -75 ℃로 내부온도가 맞추어진 냉동고에 넣고, 평균 -5 ℃/min의 냉각속도로 급냉하여 예비동결한 후 동결건조기를 활용해 24 시간 동안 예비동결건조시켜 필러용 예비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예비동결건조체를 -20 ℃로 내부온도가 맞추어진 냉동고에 넣고 평균 -3℃/min의 냉각속도로 얼린 후, 동결건조기를 활용해 24 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켜 필러용 동결 건조체를 제조하였다. 동결건조체에서 CMC의 함량은 동결건조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20중량%이다.
실시예 2-3
예비동결 건조체 제조시 냉각속도가 - 6 ℃/min 및 - 7 ℃/min로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예비동결건조체 및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예비동결 건조체 제조시 냉각속도가 -4 ℃/min로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예비동결건조체 및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예비동결 건조체 제조시 냉각속도가 -8 ℃/min로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예비동결건조체 및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필러용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4
실시예 1의 동결건조체 1g을 주사용수 10ml와 혼합하여 필러용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7
실시예 1의 동결건조체 대신 실시예 2-4의 동결건조체를 각각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필러용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1: 동결건조체에 대한 전자주사현미경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동결건조체를 전자주사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분석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 1의 동결건조체는 일방향성 열린 기공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기공의 평균직경은 약 100㎛이고 기공간 격벽의 너비는 약 10㎛이다. 이러한 기공의 평균직경 및 기공간 격벽의 너비를 갖는 동결건조체는 용해가 매우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의 동결건조체는 무방향 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닫힌 기공이 주로 형성되었다.
또한 비교예 1-1에 따라 실시하여 얻은 동결건조체에 대한 전자주사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진 동결건조체에서 일방향성 열린 기공 이외에 일방향성 닫힌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용해성 개선이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평가예 2: 예비동결시 급냉속도에 따른 용해속도 비교실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동결건조체를 각각 2 ml의 물이 담긴 10 ml 부피의 바이알에 1개씩 포함된 상태로 Voltex 장비를 통해 용해시켜 그 차이를 비교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일방향성 열린 기공의 형성여부는 전자주사현미경(SEM)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열린 기공 및 닫힌 기공의 존재 여부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예비동결시 냉각속도(℃/min) 예비동결 온도 평균
용해시간
일방향성
열린 기공
형성여부
실시예 1 -5 -75 ℃ 2.3 분
실시예 2 -6 -75 ℃ 2.1 분
실시예 3 -7 -75 ℃ 2.2 분
비교예 1 -4 -75 ℃ 19.6 분 X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동결건조체는 비교예 1의 동결건조체와 비교하여 일방향성 열린 기공이 형성되어 용해속도가 매우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예 3: 예비동결속도에 따른 용해속도 비교 실험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동결건조체 샘플 3개 각각을 2 ml의 물이 담긴 10 ml 부피의 바이알에 1개씩 포함된 상태로 Voltex 장비를 통해 용해시켜 그 차이를 비교하여 결과를 표 2에 표기하였다. 하기 표 2에서 일방향성 기공 형성여부는 전자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3에는 실시예 1의 동결건조체와의 비교를 위하여 비교예 1의 동결건조체에 대한 것을 함께 나타내었고, 각 동결건조체의 용해 속도에 대한 재현성 확인을 위하여 3개씩 샘플을 만들어서 평가하였다.
구분 냉각속도
(℃/min)
용해시간
샘플1
용해시간
샘플2
용해시간
샘플3
평균 용해시간 일방향성
열린
기공
형성여부
실시예 1 -5 1 분 3 분 3 분 2.3 분
실시예 3 -7 3 분 2 분 2 분 2.3 분
비교예 1 -4 16분 19분 20분 18.3분 X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동결건조체는 용해속도가 현격히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실험과정에서 실시예 1의 동결건조체는 물에 닿자마자 순식간에 물이 건조체 내부에 빠르게 침투하여 동결 건조체의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동결건조체는 표면에 일방향성의 열린 기공 및 패턴이 형성되고, 이것이 모세관힘(Capillary force)을 일으켜 물이 순식간에 동결건조체의 내부에 빠르게 침투하고 용해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었다.
비교예 1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의 경우와 달리 일방향성 열린 기공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동시에 평균 용해시간 역시 최소 18.3분 이상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예 4: 예비동결의 냉각속도가 -5 ℃인 조건에서, PDO 미세입자와 CMC 비율에 따른 방향성 기공 형성 여부 및 용해시간 측정
실시예 1에서의 혼합액의 조성을 하기 표 3의 조건과 같이 변화하여 총 3개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시행하여 동결건조체를 얻었으며, 육안으로 방향성 기공 형성여부를 확인하였다.
PDO : CMC 중량비 PDO input (g) CMC input (g) Water input (ml)
50 : 50 2.5 2.5 100
80 : 20 4 1
90 : 10 4.5 0.5
PDO : CMC 중량비 일방향성 열린 기공 형성여부 용해 시간 (min)
50 : 50 X 50 min
80 : 20 2 min
90 : 10 1 min
표 3 및 표 4로부터 생체 적합성 캐리어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의 함량이 10 중량% 및 20 중량%인 경우에는 동결건조체에 일방향성 열린 기공이 형성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CMC의 함량이 50중량%인 경우에는, 동결건조체에 일방향성이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CMC의 함량은 예비동결건조 조건과 함께 동결건조체의 기공의 구조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생체적합성 캐리어로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SCMC)를 사용)
평균 크기 50 μm를 갖는 PDO 미세입자 4 g을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SCMC) 1 g이 물 100 ml에 완전히 용해된 용액에 분산시켜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높이 5 mm 크기의 반 구체모양의 몰드에 붓고 -75 ℃로 내부온도가 맞추어진 냉동고에 넣고 평균 -5 ℃/min의 냉각속도로 급냉하여 예비동결한 후 동결건조기를 활용해 24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켜 필러용 예비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예비동결건조체를 -20 ℃로 내부온도가 맞추어진 냉동고에 넣고 평균 -3℃/min의 냉각속도로 얼린 후, 동결건조기를 활용해 24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켜 필러용 동결 건조체 A를 제조하였다.
상기 동결건조체 A를 수득한 이후, 수분함량 측정을 통해 수분함량 0.5 중량%를 갖는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8에 따라 얻은 동결건조체 A를 포화된 소금물이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3시간 동안 보관하여 동결 건조체의 수분 함량을 1 중량%로 제어한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8에 따라 얻은 동결건조체 A를 포화된 소금물이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3시간 동안 보관하여 동결 건조체의 수분 함량을 1.5 중량%로 제어한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PDO 미세입자 대신 PLLA 미세입자를 이용하여 동결건조체 B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0.5 중량%를 갖는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따라 얻은 동결건조체 B를 포화된 소금물이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3시간 동안 보관하여 동결 건조체의 수분 함량을 1 중량%로 제어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따라 얻은 동결건조체 B를 포화된 소금물이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3시간 동안 보관하여 동결 건조체의 수분 함량을 1.5 중량%로 제어하였다.
실시예 14
PDO 미세입자 대신 PCL 미세입자를 이용하여 동결건조체 C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0.5 중량%를 갖는 PCL 동결건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에 따라 얻은 동결건조체 C를 포화된 소금물이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3시간 동안 보관하여 동결 건조체의 수분 함량을 1 중량%로 제어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에 따라 얻은 동결건조체 C를 포화된 소금물이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3시간 동안 보관하여 동결 건조체의 수분 함량을 1.5 중량%로 제어하였다.
비교예 2-3
포화된 소금물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 내 18시간 및 36시간 동안 보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분함량이 2 중량% 및 2.5 중량%인 동결건조체를 얻었다.
비교예 4-5
PDO 미세입자 대신 PLLA 미세입자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과 각각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분함량이 2 중량% 및 2.5 중량%인 PLLA 동결건조체를 얻었다.
비교예 6-7
PDO 미세입자 대신 PCL 미세입자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과 각각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분함량이 2 중량% 및 2.5 중량%인 PCL 동결건조체를 얻었다.
구분 PDO 미세입자 SCMC 혼합물 내 수분함량 (중량%)
실시예 9 0.85 g 0.15 g 0.5
실시예 10 1
실시예 11 1.5
비교예 2 2
비교예 3 2.5
평가예 5: 수분함량 비율별 샘플의 가속노화 테스트
PDO 동결건조체의 열안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인 55 ℃에서 샘플을 91일간 보관하여 실제 25℃에서 2년을 보관한 것과 동일한 가속노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온(25℃)에서 2년간 샘플을 보관하는 것에는 많은 시간이 소모되므로, 온도를 높이고 시간을 가속하는 가속노화 테스트를 실시하여 각 동결건조체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샘플의 재료에 따라 다소 달라지지만, 아레니우스(Arrhenius) 방정식에 따르면 모든 반응속도는 10 ℃가 오를 때마다 2배 증가하며, 이를 근거로 습기에 의한 PDO과 미세입자의 분해반응 역시 이와 동일한 가속도를 따른다.
1)PDO의 가속노화를 통한 샘플의 pH 변화 측정 테스트
실시예 9-11 및 비교예 8-9의 PDO 동결건조체에 물 10 ml를 넣고 5분간 볼텍스 장비를 이용하여 용해 및 분산시켰다. 이후 미세입자와 용액의 분리를 위해 원심분리기(2000 rpm, 5 분)를 이용하여 분산된 미세입자와 물을 분리시키고, 물의 상층액만 추출하여 pH를 측정한 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샘플의 수분함량
(중량%)
55 ℃, 91일 후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 결과
가속 노화 전 pH 가속 노화(2년) 후 pH pH 변화
실시예 8 0.5 6.9 5.9 1.0
실시예 9 1 5.1 1.8
실시예 10 1.5 4.6 2.3
비교예 2 2 3.0 3.9
비교예 3 2.5 2.8 4.1
상기 표 6에서 pH 변화는 55 ℃, 91일 후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 전, 후의 pH 차이를 나타낸다.
표 6으로부터 실시예 8 내지 10의 PDO 동결건조체는 비교예 2 및 3의 경우 대비 pH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PDO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pH가 낮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결 건조된 샘플 내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PDO 미세입자의 분해를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pH가 급격히 낮아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PLLA의 가속노화 후 수분함량에 따른 pH 변화량 테스트
실시예 8 내지 10의 PDO 동결건조체 대신 실시예 11 내지 13의 PLLA 동결건조체 및 비교예 4 및 5의 PLLA 동결건조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PDO 동결건조체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속노화 후 수분함량에 따른 pH 변화량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구 분 샘플의 수분함량 (중량%) 55 ℃, 91일 후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 결과
가속 노화 전 pH 가속 노화(2년) 후 pH
실시예 11 0.5 6.9 6.6
실시예 12 1 6.4
실시예 13 1.5 6.2
비교예 4 2 4.5
비교예 5 2.5 4.1
실시예 11 내지 13의 PLA 동결건조체의 경우, 표 7로부터 6개월 내에 체내에서 분해되는 PDO와 달리 체내에서 1~2년 내 분해되는 만큼 수분에 대한 저항이 강해 상대적으로 pH 저하현상이 PDO에 비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3)PCL의 가속노화 후 수분함량에 따른 pH 변화량 테스트
실시예 8 내지 10의 PDO 동결건조체 대신 실시예 14 내지 16의 PDO 동결건조체 및 비교예 6 및 7의 PCL 동결건조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PDO 동결건조체를 이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가속노화 후 수분함량에 따른 pH 변화량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 분 샘플의 수분함량
(중량%)
55 ℃, 91일 후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 결과
가속 노화 전 pH 가속 노화(2년) 후 pH
실시예 14 0.5 6.9 6.7
실시예 15 1 6.3
실시예 16 1.5 5.9
비교예 6 2 5.5
비교예 7 2.5 5.1
표 8을 참조하여, 실시예 14 내지 16의 PCL 동결건조체의 경우, 6개월 내에 체내에서 분해되는 PDO와 달리 체내에서 2~4년 내 분해되는 만큼 수분에 대한 저항이 강해 상대적으로 pH 저하현상이 PDO 및 PLA에 비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예 6: 수분함량 별 용해 여부 확인
PDO 동결건조체의 열안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인 55 ℃에서 샘플을 91일간 보관하여 실제 25℃에서 2년을 보관한 것과 동일한 가속노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온(25℃)에서 2년간 샘플을 보관하는 것에는 많은 시간이 소모되므로, 온도를 높이고 시간을 가속하는 가속노화 테스트를 실시하여 각 동결건조체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샘플의 재료에 따라 다소 달라지지만, 아레니우스(Arrhenius) 방정식에 따르면 모든 반응속도는 10 ℃가 오를 때마다 2배 증가하며, 이를 근거로 습기에 의한 PDO과 미세입자의 분해반응 역시 이와 동일한 가속도를 따른다.
실시예 8 내지 10, 비교예 2 및 3에 따라 얻은 PDO 동결건조체 1g에 물 10 ml를 넣고 볼텍스 장비를 이용해 필러용 주사제를 제조하면서 수분함량별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도 4 및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55℃, 가속노화 후 용해실험 결과
수분함량(중량%) 0.5 1.0 1.5 2.0 2.5
용해시간 10분 40분 90분 용해 안 됨 용해 안 됨
비교예 2 및 3의 PDO 동결건조체는 수분함량이 2 중량% 이상으로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물에 용해되지 않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수분에 의해 PDO의 분해되어 pH를 낮추어 나타나는 것으로, 주사제 제조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 9-11의 PDO 동결건조체는 물에 잘 용해되어 필러용 주사제를 제조하기가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인 폴리디옥사논 및 생체적합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필러용 동결건조체이며,
    상기 동결건조체는 내부 및 외부에 일방향성 열린 기공(one directional open pore)을 함유하며,
    상기 생체적합성 캐리어의 함량이 동결건조체 총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0중량%이고,
    일방향성 열린 기공의 함량은 95 내지 100부피%이고, 기공간 격벽의 너비는 0.1 내지 10㎛이고,
    상기 생체적합성 캐리어는 소듐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이고, 상기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이 0.5 내지 1 중량%이고,
    상기 필러용 동결건조체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생체 적합성 캐리어 및 증류수를 용해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7℃/min 내지 -5℃/min의 냉각속도로 -75℃ 내지 -65℃로 예비동결하여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된 예비동결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예비동결 조성물을 -2℃/min 내지 -3℃/min의 냉각속도로 -70℃ 내지 -20℃로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성물이며,
    상기 일방향성 동결은 동결건조체의 결정화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결을 진행하는 것이며, 상기 동결건조체가 구형인 경우에는 직경 방향 또는 z 방향을 나타내며, 동결건조가 비구형인 경우에는 장축길이 방향 또는 장축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나타내는 필러용 동결건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건조체의 기공 직경은 100 내지 10,000 ㎛인 필러용 동결건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건조체의 기공도는 20 내지 85%인 필러용 동결건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옥사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 Dalton인 필러용 동결건조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평균입경은 20 내지 100㎛이며, 비표면적은 0.1 내지 5m2/g인 필러용 동결건조체.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건조체의 기공도가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필러용 동결건조체.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건조체의 55 ℃, 91일 후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에 의하여 구해지는 pH 변화가 2.5 이하이고,
    상기 동결건조체의 생분해성 고분자가 폴리디옥사논일 때,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전 pH는 6.8 내지 6.9이며, 가속노화 pH 측정 실험후 pH는 4.6 내지 5.9인 필러용 동결건조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건조체의 55 ℃, 91일 후 가속노화 용해실험에 의하여 구해지는 동결건조체 1g에 물 10 ml를 10ml에 분산한 경우 동결건조체의 평균용해시간이 40분 이하인 필러용 동결건조체.
  14.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7항, 제10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동결건조체와, 주사용수, 멸균수 및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용 주사제는, 동결건조체 1g을 ii)주사용수, 멸균수 및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10ml에 분산한 다음, 동결건조체의 평균용해시간이 3분 이하인 필러용 주사제.
  16.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생체 적합성 캐리어 및 증류수를 용해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7℃/min 내지 -5℃/min의 냉각속도로 -75℃ 내지 -65℃로 예비동결하여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된 예비동결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예비동결 조성물을 -2℃/min 내지 -3℃/min의 냉각속도로 -70℃ 내지 -20℃로 동결건조하여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7항, 제10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러용 동결건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동결건조가 1 내지 48시간 동안 실시되고 동결건조가 1 내지 72 시간 동안 실시되며,
    상기 생체 적합성 캐리어가 소듐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이며, 상기 동결건조체를 건조하여 동결건조체의 수분함량이 0.5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분함량을 수분함량이 0.5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동결건조체를 흡습제가 들어 있는 데시케이터에서 보관하여 실시하는, 필러용 동결건조체의 제조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0009527A 2021-01-22 2021-01-22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KR10226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27A KR102266386B1 (ko) 2021-01-22 2021-01-22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27A KR102266386B1 (ko) 2021-01-22 2021-01-22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386B1 true KR102266386B1 (ko) 2021-06-21

Family

ID=7659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27A KR102266386B1 (ko) 2021-01-22 2021-01-22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006B1 (ko) * 2021-11-22 2022-10-27 주식회사 리엔젠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히알루론산 포함하는 피부 필러 조성물의 동결건조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히알루론산 포함하는 피부 필러 조성물
KR102587872B1 (ko) * 2022-06-14 2023-10-12 주식회사 바임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용 필러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9992A1 (en) * 2011-11-07 2014-11-06 Fujifilm Corporation Porous tissue scaffolds
KR101502533B1 (ko) 2007-11-22 2015-03-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택산 유도체 함유 주사제용동결건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527422A (ja) * 2014-08-15 2017-09-21 ザ・ジョンズ・ホプキンス・ユニバーシティー 組織修復のための複合材料
KR101801566B1 (ko) * 2014-12-30 2017-11-28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고분자 나노입자 동결건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044B1 (ko) * 2019-05-27 2019-12-02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생분해성 고분자 필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KR102173939B1 (ko) * 2020-03-25 2020-11-04 권한진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된 성형용 필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81033B1 (ko) * 2020-03-31 2020-11-20 주식회사 휴메딕스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33B1 (ko) 2007-11-22 2015-03-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택산 유도체 함유 주사제용동결건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329992A1 (en) * 2011-11-07 2014-11-06 Fujifilm Corporation Porous tissue scaffolds
JP2017527422A (ja) * 2014-08-15 2017-09-21 ザ・ジョンズ・ホプキンス・ユニバーシティー 組織修復のための複合材料
KR101801566B1 (ko) * 2014-12-30 2017-11-28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고분자 나노입자 동결건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044B1 (ko) * 2019-05-27 2019-12-02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생분해성 고분자 필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KR102173939B1 (ko) * 2020-03-25 2020-11-04 권한진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된 성형용 필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81033B1 (ko) * 2020-03-31 2020-11-20 주식회사 휴메딕스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aofeng Shao et al., Advanced Materials(2020), Vol. 32 pp.1-33*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006B1 (ko) * 2021-11-22 2022-10-27 주식회사 리엔젠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히알루론산 포함하는 피부 필러 조성물의 동결건조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히알루론산 포함하는 피부 필러 조성물
KR102587872B1 (ko) * 2022-06-14 2023-10-12 주식회사 바임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용 필러 조성물
WO2023244011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바임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용 필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386B1 (ko) 필러용 동결 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Zhao et al. Injectable alginate microsphere/PLGA–PEG–PLGA composite hydrogels for sustained drug release
KR102089560B1 (ko) 필러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CA2673589C (en) Method of drying biological material
KR102051044B1 (ko) 생분해성 고분자 필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KR102012441B1 (ko) 연속반응을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
KR102094407B1 (ko) 하이브리드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제조 방법, 및 하이브리드 하이드로젤
AU2015333206A1 (en) Dry composition for use in haemostasis and wound healing
CA2859769C (en) Cellulose ethers with improved thermal gel strength
KR102266384B1 (ko) 필러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이를 포함한 필러용 동결건조체,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동결건조체를 포함하는 필러용 주사제
US11597834B2 (en)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 for fill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reeze-dried body including the same, and filler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EP2956184B9 (en) Silk based porous scaffold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706254B1 (ko) 생체조직 수복 또는 재생용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KR102407160B1 (ko) 세라믹 입자를 포함한 생체 흡수성 고분자 미립구 및 이의 이용
US6635684B2 (en) Method for preparing hydrophilic porous polymeric materials
KR102193951B1 (ko) 필러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KR101537716B1 (ko) 원심 분리에 의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지지체
KR102403559B1 (ko) 플라즈마 처리 기술을 이용한 친수화된 표면을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56415B1 (ko) 고분자 구형입자의 제조방법
KR20180117883A (ko) 약물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Rybak et al. Injectable and self-healable nano-architectured hydrogel for NIR-light responsive chemo-and photothermal bacterial eradication
US20210322629A1 (en) Hemostatic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N111035794B (zh) 一种可吸收多孔微球止血粉的制备方法
KR102587872B1 (ko)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용 필러 조성물
CN110812333B (zh) 一种粒径可控的载药海藻酸钠纳米微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