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519A - 파티션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티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519A
KR20170041519A KR1020150141051A KR20150141051A KR20170041519A KR 20170041519 A KR20170041519 A KR 20170041519A KR 1020150141051 A KR1020150141051 A KR 1020150141051A KR 20150141051 A KR20150141051 A KR 20150141051A KR 20170041519 A KR20170041519 A KR 20170041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rtion groove
panel
vertical frame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Priority to KR102015014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1519A/ko
Publication of KR2017004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경량화를 이루면서 표면에 다양한 형상 및 무늬를 갖는 시트를 쉽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 조립체는, 상하로 배치되며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과 직교되게 좌우로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끝단을 상호연결하며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코너마감재와; 상기 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코너마감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패널과; 각각의 상기 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부착되며 테두리가 상기 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코너마감재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시트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시트의 테두리를 고정결합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티션 조립체{A partition assembly}
본 발명은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경량화를 이루면서 표면에 다양한 형상 및 무늬를 갖는 시트를 쉽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사무용 간이 칸막이)은 사무실 등의 실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구획함으로서 사무실 내에서의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각 부서의 공간을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구성원의 업무집중력을 향상하거나 또는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파티션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반 파티션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고 높이 및 두께에 따라 설계되는데, 파티션의 높이는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되고, 두께가 넓을수록 안정감이 뛰어나며 블록 파티션은 일반 파티션의 단조로움을 덜고 구성원의 디자인 감각이나 업무효율을 증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파티션으로서 블록의 수와 각 블록의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무실 바닥면을 구획하는 파티션의 경우는 사무실의 협소화 및 사무실의 이동통로가 마치 미로를 연상화함에 따라 요즘에는 사무실 종사자의 책상과 책상간을 구획하는 소형 파티션이 유행하고 있고 현실적으로도 좁은 사무실의 경우에는 사무실을 넓게 보이도록 하고 사무실 종사자의 정신적인 피로감을 해소토록 함으로서 업무의 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 파티션을 많이 애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소형 파티션은 책상 등과 같이 작업 공간을 분할해야 하는 장소에서 사용하게 되는 바, 소형 파티션의 형상 및 색상은 사무실의 실내 공간 미적 요소을 좌우하게 된다.
즉, 소형 파티션이 작업 능률 및 실내 공간을 커버하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형 파티션의 형태 및 색상이 작업 능률 및 실내 공간미의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종래의 책상용 소형 파티션으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434호 등이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책상용 소형 파티션은 일반적으로 시트를 부착시, 파티션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크기에 맞게 부착하게 된다.
이때, 파티션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크기에 맞게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트를 파티션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크기 보다 크게 절단하여 파티션에 부착한 다음, 오버되는 부분를 절단하여 파티션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크기에 맞게 부착하였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시트의 오버되는 부분을 절단시 정확하게 절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이 필요로 하고, 시트를 두 번 절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래 사용시 부착된 시트의 테두리 부분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43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티션을 이루는 프레임의 테두리 외측면에 오버되는 시트를 삽입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오버되는 시트를 절단할 필요가 없고, 상기 삽입홈에는 시트의 테두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마감처리를 깨끗하게 하도록 하여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시트를 부착할 수 있으면서, 탄성부재에 의해 부착된 시트지가 쉽게 떨어지지 않게 하는 파티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티션 조립체는, 상하로 배치되며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과 직교되게 좌우로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끝단을 상호연결하며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코너마감재와; 상기 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코너마감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패널과; 각각의 상기 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부착되며 테두리가 상기 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코너마감재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시트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시트의 테두리를 고정결합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패널의 테두리를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호 맞대응되게 절곡형성하여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너마감재의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코너마감재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시트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음재는 허니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를 보강해 주는 심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탄성부재가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삽입홈에 삽입된 시트의 테두리를 고정해 줌으로써,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시트를 부착할 수 있고, 시트가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모서리를 미려하게 마감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패널을 절곡형성하여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삽입홈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상기 패널이 가려주기 때문에 상기 시트 마감 후, 연결부의 표시를 최소화 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삽입홈에 이탈방지턱을 일체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가 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쉽고 간단하게 압출성형에 의해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에 상기 이탈방지턱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코너마감재의 삽입홈에 이탈방지턱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코너마감재의 상기 삽입홈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강하게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삽입홈의 좌우 양측에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트의 오버되는 테두리부분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쉽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여섯째, 흡음재를 허니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음 등이 반대편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파티션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심재가 상기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를 보강해 줌으로써, 책상에 설치시 패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시, 결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코너마감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패널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패널을 절곡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파티션의 전체 두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A-A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B-B를 절취한 단면도.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는 책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경량화를 이루면서 표면에 다양한 형상 및 무늬를 갖는 시트를 쉽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고, 부착된 시트가 잘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하 아래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는, 가로프레임(10), 세로프레임(20), 코너마감재(30), 패널(40), 시트(50), 탄성부재(60), 흡음재(70) 및 심재(80)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하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로프레임(10)의 외측면 즉, 파티션의 테두리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함께 파티션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직교되게 좌우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외측면 즉, 파티션의 테두리면에는 전술한 세로 프레임과 동일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A)이 형성된다.
상기 코너마감재(30)는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끝단을 상호연결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너마감재(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1)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31)는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에 삽입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외측면에도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상기 세로프레임(20)처럼 도 2에 도시 바와 같이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A)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40)은 얇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패널(40)의 테두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호 맞대응되게 절곡형성하여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A1)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A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탄성부재(60)가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널(40)을 절곡형성하여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A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을 상기 패널(40)이 가려주기 때문에 상기 시트(50) 마감 후, 연결부의 표시를 최소화 하면서 상기 탄성부재(60)가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시트(50)는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을 이루는 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시트(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패널(4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부착되며, 테두리가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시트(50)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패널(40), 상기 가로프레임(10),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에 접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시트(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에 의해 상기 가로프레임(10),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에 고정결합되기 때문에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60)는 단면상 원형으로 탄성력이 있는 고무나 연질의 PVC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6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A) 즉,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프레임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시트(50)의 테두리를 고정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A1)에 의해 강제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0)는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가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시트(50)의 테두리를 고정해 줌으로써,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시트(50)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삽입홈(A)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A1)이 일체형성된다.
즉,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A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0)을 절곡하여 형성하였지만, 상기 코너마감재(3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A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상기 삽입홈(A)에서 상기 탄성부재(6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상기 삽입홈(A)에 상기 이탈방지턱(A1)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60)가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상기 삽입홈(A)에서 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강하게 상기 시트(50)를 고정해준다.
상기 삽입홈(A)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시트(5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공간부(A2)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공간부(A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50)의 테두리 즉, 오버되고 남은 상기 시트(50)의 테두리를 말아서 안착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A)의 좌우 양측에 공간부(A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트(50)의 오버되는 테두리부분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쉽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흡음재(70)는 허니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음재(70)를 허니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음 등이 반대편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시키면서, 파티션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심재(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를 보강해 준다.
즉, 상기 심재(80)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 패널(40)이 책상에 설치시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심재(80)가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를 보강해 줌으로써, 상기 패널(4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시, 결합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음재(70)에 별도로 홈을 형성하여 상기 심재(80)와 상기 흡음재(70)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상기 흡음재(70)만 또는 상기 심재(80)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0)를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삽입홈(A)에 이탈방지턱(A1)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마감재(30)에는 전체적인 두께가 동일하게 하기 위해 패널(40)이 절곡되지 않는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양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0)이 안착되게 단턱(P)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70) 및 각각의 구성요소를 접합하는 접착제는 발포본드를 상용하여 경량화 및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의 조립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을 상기 코너마감재(30)로 연결하여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일측면에 상기 패널(40)의 테두리를 발포본드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이후,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 사이에 상기 흡음재(70)와 심재(80)를 발포본드로 접착한 다음,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의 타측면에 상기 패널(40)을 접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시트(50)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각각의 상기 패널(40)과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를 감싸도록 접착한 다음, 오버된 부분 즉, 남음 부부은 말아서 상기 삽입홈(A)의 상기 공간부(A2)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탄성부재(60)를 상기 안착홈에 강제로 삽입하여 상기 시트(50)의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마감되게 한다.
한편, 이렇게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패널(4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A1)과 상기 코너마감재(30)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A1)에 의해 임으로 상기 삽입홈(A)에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는, 가로프레임(10), 세로프레임(20), 코너마감재(30), 패널(40), 시트(50), 탄성부재(60), 흡음재(70) 및 심재(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A1)이 상이하고,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패널(30)이 삽입되는 단턱(P)이 형성될 뿐,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A1)을 일체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턱(A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를 강제로 삽입하여 상기 시트(50)의 테두리를 고정결합하게 하면서 상기 탄성부재(60)가 상기 삽입홈(A)에서 임으로 이탈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에 이탈방지턱(A1)을 일체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60)가 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쉽고 간단하게 압출성형에 의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에 상기 이탈방지턱(A1)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 2에는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패널(40)에 의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A1)을 형성하지 않았기에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좌우 양측에는 실시예 1의 상기 코너마감재(30)와 동일하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0)의 테두리 부가 안착되는 단턱(P)을 형성하여서 파티션의 전체 두께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턱(P)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패널(50)의 단부를 절곡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A1)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조립과정도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책상용 소형 파티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가로프레임 20: 세로프레임 30: 코너마감재
31: 결합돌기 40: 패널 50: 시트
60: 탄성부재 70: 흡음재 80: 심재
A: 삽입홈 A1: 이탈방지턱 A2: 공간부
P: 단턱

Claims (8)

  1. 상하로 배치되며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프레임(10)과;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직교되게 좌우로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20)과;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끝단을 상호연결하며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A)이 형성된 코너마감재(30)와;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패널(40)과;
    각각의 상기 패널(4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부착되며 테두리가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되는 시트(50)와;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시트(50)의 테두리를 고정결합하는 탄성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패널(40)을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호 대향되게 절곡형성하여서,
    상기 각 패널(40)의 단부가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A)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이탈방지턱(A1)을 형성하여서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A)에 접하는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의 단부에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A1)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10), 상기 세로프레임(20) 및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상기 패널(4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단턱(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상기 삽입홈(A)에는,
    상기 코너마감재(30)의 상기 삽입홈(A)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A1)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A)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시트(5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공간부(A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재(7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음재(70)는 허니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패널(40)과 상기 패널(40) 사이를 보강해 주는 심재(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KR1020150141051A 2015-10-07 2015-10-07 파티션 조립체 KR20170041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051A KR20170041519A (ko) 2015-10-07 2015-10-07 파티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051A KR20170041519A (ko) 2015-10-07 2015-10-07 파티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519A true KR20170041519A (ko) 2017-04-17

Family

ID=5870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051A KR20170041519A (ko) 2015-10-07 2015-10-07 파티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15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48B1 (ko) * 2019-05-28 2020-03-03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
KR20200137378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흡음재
KR20210017647A (ko) * 2019-08-09 2021-02-17 뷰로맥스 주식회사 사무용 칸막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48B1 (ko) * 2019-05-28 2020-03-03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
KR20200137378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흡음재
KR20210017647A (ko) * 2019-08-09 2021-02-17 뷰로맥스 주식회사 사무용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109B2 (ja) パネル組立セ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41519A (ko) 파티션 조립체
US4561229A (en) Modular screen assembly
US3300901A (en) Door body
CA2965147C (en) Wall panel angled connector system
US3237333A (en) Picture frame assembly
US20130031818A1 (en) Frame Dividing Insert
JP2015000255A (ja) 複合板材、複合板材の製造方法、天板
KR101473753B1 (ko) 텐션클립을 이용한 패널
KR102240372B1 (ko) 사무용 칸막이
KR20170002851U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KR20200007127A (ko) 조립식 가구의 선반받침조립체
JP6648378B2 (ja) パネル体
US9051740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trofitting glass wall panel system with glass wall panel
KR200489812Y1 (ko) 유리창 고정구조
KR101562796B1 (ko) 조립식 파티션
JP5872087B1 (ja) 板状体
JP2003013525A (ja) 間仕切
KR101369063B1 (ko) 프레임 구조 어셈블리
KR200468768Y1 (ko) 가구의 코너 마감구조
KR200497069Y1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JP6758823B2 (ja) パネル体
JPH10292741A (ja) ガラスの固定構造
JP7111473B2 (ja) 移動間仕切装置
JPS5936605Y2 (ja) 壁埋込み型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