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37Y1 -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 Google Patents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37Y1
KR200419237Y1 KR2020060008489U KR20060008489U KR200419237Y1 KR 200419237 Y1 KR200419237 Y1 KR 200419237Y1 KR 2020060008489 U KR2020060008489 U KR 2020060008489U KR 20060008489 U KR20060008489 U KR 20060008489U KR 200419237 Y1 KR200419237 Y1 KR 200419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onnector
main body
sides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철
장효현
장효철
Original Assignee
배인철
장효현
장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인철, 장효현, 장효철 filed Critical 배인철
Priority to KR2020060008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 전방 및 측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은 물론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그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책상 주변의 전방 및 측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하는 책상용 칸막이에 있어서,
전면 및 양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과 측면의 경계부가 절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 양 측면 각각의 동일 높이 하부에 결합되는 밴드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 연결구가 책상 상판의 측방 양단에 걸리면서 본체가 책상 상판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본 고안은 전면과 양 측면으로 이루어진 본체가 절첩되는 것이므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탄성밴드로 이루어진 연결구를 책상 상판에 걸리도록 하는 것만으로 본체와 책상이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칸막이, 교실용 책상, 본체, 전면, 측면, 경계부, 삽입구멍, 연결구, 벨크로

Description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A portable partion for a desk}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의 연결구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을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전면
12 : 측면 12a : 삽입구멍
13 : 경계부 14 : 연결고리
20 : 연결구 30, 30' : 벨크로
A : 칸막이 B : 교실용 책상
본 고안은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 전방 및 양 측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은 물론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그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교실용 책상은 소정의 수납공간이 마련된 규격화된 상판과 이를 지지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지는 단순 구조의 것으로, 상판 주변 사방이 개방된 형태의 것이다.
이는 전방을 주시하며 수업을 듣어야 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일 수 있으나 수업 외에 개인 학습시에는 주위가 그대로 시야에 들어오게 되므로 집중이 흐트러지게 되어 학습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학생들은 교실용 책상이 비치된 교실에서 개인학습을 하기보다는 독서실 등과 같이 책상 주변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어 보다 집중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가 마련된 책상을 이용할 수 있는 장소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칸막이 책상이 마련된 장소를 매번 이용하기에는 비용상의 부담이 따르게 되므로 어쩔 수 없이 학교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부득이하게 학교에서 개인학습을 하여야 할 경우도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선택의 여지 없이 교실용 책상을 이용하여야만 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학습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칸막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책상의 전방, 측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칸막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에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칸막이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무게 및 부피가 상당하므로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어서 사용에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방 및 측방을 외부로터 차단하여 보다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뿐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책상 주변의 전방 및 측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하는 책상용 칸막이에 있어서,
전면 및 양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과 측면의 경계부가 절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 양 측면 각각의 동일 높이 하부에 결합되는 밴드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 연결구가 책상 상판의 측방 양단에 걸리면서 본체가 책상 상판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A)는 본체(10) 및 연결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전면(11) 및 양 측면(12)이 구비되어진 것으로, 상기 전면(11)과 측면(12)의 경계부(13)는 접철 가능한 형태의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소정 두께의 합지 또는 합성수지판과 같이 가벼우면서도 그 형태 보존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a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전면(11)과 측면(12)의 경계부(13)를 직접 꺾어 접거나, 도 2b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전면(11)과 측면(12)의 경계부(13)에 별도 연결고리(14)를 결합함으로써 전면(11)과 측면(12)이 접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구(20)는 본체(10)를 책상에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로, 바람직하게는 일정 범위에서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양 측면(12) 각각의 동일 높이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20)를 본체(10)에 결합함에 있어, 도 3a와 같이 각 측면(12) 하부에 한 쌍의 삽입구멍(12a)을 형성하여 삽입구멍(12a)에 연결구(20) 일단과 타단을 각각 삽입하고 삽입된 연결구(20) 일단과 타단을 매듭지어 삽입구멍(12a)으로부터 연결구(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거나,
도 3b에서와 같이 본체(10) 각 측면(12) 하부에 한 쌍의 벨크로(30)를 부착하고, 연결구(20) 양단을 별도의 벨크로(30')에 각각 고정하며, 연결구(20) 양단에 고정된 벨크로(30')를 본체(10)의 양 측면(12)에 부착된 벨크로(30)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구(20)를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20) 결합 방법에서 벨크로(30, 30')를 이용하는 방법은 연결구(20)를 보다 간편하게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삽입구멍(12a)을 통해 연결구(20)를 결합하는 방법과 상당부분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이므로 양 방법은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외에도 상기한 바와 같 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결합 방법이라면 어떠한 결합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체(10)의 양 측면(12)이 전면(11)과 직각이 되도록 한 후 본체(10)의 양 측면(12) 하부로 늘어져 있는 연결구(20)를 각각 당겨 교실용 책상(B) 상판 좌, 우 가장자리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설치는 완료된다.
상기의 설치방법을 통해 본 고안이 교실용 책상에 설치되면 본체(10)의 양 측면(12) 선단은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판 전단에 비해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는 본체(10) 양 측면(12)의 폭이 책상(B) 상판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상판으로부터 돌출된 양 측면(12) 선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보다 넓은 범위의 측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이 책상(B) 상판에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양 측면(12) 선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책상(B) 상판의 선단에 비해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측면(12) 타단은 상판 후단과 동일한 선상에 놓여 있어야 한다.
즉, 연결구(20)가 본체(10) 측면(12)에 결합되어 책상(B) 상판에 걸린 상태에서는 연결구의 탄성에 의하여 상판 선단으로부터 인접하는 연결구(20) 일단이 결합된 위치까지의 거리(d)가 상판 후단으로부터 타측 연결구(20) 일단이 결합된 위치까지의 거리(d')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따라서 연결구(20) 양단이 측면에 결합되는 위치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연결구(20)의 일단과 타단이 본체(10) 측면(12)에 결합 되는 위치는 본체(10) 측면(12)상에서 연결구(20)의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중심으로부터 본체(10) 전면(11)까지의 거리가 책상(B) 측방의 절반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하여야만 상기와 같이 측면(12) 선단은 상판의 선단에 비해 일정거리 돌출되고 측면(12) 타단은 상판 후단과 동일한 선상에 놓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를 전면에 대하여 양 측면을 차례로 접음으로써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형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면과 양 측면으로 이루어진 본체가 접철되는 것이므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밴드로 이루어진 연결구를 책상 상판에 걸리도록 하는 것만으로 본체와 책상이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설치 및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책상 주변의 전방 및 측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하는 책상용 칸막이에 있어서,
    전면 및 양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과 측면의 경계부가 접철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 양 측면 각각의 동일 높이 하부에 결합되는 밴드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 연결구가 책상 상판의 측방 양단에 걸리면서 본체가 책상 상판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 연결구는 신축성이 있는 탄성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 측면 하부에 한 쌍의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구멍에 연결구의 일단과 타단을 삽입하고 매듭 지음으로써 연결구와 본체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 측면 하부에 한 쌍의 벨크로를 부착하고, 연결구 양단에 별 도 벨크로를 결합하며, 연결구에 결합된 벨크로를 측면 하부에 부착된 벨크로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연결구와 본체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일단과 타단이 본체 측면에 결합되는 위치는 본체 측면상에서 연결구의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중심으로부터 본체 전면까지의 거리가 책상 측방의 절반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과 측면의 경계부를 꺾어 접거나, 전면과 측면간에 별도 연결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2020060008489U 2006-03-30 2006-03-30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200419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89U KR200419237Y1 (ko) 2006-03-30 2006-03-30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89U KR200419237Y1 (ko) 2006-03-30 2006-03-30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37Y1 true KR200419237Y1 (ko) 2006-06-19

Family

ID=4176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489U KR200419237Y1 (ko) 2006-03-30 2006-03-30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3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26B1 (ko) * 2008-09-01 2011-05-06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1061438B1 (ko) 2009-05-22 2011-09-01 최기홍 휴대용 다기능 책상 칸막이
KR200470705Y1 (ko) 2011-09-26 2014-01-06 주식회사 퍼시스 스크린 결합 구조
KR200481374Y1 (ko) 2015-11-24 2016-09-2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190017602A (ko) * 2017-08-11 2019-02-20 이용구 휴대용 가림판
KR20210123147A (ko) * 2020-04-02 2021-10-13 백종훈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210141287A (ko) 2020-05-14 2021-11-23 김영만 휴대용 가림판
KR20220009615A (ko) 2020-07-16 2022-01-25 김영만 접이식 휴대용 가림판
USD963380S1 (en) 2020-10-30 2022-09-13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26B1 (ko) * 2008-09-01 2011-05-06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1061438B1 (ko) 2009-05-22 2011-09-01 최기홍 휴대용 다기능 책상 칸막이
KR200470705Y1 (ko) 2011-09-26 2014-01-06 주식회사 퍼시스 스크린 결합 구조
KR200481374Y1 (ko) 2015-11-24 2016-09-2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190017602A (ko) * 2017-08-11 2019-02-20 이용구 휴대용 가림판
KR102032188B1 (ko) * 2017-08-11 2019-10-15 이용구 휴대용 가림판
KR20210123147A (ko) * 2020-04-02 2021-10-13 백종훈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2392366B1 (ko) * 2020-04-02 2022-05-02 백종훈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210141287A (ko) 2020-05-14 2021-11-23 김영만 휴대용 가림판
KR20220009615A (ko) 2020-07-16 2022-01-25 김영만 접이식 휴대용 가림판
USD963380S1 (en) 2020-10-30 2022-09-13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USD978579S1 (en) 2020-10-30 2023-02-21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USD999572S1 (en) 2020-10-30 2023-09-26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Desk sh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9237Y1 (ko)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100981009B1 (ko) 탈착형 책상칸막이
US8038116B2 (en) Portable and collapsible bookstand
KR100951043B1 (ko) 접이식 패널이 부착된 책상
KR200459060Y1 (ko) 책상 가리개
US20130075280A1 (en) Combination cover and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BRPI0716000A2 (pt) màdulo de exibiÇço dobrÁvel
KR101270574B1 (ko) 책상용 수면망
KR200392786Y1 (ko) 휴대가 가능한 교탁
KR200347031Y1 (ko)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1032326B1 (ko)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0632313B1 (ko) 접철식 칸막이를 갖는 학습용 책상
KR20140028690A (ko) 학생용 책상의 앞가림막
KR101562796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KR200329261Y1 (ko) 앞가림막을 구비한 학생용 책상
KR20090036731A (ko) 간이 테이블
KR200311586Y1 (ko) 다기능 독서대
TWI738530B (zh) 蜂巢式空間結構
KR20150011946A (ko) 칸막이 책상이 되는 책상
KR200327295Y1 (ko) 강의실 책상용 독서 칸막이
KR101437478B1 (ko) 파티션과 책상의 고정구
KR101443895B1 (ko) 유아용 서적
KR200342056Y1 (ko)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KR20120134343A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