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838U -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 Google Patents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838U
KR20190001838U KR2020180000148U KR20180000148U KR20190001838U KR 20190001838 U KR20190001838 U KR 20190001838U KR 2020180000148 U KR2020180000148 U KR 2020180000148U KR 20180000148 U KR20180000148 U KR 20180000148U KR 20190001838 U KR20190001838 U KR 201900018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plate
support
sidewall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2020180000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838U/ko
Publication of KR20190001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이 개시된다. 실시예는,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하는 침대바닥판에 있어서, 장변과 단변을 갖는 판재; 판재의 장변의 양측 단부에 각기 형성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2지지부 각각은,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1측벽과, 제1측벽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측벽과, 제2측벽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단부와, 제1지지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1내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바닥판의 측단에 이어지도록 측면지지대를 형성하되, 측면지지대에 자체적인 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목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시간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Mattress supporting bed bottom plate comb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본 고안은 침대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침대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침대를 구성하는 매트리스는 침대바닥판 위에 올려져 배치된다.
침대바닥판은 대략 사각형의 판상이며, 두께를 갖는 합판이나 원목판으로 형성된다.
침대바닥판은 넓은 평판상의 합판의 가장자리에 지지목을 부착시켜 제조하였으나 지지목의 모서리가 직각이므로 충돌시 부상당할 위험이 있어 이부분에 대한 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하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서리를 둥글게 하는 라운딩면을 형성한 한 후 라운딩면 상에 무늬지를 부착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대단히 복잡하게 되어 비용이 고가로 소요되고 사용인력도 증가되며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 실용신안출원 20-2017-0005575호의 "침대바닥판이 구비된 침대"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판재의 측면을 접어서 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나 지지력이 약한 관계로 보조목을 부착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보조목을 부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5238호
개시되는 내용은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바닥판의 측단에 이어지도록 측면지지대를 형성하되, 측면지지대에 자체적인 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목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시간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하는 침대바닥판에 있어서, 장변과 단변을 갖는 판재; 판재의 장변의 양측 단부에 각기 형성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2지지부 각각은,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1측벽과, 제1측벽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측벽과, 제2측벽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단부와, 제1지지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1내측벽;을 포함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재의 단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지지부는,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3측벽과, 제3측벽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측벽과, 제4측벽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단부와, 제2지지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2내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2지지부와 제3지지부 사이에는 모서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판재의 장변과 단변 사이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5측벽과, 제5측벽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6측벽과, 제6측벽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3지지단부와, 제3지지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3내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바닥판의 측단에 이어지도록 측면지지대를 형성하되, 측면지지대에 자체적인 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목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시간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1실시예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1실시예의 조립된 정면도,
도 5는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조립된 저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 대한 조립된 정면도,
도 8은 상기 도 5에 대한 조립된 측단면도,
도 9는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대한 조립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1실시예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1실시예의 조립된 정면도, 도 5는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조립된 저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 대한 조립된 정면도, 도 8은 상기 도 5에 대한 조립된 측단면도, 도 9는 침대바닥판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대한 조립된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2개의 침대바닥판(A1,A2)이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침대바닥판의 머리부위와 발 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종방향으로 정의하고, 이 종방향 가상선에 직교되는 가상선을 횡방향으로 정의하며, 본 실시예는 2개의 침대바닥판이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2개의 침대바닥판(A1,A2)은 상체 지지와 하체 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침대바닥판(A1,A2)은 구성의 차이점을 갖는다. 즉 하체를 지지하는 침대바닥판(A2)은 단변측에 제3지지부가 더 형성되어 마감처리를 하도록 한 것이다.
[제1실시예]
침대바닥판(A1)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판재(100)와, 판재(100)의 장변의 양측 단부에 각기 형성되는 제1,2지지부(10,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재(100)는 장변과 단변을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천연목판 또는 합성목판, MDF판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판재(1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시트지(120)를 부착시킨다. 시트지(120)를 부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후술될 다수의 접이홈을 판재(100)를 파서 형성시키더라도 시트지(120)로 인해 측벽, 지지단부, 내측벽이 분리되지 않고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2지지부(10,20) 각각은,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1측벽(11)과, 제1측벽(11)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측벽(12)과, 제2측벽(12)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단부(13)와, 제1지지단부(13)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100)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1내측벽(14);으로 구성된다.
한편 판재(100)의 장변에 길이방향으로 홈 가공하여 다수의 접이홈(h1~h4)을 평행되게 형성한다.
판재(100)의 장변 양측 단부와 제1측벽(11)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접이홈(h1); 제1측벽(11)과 제2측벽(1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접이홈(h2); 제2측벽(12)과 제1지지단부(1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3접이홈(h3); 제1지지단부(13)와 제1내측벽(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4접이홈(h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접이홈(h1) 내지 제4접이홈(h4)은 단면이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접이홈(h1)은 사잇각이 90°이며, 제2접이홈(h2)은 사잇각이 30°, 제3접이홈(h3)은 사잇각이 60°, 제4접이홈(h4)은 사잇각이 90°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접이홈(h1)을 따라 접으면 제1측벽(11)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접이홈(h2)을 따라 접으면 제2측벽(1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3접이홈(h3)을 따라 접으면 제1지지단부(13)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4접이홈(h4)을 따라 접으면 제1내측벽(14)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1내측벽(14)의 상단은 판재(100)의 저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판재(100)의 양측에 제1,2지지부(10,20)가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비교적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측벽(11)은 폭이 매우 작으므로 측면에서 보았을때 외부에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이홈(h1)에 삼각형상의 제1접이돌기(71)가 형성되고, 제4접이홈(h4)에도 삼각형상의 제2접이돌기(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접이홈(h1)을 따라 제1측벽(11)을 접어 수직하게 형성시키면 제1접이돌기(71)가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제1내측벽(14)을 수직하게 접었을때에도 제2접이돌기(72)가 경사면을 형성됨으로써 판재와 제1측벽(11), 제1지지단부(13)와 제1내측벽(14)이 90도로 접히더라도 날카로운 부분이 없어 안전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재(100)의 저면과 제1내측벽(14)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내측벽(14)의 상단이 결합홈(140)에 끼움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100)의 저면과 제1내측벽(14)을 연결하며 단면이 'ㄱ'자형으로 된 브라켓(미도시)과,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판재(100)와 제1내측벽(14)에 체결되는 나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체를 지지하는 침대바닥판(A2)은 단변측에 제3지지부(30)가 더 형성되어 마감처리를 하도록 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0)의 단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지지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지지부(30)는,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3측벽(31)과, 제3측벽(31)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측벽(32)과, 제4측벽(32)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단부(33)와, 제2지지단부(33)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100)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2내측벽(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재(100)의 단변의 단부와 제3측벽(31)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5접이홈(h5); 제3측벽(31)과 제4측벽(3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6접이홈(h6); 제4측벽(32)과 제2지지단부(3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7접이홈(h7); 제2지지단부(33)와 제2내측벽(3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8접이홈(h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5접이홈(h5) 내지 제8접이홈(h8)은 단면이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5접이홈(h5)은 사잇각이 90°이며, 제6접이홈(h6)은 사잇각이 30°, 제7접이홈(h7)은 사잇각이 60°, 제8접이홈(h8)은 사잇각이 90°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해보면, 제5접이홈(h5)을 따라 접으면 제3측벽(31)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6접이홈(h6)을 따라 접으면 제4측벽(3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7접이홈(h7)을 따라 접으면 제2지지단부(33)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8접이홈(h8)을 따라 접으면 제2내측벽(34)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내측벽(34)의 상단은 판재(100)의 저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판재(100)의 단변 측(이는 사용자가 누웠을때 발이 위치되는 부위임)에 제3지지부(30)가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비교적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의 변형된 또다른 실시예는, 제5접이홈(h5)에 삼각형상의 제1접이돌기(71)가 형성되고, 제8접이홈(h8)에도 삼각형상의 제2접이돌기(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5접이홈(h5)을 따라 제3측벽(31)을 접어 수직하게 형성시키면 제1접이돌기(71)가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제2내측벽(34)을 수직하게 접었을때에도 제2접이돌기(72)가 경사면을 형성됨으로써 판재와 제3측벽(31), 제2지지단부(33)와 제2내측벽(34)이 90도로 접히더라도 날카로운 부분이 없어 안전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지지부(10,20)와 제3지지부(30) 사이에는 모서리지지부(50);가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지지부(50)는 판재(100)의 장변과 단변 사이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5측벽(51)과, 제5측벽(51)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6측벽(52)과, 제6측벽(52)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3지지단부(53)와, 제3지지단부(53)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100)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3내측벽(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6측벽(52)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3내측벽(54)을 향하는 변이 타변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2지지부(10,20)와 제3지지부(30) 사이의 사다라꼴 모양의 틈새에 꼭맞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100)의 저면와 제5측벽(51)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9접이홈(h9); 제5측벽(51)과 제6측벽(5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0접이홈(h10); 제6측벽(52)과 제3지지단부(5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1접이홈(h11); 제3지지단부(53)와 제3내측벽(5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2접이홈(h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9접이홈(h9) 내지 제12접이홈(h12)은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실시예의 변형된 또다른 실시예는, 제9접이홈(h9)에 삼각형상의 제1접이돌기(71)가 형성되고, 제12접이홈(h12)에도 삼각형상의 제2접이돌기(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9접이홈(h9)을 따라 제5측벽(31)을 접어 수직하게 형성시키면 제1접이돌기(71)가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제3내측벽(54)을 수직하게 접었을때에도 제2접이돌기(72)가 경사면을 형성됨으로써 판재와 제5측벽(51), 제3지지단부(53)와 제3내측벽(54)이 90도로 접히더라도 날카로운 부분이 없어 안전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판재(100)의 저면과 제3내측벽(54)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된다.
고정수단은 판재(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40)이며, 상기 제3내측벽(54)의 상단이 결합홈(140)에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100)의 저면과 제3내측벽(54)을 연결하며 단면이 'ㄱ'자형으로 된 브라켓(미도시)과,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판재와 제3내측벽(54)에 체결되는 나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실시예(A1) 내지 제3실시예(A3)에서 제1내측벽(14) 내지 제3내측벽(54)이 판재(100)의 저면에 지지되어 강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받침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되어 조립 공정은 간결해질 수 있으면서도 지지력은 월등히 강화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제1지지부 11 : 제1측벽
12 : 제2측벽 13 : 제1지지단부
14 : 제1내측벽 20 : 제2지지부
30 : 제3지지부 31 : 제3측벽
32 : 제4측벽 34 : 제2내측벽
50 : 모서리지지부 100 : 판재
h1 : 제1접이홈 h2 : 제2접이홈
h3 : 제3접이홈 h4 : 제4접이홈
h5 : 제5접이홈 h6 : 제6접이홈
h7 : 제7접이홈 h8 : 제8접이홈
h9 : 제9접이홈 h10 : 제10접이홈
h11 : 제11접이홈 h12 : 제12접이홈

Claims (15)

  1.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하는 침대바닥판에 있어서,
    장변과 단변을 갖는 판재;
    상기 판재의 장변의 양측 단부에 각기 형성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지지부 각각은,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2측벽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단부와,
    상기 제1지지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1내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장변 양측 단부와 제1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접이홈;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접이홈;
    상기 제2측벽과 제1지지단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3접이홈;
    상기 제1지지단부와 제1내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4접이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홈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제1접이돌기;
    상기 제4접이홈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제2접이돌기;가 포함되어,
    상기 제1접이홈을 따라 제1측벽을 접어 수직하게 형성시키면 제1접이돌기가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제1내측벽을 수직하게 접었을때에도 제2접이돌기가 경사면을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과 제1내측벽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이며, 상기 제1내측벽의 상단이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과 제1내측벽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의 저면과 제1내측벽을 연결하며 단면이 'ㄱ'자형으로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판재와 제1내측벽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단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지지부는,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3측벽과,
    상기 제3측벽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측벽과,
    상기 제4측벽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단부와,
    상기 제2지지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2내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단변의 단부와 제3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5접이홈;
    상기 제3측벽과 제4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6접이홈;
    상기 제4측벽과 제2지지단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7접이홈;
    상기 제2지지단부와 제2내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8접이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5접이홈에 삼각형상의 제1접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8접이홈에 삼각형상의 제2접이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5접이홈을 따라 제3측벽을 접어 수직하게 형성시키면 제1접이돌기가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내측벽을 수직하게 접었을때에도 제2접이돌기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과 제2내측벽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이며, 상기 제2내측벽의 상단이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과 제2내측벽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의 저면과 제2내측벽을 연결하며 단면이 'ㄱ'자형으로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판재와 제2내측벽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와 제3지지부 사이에는 모서리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판재의 장변과 단변 사이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접어져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5측벽과,
    상기 제5측벽에 이어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6측벽과,
    상기 제6측벽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3지지단부와,
    상기 제3지지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수직하게 접어져서 판재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제3내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와 제5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9접이홈;
    상기 제5측벽과 제6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0접이홈;
    상기 제6측벽과 제3지지단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1접이홈;
    상기 제3지지단부와 제3내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2접이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9접이홈에 삼각형상의 제1접이돌기가 형성되고, 제12접이홈에 삼각형상의 제2접이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9접이홈을 따라 제5측벽을 접어 수직하게 형성시키면 제1접이돌기가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제3내측벽을 수직하게 접었을때에도 제2접이돌기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과 제3내측벽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이며, 상기 제3내측벽의 상단이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과 제3내측벽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판재의 저면과 제3내측벽을 연결하며 단면이 'ㄱ'자형으로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판재와 제3내측벽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KR2020180000148U 2018-01-10 2018-01-10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KR201900018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48U KR20190001838U (ko) 2018-01-10 2018-01-10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48U KR20190001838U (ko) 2018-01-10 2018-01-10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38U true KR20190001838U (ko) 2019-07-18

Family

ID=6743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48U KR20190001838U (ko) 2018-01-10 2018-01-10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8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20A1 (ko) * 2022-03-31 2023-10-05 (주)에어박스 다용도 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38U (ko) 2011-01-10 2012-07-18 윤관호 침대의 바닥판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38U (ko) 2011-01-10 2012-07-18 윤관호 침대의 바닥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20A1 (ko) * 2022-03-31 2023-10-05 (주)에어박스 다용도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187B1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20190001838U (ko) 횡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지지용 침대바닥판
KR100664541B1 (ko) 조립식 골판지 테이블
US20030010814A1 (en) Folding laminated containers
KR20190001839U (ko) 종방향으로 조합되는 매트리스 지지용 침대바닥판
KR101491708B1 (ko) 친환경 조립식 종이 테이블
KR102240372B1 (ko) 사무용 칸막이
JP2006223702A (ja) ダンボール製の机・椅子の組立セット
KR200357730Y1 (ko) 휴대용 의자
KR200347595Y1 (ko) 침대용 매트리스 받침틀
KR101370883B1 (ko) 가구용 패널
KR200386601Y1 (ko) 가구용 패널
KR20100007971U (ko) 조립식 책상
KR20090001668U (ko) 절첩다리를 구비하는 침대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KR200443569Y1 (ko) 접철식 다목적 종이상자
JPH044604Y2 (ko)
KR100596356B1 (ko) 조립식 골판지 상
KR20190001093U (ko) 침대바닥판이 구비된 침대
KR200476711Y1 (ko) 포장상자
TWM514973U (zh) 組合式容器及其承載框
KR200454884Y1 (ko) 조립식 꽂이통
KR200430550Y1 (ko) 가구용 문판
KR200452885Y1 (ko) 침대의 결합구조
JP2002307582A (ja) 天 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