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002B1 -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002B1
KR101101002B1 KR1020090029983A KR20090029983A KR101101002B1 KR 101101002 B1 KR101101002 B1 KR 101101002B1 KR 1020090029983 A KR1020090029983 A KR 1020090029983A KR 20090029983 A KR20090029983 A KR 20090029983A KR 101101002 B1 KR101101002 B1 KR 10110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afety pin
eyelet
hol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004A (ko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filed Critical 박성용
Priority to KR102009002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0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2Setting hooks or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13)를 제어부(50)에서 구동시키면, 모터 축 풀리(21)가 회전하고 벨트를 통해 크랭크 축 풀리(23)와 그에 연결된 크랭크 축(24)이 회전하며, 그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24), 크랭크(31), 연접봉(32)을 통해 최종 구동부인 피스톤(41)이 상하 직선 왕복 운동을 하고, 상기 피스톤(41)의 상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피스톤(41)의 끝부분에 장착된 아일렛 압착용 상부 몰드(71)가 하단 행정에서 밑판에 형성된 하부 몰드(73)에 접하면서 아일렛을 압착한 후 상단행정으로 복귀하며, 상기 압착 과정에서 인체의 일부가 끼이게 되면 이를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대처를 하는 안전 기능을 수행한다.
아일렛, 압착, 안전, 자동제어, 센서

Description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Eyelet mounting apparatus with safety ope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아일렛(eyelet)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옷이나 가방, 장식구 등에 아일렛을 압착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아일렛 압착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일렛 압착 장치를 분류하자면, 크게 수동장치와 자동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수동장치는 아일렛 압착 과정을 순수히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아일렛을 집고 아일렛에 힘을 가하는 등의 작업을 사용자가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자동장치는 아일렛 압착 과정 중 적어도 일부가 아일렛 압착 장치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이다. 특히, 자동장치는 아일렛에 힘을 가하는 작업을 전원의 힘을 받아 자동으로 수행한다.
자동장치는 아일렛에 힘을 가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에 따라 아일렛을 장비에 끼우거나 조작상의 실수로 사용자의 신체를 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자동 아일렛 압착 장치를 사용시 극도의 주의를 요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아일렛 압착 장치는 정지시에 기계적 동력차단방식을 사용하므로 소음이 심하고, 하나의 행정이 끝날 때까지 계속 진행하므로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아일렛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능한 모든 동작을 전자식으로 제어하여 쉽고 편하면서 소음 등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키는 아일렛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를 제공한다. 이 아일렛 압착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부(10), 구동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 운동으로 전달하는 회전 운동부(20), 회전 운동을 수직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동력 전환부(30), 상하 수직운동을 하는 수직운동부(40), 수직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 제어를 위한 여러가지 상황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60), 실제로 압착이 행하여지는 몰드부(70)로 나뉜다. 위의 수직운동부(40)의 대표부는 피스톤(41)인데, 그 내부에 형성된 안전핀 실린더(s2)에 스프링(44)과 안전핀 홀더(43)가 존재하고 거기에 안전핀(42)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피스톤(41) 끝단에 체결된 상부몰드(71)와 바닥에 위치한 하부몰드(73)가 서로 접하게 하는 과정에서 아일렛 압착을 하는데, 이때 신체의 일부가 끼이면 설정한 가공물 두께보다 두껍다는 것을 인지하여 압착 과정을 멈추고 원점으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일렛에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실수나 기타 요인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압착부에 끼이더라도 자동으로 인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손상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급적 전자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고 장치의 동작을 순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일렛의 크기와 종류에 상관없이 간단한 몰드의 교체만으로 압착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는 구동부(10), 회전 운동부(20), 동력 전환부(30), 수직 운동부(40), 제어부(50), 센서부(60)와 몰드부(70)를 포함한다.
구동부(10)는 아일렛 압착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에 관련된 구성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1), 전원부(11)의 온/오프를 결정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2)와, 전원부(11)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13)를 포함한다.
회전 운동부(20)는 모터(13)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회전력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모터(13)에 연결된 모터 축 풀리(21), V형 벨트(22)에 의해 모터 축 풀리(21)와 연동하는 크랭크 축 풀리(23)와, 크랭크 축 풀리(23)에 연결된 크랭크 축(24)을 포함한다.
동력 전환부(30)는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구성으로, 크랭크 축(24)에 연결된 크랭크(31)와 연접봉(32)이 그 역할을 한다.
수직운동부(40)는 연접봉(32)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피스톤(41)이 대표부이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44), 안전핀 홀더(43), 안전핀(42) 등이 존재할 수 있도록 안전핀 실린더(s2)를 형성시키고 광이 지날 수 있도록 각각의 부품을 배치한 형태를 포함한다.
센서부(60)는 안전핀(42)의 위치를 파악하여 하부몰드(73)에 압착 가능한 가공물이 놓여 있는지 또는 그 밖의 물건(예;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 휴대폰, 책 등과 같이 두께가 큰 물건)이 놓여있는지를 파악한다.
센서부(60)는 안전핀(42)의 위치를 정량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로터리 인코더 휠(62), 로터리 인코더 휠(62)의 눈금을 센싱하는 로터리 인코더 센서(61), 실린더 홀(h1)을 지나 피스톤 홀(h2),안전핀 홀더 홀(h3)을 통해 광을 조사하도록 위치한 적외선 센서 발광부(63)와, 수광부(64)는 수평 위치(마주보는 위치)에 오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로터리 인코더 휠(62)은 크랭크 축(24)에 장착되고, 손잡이 받침대에 로터리 인코더 센서(61)가 장착되어, 로터리 인코더 휠(62)의 눈금을 로터리 인코더 센서(61)에서 읽어 들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 발광부(63)와 적외선 센서 수광부(64)는 피스톤(41)과 동일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제어부(50)는 적외선 센서 수광부(64)로부터 적외선 센서 발광부(63)에서 조사한 광을 수광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미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로터리 인코더 센서(61)로부터 로터리 인코더 휠(62)의 측정값을 수신한다.
제어부(50)는 미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순간에 로터리 인코더 휠(62)의 측정값을 파악하여 측정값이 설정된 위험범위 내에 있는지를 파악한다. 제어부(50)는 측정값이 위험범위 내에 있으면 안전을 위해 피스톤(41)의 동작을 멈춘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의 기구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12)의 온 상태에 따라 최초 구동원인 모터(13)를 제어부(50)에서 구동시키면, 모터(13)에 고정된 모터 축 풀리(21)가 회전하고 V형 벨트(22)를 통해 크랭크 축 풀리(23)와 그에 연결된 크랭크 축(24)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크랭크 축(24), 크랭크(31), 연접봉(32)을 통해 최종 구동부인 피스톤(41)은 상하 직선 왕복 운동을 한다.
그러면 이러한 피스톤(41)의 상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피스톤(41)의 끝부분에 장착된 아일렛 압착용 상부 몰드(71)는 하단 행정에서 밑판에 형성된 하부 몰드(73)에 접하고 상단 행정에서 하부 몰드(73)에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 몰드(71)의 아일렛 집게(72)에 아일렛을 장착하고 하부 몰드(73)위에 아일렛 와셔를 올려 놓으면, 본 발명의 아일렛 압착 장치는 피스톤(41)의 상하 왕복 운동 중 하단 행정에서 아일렛을 압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의 안전 기능을 설명한다. 안전 기능이란 아일렛 압착 장치의 압착 과정에서 인체의 일부가 끼이게 되면 상해를 입게 되는데, 이를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대처를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안전 기능은 안전핀(4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센서부(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안전 기능과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장치에서 피스톤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인코더 휠 및 인코더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1)의 내부에 피스톤(41)의 길이 방향으로 안전핀 홀더(43)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안전핀 홀더(43)는 안전핀 실린더(s2) 상단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한 스프링(44)에 의해 피스톤(41)과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안전핀(42)과는 볼트/너트 구조로 연결된다.
따라서, 안전핀(42)이 하부몰드(73)나 사람의 손가락에 닿으면, 안전핀(42)과 안전핀 홀더(43)는 스프링(44)쪽으로 이동이 되고, 이때 광 투과용 홀(h1,h2,h3)을 통과하는 발광부(63)의 광이 차단된다. 이때에 수광부(64)에는 새로운 신호가 발생하는데 이정보와 로타리 인코더 센서(61)의 값을 이용하여 안전을 판단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1)에는 피스톤 홀(h2)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h2)의 하단에 가이드 홀(h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홀(h4)에는 가이드 핀(45)이 위치하며, 안전핀 홀더(43)를 가이드 홀(h4)과 가이드 핀(45)에 의해 피스톤(41)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인코더 휠(62)은 크랭크(31)의 회전 정도(각도)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로터리 인코더 센서(61)는 로터리 인코더 휠(62)의 상측에 고정 위치하여 고정된 특정위치에서 하나의 로터리 인코더 휠(62)의 눈금을 감지한다. 따라서 로터리 인코더 센서(61)는 고정되어 있고, 로터리 인코더 휠(62)은 크랭크 축(2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므로 회전의 정도(각도)에 따라, 로터리 인코더 센서(62)는 서로 다른 눈금을 감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안전 기능의 세부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정상 동작(즉, 정상적인 아일렛 압착) 시의 안전 기능을 설명한다.
상부 몰드(71)의 하단이면서 아일렛 집게(72)의 안쪽에 아일렛이 장착되고, 하부몰드(73)위에 아일렛 와셔가 놓여진다.
이런 상태에서 아일렛 압착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피스톤(41)을 동작시킨다. 이때 적외선 센서 발광부(63)에서 조사한 광은 광 투과용 홀(h1,h2,h3)를 통해 적외선 센서 수광부(64)에 수신된다.
피스톤(41)이 하단 행정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안전핀(42)의 끝단이 하부몰드(73)에 닿으면, 안전핀(42)과 안전핀 홀더(43)는 멈추지만, 피스톤(41)은 계속해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몰드(71)가 하부몰드(73)에 닿게 된다.
이때, 안전핀 홀더 홀(h3)은 피스톤 홀(h2)에서 벗어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적외선 센서 발광부(63)에서 조사한 광은 적외선 센서 수광부(64)에 수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50)는 적외선 센서 수광부(64)에 광이 수광되지 않음을 알리 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때 로터리 인코더 센서(61)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파악한 측정값이 위험 범위 밖에 위치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동작이라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위험상황에서의 동작(즉,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의 동작) 시의 안전 기능을 설명한다.
상부 몰드(71)의 하단이면서 아일렛 집게(72)의 안쪽에 아일렛이 장착되고, 하부몰드(73)에 아일렛 와셔가 놓여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손가락을 하부몰드(73)에 위치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피스톤(41)을 동작시킨다. 이때 적외선 센서 발광부(63)에서 조사한 광은 광 투과용 홀(h1,h2,h3)를 통해 적외선 센서 수광부(64)에 수신된다.
피스톤(41)이 하단 행정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안전핀(42)의 끝단이 손가락에 닿으면, 안전핀(42)과 안전핀 홀더(43)는 멈추지만, 피스톤(41)은 계속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안전핀 홀더 홀(h3)은 정상적인 상태와 같이 피스톤 홀(h2)에서 벗어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적외선 센서 발광부(63)에서 조사한 광은 적외선 센서 수광부(64)에 수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50)는 적외선 센서 수광부(64)에 광이 수광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때 로터리 인코더 센서(61)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파악한 측정값이 위험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 위험 상황 이라고 판단한다.
이렇게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제어부(50)는 모터(13)를 제어하여 압착 과정을 멈추고, 피스톤(41)을 복귀하도록 구동시켜서 인체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적외선 센서 수광부(64)는 매 동작마다 위험 요소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크랭크 축(24)의 회전 각도만 다를 뿐이지 무조건 감지되어야 하는데, 제어부(50)는 적외선 센서 수광부(64)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 안전핀(42) 또는 적외선 센서(63,64) 고장으로 판단하여 표시부(미도시)에 에러 상황을 표시하고 모터 전원을 차단하여 더 이상 압착 기능이 작동되지 않게 한다.
물론 고장 원인을 없앤 후 전원(11)을 다시 공급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안전 장치 및 압착 기능이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아일렛 압착 장치는 과부하 시 자동 복귀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아일렛 압착 장치는 적은 힘으로 아일렛을 효율적으로 압착할 수 있게 설계되었고, 제어부(50)에서는 아일렛 압착에 필요한 힘 즉, 모터(13)의 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 값 이상으로 흐르게 되면 과부하로 판단하고 압착 반대 방향으로 모터(13)를 회전시켜서 피스톤(41)을 원점으로 복귀시킨다. 과부하 차단 기능으로 주 안전 기능 이외에도 이중적인 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일렛 압착 장치는 원단 두께에 따른 압착량 설정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압착량 설정 기능을 위한 모드는 3가지(상, 중, 하)가 있는데, "상"은 두꺼운 원단, "중"은 중간 두께의 원단, "하"는 얇은 원단에 아일렛을 압착할 때 사용한다. 모드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 후 설정 버튼을 누르면 아일렛 장착 설정 상태가 되고 설정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게 되면 아일렛 압착 설정 상태가 되며, 각 상태에서 증가 버튼 또는 감소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아일렛 압착 설정 상태에서 설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가 설정했던 값들을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아일렛 압착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모드 버튼만으로 원단 두께에 따른 3가지(상,중,하)의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해서 압착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사용 원단이 바뀔 때마다 매번 상부 몰드의 높이를 기구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생산성이 월등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장치에서 피스톤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인코더 휠 및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4)

  1. 아일렛 압착 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모터 축 풀리, 상기 모터 축 풀리와 크랭크 축 풀리를 연결하는 V형 벨트, 상기 V형 벨트에 연결된 크랭크 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 운동으로 전달하는 회전 운동부,
    상기 크랭크 축에 연결된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에 연결된 연접봉을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 축의 회전 운동을 수직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동력 전환부,
    피스톤, 스프링, 안전핀 홀더와 안전핀을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은 상기 연접봉에 연결되고 내부에 안전핀 실린더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핀 실린더에 상기 스프링, 상기 안전핀 홀더와 상기 안전핀을 위쪽부터 순차적으로 배치시키고, 아일렛 압착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이 수직 하강하면, 상기 안전핀은 물체와 맞닿는 순간 정지하려는 힘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힘은 상기 안전핀 홀더에 전달되어 상기 스프링을 위쪽으로 가압하는 수직 운동부,
    상기 안전핀이 상기 물체와 맞닿는 순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크랭크 축에 동심으로 고정된 로터리 휠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인코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그리고
    상기 안전핀이 상기 물체와 맞닿는 순간에 상기 로터리 인코더 휠의 회전 각도를 파악하여 상기 피스톤이 설정된 위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안정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스톤의 외곽 측면에 적외선이 통과 가능한 관통 홀인 피스톤 홀을 형성하고,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 상기 피스톤 내부에는 적외선이 통과 가능한 관통 홀인 안전핀 홀더 홀이 형성된 상기 안전핀 홀더가 배치되며, 상기 두 종류의 관통 홀을 통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적외선 센서 발광부와 적외선 센서 수광부를 배치하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한 적외선을 상기 수광부에서 감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적외선이 차단되는 순간에, 상기 크랭크 축에 동심으로 설치된 상기 로터리 인코더 휠의 눈금을 상기 로터리 인코더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운동부에서,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 상기 안전핀 홀더, 상기 안전핀을 배치할 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에는 적외선이 통과 가능한 관통 홀인 상기 피스톤 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핀 홀더에는 적외선이 통과 가능한 관통 홀인 상기 안전핀 홀더 홀이 형성하되,
    상기 스프링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 홀과 상기 안전핀 홀더 홀이 서로 관통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 홀과 상기 안전핀 홀더 홀이 서로 어긋나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 홀더에는 가이드 핀이 꽂히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홀에 의해 상기 피스톤 홀 및 상기 안전핀 홀더 홀의 동심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KR1020090029983A 2008-04-07 2009-04-07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KR10110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983A KR101101002B1 (ko) 2008-04-07 2009-04-07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34 2008-04-07
KR1020090029983A KR101101002B1 (ko) 2008-04-07 2009-04-07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004A KR20090107004A (ko) 2009-10-12
KR101101002B1 true KR101101002B1 (ko) 2011-12-29

Family

ID=4153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983A KR101101002B1 (ko) 2008-04-07 2009-04-07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7263A (zh) * 2014-09-28 2015-01-21 刘明亮 自动安全型碑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0083B2 (en) 2009-09-04 2013-03-05 Analog Devices, Inc. System with recessed sensing or processing elements
KR102444105B1 (ko) * 2022-07-29 2022-09-20 주식회사 원월드파트너스 아일렛 부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885A (ja) 1997-01-30 1998-08-18 ▲吉▼川鐵工株式会社 リベッティングマシン
KR200314033Y1 (ko) 2003-02-28 2003-05-22 (주)디에스엠 리벳팅 장치
KR200349913Y1 (ko) 2004-01-30 2004-05-17 (주)마이크로 갤럭시 가변 스트로크 장치를 구비한 리벳팅 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885A (ja) 1997-01-30 1998-08-18 ▲吉▼川鐵工株式会社 リベッティングマシン
KR200314033Y1 (ko) 2003-02-28 2003-05-22 (주)디에스엠 리벳팅 장치
KR200349913Y1 (ko) 2004-01-30 2004-05-17 (주)마이크로 갤럭시 가변 스트로크 장치를 구비한 리벳팅 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7263A (zh) * 2014-09-28 2015-01-21 刘明亮 自动安全型碑机
CN104287263B (zh) * 2014-09-28 2016-05-18 刘明亮 自动安全型碑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004A (ko)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6029B2 (en) Control and regulating device for a bending press
KR100231246B1 (ko) 단자압착방법 및 장치(method of crimping terminal and apparatus for same)
KR101101002B1 (ko) 안전 기능을 가진 아일렛 압착 장치
US7992314B2 (en) Measuring device for fast measurements
CN102069484A (zh) 手持工具
JP2006517449A (ja) キル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KR100875736B1 (ko) 회전식 부위육 압착장치
CN105274739B (zh) 缝纫机
CN109195478A (zh) 测量接触力并包括反馈单元的脱毛装置
CN104334318A (zh) 冲击机构单元
CN111379083A (zh) 抬压脚装置、缝纫机以及抬压脚装置的控制方法
EP1614791A3 (en) Wiper device for sewing machine
WO2004033125A8 (de) Biegemaschine
US6769355B1 (en) Auto-positioning inching control
KR20160133205A (ko) 재봉기용 밑실 잔량 검출 장치
CN102418244B (zh) 缝纫机及缝纫机的控制方法
CN1045644C (zh) 缝纫机的工件压紧设备
KR102503364B1 (ko) 재봉기
JP2016168119A (ja) ミシンの上送り装置
CN211747250U (zh) 一种大白扣机
CN220373194U (zh) 功率提升装置及手持式电动工具
CN101265644B (zh) 电动式缝纫机的脱线装置
CN219026193U (zh) 攻牙机主轴刀具行程防护装置
CA2555527C (en) Roller activation apparatus
CN219561042U (zh) 一种无环鸡眼扣扣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