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74Y1 - 휴대용 책상 칸막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책상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74Y1
KR200481374Y1 KR2020150007630U KR20150007630U KR200481374Y1 KR 200481374 Y1 KR200481374 Y1 KR 200481374Y1 KR 2020150007630 U KR2020150007630 U KR 2020150007630U KR 20150007630 U KR20150007630 U KR 20150007630U KR 200481374 Y1 KR200481374 Y1 KR 200481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oard
fitting
core member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2020150007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있어서, 무게 및 부피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그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책상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크린보드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심재부재와, 심재부재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고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성체부재와, 각각의 자성체부재를 감싸는 마감부재 및 심재부재에 자성체부재가 접착 고정되도록 심재부재와 자성체부재 사이에 삽입 도포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심재부재는 골판지와, 크라프트지(kraft papaer)와, 중밀도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마감부재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책상 칸막이{PORTABLE DESK PARTITION}
본 고안은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상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있어서, 무게 및 부피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그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책상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기설정된 크기로 규격화된 상판과, 이를 지지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조를 나타내고, 상판 주변 사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나타낸다. 특히, 상판이 주변 사방으로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는 전방 또는 좌우측방을 주시하여 주변 상황을 관찰할 수 있으나, 이러한 주변 상황이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므로, 사용자는 집중이 흐트러지고, 책상에서의 학습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책상 주변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칸막이가 구비된 책상을 선호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에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칸막이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무게 및 부피가 상당하므로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어서 사용에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237호(고안의 명칭 :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2006. 06. 19.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상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있어서, 무게 및 부피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그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책상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보드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심재부재; 상기 심재부재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고,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성체부재; 각각의 상기 자성체부재를 감싸는 마감부재; 및 상기 심재부재에 상기 자성체부재가 접착 고정되도록 상기 심재부재와 상기 자성체부재 사이에 삽입 도포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부재는, 골판지와, 크라프트지(kraft papaer)와, 중밀도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부재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부재는,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끼움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상술한 스크린보드로 구성되는 제1스크린보드; 상기 제1스크린보드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스크린보드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술한 스크린보드로 구성되는 제2스크린보드; 및 상기 제1스크린보드에서 상기 제2스크린보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크린보드에 상기 제2스크린보드를 연결 고정시키는 절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크린보드와 상기 제2스크린보드에는,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자성체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과 상기 절첩부재가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홈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절첩부재는, 펠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끼움홈은, 상기 제1끼움홈에 비해 삽입 깊이가 크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상술한 스크린보드; 및 높이 방향으로 상기 스크린보드가 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린보드에 결합되는 설치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보드에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은,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브라켓부; 및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끼움브라켓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브라켓부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날개부; 및 상기 끼움날개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날개부; 및 상기 끼움브라켓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날개부에 구비되는 결합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블럭에는 상기 탈착리브부가 끼움 결합되는 탈착홈;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부는, 상기 지지날개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럭이 구비되는 이격날개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브라켓부는, 상기 탈착리브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끼움날개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리브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따르면, 책상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있어서, 무게 및 부피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그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책상을 구획할 수 있다.
특히, 심재부재와 마감부재의 한정에 따라 무게 및 부피를 줄이면서도 스크린보드의 강도 및 스크린보드의 평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휴대용 칸막이에 대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심재부재와 마감부재를 통해 스크린보드에 쿠션감과 두께감을 부여하고, 스크린보드의 제작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부재를 통해 스크린보드의 가장자리를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고, 책상 바닥과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스크린보드가 책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책상에서 칸막이의 설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절첩부재를 통해 인접한 두 스크린보드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반복적인 절첩 동작에서 인접한 두 스크린보드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끼움홈을 통해 절첩부재와 스크린보드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와 책상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낱장의 스크린보드를 세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스크린보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끼움브라켓부와 지지브라켓부가 상호 탈부착됨으로써, 낱장의 스크린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끼움브라켓부를 스크린보드에 안정되게 접착 고정시킬 수 있고, 적재시 지지브라켓부에 의한 스크린보드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다수의 스크린보드를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브라켓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세운 상태에서 스크린보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설치브라켓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크린보드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바닥과의 접촉에 의해 스크린보드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서 끼움브라켓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서 지지브라켓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무게 및 부피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그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책상을 구획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스크린보드(10)와, 절첩부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보드(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보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보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포함되는 상기 스크린보드(10)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린보드(10)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스크린보드(10)는 심재부재(101)와, 자성체부재(102)와, 마감부재(103)와, 접착부재(104)를 포함한다.
상기 심재부재(101)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심재부재(101)는 골판지와, 크라프트지(kraft papaer)와, 중밀도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린보드(10)의 평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면서도 휨 또는 꺽임을 억제 또는 방지하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자성체부재(102)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자성체부재(102)는 자석이 부착되도록 상기 심재부재(101)의 양면에 각각 적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부재(102)는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물질로 이루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상기 자성체부재(102)는 상기 심재부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107)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부재(10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07)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05)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크린보드(10)의 가장자리를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05)는 책상에 접촉됨에 따라 마찰력이 발생되어 상기 스크린보드(10)가 책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103)는 각각의 상기 자성체부재(102)를 감싼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03)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판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마감부재(103)의 가장자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부재(102)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자성체부재(102)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부재(102)에 상기 마감부재(103)를 접착해야 하는 추가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상기 마감부재(103)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04)는 상기 심재부재(101)에 상기 자성체부재(102)가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재(104)는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자성체부재(102) 사이에 삽입 도포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03)의 가장자리가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자성체부재(102)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마감부재(103) 사이에도 상기 접착부재(104)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보드(10)는 제1스크린보드(11)와, 상기 절첩부재(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스크린보드(12)로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스크린보드(12)는 상기 제1스크린보드(11)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스크린보드(12)는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스크린보드(1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재(20)는 상기 제1스크린보드(11)에서 상기 제2스크린보드(12)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크린보드(11)에 상기 제2스크린보드(12)를 연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절첩부재(20)는 펠트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접혔다가 펴지는 동작의 반복에 따른 상기 절첩부재(20)의 파손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상기 제1스크린보드(11)와 상기 제2스크린보드(1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재(20)의 구성에 따라 상기 끼움홈(107)에는 상기 절첩부재(20)와 상기 탄성부재(105)가 각각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10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05)가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107a)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부재(20)가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107b)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끼움홈(107b)은 상기 제1끼움홈(107a)에 비해 삽입 깊이가 크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스크린보드(1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절첩부재(20)가 접혔다가 펴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 절첩부재(20)가 상기 제2끼움홈(107b)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재(20)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마감부재(103)의 가장자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자성체부재(102) 사이에 삽입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절첩부재(20)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마감부재(103)의 가장자리는 상기 접착부재(104)에 의해 상기 자성체부재(102)와 상기 절첩부재(20)에 모두 접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스크린보드(11)에서 상기 제2스크린보드(12)가 회전될 때, 상기 절첩부재(20)가 상기 제2끼움홈(107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크린보드(10)에서 상기 절첩부재(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서 끼움브라켓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서 지지브라켓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무게 및 부피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그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책상을 구획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스크린보드(10)와, 설치브라켓(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보드(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보드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보드(10)는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자성체부재(102)와, 상기 마감부재(103)와, 상기 접착부재(10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보드(10)에는 상기 설치브라켓(30)의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홈(110)이 함몰 형성된다. 특히,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심재부재(101)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심재부재(101)의 양면에 상기 접착부재(104)를 매개로 상기 자성체부재(102)가 접합됨에 따라 안정된 상기 결합홈(110)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끼움브라켓부(31)의 끼움날개부(311)가 안정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05)가 상기 심재부재(10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끼움홈(107)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110)의 내주면에도 상기 탄성부재(105)가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끼움브라켓부(31)의 끼움날개부(311)가 끼움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을 보호하고, 상기 심재부재(101)가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30)은 높이 방향으로 상기 스크린보드(10)가 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린보드(10)에 결합된다. 상기 설치브라켓(30)은 상기 스크린보드(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30)은 상기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브라켓부(31)와,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끼움브라켓부(31)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부(32)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끼움브라켓부(31)는 상기 지지브라켓부(32)에서 높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브라켓부(31)와 상기 지지브라켓부(3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끼움브라켓부(31)는 상기 지지브라켓부(3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브라켓부(31)는 상기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날개부(311)와, 상기 끼움날개부(31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리브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리브부(312)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끼움날개부(31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리브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리브부(313)는 상기 끼움날개부(311)가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양을 제한하기도 하고, 상기 끼움브라켓부(31)와 상기 지지브라켓부(32)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상기 지지브라켓부(32)에서 상기 끼움브라켓부(31)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탈착리브부(312)와 제한리브부(3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날개부(311)에서 돌출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브라켓부(31)가 스크린보드(10)에 결합될 때, 스크린보드(10)의 판면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부(32)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날개부(321)와, 상기 끼움브라켓부(31)가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날개부(321)에 구비되는 결합블럭(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블럭(323)에는 상기 탈착리브부(312)가 결합되는 탈착홈(324)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블럭(323)에는 상기 제한리브부(313)가 결합되는 제한홈(325)이 추가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한홈(325)이 추가로 함몰 형성되는 경우, 탈착리브부(312)와 제한리브부(313)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각각 탈착홈(324)과 제한홈(325)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홈(325)은 탈착홈(324)과 연통된다.
상기 지지브라켓부(32)는 상기 지지날개부(321)에서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이격날개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격날개부(322)에 상기 결합블럭(323)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끼움브라켓부(31)는 상기 지지브라켓부(3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스크린보드(1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브라켓부(31)는 상기 스크린보드(10)의 제조 공정에서 상기 스크린보드(1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재(104)를 통해 상기 스크린보드(10)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낱장의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끼움브라켓부(31)를 상기 스크린보드(10)에 안정되게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자성체부재(102)와 상기 마감부재(103)의 상호 접착 또는 완성된 제품의 출고 등과 같이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적재하는 경우, 상기 지지브라켓부(32)에 의한 상기 스크린보드(10)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다수의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리브부(312)는 상기 지지브라켓부(32)와의 결합에 이용되고, 상기 제한리브부(313)는 상기 스크린보드(1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가 되어 상기 끼움날개부(311)의 삽입량을 제한하는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부(32)가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리브부(313)는 상기 스크린보드(1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가 되어 상기 끼움브라켓부(31)와 상기 지지브라켓부(32)의 탈부착 과정에서 상기 지지브라켓부(32)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10)의 가장자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따르면, 책상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있어서, 무게 및 부피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그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책상을 구획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마감부재(103)의 한정에 따라 무게 및 부피를 줄이면서도 상기 스크린보드(10)의 강도 및 상기 스크린보드(10)의 평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휴대용 칸막이에 대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부재(101)와 상기 마감부재(103)를 통해 상기 스크린보드(10)에 쿠션감과 두께감을 부여하고, 상기 스크린보드(10)의 제작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05)를 통해 상기 스크린보드(10)의 가장자리를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고, 책상 바닥과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스크린보드(10)가 책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책상에서 칸막이의 설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재(20)를 통해 인접한 두 스크린보드(11, 12)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반복적인 절첩 동작에서 인접한 두 스크린보드(11, 12)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107)을 통해 상기 절첩부재(20)와 상기 스크린보드(1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05)와 책상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낱장의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세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스크린보드(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브라켓부(31)와 상기 지지브라켓부(32)가 상호 탈부착됨으로써, 낱장의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끼움브라켓부(31)를 상기 스크린보드(10)에 안정되게 접착 고정시킬 수 있고, 적재시 상기 지지브라켓부(32)에 의한 상기 스크린보드(10)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다수의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세운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보드(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상기 설치브라켓(30)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보드(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바닥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10)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스크린보드 11: 제1스크린보드 12: 제2스크린보드
101: 심재부재 102: 자성체부재 103: 마감부재
104: 접착부재 105: 탄성부재 107: 끼움홈
107a: 제1끼움홈 107b: 제2끼움홈 110: 결합홈
20: 절첩부재 30: 설치브라켓 31: 끼움브라켓부
311: 끼움날개부 312: 탈착리브부 313: 제한리브부
32: 지지브라켓부 321: 지지날개부 322: 이격날개부
23: 결합블럭 324: 탈착홈 325: 제한홈

Claims (10)

  1. 제1스크린보드;
    상기 제1스크린보드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스크린보드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제2스크린보드; 및
    상기 제1스크린보드에서 상기 제2스크린보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크린보드에 상기 제2스크린보드를 연결 고정시키는 절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크린보드와 상기 제2스크린보드는, 각각
    골판지와, 크라프트지(kraft papaer)와, 중밀도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심재부재;
    자석의 부착을 위해 상기 심재부재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는 자성체부재;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자성체부재를 감싸는 마감부재; 및
    상기 심재부재에 상기 자성체부재가 접착 고정되도록 상기 심재부재와 상기 자성체부재 사이에 삽입 도포되고, 상기 절첩부재에 상기 자성체부재가 접착 고정되도록 상기 절첩부재와 상기 자성체부재 사이에 삽입 도포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크린보드와 상기 제2스크린보드에는, 각각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자성체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과, 상기 절첩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으로 구분되며,
    상기 절첩부재는, 펠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끼움홈은, 상기 제1끼움홈에 비해 삽입 깊이가 크며,
    상기 절첩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마감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자성체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모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마감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심재부재와 상기 자성체부재에 모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책상 칸막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스크린보드; 및
    높이 방향으로 상기 스크린보드가 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린보드에 결합되는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보드는,
    골판지와, 크라프트지(kraft papaer)와, 중밀도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심재부재;
    자석의 부착을 위해 상기 심재부재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는 자성체부재;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자성체부재를 감싸는 마감부재; 및
    상기 심재부재에 상기 자성체부재가 접착 고정되도록 상기 심재부재와 상기 자성체부재 사이에 삽입 도포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보드에는,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자성체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보드에서 상기 심재부재에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은,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날개부와, 상기 끼움날개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리브부와, 상기 스크린보드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탈착리브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끼움날개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리브부로 구성된 끼움브라켓부; 및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날개부와, 상기 지지날개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격날개부와, 상기 끼움브라켓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이격날개부에 구비되는 결합블럭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리브부와 상기 제한리브부는, 상기 스크린보드의 판면 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결합블럭에는, 상기 탈착리브부가 끼움 결합되는 탈착홈과, 상기 탈착홈과 연통되어 상기 제한리브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한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끼움날개부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심재부재와 상기 자성체부재에 모두 접착 고정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심재부재와 상기 자성체부재에 모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책상 칸막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50007630U 2015-11-24 2015-11-24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0481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30U KR200481374Y1 (ko) 2015-11-24 2015-11-24 휴대용 책상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30U KR200481374Y1 (ko) 2015-11-24 2015-11-24 휴대용 책상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74Y1 true KR200481374Y1 (ko) 2016-09-21

Family

ID=5704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30U KR200481374Y1 (ko) 2015-11-24 2015-11-24 휴대용 책상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3380S1 (en) 2020-10-30 2022-09-13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32A (ja) * 1994-07-11 1996-01-30 Aica Kogyo Co Ltd 化粧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419237Y1 (ko) 2006-03-30 2006-06-19 배인철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100981009B1 (ko) * 2009-05-07 2010-09-07 하재환 탈착형 책상칸막이
KR20130103350A (ko) * 2012-03-09 2013-09-23 주식회사 필룩스 인테리어 마감패널
KR200469251Y1 (ko) * 2012-11-30 2013-10-01 주식회사 리바트 공간구획용 스크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32A (ja) * 1994-07-11 1996-01-30 Aica Kogyo Co Ltd 化粧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419237Y1 (ko) 2006-03-30 2006-06-19 배인철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100981009B1 (ko) * 2009-05-07 2010-09-07 하재환 탈착형 책상칸막이
KR20130103350A (ko) * 2012-03-09 2013-09-23 주식회사 필룩스 인테리어 마감패널
KR200469251Y1 (ko) * 2012-11-30 2013-10-01 주식회사 리바트 공간구획용 스크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3380S1 (en) 2020-10-30 2022-09-13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USD978579S1 (en) 2020-10-30 2023-02-21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USD999572S1 (en) 2020-10-30 2023-09-26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4706S1 (en) Partition panel for desk
WO2015035762A1 (zh) 显示器缓冲包装箱
KR200481374Y1 (ko) 휴대용 책상 칸막이
USD824707S1 (en) Partition panel for desk
KR200457476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D860808S1 (en) Packaging bag
KR20110003529U (ko) 액자
JP2014058271A (ja) 車両のコンソール
JP3227425U (ja) 衝立
KR101562796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2240372B1 (ko) 사무용 칸막이
KR101578704B1 (ko) 손지갑형 종이 상자
JP2012020669A (ja) シート用ポケット
KR101345108B1 (ko) 종이 가구
KR20120091674A (ko) 경량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8430B1 (ko) 포장 박스
KR101506572B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JP3148732U (ja) 椅子型収納装置
JP3233569U (ja) シートセット
CN208909566U (zh) 一种办公桌上的屏风结构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KR200466101Y1 (ko) 다기능 메모장
CN212668111U (zh) 一种高强度纸卡缓冲内结构
JP2013022137A (ja) 机システム
KR200495057Y1 (ko) 조립식 모니터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