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372B1 - 사무용 칸막이 - Google Patents

사무용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372B1
KR102240372B1 KR1020190097243A KR20190097243A KR102240372B1 KR 102240372 B1 KR102240372 B1 KR 102240372B1 KR 1020190097243 A KR1020190097243 A KR 1020190097243A KR 20190097243 A KR20190097243 A KR 20190097243A KR 102240372 B1 KR102240372 B1 KR 10224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disposed
upper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647A (ko
Inventor
박창원
Original Assignee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로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3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79Details of connection of flexible sheet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용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과; 상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과; 상기 상부프레임(10)이나 하부프레임(30)을 수직프레임(50)에 상호 연결되며, 몸체(72)와, 상기 몸체(7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74)와, 상기 몸체(7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76)로 이루어진 코너캡 부재(70)와;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끼워지는 메인패널(80)과; 상기 메인패널(90)의 전,후면을 덮는 한 쌍의 시트(9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의 오염시 시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아울러, 수분으로 인한 시트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무용 칸막이{Office partition}
본 발명은 사무용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습기)으로 인해 사무용 칸막이의 커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오염시 커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사무용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사무용 칸막이(파티션)는 사무실의 실내 공간을 분할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업무 능률의 향상은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무용 칸막이(파티션)은 책상의 전방이나 좌우측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칸막이(파티션)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이러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는 프레임을 쉽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고 조립된 프레임에 커버를 씌워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의 조립식 파티션은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기둥형상의 복수개의 수직부재,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수직부재와 하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 편평한 판형 구조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전술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파티션은 커버를 탈부착하는 수단으로 지퍼, 벨크로, 클립, 단추, 버튼, 접착제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커버를 부착하게 되면 커버와 프레임사이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예를 들어, 지퍼, 벨크로(찍찍이)를 적용한 커버는 프레임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시킬 수 없고, 단추, 버튼을 적용한 커버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하는지 일예가 없으며, 접착제를 적용한 커버는 유해물질을 적용하게 되어 환경적 문제 및 수분(습기)으로 인한 들뜸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아울러 오염시 시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으로 인한 시트의 들뜸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유해물질(접착제 등)을 적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무용 칸막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이나 하부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상호 연결되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코너캡 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끼워지는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패널의 전,후면을 덮는 한 쌍의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코너캡 부재의 몸체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끼움부에 끼워지는 돌출턱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시트의 지지부는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에 끼워지고 상기 한 쌍의 시트의 수용부는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에 각각 끼워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절곡편에 고정시킨 후 시트의 타측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오염시 시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아울러, 수분으로 인한 시트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유해물질(접착제 등)을 적용하지 않게 되므로 친환경적인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상부프레임이나 하부프레임을 코너캡 부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상부,하부 및 수직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코너캡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메인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프로파일이 상부프레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30)과, 수직프레임(50)과, 코너캡 부재(70)와, 메인패널(80) 및 한 쌍의 시트(9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30)은 사각형태의 중공프레임으로써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3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10)이나 하부프레임(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가이, 코너캡 부재(70)를 개재하여 수직프레임(50)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상부, 하부 및 수직 프레임(10,30,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끼움부(55)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후술하는 프로파일(110)의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편(58)을 각각 구비하게 된다. 상기 원통형태의 끼움부(55)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함에 의해 상부, 하부 및 수직 프레임(10,30,5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후술하는 한 쌍의 시트(90)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너캡 부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태의 몸체(72)와, 상기 몸체(7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74)와, 상기 몸체(7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76)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72)는 제1 및 제2 측면(72a,72b)에 한 쌍의 돌출턱(75)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은 프로파일(11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의 상부에는 절곡된 형태의 한 쌍의 끼움부(75a)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부(75a)는 한 쌍의 돌출턱(75)의 결합시 함께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코너캡 부재(70)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74,7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74a,76a)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이나 수직프레임(50)에 삽설되는 연결편(74b,76b)을 각각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74b,76b)은 일측이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턱(74d, 76d)이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턱(74d, 76d)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개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패널(8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끼워지게 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골판지 형태의 주름부(82)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패널(80)은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각각 형성된 단턱부(도시되지 않음)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메인패널(80)의 재질은 종이, 알루미늄, 철판, 목재류(원목, PB(Particle Board), MDFB(Medium Density Fiber Boar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스트로폼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시트(9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패널(90)의 전,후면을 덮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재질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진 천, 비닐, 부직포, 가죽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서 측면에는 4개의 라운드부(92)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92)는 코너캡 부재(70)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92)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을 갖는 밴드(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설치하여 코너캡 부재(70)를 쉽게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시트(90)의 4면에는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부(94,94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94,94a)는 지지대 역할은 물론 수용부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94)는 일예로 시트(90)와 유사한 재질을 재봉하여 견고한 형태로 구성하여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트(90)의 지지부(94)는 수용부(96)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96)는 시트의 일부분이 접혀진 부분으로 시접 처리한 부분이라고 이해하기 바란다.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지지부(94)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6)에 각각 끼워지고, 한 쌍의 시트의 지지부(94a)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56)에 각각 끼워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10)의 한 쌍의 절곡편(58)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수평 프레임(1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이나 양측에 보조 물품(118)을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절곡편(116)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10)을 더 포함하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프로파일(110)은 별도로 보조 물품(118)(시계, 책꽂이, 필통, 보관함 등)을 설치할 경우 종래 사무용 칸막이에 비하여 그 활용도가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편(114)의 돌기부(114a)는 서로 외측으로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편(116)의 돌기부(116a)는 서로 내측으로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편(114)은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의 한 쌍의 절곡편(58)과 각각 끼워지게 구성되므로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의 공간부(도시되지 않음)를 줄이게 되므로 사무용 칸막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편(116)은 그 일측이나 양측에 보조 물품(118)을 끼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 물품(118)도 상기 제2 절곡편(116)에 끼울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30)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아울러 수직프레임(50)도 소정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30)을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코너캡 부재(70)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의 사이에 메인패널(80)을 끼우게 된다(즉, 상부프레임(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을 코너캡 부재(70)로 연결하고 메인패널(80)을 삽입한 후 하부프레임(30)을 코너캡 부재(70)에 끼우거나, 하부프레임(3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을 연결하고 코너캡 부재(70)로 연결하고 메인패널(80)을 삽입한 후 상부프레임(10)을 코너캡 부재(70)에 끼우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은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측으로 코너캡 부재(70)의 제1 연결부재(74)의 연결편(74b)을 끼우고 밀어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코너캡 부재(70)의 한 쌍의 돌출턱(75)은 상부프레임(10)의 사각단면(52)의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은 전술한 상부프레임(1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5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은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측으로 코너캡 부재(70)의 제2 연결부재(76)의 연결편(76b)을 끼우고 밀어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코너캡 부재(70)의 돌출턱(75)은 수직프레임(50)의 사각단면(52)의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에 코너캡 부재(70)를 연결하여 사각형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에 코너캡 부재(70)의 연결시, 한 개의 프레임을 배제하고 메인패널(80)을 끼워서 사각형의 중공부분이 채워진 사각형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메인패널(80)이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메인패널(80)의 전면에 한 쌍의 시트(90)중 하나의 시트(90)를 설치하고 이어서 메인패널(80)의 후면에 다른 시트(90)를 설치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는 하나의 시트(90)의 지지부(94)를 상부프레임(10)의 가이드 부재(56)에 끼우고 시트(90)를 당겨서 지지부(94)를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부재(56)에 끼우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시트(90)의 지지부(94a)는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56)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90)의 지지부(94,94a)는 박음질을 수행하여 딱딱하게 구성되므로 가이드 부재(56)에 끼워져 시트(9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90)의 지지부(94,94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96)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작업자 지지부(94,94a)를 가이드 부재(56)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90)는 4개의 모서리에는 라운드부(92)가 형성되므로 코너캡 부재(70)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시트(90)중 하나의 시트(90)는 메인패널(80)의 전면을 덮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시트(90)는 메인패널(80)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90)는 메인패널(80)을 덮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상기 시트(90)는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한 쌍의 수직프레임(50) 및 코너캡 부재(70)를 덮는 것으로 이해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상부프레임(10)이나 하부프레임(30)을 코너캡 부재(70)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50)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90)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부(94)를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부재(56)에 고정시키고 시트(90)의 타측에 배치된 지지부(94a)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의 가이드 부재(56)에 설치하게 되므로 시트(90)의 오염시 시트(9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아울러, 수분으로 인한 시트(90)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유해물질(접착제 등)을 적용하지 않게 되므로 친환경적인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사무실 또는 책상 등의 가구 산업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 상부프레임 30: 하부프레임
50: 수직프레임 70: 코너캡 부재
72: 몸체 74,76: 제1 및 제2 연결부재
80: 메인패널 90: 한 쌍의 시트
94,94a: 지지부 96: 수용부
110: 프로파일

Claims (9)

  1.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과;
    상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과;
    상기 상부프레임(10)이나 하부프레임(30)을 수직프레임(50)에 상호 연결되며, 몸체(72)와, 상기 몸체(7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74)와, 상기 몸체(7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76)로 이루어진 코너캡 부재(70)와;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끼워지는 메인패널(80)과;
    상기 메인패널(80)의 전,후면을 덮는 한 쌍의 시트(90);로 구성되는 사무용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은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끼움부(55)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프로파일(110)의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편(58)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코너캡 부재(70)의 몸체(72)는 제1 및 제2 측면(72a,72b)에 한 쌍의 돌출턱(75)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은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코너캡 부재(70)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74,76)는 브라켓(74a,76a)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이나 수직프레임(50)에 삽설되는 연결편(74b,76b)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지지부(94)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56)에 각각 끼워지고, 한 쌍의 시트(90)의 지지부(94a)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6)에 각각 끼워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74b,76b)은 일측이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턱(74d, 76d)이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패널(80)의 재질은 종이, 알루미늄, 철판, 목재류(원목,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 Boar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스트로폼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재질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진 천, 비닐, 부직포, 가죽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90)는 사각형 형태로서 측면에는 코너캡 부재(70)를 덮을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로 구성된 4개의 라운드부(9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무용 칸막이는 수평 프레임(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10)의 한 쌍의 절곡편(58)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수평 프레임(1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이나 양측에 보조 물품(118)을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절곡편(116)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편(114)의 돌기부(114a)는 서로 외측으로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편(116)의 돌기부(116a)는 서로 내측으로 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KR1020190097243A 2019-08-09 2019-08-09 사무용 칸막이 KR10224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43A KR102240372B1 (ko) 2019-08-09 2019-08-09 사무용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43A KR102240372B1 (ko) 2019-08-09 2019-08-09 사무용 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47A KR20210017647A (ko) 2021-02-17
KR102240372B1 true KR102240372B1 (ko) 2021-04-14

Family

ID=7473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243A KR102240372B1 (ko) 2019-08-09 2019-08-09 사무용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469B1 (ko) * 2021-03-12 2024-01-02 주식회사 퍼시스 파티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571A (ja) * 1999-04-21 2000-10-31 Ebarisu Kk 連結構造、継手および枠組体
JP2004068494A (ja) * 2002-08-08 2004-03-04 Kokuyo Co Ltd 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284U (ko) * 2007-08-01 2009-02-05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KR20170041519A (ko)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파티션 조립체
KR20170139923A (ko)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펀잇쳐스 조립식 파티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571A (ja) * 1999-04-21 2000-10-31 Ebarisu Kk 連結構造、継手および枠組体
JP2004068494A (ja) * 2002-08-08 2004-03-04 Kokuyo Co Ltd 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47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3474A (en) Portable wall partition
US4635418A (en) Portable partition wall system
US5701653A (en) Method of assembling a box spring frame
US10117521B2 (en) Upholstered furniture piece having upholstered arm panels
KR101633855B1 (ko) 상판받침부재가 구비된 테이블
US11034576B2 (en) Upholstery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 curved surface
KR102240372B1 (ko) 사무용 칸막이
KR20110076911A (ko) 플라스틱 바닥 매트
KR101420866B1 (ko) 책상
JP2007239359A (ja) シート張りパネル
JP2015000255A (ja) 複合板材、複合板材の製造方法、天板
US3981538A (en) Resilient platforms for seating
KR20170041519A (ko) 파티션 조립체
KR200485470Y1 (ko) 가구용 코너 마감재
KR20100009484U (ko) 안전 몰딩
KR102230184B1 (ko) 칸막이 부설 책상
KR200497069Y1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KR200481374Y1 (ko)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190001839U (ko) 종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 지지용 침대바닥판
KR20190001838U (ko)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US1945130A (en) Table top structure
KR102464699B1 (ko) 내충격성을 갖는 거울 및 그 제조방법
JPH08405Y2 (ja) クロス貼り分割パネル
KR100893351B1 (ko) 가구용 도어
JPS62205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