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056Y1 -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056Y1
KR200342056Y1 KR20-2003-0036398U KR20030036398U KR200342056Y1 KR 200342056 Y1 KR200342056 Y1 KR 200342056Y1 KR 20030036398 U KR20030036398 U KR 20030036398U KR 200342056 Y1 KR200342056 Y1 KR 200342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late
storage unit
studen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현
Original Assignee
신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현 filed Critical 신기현
Priority to KR20-2003-0036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9Combined attachment of a frame, a storage tray and a work surface of a desk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조립식 측면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학생용 책상의 상판 좌·우측부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조립하여 설치하거나 해체함으로서 분단학습 등 책상의 상판을 맞대어 배치할 때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수업중에 필기구나 학습 용품이 바닥으로 떨어짐으로서 일어나는 수업의 방해와 집중력 해이를 방지하여 수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식 측면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별도로 책상 상판의 좌우 측에 수납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분단학습이나 여타의 이유로 책상의 상판을 맞닿게 배치를 할 경우에는 상판끼리 밀착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연결부위에 많은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공간으로 필기구가 빠지는 등 학습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별도로 형성된 수납부의 폭만큼 연결 배치된 분단책상의 규격이 커지게 됨으로서 점유하는 공간이 많아져 학생들의 이동이나 행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책상의 좌·우측에 돌출 형성되는 수납부가 절첩 회동되어짐에 따라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접어둘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책상.

Description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A desk with a collection box for student}
본 고안은 조립식 측면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학생용 책상의 상판 좌·우측부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조립하여 설치하거나 해체함으로서 분단학습이나 조별학습 등 책상의 상판을 맞대어 배치할 때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수업 중에 필기구나 학습 용품이 바닥으로 떨어짐으로서 일어나는 수업의 방해와 집중력 해이를 방지하여 수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식 측면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생용 책상은 상판과 수납함 및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학생용 책상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 고정된 수납함(20) 및 상기 상판(10)의 하측으로 지지프레임(31)에 연결되어 상판(10)을 지지하는 앞·뒤 다리프레임(30)(30`)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학생용 책상에 형성된 수납함(20)은 수용할 수 있는 규모가 한정되어 있음으로서 가방이나 신발주머니 등의 소지품을 책상의 좌·우측 바닥면에 놓아둠으로서 교실환경이 산만해지고 또한 필요한 교과서나 참고서 등을 필요할 때마다 가방에서 꺼냈다가 다시 넣어야 하는 등 학습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정도가 높아지면서 많은 책과 참고서를 동시에 보는 경우가 많아 주변에 많은 책을 놓아두어야 하는 형편으로 수납부가 부족하여 책상 밑에 상자 등을 놓아두고 그 안에 책이나 참고서 등을 보관함으로서 불편한 자세로 인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보기에도 산만하여 학습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많은 책들과 소지품의 보관을 위해서 개인 사물함이 보급되어지고 있으나, 사물함은 열쇠를 이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으로 수시로 꺼내 보아야 하는 책을 보관하기에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학생용 책상의 상판 좌우 양측으로 별도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수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줌으로서 수업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본 고안인은 이미 등록(20-0329261호) 실용신안에서 책상의 좌우 양측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책상의 좌·우측 바닥 면에 놓았던 가방이나 신발주머니 등을 수납하고 필기도구나 책 또는 공책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업의 편의를 도모한 학생용 책상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 별도로 책상 상판의 좌우 측에 수납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분단학습이나 여타의 이유로 책상의 상판을 맞닿게 배치를 할 경우에는 상판끼리 밀착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연결부위에 많은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공간으로 필기구가 빠지는 등 학습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별도로 형성된 수납부의 폭만큼 연결 배치된 분단책상의 규격이 커지게 됨으로서 점유하는 공간이 많아져 학생들의 이동이나 행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학급이 평상시 수업시간에 책상을 2열로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별도로 형성된 수납부가 책상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교실이 좁아지고 정서에 좋지 않은 작용을 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충분한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실내 수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되, 수납함을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해체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책상의 좌·우측에 돌출 형성되는 수납부가 절첩 회동되어짐에 따라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접어둘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수납부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수납부의 조립 사시도.
제4도는 수납부의 조립 해체후 절첩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
제6도는 수납부의 조립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제7도는 연접하여 배치된 책상의 상판 사이로 공간이 생성되지 않음을 보이는 사용상태도.
제8도는 종래에 학생용 책상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제9도는 종래에 수납함이 형성된 학생용 책상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학생용 책상을 연접시켰을 때 책상의 상판 사이로 공간이 생성됨을 보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고정부재 2 : 연결부재
3 : 결합돌기 4 : 결합홈
5 : 지지부재 6 : 걸림고리
10 : 상판 20 : 수납함
30, 30` : 다리프레임 31 : 지지프레임
40 : 수납함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수납부의 분리사시도이며, 제3도는 수납부의 조립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은 상판(10)과 그 밑면에 고정된 수납함(20)과 지지프레임(3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상판(10)을 지지하는 각각 한 쌍의 앞·뒤 다리프레임(30)(30`) 및 상기 수납함(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지는 수납부(40)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0)는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수직으로 고정 부착되는 내측판(41)과 일단부가 상기 내측판(4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토록 연결되는 바닥판(42)과 일단부가 상기 바닥판(42)의 타단부로 회동 가능토록 연결되는 외측판(43) 및 일단이 상기 외측판(43)의 후단에 회동 가능토록 연결되는 칸막이판(44)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내측판(41)은 브라켓 등의 고정부재(1)를 이용하여 책상의 상판 저면에 고정 부착되고 내측판(41)의 하단으로 바닥판(42)이 회동 가능토록 연결된다.
이때, 내측판(41)과 바닥판(42)의 연결부에는 경첩 등의 연결부재(2)를 장착하여 바닥판(42)이 내측판(41)의 외측으로 회동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판(43)은 바닥판(42)과는 직각을 이루고 내측판(41)과는 평행하게 회동 되어지도록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바닥판(4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지는 것이고 그 후단부에는 칸막이판(44)이 회동 가능토록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판(42)과 외측판(43)의 연결 단부는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면취를 행함으로서 회동시에 내측판(41)과 바닥판(42)이 이루는 각이 직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수납부는 조립시에 상기 칸막이판(44)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가 각각 내측판(41)의 외면과 외측판(43)의 내면에 밀착되고 그 하단부는 바닥판(42)의 상면에 밀착되어짐으로서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함체상의 수납부(40)가 완성된다.
이때, 수납부(40)의 완성된 조립상태를 유지하고 임의로 해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칸막이판(44)의 내측 단부에는 결합돌기(3)를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하고 대응하는 내측판(41)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가 긴밀하게 몰입되어지도록 결합홈(4)을 형성하여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결합홈(4)의 내주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력을 갖는 지지부재(5)를 환형으로 성형하여 삽입하여 두면 삽입된 결합돌기(3)가 임의로 빠지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납부(40)로 책 등 비교적 무거운 물품이 수납될 때 결합홈(4)에서 결합돌기(3)가 이탈되지 않도록 칸막이판(44)과 내측판(41)으로 연결되는 걸림고리(6)를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진 상태로 수납부(40)를 사용하다가 분단학습 등의 사유로 책상을 맞대어 배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내측판(41)의 결합홈(4)으로부터 칸막이판(44)의 결합돌기(3)를 당겨 빼면 수납부(40)의 해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연결부재(2)를 따라 길게 늘어진 판(41)(42)(43)(44)들이 충격에 의해 흔들리며 책상의 다리프레임(30)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재(2)를 따라 절첩하여 두면 간단히 보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절첩된 상태가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결합홈(4)과 결합돌기(3)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홈(4)과 결합돌기(3)는 수납부(40)의 조립이나 해체후 절첩할 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조립된 수납부(40)의 임의 해체를 억지하기 위해 형성된 걸림고리(6) 역시 해체후 절첩된 수납부 구성용 판(41)(42)(43)(44)들의 절첩 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절첩 또는 조립의 순서를 정하여 둔 것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칸막이판(44)이 외측판(43)의 후단부에 연결되었으나 바닥판(42)의 후단부에 연결되었을 경우에도 동일한 것은 당업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납공간을 확장시켜 모든 소지품의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교실 환경을 정리 정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납부에 필기도구나 책 또는 공책 등을 수납하여 놓음으로서 수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단학습 등 책상의 상판을 맞대어 놓아야 하는 경우에 확장된 수납부를 해체하여 간단히 절첩하여 둘 수 있음으로서 맞대어 배치된 책상의 상판의 좌우측으로 돌출 형성된 수납부로 인한 공간의 발생이 없게 됨으로서 학습 중에 필기구나 소지품이 상기 공간으로 떨어져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상판(10)과 그 밑면에 고정된 수납함(20)과 지지프레임(3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상판(10)을 지지하는 각각 한 쌍의 앞·뒤 다리프레임(30)(30`) 및 상기 수납함(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지는 수납부(40)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0)는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수직으로 고정 부착되는 내측판(41)과 일단부가 상기 내측판(4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토록 연결부재(2)로 연결되는 바닥판(42)과 일단부가 상기 바닥판(42)의 타단부로 회동 가능토록 연결부재(2)로 연결되는 외측판(43) 및 일단이 상기 외측판(43)의 후단에 회동 가능토록 연결부재(2)로 연결되는 칸막이판(44)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42)과 외측판(43)의 연결 단부는 소정의 각도로 면취되어지고 면취된 각도의 합은 90˚로 조립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41)과 칸막이판(44)의 인접부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결합돌기(3)와 결합홈(4)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4)의 내주에는 환형의 지지부재(5)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41)과 칸막이판(44)을 연결하는 걸림고리(6)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KR20-2003-0036398U 2003-11-21 2003-11-21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KR200342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98U KR200342056Y1 (ko) 2003-11-21 2003-11-21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98U KR200342056Y1 (ko) 2003-11-21 2003-11-21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056Y1 true KR200342056Y1 (ko) 2004-02-14

Family

ID=4934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398U KR200342056Y1 (ko) 2003-11-21 2003-11-21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0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54Y1 (ko) 2011-10-07 2013-10-18 박주현 책상 확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54Y1 (ko) 2011-10-07 2013-10-18 박주현 책상 확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432A (en) Collapsible playroom
KR200440212Y1 (ko) 휴대용 책 거치대
KR100981009B1 (ko) 탈착형 책상칸막이
US20110101195A1 (en) Book Rest
KR200393407Y1 (ko) 보조책상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342056Y1 (ko) 조립식 수납부가 형성된 학생용 책상
CN214705096U (zh) 一种初中英语用的多功能教具
CN213429019U (zh) 一种多功能高中文科生用学习架
KR200347031Y1 (ko) 휴대용 책상 칸막이
US5515125A (en) Storage cart for instructional devices
CN210581396U (zh) 一种用于幼儿心理辅导工具箱
CN207230056U (zh) 显示器架以及显示器架组件
CN210941077U (zh) 一种桌面书写收纳板
KR20110111985A (ko) 접이식 날개면이 구비된 일체형 북커버
CN211021625U (zh) 可拆卸书立
CN216287197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商务英语教学装置
KR102053747B1 (ko) 학교 교실용 책상
KR200383734Y1 (ko) 사물함
JP3234452U (ja) 収納ボックス
CN210988832U (zh) 多媒体高职英语教学桌
KR200334168Y1 (ko) 측면책꽂이를 갖는 학습용 책상
CN215189991U (zh) 一种语文学习用辅助学习支架结构
KR20060023283A (ko) 휴대용 독서대
KR200327295Y1 (ko) 강의실 책상용 독서 칸막이
CN110544418B (zh) 一种高等职业院校会计专业教学使用的直观模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