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456B1 - 흡음재 - Google Patents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456B1
KR102260456B1 KR1020190063655A KR20190063655A KR102260456B1 KR 102260456 B1 KR102260456 B1 KR 102260456B1 KR 1020190063655 A KR1020190063655 A KR 1020190063655A KR 20190063655 A KR20190063655 A KR 20190063655A KR 102260456 B1 KR102260456 B1 KR 10226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layer
insertion groove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378A (ko
Inventor
엄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Priority to KR102019006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45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중앙이 관통된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삽입홈에 고정클립이 결합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제1 삽입홈과 고정클립 사이에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직물로 형성된 제1 흡음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에 직물로 형성된 제1 흡음층을 고정클립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제1 흡음층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흡음재{SOUND ABSORBERS}
본 발명은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부딪히는 소리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반사음을 줄여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장소에 사용되는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화회관, 강당 및 방송실 등과 같은 구조물에 있어 소음을 차단하고 목적하는 음의 원활한 청취를 위해 다량의 흡음재를 사용하여 오고 있다.
이러한 흡음재는 문화회관, 강당 및 방송실 등의 청중이 또는 수강 인원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제거하고 목적하는 음이 실내에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발생 가능한 소음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목적음만을 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흡음재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흡음재는 인간이 느끼는 소음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 소음으로 인한 신경쇠약을 방지하며 더 나아가 난청 등의 부작용을 제거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재료이다.
흡음재는 기본적으로 음파 에너지를 받아들여 이를 진동 등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킨 후 운동에 의한 열에너지로 바꾸어 대기 중에 혹은 흡음재 자체 내로 흡수시키게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다양한 길이의 파장에 따라서 진동 등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파장 영역만큼이나 다양한 형태의 흡음재 성분이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의 흡음재는 최대한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흡음 효과를 제공하고 있지만, 종래에는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재질 변경 및 두께를 변경하여 원가를 상승시켜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0789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1374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3041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691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두께와 상관없이 저음력대와 중,고음력대를 모두 흡음할 수 있는 흡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직물로 형성된 흡음층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는, 중앙이 관통된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삽입홈에 고정클립이 결합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제1 삽입홈과 고정클립 사이에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직물로 형성된 제1 흡음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에 결합되고, 폴리에스터로 형성된 제2 흡음층; 및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목재로 형성된 제3 흡음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흡음층은, 상기 제1 흡음층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흡음층은, 등간격으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하부가 상기 제1 삽입홈의 하면에 밀착되고, 하부 일측이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밴딩되며, 하부 타측이 대각선 상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 상부에 밀착되도록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단부가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을 따라 하방으로 밴딩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단부의 하방으로 밴딩된 부분 중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마주보는 부분에 갈퀴편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다른 프레임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수단은 후방으로 제1 홀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에는 고정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홀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홀과 직교되는 부분에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상기 제2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흡음재에 따르면, 프레임부에 직물로 형성된 제1 흡음층을 고정클립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제1 흡음층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흡음층과 프레임부 중앙에 배치되는 제2 흡음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음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목재로 형성되고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제3 흡음층을 결합함으로써, 저음력대와 중,고음력대를 모두 흡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결합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B"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흡음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는 직물로 형성된 흡음층를 클립으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100)는 프레임부(110), 고정클립(120), 제1 흡음층(130), 제2 흡음층(140) 및 제3 흡음층(15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중앙이 관통된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내주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삽입홈(112)이 형성되며, 내주면 타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삽입홈(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삽입홈(112)은 내주면 중 일측 단부와 대략 5mm 정도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공간부(S)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흡음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물론, 알루미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10)는 벽이나 천정에 설치 또는 고정되는 것으로, 와이어에 의해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부속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120)은 상기 제1 삽입홈(111)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클립(12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사각 틀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도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바 형상인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틀의 직교된 부분에서 밴딩되며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립(120)은 상기 제1 삽입홈(111)에 삽입 결합되어, 후술될 제1 흡음층(130)을 상기 제1 삽입홈(111)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120)은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흡음층(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클립(120)은 단면 기준으로, 하부가 상기 제1 삽입홈(111)의 하면에 밀착되는 바닥편(12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편(1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삽입홈(111)의 일측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밴딩되는 제1 밴딩편(122)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편(121)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삽입홈(111)의 타측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밴딩되는 제2 밴딩편(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밴딩편(123)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111)의 일측 내벽 상부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밴딩편(124)이 형성되며, 상기 밴딩편의 단부는 상기 제1 삽입홈(111)의 일측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밴딩된 제4 밴딩편(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 밴딩편(125) 중 상기 제1 삽입홈(111)의 일측 내벽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갈퀴편(1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밴딩편(124)은 탄성을 가지며, 이에 상기 제4 밴딩편(125)이 상기 제1 삽입홈(111)의 일측 내벽과 이격되거나 밀착되고, 상기 제1 삽입홈(111)의 일측 내벽과 제4 밴딩편(125) 사이에 후술될 제1 흡음층(13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립(120)은 상기 갈퀴편(126)을 통해 후술될 제1 흡음층(13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제1 흡음층(130)은 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110)의 제1 삽입홈(111)에 각 모서리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클립(12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흡음층(13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면에 팽창하게 펼쳐지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흡음층(130)을 통해 소리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음을 흡음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흡음층(14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제2 삽입홈(112)에 결합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 흡음층(140)은 폴리에스터 뿐만 아니라, 우레탄, 그리시울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흡음층(140)은 상기 프레임부(110) 중앙의 관통된 부분이 차폐되도록 상기 프레임부(110)의 중앙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흡음층(13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삽입홈(11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흡음층(14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되되 상기 일측 단부와 5mm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삽입홈(112)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1 흡음층(130) 및 흡음층 사이에는 5mm 공간에 의한 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S)는 상기 제1 흡음층(130)과 제2 흡음층(140) 사이에 배치되어 소음을 흡음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음층(140)은 소음을 흡음하되, 중,고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제3 흡음층(15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제3 삽입홈(113)에 결합되는 것으로, 목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흡음층(150)에는 다수의 타공(1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타공(151)은 1~5mm의 직경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3 흡음층(150)은 소음을 흡음하되, 저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결합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200)는 프레임부(210), 고정클립(120), 제1 흡음층(130), 제2 흡음층(140) 및 제3 흡음층(15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210)는 외주면의 상하측 중 어느 하나 및 좌우측 중 어느 하나에 자성체(211)가 결합되고, 상하측 중 나머지 하나 및 좌우측 중 나머지 하나에 철판(212)이 결합된다.
이는, 본 발명의 흡음재(200)가 또 다른 흡음재(200´)와 서로 자성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결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B"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300)는 프레임부(310), 고정클립(120), 제1 흡음층(130), 제2 흡음층(140) 및 제3 흡음층(15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310)는 외주면의 상하측 중 어느 하나 및 좌우측 중 어느 하나에 제1 결합수단(311)이 형성되고, 상하측 중 나머지 하나 및 좌우측 중 나머지 하나에 제2 결합수단(3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수단(311)은 상기 프레임부(310) 중 상기 어느 하나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310)의 타측면에 제1 홀(311a)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에 상기 제1 홀(311a)까지 연통되는 제2 홀(311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홀(311b)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돌출된 부분에 수나사산(311e)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311a)과 직교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311d)가 형성된 고정부재(311c)가 결합된다.
상기 제1 홀(311a)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311d)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311g)가 형성된 고정핀(311f)이 결합된다.
상기 제2 결합수단(312)은 상기 프레임부(310) 중 상기 나머지 하나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310)의 외주면에 상기 제2 홀(311b)과 대향되는 위치에 이동홈(31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312a)에는 이동부재(312b)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312b)의 내주면에는 상기 또 다른 흡음재(300´)의 고정부재(311c)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312c)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312b)는 상기 이동홈(312a)의 내측에 스프링(312d)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312d)은 상기 이동부재(312b)를 상기 이동홈(312a)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또 다른 흡음재 (300´)의 고정부재(311c)가 삽입되었을 때 수축된다.
여기서, 상기 또 다른 흡음재(300´)의 고정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또 다른 흡음재(300´)의 고정부재(311c)가 회전되고, 상기 또 다른 흡음재(300´)의 고정부재(311c)가 회전되며 상기 이동부재(312b)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또 다른 흡음재(300´)의 고정부재(311c)가 회전될 때, 상기 이동부재(312b)가 상기 스프링(312d)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또 다른 흡음재(300´)의 고정부재(311c)와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흡음재(300)와 또 다른 흡음재(300´)가 서로 결합 분리되는 것은 물론,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합수단(311) 및 제2 결합수단(312)은 각 프레임부(310)의 외주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흡음재(300)에 또 다른 흡음재(300´)가 결합될 때, 서로 상하 반전이나 좌우 반전된 상태로도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음재에 따르면, 프레임부에 직물로 형성된 제1 흡음층을 고정클립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제1 흡음층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흡음층과 프레임부 중앙에 배치되는 제2 흡음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음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목재로 형성되고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제3 흡음층을 결합함으로써, 저음력대와 중,고음력대를 모두 흡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흡음재 110: 프레임부
111: 제1 삽입홈 112: 제2 삽입홈
113: 제3 삽입홈 120: 고정클립
121: 바닥편 122: 제1 밴딩편
123: 제2 밴딩편 124: 제3 밴딩편
125: 제4 밴딩편 126: 갈퀴편
130: 제1 흡음층 140: 제2 흡음층
150: 제3 흡음층 151: 타공

Claims (6)

  1. 중앙이 관통된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삽입홈에 고정클립이 결합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제1 삽입홈과 고정클립 사이에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직물로 형성된 제1 흡음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에 결합되고, 폴리에스터로 형성된 제2 흡음층; 및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목재로 형성된 제3 흡음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흡음층은, 상기 제1 흡음층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흡음층은, 등간격으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하부가 상기 제1 삽입홈의 하면에 밀착되고, 하부 일측이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밴딩되며, 하부 타측이 대각선 상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 상부에 밀착되도록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단부가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을 따라 하방으로 밴딩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단부의 하방으로 밴딩된 부분 중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마주보는 부분에 갈퀴편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다른 프레임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수단은 후방으로 제1 홀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에는 고정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홀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홀과 직교되는 부분에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상기 제2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3655A 2019-05-30 2019-05-30 흡음재 KR10226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55A KR102260456B1 (ko) 2019-05-30 2019-05-30 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55A KR102260456B1 (ko) 2019-05-30 2019-05-30 흡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78A KR20200137378A (ko) 2020-12-09
KR102260456B1 true KR102260456B1 (ko) 2021-06-04

Family

ID=7378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655A KR102260456B1 (ko) 2019-05-30 2019-05-30 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4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066B2 (ja) * 1993-01-28 2001-10-09 ロシュ 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ナライトの嫌気的定量に有用な組成物
KR200254570Y1 (ko) 2001-06-05 2001-12-01 강호중 사무실 칸막이벽 구조
KR200291869Y1 (ko) 2002-07-05 2002-10-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도로용 방음벽
KR100533932B1 (ko) 2005-05-11 2005-12-07 신세계산업(주) 투명 방음판
JP2009063853A (ja) * 2007-09-07 2009-03-26 Kanbo Pras Corp シートの展張装置
KR200462852Y1 (ko) 2010-03-11 2012-10-09 (주)애드라이트 라이트패널의 광고필름 고정구조
KR101523577B1 (ko) * 2014-07-21 2015-05-29 최성준 직물 마감된 목재 흡음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899U (ko) 1998-10-12 2000-05-06 권호택 Lmb의 캐소드 포일 가이드 장치
KR20150069124A (ko) 2013-12-13 2015-06-23 서원영 시각보조기와 이를 이용한 시각장애자용 길 안내 시스템
KR20170041519A (ko)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파티션 조립체
KR101786847B1 (ko) * 2016-02-03 2017-10-18 (주)밴엔지니어링 액자형 흡음패널
KR102012080B1 (ko) * 2017-08-18 2019-08-19 김진섭 흡음보드
JP3217066U (ja) * 2018-05-01 2018-07-12 ▲達▼▲亜▼帆布(上海)有限公司 壁面装飾壁布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066B2 (ja) * 1993-01-28 2001-10-09 ロシュ 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ナライトの嫌気的定量に有用な組成物
KR200254570Y1 (ko) 2001-06-05 2001-12-01 강호중 사무실 칸막이벽 구조
KR200291869Y1 (ko) 2002-07-05 2002-10-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도로용 방음벽
KR100533932B1 (ko) 2005-05-11 2005-12-07 신세계산업(주) 투명 방음판
JP2009063853A (ja) * 2007-09-07 2009-03-26 Kanbo Pras Corp シートの展張装置
KR200462852Y1 (ko) 2010-03-11 2012-10-09 (주)애드라이트 라이트패널의 광고필름 고정구조
KR101523577B1 (ko) * 2014-07-21 2015-05-29 최성준 직물 마감된 목재 흡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78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44119A (ja) 吸音パネル
ES2431803T3 (es) Panel
KR101890416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KR20190093989A (ko) 흡음기능을 개선한 흡음패널
KR102260456B1 (ko) 흡음재
US20140262607A1 (en) Kit For Assembling Acoustic Treatments To Surfaces
JP2016009020A (ja) 吸音パネル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200386842Y1 (ko) 돌출형 방음판
KR101715241B1 (ko) 향음 기능을 갖는 흡음장치
CN215442840U (zh) 一种用于机场装饰用冲孔波纹板
KR20210098752A (ko) 공동주택 건축물에서의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200110950A (ko) 가설 방음판
CA2881415A1 (en) Panel for walls, ceilings, false ceilings, floor surfaces, furnishing elements and the like
KR102025689B1 (ko) 상쇄간섭홀이 구비된 흡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패널
KR20140051530A (ko)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JP3182149U (ja) 連結部材を有するパーテーション
KR20120014372A (ko) 소음 감쇠기
JPS5952299A (ja) 空気調和機の吸音装置
KR102288483B1 (ko) 흡음패널
KR20090011141A (ko) 방음판넬
KR101751022B1 (ko) 흡음과 방습 및 단열용 내장재
KR100993662B1 (ko) 흡음패널 조립체
KR101387577B1 (ko) 방음벽
KR100878845B1 (ko) 층간 소음 방지용 패킹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