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64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64B1
KR102503364B1 KR1020160050248A KR20160050248A KR102503364B1 KR 102503364 B1 KR102503364 B1 KR 102503364B1 KR 1020160050248 A KR1020160050248 A KR 1020160050248A KR 20160050248 A KR20160050248 A KR 20160050248A KR 102503364 B1 KR102503364 B1 KR 10250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unwinding
drive
sewing machin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732A (ko
Inventor
후바르 보리보즈
불리르 파트릭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2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Abstract

재봉기는 바늘대가 속해 있고 재봉물에 시임을 만들기 위한 스티치 형성 툴들을 갖는다. 상기 바늘대를 구동하는데 암 샤프트(9)가 이용된다. 재봉 동안 상기 시임을 푸는 데 스티치 풀림 핑거(10)가 이용된다.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를 통해 구동되므로,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는 재봉 동안 재봉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 암 샤프트(9)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일부이다. 그 결과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구동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스티치 풀림 핑거(stitch loosening finger)를 포함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재봉기는 뒤르코프 아들러 아게(Duerkopp Adler AG)사의 1994년 11월 판의 사용 안내서 "697 스페셜 머신(special machine)"에 공지되어 있다. DE 29 42 166 A1에는 탄성 재봉물(sewing material)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의 구동을 통해 이 스티치 풀림 핑거는 재봉 동안 시임을 푸는 데 이용된다. 이는 예를 들어 어깨 패드(shoulder pad)를 재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의 드라이브를 단순화하여 전술한 방식의 재봉기를 개선하는 데 있다. 위치 센서는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가동형 요소들의 순간 위치에 관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문서화 목적(documentation purpose)을 위해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재봉기는, 위치 센서에 신호 연결(signal connection)되어 있는 문서화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문서화 장치는, 이것이 재봉 동안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순간 위치, 스티치 형성 툴(stitch formation tool)의 순간 위치가 속할 수 있는 문서 데이터를 가용할 수 있도록,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제 1 항에 제시된 특징들을 포함하는 재봉기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약 상기 스티치 풀림 구동이 암 샤프트 측에서 이루어지면, 언더샤프트 측 스티치 풀림 구동의 메커니즘에 대한 큰 비용 발생이 회피됨을 알 수 있다.
제 2 항에 따른 캠 디스크가 드라이브 요소로서 성공적으로 이용된다.
이는 제 3 항에 따른 치형 벨트에 똑같이 적용된다.
노루발대(presser foot bar)의 영역에서 제 4 항에 따른 지지는 결과적으로 노루발대 축을 중심으로 한 스티치 풀림 핑거의 회전점을 갖는다. 이는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에 대해 특히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 5 항에 따른 위치 센서는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의 순간 위치에 관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제 6 항에 따른 스위칭오프 장치는, 상기 스티치 풀림 구동이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 요소의 일정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해 준다. 이는 작동적으로 안정적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스위칭오프 장치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형성 시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암 샤프트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일부가 아니다.
제 7 항에 따른 순간 위치 검출은 비용 면에서 더 양호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 8 항에 따른 홀 센서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상기 홀 센서와 함께 작용하는 자석이 예를 들어 캠 디스크 안에 통합될 수 있다. 이 홀 센서는 상기 자석을 포함하는 가동형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 요소에 인접하여 하우징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9 항에 따른 스위칭오프 장치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스위칭오프 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이런 자동화된 스위칭오프 및 경우에 따라서는 스위칭온이 재봉 프로그램 안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기에서 도면을 이용해 상술된다.
도 1은 재봉기에 관한 사시도이며, 이 경우 스티치 풀림 핑거에 대한 드라이브 요소를 별도로 다른 내부 및 외부 재봉기 요소들은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스티치 풀림 핑거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브 요소들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방향에서 본 드라이브 요소들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의 제1의 극단 위치(extreme position)에 있는 캠 디스크의 영역 중 드라이브 요소에대한 확대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드라이브 요소들의 위치에 상응하는 극단 위치에 있는 스티치 풀림 핑거에 관한 도이다.
도 6은 도 4와 유사한 도로서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의 또 다른 극단 위치의 한 지점에 있는 드라이브 요소들에 관한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드라이브 요소들의 위치에 상응하는 극단 위치에 있는 스티치 풀림 핑거에 관한 도이다.
도 8은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캠 디스크의 영역에서 베어링 요소들과 상기 재봉기의 또 다른 요소들 및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절개부에 관한 도이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한 도지만, 다른 시야 방향에서 본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요소들에 관한 도로서, 이 경우 스위칭오프 장치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스위칭오프를 위해 활성화되어 있다.
재봉기(1)는 특히 어깨 패드들을 재봉하는 데 이용되며, 이 경우 어깨 패드들은 2개의 얇은 커버 재료들과 덧댄(padded) 삽입물 형태인 중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재봉기(1)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 스탠드(stand)(3) 및 암(4) 그리고 헤드(5)를 갖는다. 스티치 형성 영역은 칼럼(6)의 상측에 실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칼럼은 베이스 플레이트(2)로부터 헤드(5)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상기 재봉기(1)는 일반적으로 재봉물에 시임을 만들기 위한 스티치 형성 툴들을 갖는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늘대(needle bar)(7)가 상기 스티치 형성 툴들에 속하며, 이 바늘대의 단부에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재봉 바늘(sewing needle)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칼럼(6)의 상단부 영역에 있지만 역시 개략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그리퍼(8)가 상기 스티치 형성 툴들 안에 속한다.
상기 바늘대(7)는 도면에 더 이상 도시되어 있지 않은 커플링 메커니즘을 통해 암 샤프트(9)에 의해 구동되고, 이 경우 암 샤프트는 도 2에 부분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재봉 동안 시임을 푸는 데 스티치 풀림 핑거(10)가 이용되며, 이것은 시임 형성 동안 위에서 재봉된다. 예를 들어 어깨 패드를 재봉할 때 상기 재봉기(1)는 2개의 커버 재료 층만을 시작쪽에서 그리고 끝쪽에서 함께 재봉하면,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비활성 상태이다. 이러한 비활성 지점에서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대략 재봉 방향(x)에 나란하게 연장해 있다.
중간층, 즉 덧댄 삽입층이 함께 재봉되자마자,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가 활성화되고 스티치 형성 시에 재봉실을 풀으므로, 상기 덧댄 삽입물은 바라던 대로 재봉 시에 함께 눌려진다.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가 활성화되면 이것은 z-축(도 1 비교)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때 xy-평면에서 운동한다. 이때 x-방향은 재봉 방향이다. 도 1에는 측면에서 재봉기-뒤쪽을 향해 본 재봉기(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를 활성화하기 위해 스티치 풀림 핑거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를 통해 구동되고, 이의 드라이브 요소들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는 전체적으로 상기 재봉기의 암(4) 안에 그리고 헤드(5) 안에 또는 그 헤드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 샤프트(9)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일부이다. 암 샤프트(9) 및 이것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암 샤프트 치차(12)에 의해 제1의 치형 벨트(13)가 구동되고, 이것은 또 다른 치차(14)와 맞물려 있고, 이 치차는 암(4) 안에 설치된 중간 샤프트(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중간 샤프트 치차(16)는 또 다른 치형 벨트(17)를 구동하고, 이 치형 벨트는 또 다른 치차(18)와 맞물려 있고, 이 치차 역시 암(4) 안에 설치된 캠 디스크 샤프트(19)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암 샤프트(9), 중간 샤프트(15) 및 캠 디스크 샤프트(19)가 y-방향을 따라서 서로 병렬로 연장해 있다.
스캐닝 바디(21)에 의해 스캐닝되는 캠 디스크(20)가 회전 불가능하게 캠 디스크 샤프트(19)에 연결되어 있다. z-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해 있는 전달 샤프트(22)의 진동(비교 양방향 화살(22a))으로 상기 캠 디스크의 둘레 또는 반경 모듈레이션(radius modulation)은 상기 스캐닝 동작에 의해 전달된다. 전달 레버(23, 24, 25 및 26)와 레버 링크 간 연결에 의해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의 왕복 운동이, 전달 샤프트(22)의 진동 운동으로부터 유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달 레버(23)는 전달 샤프트(22)의 종축을 통해 설정되어 있는 진동축을 중심으로 진동한다. 상기 전달 레버(25)는, 하우징에 고정된 베어링(28)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z-축에 나란한 베어링 축(27)을 중심으로 진동한다. 상기 전달 레버(26)는 2 부재이고 그리고 베어링 요소(26a) 및 스티치 풀림 핑거(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레버 요소(2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 레버(26)는 z-방향에 대해 병렬로 연장해 있는 또 다른 베어링 축(29)을 중심으로 진동하고, 이것은 도 2에 국지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노루발대(30)를 중심으로 한 하우징 고정형 베어링을 통해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티치 풀림 핑거(10)와 스캐닝 바디(21) 간 링크 연결부의 지지는 노루발대(30)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도 4에는 상기 캠 디스크(20) 및 스캐닝 바디(21)의 순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순간 위치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스티치 풀림 핑거(10)의 어느 한 극단 위치에 상응한다.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도면 부호 없는) 이송 풋(foot)의 이송 죠들(jaws) 사이에 있으며, 이 경우 이송 풋은 재봉물의 상향 이송을 담당한다.
이 극단 위치는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의 운동 전환점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위치에서 상기 스캐닝 바디(21)는 최대 반경을 갖는 캠 디스크(20)의 둘레 범위를, 즉 최대 둘레 범위(31)를 스캐닝한다. 하우징 쪽에 고정된 레그 스프링(leg spring)(32)에 의해 상기 스캐닝 바디(21)는 캠 디스크(20)의 바깥 둘레에 반하여 예비 응력을 받는다. 스캐닝 바디 쪽 레그 스프링(32)은 스캐닝-전달 레버(33)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레그 스프링(32)의, 하우징에 고정된 다른 단부는 조정 바디(34)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조정 바디(34)는 하우징에 고정된 스레드 스핀들(35)에 있는 스크루로서 실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도 4 및 도 5에 상응하게 스캐닝 요소들의 순간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이의 진동 운동의 다른 극단 위치에 있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또 다른 극단 위치에서 상기 스캐닝 바디(21)는 최소 반경을 갖는 캠 디스크(20)의 둘레 범위, 즉 최소 둘레 범위(36)를 스캐닝한다.
도 8 및 도 9에 따라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의 스위칭오프를 위한 스위칭오프 장치(37)의 또 다른 상세 부분들이 상술된다. 상기 스위칭오프 장치(37)는 위치 센서(38)의 위치 신호에 의존하여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를 스위칭오프한다. 상기 위치 센서(38)는 홀 센서로서 실시되어 있으며 및 상기 캠 디스크(20) 안에 들어있는 자석(39)과 함께 작동한다. 상기 위치 센서(38)는 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센서(38)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가동형 요소의 순간 위치, 즉 상기 캠 디스크(20)의 순간 위치를 인식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위치 센서(38)는 캠 디스크(20)에 대해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오프 장치(37)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스캐닝 바디(21)가 캠 디스크(20)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위치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스캐닝 바디(21)가 캠 디스크(20)로부터 들려지는 중립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캐닝 바디(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드라이브(40)를 가지므로,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가 작용하지 않는다. 들려진 상태에서 캠 디스크 샤프트(19)와 스캐닝 바디(21) 간 거리는 상기 캠 디스크(20)의 최대 둘레 범위(31)의 반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크므로,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스위칭오프 상태에서 도 5에 따른 극단 위치에 남는다. 상기 이동 드라이브(40)는 피스톤(41)을 포함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실시되어 있고, 이것은 도 9에 따른 중립 위치에서 최대로 밖으로 나오고 이 때 레버 링크를 중심으로 스캐닝-전달 레버(33)를 회전하고, 이 경우 링크 축은 전달 샤프트(22)의 종축에 일치한다.
상기 이동 드라이브(40)는 위치 센서(38)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재봉기(1)의 다른 드라이브 요소들처럼, 상기 이동 드라이브(4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중앙 제어 장치(4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를 스위칭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어 장치(42)는 상기 위치 센서(38)의 위치 신호를 기다린다.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가 도 5에 따른 순간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위치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제어 장치(42)는 이동 드라이브(40)의 활성화를 통해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를 스위칭오프한다. 그런 경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스위칭오프 시에 스티치 풀림 핑거(10)가 실제로 도 5에 따른 위치에 머무르며, 특히 나쁘지 않게 재봉 바늘에 의해 요구되는 운동 범위를 통해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의 스위칭오프 시에 재봉 바늘과 스티치 풀림 핑거(10) 간 충돌이 확실히 회피된다.

Claims (9)

  1. - 바늘대(7)가 속해 있는, 재봉물에 시임을 만들기 위한 스티치 형성 툴들(7, 8)
    - 상기 바늘대(7)를 구동하기 위한 암 샤프트(9),
    - 재봉 동안 상기 시임을 풀기 위한 스티치 풀림 핑거(10),
    - 이 경우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를 통해 구동되므로, 상기 스티치 풀림 핑거(10)는 재봉 동안 재봉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 이 경우 이 암 샤프트(9)는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일부이고,
    - 상기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가동형 요소(20)의 순간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 센서(38)를 포함하는 재봉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샤프트(9)에 의해 구동되는 캠 디스크(20)가, 스티치 풀림 핑거(1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스캐닝 바디(21)에 의해 스캐닝되고,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치형 벨트(13, 17)가 상기 캠 디스크(20)의 드라이브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스티치 풀림 핑거(10)와 상기 스캐닝 바디(21) 간 링크 연결부(22 내지 26)의 지지는 노루발대(30)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38)가 스티치 풀림 핑거(10)의 순간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38)의 위치 신호에 따라서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를 스위칭오프하기 위해 상기 위치 센서(38)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오프 장치(37)를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7.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티치 풀림 핑거(10)와 상기 스캐닝 바디(21) 간 링크 연결부(22 내지 26)의 지지는 노루발대(30)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 센서(38)가 캠 디스크(20)의 순간 위치를 검출하도록 위치 센서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38)가 홀 센서로서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샤프트(9)에 의해 구동되는 캠 디스크(20)가, 스티치 풀림 핑거(1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스캐닝 바디(21)에 의해 스캐닝되고,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의 일부이며,
    상기 스위칭오프 장치(37)는
    - 상기 스캐닝 바디(21)가 캠 디스크(20)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위치와
    - 상기 스캐닝 바디(21)가 캠 디스크(20)에 의해 호출되어 스티치 풀림 드라이브(11)가 작용하지 않는 중립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캐닝 바디(21)의 이동을 위한 이동 드라이브(40)를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이동 드라이브(40)가 위치 센서(38)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160050248A 2015-04-30 2016-04-25 재봉기 KR102503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7993.7A DE102015207993A1 (de) 2015-04-30 2015-04-30 Nähmaschine
DE102015207993.7 2015-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32A KR20160129732A (ko) 2016-11-09
KR102503364B1 true KR102503364B1 (ko) 2023-02-23

Family

ID=5570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248A KR102503364B1 (ko) 2015-04-30 2016-04-25 재봉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88590B1 (ko)
JP (1) JP6821323B2 (ko)
KR (1) KR102503364B1 (ko)
CN (1) CN106087290B (ko)
DE (1) DE102015207993A1 (ko)
TW (1) TWI6839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9941B (zh) * 2018-01-26 2021-06-25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花样机的扫线装置
JP7262311B2 (ja) * 2019-06-04 2023-04-21 Juki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6910A1 (de) 2011-10-25 2013-04-25 BO-INNO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Drehwinkeln einer Welle größer als 360°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479A (en) * 1924-08-18 1925-04-23 Charles Hiram Greenwood Improvements in sewing machines
DE1241688B (de) * 1959-11-14 1967-06-01 Duerkoppwerke Ag Naehmaschine zum Vernaehen elastischer Werkstuecke
DE2942166C2 (de) * 1979-10-18 1983-12-29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Vorrichtung zum fortlaufenden Erfassen der Dicke elastischen Nähgutes
JP2001224875A (ja) * 2000-02-16 2001-08-21 Brother Ind Ltd ボタン付けミシンのボタン浮かし装置
JP2005334234A (ja) * 2004-05-26 2005-12-08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筒型上飾り縫いミシン
JP2008036341A (ja) * 2006-08-10 2008-02-21 Juki Corp ミシン
CN200967879Y (zh) * 2006-11-13 2007-10-31 苏尚杰 珠边机气动松线机构
CN201144333Y (zh) * 2007-12-29 2008-11-05 温州市亨泰缝制设备有限公司 用于珠边机的下松线机构
TWI484081B (zh) * 2010-11-30 2015-05-11 Hsien Chang Tseng 縫紉機控制行程的擺臂與擺動中心之調節結構
CN202047244U (zh) * 2011-04-28 2011-11-23 浙江鸿立缝制设备有限公司 绷缝机的凸轮打线机构
CN104372537B (zh) * 2014-11-14 2016-08-24 上海鲍麦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缝纫机松线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6910A1 (de) 2011-10-25 2013-04-25 BO-INNO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Drehwinkeln einer Welle größer als 3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1323B2 (ja) 2021-01-27
EP3088590A1 (de) 2016-11-02
EP3088590B1 (de) 2018-11-14
TWI683935B (zh) 2020-02-01
KR20160129732A (ko) 2016-11-09
JP2016209567A (ja) 2016-12-15
DE102015207993A1 (de) 2016-11-03
TW201704581A (zh) 2017-02-01
CN106087290B (zh) 2020-10-23
CN106087290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07391A (ja) ミシン
CN105274739B (zh) 缝纫机
KR102503364B1 (ko) 재봉기
EP2241661A2 (en) Upper-and-lower feed sewing machine
JP7156821B2 (ja) ミシン
JP5468236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09160071A (ja) 玉縁縫いミシンの玉布押さえ機構
TWI454602B (zh) Sewing machine
CN109537173B (zh) 操作缝纫机的方法和配置成执行所述方法的缝纫机
KR200487883Y1 (ko) 재봉기
JP2009247377A (ja) ミシン
JP2008086370A (ja) ミシン
CN108130656B (zh) 一种缝纫机的自动抬压脚装置
KR102496909B1 (ko)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의 시작 상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JPH04332593A (ja) ミシン
JP2009050638A (ja) ミシン
JP2005137694A (ja) ミシン
KR101840236B1 (ko) 옷감 누름 부재 구동 장치
KR20090031278A (ko) 재봉기
US1279112A (en) Presser mechanism for sewing-machines.
TW201718972A (zh) 鎖眼機
JP2006255092A (ja) ミシン
JP2722770B2 (ja) ミシンの上送り装置
JP4599870B2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JP2023151091A (ja) 押え装置、ミシン、及び押え装置の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