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033B1 - 보빈 실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보빈 실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033B1
KR102266033B1 KR1020190156473A KR20190156473A KR102266033B1 KR 102266033 B1 KR102266033 B1 KR 102266033B1 KR 1020190156473 A KR1020190156473 A KR 1020190156473A KR 20190156473 A KR20190156473 A KR 20190156473A KR 102266033 B1 KR102266033 B1 KR 102266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od
contact
stopper
rod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342A (ko
Inventor
슈 후이 첸
Original Assignee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빈 실 검출 장치는 접촉 로드, 접촉 로드 작동 부재, 복귀 작용 부재, 스토퍼, 구동원 및 센서를 포함한다. 접촉 로드 작동 부재는 접촉 로드를 밀기 위한 접촉력을 발생시키도록 접촉 로드에 장착된다. 스토퍼는 복귀 작용 부재를 통해 접촉 로드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구동원은 접촉 로드로부터 이격되게 스토퍼를 구동하여서, 접촉 로드 작동 부재가 접촉력을 해제하고 접촉 로드가 회전 후크에 가까운 검출 위치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서 센서는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접촉 로드는 접촉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구동원은 접촉 로드를 직접 구동하여 이동시키지 않으므로, 구동원의 힘은 접촉 로드 및 보빈 실에 직접 충격을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보빈 실 검출 장치 {BOBBIN THREAD DETECTING DEVICE}
본 개시는 재봉틀과 함께 사용되는 보빈 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회전 후크로 진입할 수 있는 보빈 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빈 실 검출 장치는 보빈 실의 남아있는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보다 짧은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보빈 내부의 보빈 실과 접촉한다.
재봉틀이 재봉 작업을 지행할 때, 재봉틀은 주로 바늘에 장착된 상부 실 및 베이스에 부착된 보빈 실을 통하여 여러 층의 스티칭 조각들을 결합한다. 보빈 실의 길이는 보빈의 용량에 의해 제한되므로, 재봉틀이 재봉 작업을 진행할 때 보빈 실이 소실되는 상황이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보빈 실이 소실될 예정인 보빈을 교체하는 것은 일상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보빈 실의 소진으로 인한 불량한 재봉 제품을 막거나, 보빈을 너무 일찍 교체하여 보빈 실의 낭비를 막기 위해서, 그것은 상대적으로 재봉틀의 이용 가능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보빈 실의 이용가능한 양을 정확하게 예측하거나 검출하고 보빈을 적절한 시기에 변경하는 방법은 재봉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보빈 실이 소정의 잔류 길이를 가질 때 작업자에게 상기시키거나, 기계가 자동으로 보빈을 변경할 수 있도록 신호 명령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알맞은 시기에 보빈 실을 교체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보빈 실의 소모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보빈 실 검출 장치가 시장에 알려져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공지된 보빈 실 검출 장치(10)는 공압 실린더(11), 케이싱(12), 및 검출 핀(13)을 갖는다. 공압 실린더(11)는 케이싱(12) 내부에 위치된 측정 블록(14)을 통하여 검출 핀(13)에 연결되고, 측정 블록(14) 일측의 접촉 스위치(15)는 케이싱(12) 내부에 있고; 접촉 스위치(15)는 장공(161)을 가지는 조절 부재(16)에 고정 연결되고, 조절 부재(16)의 장공(161)은 볼트(17)에 의해 케이싱(12)에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접촉 스위치(15)는 조절 부재(16)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공압 실린더(11) 가까이로 또는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측정 블록(14)의 표면은 접촉 스위치(15) 가까이에 있고 경사면(141)을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재봉틀이 재봉 작업을 멈출 때, 공압 실린더(11)는 케이싱(12)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측정 블록(14)을 구동하여서, 검출 핀(13)은 재봉틀 본체에 조립된 보빈(18)을 향하여 이동하고, 따라서 검출 핀(13)은 보빈(18) 둘레에 권취된 보빈 실(19)과 접촉하게 된다. 검출 핀(13)이 보빈 실(19)과 접촉할 때, 측정 블록(14)의 경사면(141)은 접촉 스위치(15)에 대해 가압하고, 접촉 스위치(15)가 경사면(141)에 의해 가압될지라도, 접촉 스위치(15)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없어서, 공지된 보빈 실 검출 장치(10)는 어떠한 신호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때, 그것은 보빈 실(19)의 잔류량이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 후 공압 실린더(11)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이는 검출 핀(13)이 보빈 실(19)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서, 재봉틀은 재봉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보빈 실(19)이 고갈되려고 할 때, 검출 핀(13)은 보빈 실(19)과 접촉하여서, 측정 블록(14)의 경사면(141)이 접촉 스위치(15)에 대해 가압되고, 이는 접촉 스위치(15)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따라서, 공지된 보빈 실 검출 장치(10)는 작업자가 보빈(18)을 변경하는 것을 경고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것을 통하여, 작업자는 보빈 실(19)이 고갈되기 전에 보빈(18)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보빈 실 검출 장치(10)의 검출 방법은 공압 실린더(11)가 검출 핀(13)을 직접 구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공압 실린더(11)의 피스톤 및 측정 블록(14)이 동기 운동을 하도록 하고; 그러나, 공압 실린더(11)의 피스톤, 검출 핀(13) 및 측정 스토퍼(14)는 동기화하여 움직여야 하므로, 공압 실린더(11)는 보다 큰 크기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검출 핀(13)이 보빈 실(19)과 접촉할 때, 구동력 힘이 너무 크기 때문에 검출 핀(13)은 종종 관성 운동을 하여서, 검출 핀(13)이 과도하게 보빈 실(19)을 가압하여 검출 오류를 유발하고, 심지어 검출 핀(13)도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검출 핀(13)의 관성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동력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검출 핀(13)의 너무 느린 이동 속도가 재봉틀의 정지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서, 재봉틀의 생산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보빈 실 검출 장치의 구조적 구성을 개선하여서, 구동원(예컨대, 공압 실린더, 전자석)에 의한 간접 구동을 통해 보빈 실과 접촉하도록 접촉 로드가 회전 후크로 진입할 수 있다. 더욱이, 구동원의 운동 스트로크는 변화 없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보빈 실의 남아있는 길이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접촉 로드의 운동 스트로크는 점차 증가하여서, 접촉 로드가 보빈 실과 접촉할 때 충격력은 손상된 상황을 막도록 감소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회전 후크와 함께 사용되는 보빈 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이동 기구, 구동 기구 및 센서를 포함한다. 이동 기구는 접촉 로드, 접촉 로드 작동 부재 및 복귀 작용 부재를 포함하고; 접촉 로드는 회전 후크로부터 이격된 준비 위치에 위치되고; 접촉 로드 작동 부재는 접촉 로드에 장착되고 접촉 로드를 준비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구동하도록 접촉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복귀 작용 부재는 접촉력보다 큰 복원력을 발생시키고, 복원력은 접촉력에 반대이고; 구동 기구는 스토퍼 및 구동원을 포함하고, 스토퍼는 복귀 작용 부재에 장착되고 접촉 로드와 접촉하여서, 스토퍼는 접촉 로드를 상기 회전 후크에 가까운 검출 위치로부터 준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복원력을 통하여 접촉 로드를 밀어준다. 구동원은, 구동원이 접촉 로드로부터 이격되게 스토퍼를 구동시키는, 복원력보다 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접촉 로드 작동 부재는 접촉력을 통하여 준비 위치로부터 검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접촉 로드를 구동하고, 이에 센서는 접촉 로드가 검출 위치에 위치될 때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접촉 로드는 감지 피스와 배열되고, 센서는 감지 피스와 함께 사용되는 감지 영역과 배열된다. 접촉 로드가 검출 위치로 이동할 때, 감지 피스는 동시에 감지 영역 안으로 또는 밖으로 이동한다.
더욱이, 스토퍼는 피봇 슬리브를 가지고 피봇 슬리브를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다. 접촉 로드는 피봇 샤프트를 가지고 피봇 샤프트를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다. 피봇 샤프트는 피봇 슬리브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서, 스토퍼 및 접촉 로드는 별도로 스윙할 수 있고, 피봇 슬리브의 축선은 피봇 샤프트의 축선과 중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구동원이 스토퍼를 구동시켜 이동시킬 때, 스토퍼는 접촉 로드로부터 이격되어서, 스토퍼 부재 및 접촉 로드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분리된 상태로 있다. 이 때, 접촉 로드 작동 부재는 접촉 로드를 구동시켜 검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접촉 로드는 보빈 실과 접촉하도록 회전 후크로 진입하므로, 접촉 로드가 검출 위치에 있을 때, 센서는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는 보빈 실이 고갈되려고 하는 것을 즉시 알 수 있고 보빈 실이 고갈되기 전 적절한 시기에 보빈을 교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보빈 실 검출 장치의 구조는 반드시 접촉 로드 작동 부재의 접촉력을 통하여 접촉 로드를 검출 위치로 이동시키게할 수 있어서, 구동원은 접촉 로드를 검출 위치로 직접 구동하지 않고 구동원의 미는 힘이 너무 크다는 사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접촉 로드가 회전 후크 내부의 보빈 실에 과도하게 부딪치지 않을 것이고 접촉 로드는 보빈 실을 과도하게 가압함으로써 유발되는 파괴를 피할 수 있어서, 접촉 로드의 사용 수명을 개선한다.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들은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문헌상의 기재와 함께 개시의 실시예들의 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분명히, 하기 기재에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불과하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창의적 노력 없이 이들 도면들에 따라 다른 도면들을 얻을 수 있다.
도 1a는 공지된 보빈 실 검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b는 보빈 실에 대해 접촉하는 검출 핀을 도시한 개략도로, 이것은 여전히 보빈 실의 남아있는 길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도 1c는 보빈 실에 대해 접촉하는 검출 핀을 도시한 개략도로, 이것은 보빈 실이 고갈되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에 조립된 보빈 실 검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에 조립된 보빈 실 검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a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준비 위치에서 접촉 로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b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와 접촉 로드 사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c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검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접촉 로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d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검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접촉 로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에 조립된 보빈 실 검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에 조립된 보빈 실 검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a는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준비 위치에서 접촉 로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b는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와 접촉 로드 사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c는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검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접촉 로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d는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검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접촉 로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구조, 사용 및 특징들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첨부 도면들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하나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보빈 실 검출 장치(20)는 재봉틀(도면에 미도시)과 함께 사용된다. 재봉틀은, 실 검출 장치(20)가 장착된 베이스(30), 및 베이스(30)에 장착된 회전 후크(31)를 갖는다. 회전 후크(31)는 보빈 홀더(32) 및 보빈 홀더(32) 내부에 위치된 보빈(33)을 갖는다.
보빈 실 검출 장치(20)는 이동 기구(40), 구동 기구(50), 및 센서(60)를 포함한다. 이동 기구(40)는 베이스(30)에 대해 스윙할 수 있는 접촉 로드(41), 비틀림 스프링으로서 구성된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 및 또한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된 복귀 작용 부재(43)를 갖는다. 접촉 로드(41)는 접촉 부분(411) 및 작용 부분(412)을 갖는다. 접촉 부분(411)은 작용 부분(412)과 일체로 형성되고, 접촉 부분(411)의 형태는 곡선 형상이다. 접촉 로드(41)의 전체 외관이 L 형상이도록 접촉 부분(411)의 배열 방향이 작용 부분(412)과 교차하며, 작용 부분(412)은 베이스(30)를 통과하는 피봇 샤프트(413)에 장착되고, 센서(60)와 함께 사용되는 감지 피스(414)와 배열된다.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는 조립 부분(421)의 일측에서 제 1 단부(422)를 변형하고 조립 부분(421)의 타측에서 제 2 단부(423)를 변형할 수 있는 조립 부분(421)을 갖는다. 조립 부분(421)은 접촉 로드(41)의 피봇 샤프트(413)에 슬리브 연결되어서, 조립 부분(421)이 피봇 샤프트(413)의 주변에 위치되고; 제 1 단부(422)는 베이스(30)에 호크로 체결되고, 제 2 단부(423)는 접촉 로드(41)의 작용 부분(412)에 호크로 체결된다. 여기에서, 제 1 단부(422) 및 제 2 단부(423)가 각각 베이스(30) 및 접촉 로드(41)에 체결될 때, 조립 부분(421)은 비틀림력을 발생시키도록 변형되어서,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가 접촉 로드(41)에 작용하는 (도 4c에 도시된 대로) 접촉력(F1)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접촉 로드(41)는 접촉력(F1)을 통하여 피봇 샤프트(41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다.
게다가, 복귀 작용 부재(43)는 변형을 위한 복귀 부재 조립 부분(431), 복귀 부재 조립 부분(431) 일측의 복귀 부재 제 1 단부(432), 및 복귀 부재 조립 부분(431) 타측의 복귀 부재 제 2 단부(433)를 구비한다. 복귀 부재 조립 부분(431)이 피봇 샤프트(413)의 주변에 위치되도록 복귀 부재 조립 부분(431)은 피봇 샤프트(413)에 슬리브 연결된다. 복귀 부재 제 1 단부(432)는 베이스(30)로 삽입되고, 복귀 부재 제 2 단부(433)는 구동 기구(50)에 후크로 체결된다. 복귀 부재 제 1 단부(432) 및 복귀 부재 제 2 단부(433)가 각각 베이스(30) 및 구동 기구(50)에 체결될 때, 복귀 부재 조립 부분(431)은 변형 때문에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고, 따라서 복귀 작용 부재(43)는 (도 4a에 도시된 대로) 접촉력(F1)보다 큰 복원력(F2)을 발생시키며, 복원력(F2)은 접촉력(F1)에 반대이다.
구동 기구(50)는 베이스(3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스토퍼(51), 및 베이스(30)에 고정된 구동원(52)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스토퍼(51)는 피봇 샤프트(413)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피봇 슬리브(511), 피봇 슬리브(511)로부터 이격된 푸싱 블록(512), 및 피봇 슬리브(511)로부터 이격된 접촉 블록(513)을 갖는다. 피봇 슬리브(511)가 피봇 샤프트(413)의 외부 주변에 위치되도록 피봇 슬리브(511)는 접촉 로드(41)의 피봇 샤프트(413)에 슬리브 연결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피봇 샤프트(413)는 피봇 슬리브(511)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접촉 로드(41) 및 스토퍼(51)는 별도로 스윙될 수 있고; 피봇 슬리브(511)는 피봇 슬리브(511)의 축선이 피봇 샤프트(413)의 축선과 중첩될 수 있도록 피봇 샤프트(413)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푸싱 블록(512)이 선택적으로 접촉 로드(41)와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고, 푸싱 블록(512)은 복귀 작용 부재(43)의 복귀 부재 제 2 단부(433)에 대해 접촉되어서, 복귀 작용 부재(43)의 복원력(F2)이 스토퍼(51)에 작용하며, 이는 스토퍼(51)가 복원력(F2)으로 시계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접촉 블록(513)은 구동원(52)과 지속적으로 접촉한다. 구동원(52)이 작동중일 때, 구동원(52)은 스토퍼(51)를 밀어 이동시켜서, 스토퍼(51)는 피봇 슬리브(51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원(52)은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센서(60)는 베이스(30)에 고정되고 감지 피스(414)를 선택적으로 안으로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감지 영역(61)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센서(60)는 투과광 센서로서 구성된다.
도 4a를 참조한다. 복원력(F2)의 크기는 접촉력(F1)보다 크기 때문에, 복귀 작용 부재(43)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구동 기구(50)의 스토퍼(51)를 구동하며, 이는 추가로 스토퍼(51)의 푸싱 블록(512)을 접촉 로드(41)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푸싱 블록(512)이 접촉 로드(41)의 작용 부분(412)과 접촉할 때, 스토퍼(51) 및 접촉 로드(41)는 서로 접촉된 상태(A1)로 있며, 이는 회전 후크(31)로부터 이격된 준비 위치(P1)에 접촉 로드(41)를 유지하도록 푸싱 블록(512)이 복원력(F2)을 통하여 접촉 로드(41)를 밀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접촉 로드(41)가 준비 위치(P1)에 있을 때, 접촉 로드(41)의 접촉 부분(411)은 회전 후크(31)의 보빈 홀더(32)를 통과하지 않고, 접촉 로드(41)의 감지 피스(414)는 센서(60)의 감지 영역(61)을 커버하면서, 스토퍼(51)의 접촉 블록(513)은 구동 기구(50)의 구동원(52)에 대해 접촉한다.
도 4b를 참조한다. 재봉틀이 재봉 작업을 멈출 때, 회전 후크(31)도 또한 회전하는 것을 멈추고, 그 후 구동 기구(50)의 구동원(52)은 복원력(F2)보다 큰 구동력(F3)을 발생시켜서, 구동원(52)이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구동 기구(50)의 스토퍼(51)를 구동할 수 있며, 따라서 스토퍼(51)의 푸싱 블록(512)은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41)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고; 이에, 스토퍼(51) 및 접촉 로드(41)는 접촉된 상태(A1)로부터 서로 접촉하지 않는 분리된 상태(A2)로 바뀐다. 도 4c를 참조하면, 스토퍼(51) 및 접촉 로드(41)가 분리된 상태(A2)로 있을 때,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는 접촉력(F1) 발생으로 인해 피봇 샤프트(413)를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접촉 로드(41)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는 접촉 로드(41)의 작용 부분(412)이 푸싱 블록(512)에 가까워지도록 하여서; 접촉 로드(41)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준비 위치(P1)로부터 제 1 검출 위치(P2)를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고, 따라서 접촉 로드(41)의 접촉 부분(411)은 회전 후크(31)의 보빈 홀더(32)로 통과하고, 이는 접촉 부분(411)이 보빈(33) 둘레에 권취된 보빈 실(34)과 접촉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접촉 로드(41)가 제 1 검출 위치(P2)에 위치될 때, 감지 피스(414)의 일부는 여전히 센서(60)의 감지 영역(61)을 커버하고, 이는 센서(60)가 어떠한 신호도 방출하지 않도록 하여서, 재봉틀은 재봉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한다. 보빈(33)에서 보빈 실(34)이 거의 고갈될 때, 보빈 실 검출 장치(20)는 보빈 실 검출 작동을 수행한다. 이 때, 스토퍼(51) 및 접촉 로드(41)가 분리된 상태(A2)로 있고, 접촉 로드(41)는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의 접촉력(F1)을 통하여 피봇 샤프트(413)를 중심으로 스윙하며, 이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접촉 로드(41)가 준비 위치(P1)에서 제 1 검출 위치(P2)로부터 이격된 제 2 검출 위치(P3)를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한다. 이에, 접촉 로드(41)의 접촉 부분(411)은 회전 후크(31)의 보빈 홀더(32)로 통과하며, 이는 접촉 부분(411)이 보빈 실(34)과 접촉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접촉 로드(41)가 제 2 검출 위치(P3)에 있을 때, 접촉 로드(41)의 감지 피스(414)는 센서(60)의 감지 영역(61)을 노출시켜서, 센서(60)가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는 작업자가 가능한 한 빨리 보빈(33)을 바꿀 수 있도록 한다.
그것을 통하여, 보빈 실 검출 장치(20)의 구조는 접촉 로드(41)가 반드시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의 접촉력(F1)을 통하여 제 1 검출 위치(P2) 또는 제 2 검출 위치(P3)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구동원(52)이 제 1 검출 위치(P2) 또는 제 2 검출 위치(P3)로 이동하도록 접촉 로드(41)를 직접 구동할 수 없고; 구동원(52)의 구동력(F3)이 너무 크다는 사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접촉 로드(41)가 보빈 홀더(32) 내부의 보빈 실(34)에 과도하게 부딪치지 않으며, 따라서 접촉 로드(41)는 보빈 실(34)을 지나치게 가압함으로써 유발되는 파괴를 막을 수 있어서, 접촉 로드(41)의 사용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회전 후크(30),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41), 및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이다. 구동 기구(50) 및 센서(60)에 관해 말하면, 구조적 기구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50)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회전 후크(31)의 보빈(33)은 보빈 케이스(35) 내부에 있고,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41)는 작용 부분(412)과 접촉 부분(411) 사이에 가동 부분(415)을 추가로 가지고; 작용 부분(412)은 가동 부분(415)을 통하여 접촉 부분(411)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서, 가동 부분(415)을 통하여 선형으로 움직이는 접촉 부분(411)이 스윙하는 작용 부분(4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부분은 접촉 부분(411)에 형성된 위치결정 로드(415a), 및 작용 부분(412)에 형성된 위치결정 리세스(415b)를 갖는다. 위치결정 로드(415a)는 위치결정 리세스(415b)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작용 부분(412)의 중심 부분은 접촉 부분(411)으로부터 이격된 연장 로드(416)와 장착되고, 작용 부분(412)으로부터 이격된 연장 로드(416)의 일 단부는 감지 피스(414)와 장착된다.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는 중량을 가지는 카운터웨이트(424)로 구성되고, 카운터웨이트(424)는 접촉 로드(41)의 연장 로드(416)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 로드(416)에 고정된 웨이트(424)의 축선 방향 위치는 조절 가능하여서, 웨이트(424)는 접촉 로드(41)의 작용 부분(412) 또는 접촉 로드(41)의 감지 피스(414)에 가까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접촉력(F1)의 크기는 웨이트(424)의 중량 및 연장 로드(416)와 카운터웨이트(424) 사이 상대 위치 변화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한다. 구동력(F3)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원(52)은 복원력(F2)에 의해 준비 위치(P1)에서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41)를 유지한다. 접촉 로드(41)가 준비 위치(P1)에 위치될 때, 접촉 로드(41)의 접촉 부분(411)은 회전 후크(31)의 보빈 케이스(35)를 통과하지 않고, 보빈 케이스(35)에 조립된 큰 케틀 시트(36)의 측면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고; 동시에, 감지 피스(414)가 감지 영역(61)에 위치되지 않도록 접촉 로드(41)의 감지 피스(414)는 센서(60)로부터 이격되고, 스토퍼(51)의 접촉 블록(513)(도 6 참조)은 구동 기구(50)의 구동원(52)에 대해 접촉한다.
도 7b를 참조한다. 재봉틀이 재봉 작업을 멈출 때, 회전 후크(31)도 또한 회전하는 것을 멈추고, 그 후 구동 기구(50)의 구동원(52)은 구동력(F3)을 발생시켜서, 구동원(52)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구동 기구(50)의 스토퍼(51)를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스토퍼(51)의 푸싱 블록(512)은 이동 기구(40)의 접촉 로드(41)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고; 이에, 스토퍼(51) 및 접촉 로드(41)는 접촉된 상태(A1)로부터 분리된 상태(A2)로 변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스토퍼(51) 및 접촉 로드(41)가 그 사이 분리된 상태(A2)로 있을 때, 카운터웨이트(424)는 자체 중량으로 접촉력(F1)을 발생시켜서, 접촉 로드(41)는 접촉력(F1)을 통하여 제 1 검출 위치(P2)로 이동하고; 추가로, 접촉 로드(41)의 접촉 부분(411)은 회전 후크(31)의 보빈 케이스(35)로 통과하고, 이는 접촉 부분(411)을 보빈 실(34)과 접촉시킨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접촉 로드(41)가 제 1 검출 위치(P2)에 위치될 때, 감지 피스(414)는 여전히 센서(60)의 감지 영역(61)으로 진입하지 않아서, 센서(60)는 어떠한 신호도 방출하지 않고, 재봉틀이 재봉 작동을 지속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카운터웨이트(424)는 접촉 로드(41)의 작용 부분(412)에 가까이 있어서, 카운터웨이트(424)는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접촉력(F1)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카운터웨이트(424)는 접촉 로드(41)의 감지 피스(414)에 가깝도록 조절되고, 이는 카운터웨이트(424)가 더 큰 크기를 갖는 접촉력(F1)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비록 접촉력(F1)이 조절 가능할지라도, 접촉력(F1)의 크기는 여전히 복귀 작용 부재(43)의 복원력(F2)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검출 위치(P2)를 향해 접촉 레버(41)의 이동 중, 접촉 로드(41)의 작용 부분(412)은 축선과 도 7c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피봇 샤프트(413)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고, 스윙하는 작용 부분(412)은 접촉 로드(41)의 가동 부분(415)을 통하여 도 7c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시키도록 접촉 로드(41)의 접촉 부분(411)을 구동한다. 그것을 통하여, 가동 부분(415)은 작용 부분(412)과 접촉 부분(411) 사이에 배열되므로, 제 1 검출 위치(P2)를 향한 접촉 로드(41)의 이동 중 가동 부분(415)의 위치결정 로드(415a)는 가동 부분(415)의 위치결정 리세스(415b)에서 상대 변위를 한다.
도 7d를 참조한다. 보빈(33)에서 보빈 실(34)이 거의 고갈될 때, 보빈 실 검출 장치(20)는 보빈 실 검출 작동을 수행한다. 이 때, 스토퍼(51)와 접촉 로드(41)는 분리된 상태(A2)로 있고, 접촉 로드(41)의 작용 부분(412)은 접촉 로드 작동 부재(42)의 접촉력(F1)을 통하여 피봇 샤프트(413)를 중심으로 스윙한다. 동시에, 접촉 로드(41)의 접촉 부분(411)은 선형으로 움직여서 접촉 로드(41)를 제 2 검출 위치(P3)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접촉 레버(41)의 접촉 부분(411)은 회전 후크(31)의 보빈 케이스(35)로 통과하여서 접촉 부분(411)의 말단 부분이 보빈 실(34)에 접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면에 도시된 대로, 접촉 로드(41)가 제 2 검출 위치(P3)에 위치될 때, 접촉 로드(41)의 감지 피스(414)는 센서(60)의 감지 영역(61)에 진입하고, 이는 센서(60)가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서 가능한 한 빨리 보빈(33)을 변경시키도록 작업자에게 상기시키도록 한다.

Claims (4)

  1. 회전 후크와 함께 사용되는 보빈 실 검출 장치로서,
    접촉 로드, 접촉 로드 작동 부재 및 복귀 작용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기구로서, 상기 접촉 로드는 상기 회전 후크로부터 이격된 준비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접촉 로드 작동 부재는 접촉 로드에 장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 로드를 준비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구동하도록 접촉력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접촉 로드가 상기 회전 후크에 가까운 검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복귀 작용 부재는 접촉력보다 큰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복원력은 상기 접촉력에 반대인, 상기 이동 기구;
    스토퍼 및 구동원을 포함하는 구동 기구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귀 작용 부재에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 로드와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접촉 로드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복원력을 통하여 상기 접촉 로드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접촉 로드는 서로 접촉된 상태로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 후크로부터 이격된 상기 준비 위치에 상기 접촉 로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복원력을 통하여 상기 접촉 로드를 밀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스토퍼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복원력보다 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구동원이 상기 접촉 로드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스토퍼를 구동시켜,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접촉 로드는 상기 접촉된 상태로부터 서로 접촉하지 않는 분리된 상태로 바뀌고, 상기 접촉 로드 작동 부재가 접촉력을 통하여 상기 준비 위치로부터 상기 검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접촉 로드를 구동하는, 상기 구동기구; 및
    상기 접촉 로드가 검출 위치에 위치될 때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보빈 실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로드는 감지 피스와 배열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 피스와 함께 사용되는 감지 영역과 배열되고,
    상기 접촉 로드가 상기 검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감지 피스는 동시에 상기 감지 영역 안으로 또는 밖으로 이동하는, 보빈 실 검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접촉 로드의 피봇 샤프트에 슬리브 연결하도록 피봇 슬리브를 구비하므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접촉 로드가 각각 상기 피봇 슬리브의 축선 및 상기 피봇 샤프트의 축선을 따라 스윙될 수 있는, 보빈 실 검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슬리브의 축선은 상기 피봇 샤프트의 축선과 중첩되는, 보빈 실 검출 장치.
KR1020190156473A 2019-01-30 2019-11-29 보빈 실 검출 장치 KR102266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1511 2019-01-30
TW108201511U TWM580594U (zh) 2019-01-30 2019-01-30 Bottom line det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342A KR20200095342A (ko) 2020-08-10
KR102266033B1 true KR102266033B1 (ko) 2021-06-17

Family

ID=6805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473A KR102266033B1 (ko) 2019-01-30 2019-11-29 보빈 실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07294B2 (ko)
KR (1) KR102266033B1 (ko)
TW (1) TWM58059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7550B2 (ja) * 2020-07-15 2023-11-28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CN116373041A (zh) * 2023-04-20 2023-07-04 山东巧夺天工家具有限公司 一种平刨床智能护手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533B2 (ja) * 1992-06-17 2001-03-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JP3545068B2 (ja) * 1994-08-22 2004-07-21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342A (ko) 2020-08-10
TWM580594U (zh) 2019-07-11
JP6907294B2 (ja) 2021-07-21
JP2020121106A (ja)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033B1 (ko) 보빈 실 검출 장치
JP2011120868A (ja) 縫製装置の目飛び糸切れチェック装置
US3941486A (en) Wire bonder
US4736699A (en) Method of sewing corners of a double seam, with a two-needle sewing machine
US4508043A (en) Presser foot device on a sewing machine
WO2019146344A1 (ja) 下糸巻装置
KR102503364B1 (ko) 재봉기
US5113773A (en) Top fee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CN209619631U (zh) 底线侦测装置
JPH0240354B2 (ko)
KR101101002B1 (ko)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JPS606864B2 (ja) 自動ワインダ−におけるパツケ−ジ停止方法
US3111918A (en) Sewing machine for sewing hides and skins
CN108130656B (zh) 一种缝纫机的自动抬压脚装置
US3575121A (en) Sewing machine construction
KR900010384Y1 (ko) 재봉틀 주 샤프트의 위치결정용 구동장치
JPS6136956B2 (ko)
JP2001259272A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駆動装置
CN108118457B (zh) 一种抬压脚高度调节机构及锁眼机
CN216193257U (zh) 能侦测底线卷绕量的缝纫机
TWM554919U (zh) 縫紉機的底線偵測裝置
JP5036978B2 (ja) ミシンの糸巻き装置
US3064604A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displacement of the fabric feed member in sewing machines
US2202599A (en) Trimmer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1280161A (en) Heeling-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