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02U -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 Google Patents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02U
KR20150002702U KR2020140004900U KR20140004900U KR20150002702U KR 20150002702 U KR20150002702 U KR 20150002702U KR 2020140004900 U KR2020140004900 U KR 2020140004900U KR 20140004900 U KR20140004900 U KR 20140004900U KR 20150002702 U KR20150002702 U KR 201500027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present
partition panel
groo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철
Original Assignee
전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철 filed Critical 전병철
Publication of KR20150002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Abstract

본원 고안은 실내를 부분적으로 구획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홈 결합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로서, 측면 테두리 단부면에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 한 쌍의 에지를 부착하여 테두리를 마감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쫄대를 삽입하여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CONSOLIDATION STRUCTURE OF HOLE FOR PARTITION}
실내를 부분적으로 구획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홈 결합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로서, 일측면 테두리 단부면에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 에지를 부착하며,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쫄대를 삽입하여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 분할을 위한 파티션(partition)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업무능률을 향상시키며 직원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할 수 있고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보다 집중력 있고 창의적인 사무환경을 제공하며, 사무실 등에서는 부서별로 각기 다른 업무를 행함에 따라 칸막이로서 파티션을 설치하여 각 부서의 공간을 구획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파티션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패널이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프레임은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이 사각의 틀을 형성하고, 그 중간에는 다수의 보강 부재가 수평방향으로 배설되어 수직패널을 보강하는 구조로 사용되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전, 후면에 다수의 패널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착탈 가능한 앞 판 및 뒷 판 패널과 이들을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 하 동일한 위치에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패널의 상, 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구멍에 파티션용 패널 고정클립을 삽입 및 고정하되, 상기 파티션용 패널 고정클립은 중앙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돌출단부를 구비하는 얇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 확개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고정프레임의 상, 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삽압 및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프레임의 전, 후면에 패널을 설치하는 것은 용이할 수 있으나 고정프레임에 상, 하로 적층된 패널을 교체시 다른 패널에 간섭을 받아 교체할 패널을 쉽게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고정프레임과 패널의 분리시 패널이 작업자의 발이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어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면 테두리 단부면에 오목하게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 한 쌍의 에지를 부착하여 테두리를 마감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쫄대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조의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면 테두리 단부면에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 및
상기가이드 홈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에지;
를 포함하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가이드 홈은 넓이 4mm 내지 7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가이드 홈은 깊이 3mm 내지 5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에지는 접착제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에지 사이의 간격은 1mm 내지 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가이드 홈에는 쫄대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몸체부는 상기 머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지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파티션용 패널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파티션용 패널의 일측면 테두리 단부면에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 에지를 부착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쫄대를 삽입하여 연결시키므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설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뒤틀림이나 들뜸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에 미적 공간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티션용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프레임 없이 배치하여 설치하는 구조로, 적재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단부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가이드 홈에 부착되는 에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는 쫄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과 쫄대가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과 쫄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단부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가이드 홈에 부착되는 에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는 쫄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과 쫄대가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과 쫄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면 테두리 단부면(110)에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120) 및 상기 가이드 홈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111)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에지(1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일측면 테두리 단부면(110)에 요철형태로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120)을 형성시키고,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111)에 에지(130)를 덧대어 부착하여 본 고안의 파티션용 패널(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테두리를 마감한다.
이때, 상기 에지(1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이 관통 절개되어 두개로 나뉘어지며, 상기 절개부위는 상기 가이드 홈(120)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111)에 나란하게 부착한다. 이때, 상기 에지(130)는 접착제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면(11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111)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100)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홈(120)에는 몸체부(141)와 머리부(142)로 이루어진 쫄대(140)가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쫄대(140)는 몸체부(141)에서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 홈(120)에 대응하는 형상의 몸체부(141)로 이루어져 긴 막대모양으로 형성된다. 긴 막대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쫄대(14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20)에 상기 쫄대(140)의 상기 머리부(142)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14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상기 몸체부(141)는 상기 머리부(14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지(130)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41)의 타측면은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파티션용 패널(200)의 제2 가이드 홈(220)에 상기 몸체부(141)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머리부(142)가 삽입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쫄대(140)는 파티션용 패널(100)을 다수개로 평행하게 배열할 때 상기 가이드 홈(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지(130)는 상기 쫄대(140)가 상기 가이드 홈(120)에 삽입되어 결합하였을 때, 상기 머리부(142)가 흔들리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을 길이 방향으로 횡단시킨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20)은 넓이(W) 4mm 내지 7mm로 형성되고, 깊이(d) 3mm 내지 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120)의 넓이(W)는 4mm 이하일 경우 에지(130)가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면적이 커져서 상기 에지(130) 내측면(131)은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111)을 형성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상기 가이드 홈(120)에 상기 쫄대(14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에지(130)는 상기 쫄대(140)의 머리부(142)가 흔들리거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 역할을 못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20)의 넓이(W)는 7mm 이상일 경우 상기 에지(130)가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면적이 작아져서 상기 에지(130)의 내측면(131)은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111)을 형성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상기 가이드 홈(120)에 상기 쫄대(14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에지(130)는 상기 쫄대(140)의 머리부(142)가 흔들리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지못하고 뜯겨져나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지(130) 사이의 간격(W')은 1mm 내지 3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지(130) 사이의 간격(W')이 1mm 이하일 경우 상기 쫄대(140)의 몸체부(141)가 탄력 및 강도가 낮아져서 외부 압력에도 단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에지(130) 사이의 간격(W')이 3mm 이상일 경우 상기 가이드 홈(120)에 상기 쫄대(14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에지(130)의 내측면(131)이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111)을 형성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상기 쫄대(140)의 머리부(142)가 흔들리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지못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과 쫄대가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결합 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은 횡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할 때, 고정핀 없이 쫄대(140)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테두리 단부면(110)에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120)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면(111)에 에지(130)를 부착하여,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의 테두리 단부면(110)을 서로 인접하여 맞닿게 배치하면, 서로 맞닿은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의 사이에 상기 에지(130)가 서로 맞닿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정핀이나 나사 결합 없이 상기 쫄대(140)를 상기 가이드 홈(12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을 횡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이 서로 인접하여 결합 되는 부위가 미관상 저해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티션용 패널(100)의 상부에 상단 프레임을 구비하여 결합 되는 부위를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미도시)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파티션용 패널 110 : 단부면
111 : 양측면 120 : 가이드 홈
130 : 에지 131 : 내측면
140 : 쫄대 141 : 몸체부
142 : 머리부

Claims (6)

  1. 일측면 테두리 단부면에 오목하게 파인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에지;
    를 포함하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넓이 4mm 내지 7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깊이 3mm 내지 5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는 접착제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면에 부착되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사이의 간격은 1mm 내지 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에는 쫄대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몸체부는 상기 머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지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파티션용 패널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KR2020140004900U 2013-12-27 2014-06-30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KR2015000270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850 2013-12-27
KR2020130010850 2013-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02U true KR20150002702U (ko) 2015-07-08

Family

ID=5379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00U KR20150002702U (ko) 2013-12-27 2014-06-30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7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4B1 (ko) * 2018-09-17 2019-04-25 박종락 반도체 제조설비용 무빙케이블 보호 및 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4B1 (ko) * 2018-09-17 2019-04-25 박종락 반도체 제조설비용 무빙케이블 보호 및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674B2 (en) Clip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CN102076246A (zh) 壁元件
RU2017102411A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наружных элементов и нару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EP3619706B1 (en) Partition wall
JP5313012B2 (ja) デッキ材及びデッキ
US20090151300A1 (en) Quick-Mounting Partition Stucture
KR20150002702U (ko)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US20140341647A1 (en) Profiled frame element
KR101359906B1 (ko) 모듈형 조립식 파티션
KR20130015607A (ko) 인테리어 타일형 실내 벽체 마감재
CA2837410C (en) Clip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JP3180324U (ja) 組立式個室
KR20170041519A (ko) 파티션 조립체
USD552894S1 (en) Slat wall panel
CN210002622U (zh) 一种多功能室内金属隔断
KR102240372B1 (ko) 사무용 칸막이
JP4154531B2 (ja) 間仕切及びパネル要素の取付構造
CN108104398B (zh) 一种挂装结构及应用有该挂装结构的挂装系统
CA2466614A1 (en) Panel connection
KR20080099648A (ko) 파티션 연결장치
CN205577175U (zh) 智能式隔断结构
KR101869076B1 (ko)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ITMI20120620A1 (it) Dispositivo di giunzione a scomparsa per pannelli di un mobile o simile
JP5872087B1 (ja) 板状体
CN203373937U (zh) 立体装饰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