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076B1 -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 Google Patents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076B1
KR101869076B1 KR1020170033766A KR20170033766A KR101869076B1 KR 101869076 B1 KR101869076 B1 KR 101869076B1 KR 1020170033766 A KR1020170033766 A KR 1020170033766A KR 20170033766 A KR20170033766 A KR 20170033766A KR 101869076 B1 KR101869076 B1 KR 10186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bore wall
wall
des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102017003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6Desks with inlet and evacuation of ai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획기능을 구비하는 책상이다. 본 발명은 상판(10)의 양단에 제1 단부타공벽체(11)와 제2 단부타공벽체(12)가 설치되어 상판(10)을 지지함과 동시와 구획기능을 하고 상기 상판(10)의 선단을 따라 제1 선단타공벽체(20)가 설치되어 구획기능을 하며, 이들 타공벽체(11,12)(20)는 관통공(14')(20')의 면적이 35%에서 60%의 비율로 된 타공판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상판(10)의 지지를 위해 제1지지체(28)와 제2지지체(30)가 상판(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양단이 상기 제1 단부타공벽체(11)와 제2 단부타공벽체(12)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파티션없이 인접하는 책상 사이를 구획할 수 있어 책상이 놓여지는 공간을 아낄 수 있고, 타공벽체(11,12)(20)의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어 사무공간의 공기조화가 효율적으로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Desk having a comparting function}
본 발명은 구획기능을 가진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책상과의 구획을 하면서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한 타공벽체를 가진 책상에 대한 것이다.
다수의 사람이 근무하는 사무공간에서는 각 개인의 업무효율성을 위해서 개인의 책상을 주변과 구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책상 사이에 파티션을 두게 된다.
하지만, 파티션을 사용하게 되면 파티션 자체가 가지는 두께가 있어 바닥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파티션을 통해서는 공기가 유동될 수 없기 때문에 사무공간 내에서 공기유동이 좋지 않아 근무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6-0112427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0-0043355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119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사이를 구획하면서도 추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책상 사이를 구획하면서도 책상사이에서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에서 주위와 구획하며 관통공이 형성된 넓이부와 상기 넓이부의 폭방향 양단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두께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주위와의 구획을 수행하는 금속재질의 판으로 되어 상기 넓이부의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와, 상기 상판의 선단에 위치되고 관통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공기가 유동되며 주위와의 구획을 수행하는 제1선단타공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 제2단부타공벽체, 제1선단타공벽체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면적이 타공판 면적의 35%에서 60%를 차지하는 타공판으로 된다.
삭제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는 상기 두께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양단부는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 및 제2 단부타공벽체에 연결된다.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는 상기 상판의 선단에서 상기 제1 단부타공벽체 및 제2 단부타공벽체의 상단의 위치까지 위치되거나,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와 같은 구성의 제2선단타공벽체와 영역을 나눠 설치되어 상판의 선단과 외부를 구획한다.
상기 제1 단부타공벽체와 제2 단부타공벽체의 하단에는 하단마감재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단마감재가 설치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구획기능을 가지는 책상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타공판으로 상판 양측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를 구성하므로, 타공판의 두께 정도의 바닥면적만을 차지하여 구획기능을 달성하므로 구획 기능을 위해 별도의 면적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책상이 놓여지는 사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책상이 상판의 양단부와 선단에 타공판으로 만들어진 타공벽체가 설치되어 주변과 구획되는데, 상기 타공판의 타공율이 35에서 60%정도이어서 관통공들을 통해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책상사이가 구획이 되면서도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어 사무공간에서 개인의 사무공간을 주변과 구획하면서도 원활한 공기유동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획기능을 가지는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단부타공벽체와 상판 그리고 제1지지체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단부타공벽체와 제2선단타공벽체 및 상단마감재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단부타공벽체와 제2지지체 및 선단연결체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단부타공벽체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선단타공벽체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인접한 책상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책상은 상판(10)을 가진다. 상기 상판(10)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상판(10)은 나무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상판(10)의 4개의 모서리에는 각각 간섭회피부(10')가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또는 제2 단부타공벽체(11,12)와의 결합시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될 두께부(16)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 상기 간섭회피부(10')이다.
상기 상판(10)의 양단에는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가 결합된다.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는 모두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이들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는 예를 들면 금속판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만들어진다. 즉, 타공판으로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가 만들어진다. 상기 타공판은 금속판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인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면적이 전체 타공판 면적의 35%에서 60%를 차지하도록 된다. 여기서 관통공의 면적이 35%보다 작으면 타공판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상기 관통공의 면적이 60%보다 크게 되면 타공판의 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관통공의 면적이 60%보다 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1단부타공벽체(1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는 구획의 역할과 책상의 다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는 평판형상의 넓이부(14)와 상기 넓이부(14)의 폭방향 양단부에 있는 두께부(16)로 구성된다. 상기 넓이부(14)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께부(16)에도 역시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넓이부(14)의 폭은 상기 상판(10)의 폭과 같다. 상기 넓이부(14)는 상기 상판(10)의 일측 가장자리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고 높이는 상판(10)의 다리 역할과 주변과의 구획에 필요한 정도의 값을 가진다.
상기 두께부(16)는 일반적인 파티션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치수로 된다. 상기 두께부(16)를 두는 것은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의 강성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넓이부(14)의 폭방향 양단에서 일정한 폭만큼을 절곡하여 상기 두께부(16)를 만든다.
상기 넓이부(14)와 두께부(16)의 상단과 하단에는 결합편(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18)은 상기 넓이부(14)와 두께부(16)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소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18)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상기 결합편(18)을 두고 이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상단마감재(36)나 하단마감재(38)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가 관통되도록 한다.
상기 상판(10)의 선단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제1선단타공벽체(20)가 있다.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는 상판(10)의 선단 길이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상판(10)의 선단과 주변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에도 관통공(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는 사각형상으로 그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편(22)이 일정한 길이만큼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22)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와 체결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상판(10)과도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는 상기 상판(10) 위에 있는 물건이 상판(10)의 선단 가장자리를 통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와 같은 형상으로 제2선단타공벽체(24)가 있다. 상기 제2선단타공벽체(24)는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와 제2선단타공벽체(24)는 일체로 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제2선단타공벽체(24)에도 관통공(24')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편(26)이 있다. 상기 결합편(26)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와 체결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20)와 제2선단타공벽체(24)의 사이의 소정의 간격이 있다.
한편, 상기 상판(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제1지지체(28)와 제2지지체(30)가 있다. 상기 제1지지체(28)와 제2지지체(3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체(28)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편(29)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체(3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도 결합편(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체(28)에도 관통공(28')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체(30)에도 관통공(30')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지지체(28)는 상판(10)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 하단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판(10)을 지지하면서도 사용자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체(28)의 높이는 최소화된다.
상기 제2지지체(30)는 상판(10)의 선단쪽에 위치하여 상판(10)을 지지한다. 상기 제2지지체(30)는 상판(1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하지만 상판(10) 선단 하부를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체(30)는 상기 제1지지체(28)보다 높이방향의 치수가 더 크다.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서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의 최하부에서 상기 상판(10)의 선단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부연결체(33)가 있다. 상기 하부연결체(33)의 구성은 상기 제1선단벽체(20)와 같다. 상기 하부연결체(33)에는 관통공(3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연결체(33)의 양단이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와 각각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연결체(3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결합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34)의 나사공을 통해 나사가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와 체결된다.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의 상단에는 상단마감재(36)가 있고,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11)와 제2단부타공벽체(12)의 하단에는 하단마감재(38)가 있다. 이들 상단마감재(36)와 하단마감재(38)는 상기 상판(10)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10), 상단마감재(36), 하단마감재(38)는 목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고, 나머지 벽체와 지지체, 연결체는 금속으로 된 타공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구획기능을 가지는 책상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책상은 상판(10),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 제1선단타공벽체(20)가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 제1선단타공벽체(20)가 관통공이 형성된 면적이 35%에서 60%를 차지하는 타공판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1지지체(28)와 제2지지체(30)가 추가되면 상기 상판(10)의 지지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하부연결체(33)가 추가되면 제1 및 제2단부타공벽체(11,12) 사이의 연결의 견고성이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책상을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에 인접한 책상의 상판(10)을 결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를 인접하는 상판(10)이 공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를 공유함에 있어서, 공유되는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의 상기 두께부(16)가 돌출되는 방향 쪽에 있는 상판(10)의 간섭회피부(10')는 상기 두께부(16)와 상판(1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공유되지 않는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에서 상기 두께부(1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관통공(14')에 걸어지는 고리를 사용하여 물건을 걸어두는 곳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 제1선단타공벽체(20), 제2선단타공벽체(24)에 있는 관통공(14,20',24')을 활용하여 고리를 설치할 수 있어 필요한 물건을 걸어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11,12)(20,24)가 금속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마그네트를 활용해서 메모지나 물건 등을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마감재(38)를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의 하단에 장착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책상이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단마감재(36)를 목재로 만들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11,12)의 상단에 장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미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지지체(28)와 제2지지체(30)는 반드시 타공판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판재나 바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10: 상판 11: 제1단부타공벽체
12: 제2단부타공벽체 14: 넓이부
14': 관통공 16: 두께부
16': 관통공 18: 결합편
20: 제1선단타공벽체 20': 관통공
22: 결합편 24: 제2선단타공벽체
24': 관통공 26: 결합편
28: 제1지지체 28': 관통공
29: 체결편 30: 제2지지체
30': 관통공 31: 결합편
33: 하부연결체 33': 관통공
34: 결합편 36: 상단마감재
38: 하단마감재

Claims (7)

  1.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에서 주위와 구획하며 관통공이 형성된 넓이부와 상기 넓이부의 폭방향 양단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두께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주위와의 구획을 수행하는 금속재질의 판으로 되어 상기 넓이부의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제1 및 제2 단부타공벽체와,
    상기 상판의 선단에 위치되고 관통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공기가 유동되며 주위와의 구획을 수행하는 제1선단타공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 제2단부타공벽체, 제1선단타공벽체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면적이 타공판 면적의 35%에서 60%를 차지하는 타공판으로 되는 구획기능을 가진 책상.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는 상기 두께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부가 형성되는 구획기능을 가진 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양단부는 상기 제1단부타공벽체 및 제2 단부타공벽체에 연결되는 구획기능을 가진 책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는 상기 상판의 선단에서 상기 제1 단부타공벽체 및 제2 단부타공벽체의 상단의 위치까지 위치되거나, 상기 제1선단타공벽체와 같은 구성의 제2선단타공벽체와 영역을 나눠 설치되어 상판의 선단과 외부를 구획하는 구획기능을 가진 책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타공벽체와 제2 단부타공벽체의 하단에는 하단마감재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단마감재가 설치되는 구획기능을 가진 책상.
  7. 삭제
KR1020170033766A 2017-03-17 2017-03-17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KR10186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66A KR101869076B1 (ko) 2017-03-17 2017-03-17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66A KR101869076B1 (ko) 2017-03-17 2017-03-17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076B1 true KR101869076B1 (ko) 2018-06-19

Family

ID=6279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66A KR101869076B1 (ko) 2017-03-17 2017-03-17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0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4751B2 (ja) * 1990-11-28 1999-08-16 清水建設株式会社 組み立て机
JP4292781B2 (ja) * 2002-11-07 2009-07-08 株式会社イトーキ ワークステーション
KR20100043355A (ko) 2008-10-20 2010-04-29 조용호 칸막이가 구비된 책상
JP2010115333A (ja) * 2008-11-12 2010-05-27 Kokuyo Co Ltd 組立テーブル
KR101097179B1 (ko) * 2010-09-27 2011-12-21 조성욱 실험실습대
KR20150011946A (ko) 2013-07-24 2015-02-03 이찬중 칸막이 책상이 되는 책상
KR20160112427A (ko) 2015-03-19 2016-09-28 공상우 파티션 일체형 다목적 책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4751B2 (ja) * 1990-11-28 1999-08-16 清水建設株式会社 組み立て机
JP4292781B2 (ja) * 2002-11-07 2009-07-08 株式会社イトーキ ワークステーション
KR20100043355A (ko) 2008-10-20 2010-04-29 조용호 칸막이가 구비된 책상
JP2010115333A (ja) * 2008-11-12 2010-05-27 Kokuyo Co Ltd 組立テーブル
KR101097179B1 (ko) * 2010-09-27 2011-12-21 조성욱 실험실습대
KR20150011946A (ko) 2013-07-24 2015-02-03 이찬중 칸막이 책상이 되는 책상
KR20160112427A (ko) 2015-03-19 2016-09-28 공상우 파티션 일체형 다목적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799B2 (en) Adjustable shelf
US72346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rticles
US10104959B2 (en) Cabinet
US9603468B2 (en) Holding device for a bracket in a storage system
KR101869076B1 (ko) 구획 기능을 가진 책상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US9361812B2 (en) Modular storage component
CN103445582B (zh) 屏风及其连接装置
JP3144614U (ja) トイレルーム
PL417216A1 (pl) Składany stojak reklamowy
KR20150002702U (ko)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JP6276920B2 (ja) パーテーション
CN103445583B (zh) 落地屏风及支撑座
JP3204781U (ja) 組立家具
KR200331489Y1 (ko) 다단 확장 테이블
JP2003189953A (ja) パネルとデスクの組合せ家具
JP6725410B2 (ja) 配線収容什器
JP2003024154A (ja) 間仕切り及びその取付構造
JP2017038675A (ja) 組み立て家具
JP2006149597A (ja) 商品陳列用ボード
CN201252999Y (zh) 能拼接的隔离板及其拼接件
JP6087133B2 (ja) パネル取付治具
JP2001327339A (ja) 仕切板付き収納棚
TW201622542A (zh) 伺服器機殼
KR100946337B1 (ko) 스크린 파티션 및 책상 설치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