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326B1 -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 Google Patents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326B1
KR101032326B1 KR1020080085840A KR20080085840A KR101032326B1 KR 101032326 B1 KR101032326 B1 KR 101032326B1 KR 1020080085840 A KR1020080085840 A KR 1020080085840A KR 20080085840 A KR20080085840 A KR 20080085840A KR 101032326 B1 KR101032326 B1 KR 10103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desk
partition
edge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873A (ko
Inventor
이승하
Original Assignee
이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하 filed Critical 이승하
Priority to KR102008008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32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가 구비되지 않는 책상의 전방,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려줌으로써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효과를 증대시키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가장자리에 탄성력 있는 금속심재가 심어지는 직물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고정수단 및 연결수단이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책상에 설치되는 칸막이에 있어서, 하부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책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칸막이부재와,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전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전면을 가려주는 제 2 칸막이부재와,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좌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우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칸막이부재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좌측면을 가려주는 제 3 칸막이부재와,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우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좌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칸막이부재의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우측면을 가려주는 제 4 칸막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책상, 칸막이, 휴대용, 접이식, 고정수단, 연결수단, 칸막이부재

Description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FOLDER TYPE OF PORTABLE PARTITION}
본 발명은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칸막이가 구비되지 않는 책상의 전방,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려줌으로써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효과를 증대시키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가장자리에 탄성력 있는 금속심재가 심어지는 직물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고정수단 및 연결수단이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란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받치고 쓰는 가구를 말하는 것으로 학습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책상은 다리의 상면에 수납함이 구비된 상판을 형성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고 주위가 개방된 상판 위에 학습 대상물을 거치하고 학습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책상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강의자의 강의, 학요에서 행해지는 수업이나 토론과 같이 집단적인 학습방법에서는 관련된 교재나 학습교구 등을 안치하여 대상자가 학습하기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개방형 책상은 집단적인 학습을 하기에는 효과적이나 단독학습을 진핼 할 때에는 외부가 개방됨에 따라 각종 소음이나 외부의 시각적 움직임으로 인해 집중도가 크게 저하되어 학습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단독적인 학습을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도서관의 열람실이나 독서실과 같은 시설에는 칸막이가 일체로 설치된 책상을 사용토록 하여 각종 소음이나 외부의 시각적 움직임을 차단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라한 집단적인 학습을 위한 개방형 책상과 독단적인 학습을 위한 칸막이가 설치된 책상이 병용되기 어렵고, 개방형 책상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가 소개되고 있으나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휴대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칸막이가 구비되지 않는 책상의 전방,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려줌으로써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가장자리에 탄성력 있는 금속심재가 심어지는 직물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한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수단 및 연결수단이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책상에 설치되는 칸막이에 있어서, 하부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책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칸막이부재와,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전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전면을 가려주는 제 2 칸막이부재와,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좌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우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칸막이부재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좌측면을 가려주는 제 3 칸막이부재와,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우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좌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칸막이부재의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우측면을 가려주는 제 4 칸막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 제 2 칸막이부재, 제 3 칸막이부재 및 제 4 칸막이부재는 직물부재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패널로 형성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탄성력 있는 금속심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하부면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가로밴드와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세로밴드인 것으로 하되, 상기 가로밴드 및 세로밴드는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연결수단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며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밴드와, 상기 연결밴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좌, 우측 가장자리과 각각 연결되는 제 3 칸막이부재 및 제 4 칸막이부재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고리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첫째, 칸막이가 구비되지 않는 책상의 전방,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려줌으로써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가장자리에 탄성력 있는 금속심재가 심어지는 직물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셋째, 고정수단 및 연결수단이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가 책상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 대한 저면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3e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가 해체되는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1)는 책상(800)에 설치되는 칸막이에 있어서, 하부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200)에 의해 책상(800)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칸막이부재(100)와, 하측 가장자리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전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800)의 전면을 가려주는 제 2 칸막이부재(300)와, 하측 가장자리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좌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600)에 의해 연결되고, 우측 가장자리가 제 2 칸막이부재(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800)의 좌측면을 가려주는 제 3 칸막이부재(400)와, 하측 가장자 리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우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600)에 의해 연결되고, 좌측 가장자리가 제 2 칸막이부재(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800)의 우측면을 가려주는 제 4 칸막이부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칸막이부재(100)는 그 하부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200)에 의해 책상(800)면에 면접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추후에 설명될 제 2 칸막이부재(300),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가 각각 책상(800)의 정면과 좌,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칸막이부재(100)는 직물부재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지되 그 가장자리에는 탄성력 있는 금속심재(900)가 구비되는데, 이 금속심재(900)에 의해 사각형상의 패널로 형성되는 제 1 칸막이부재(100)는 "8자" 형상으로 꼬아진 후 포개어져 작은 크기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칸막이부재(300),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를 책상(800) 면에 면접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하부면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가로밴드(210)와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세로밴드(220)인 것으로 하되, 이러한 가로밴드(210) 및 세로밴드(220)는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인 것으로 한다.
전술한 한 쌍의 가로밴드(210)는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전면측 가장자리와 후면측 가장자리에 각각 인접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한 쌍의 세로밴드(220)는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인접되도록 상 호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러한 가로밴드(210) 및 세로밴드(220)는 책상(800)의 네 곳 가장자리에 각각 감겨 제 1 칸막이부재(100)가 책상(800) 면에 면접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전면측에는 제 2 칸막이부재(300)가 연결되는데, 이 제 2 칸막이부재(300)는 책상(800)의 전면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칸막이부재(300)는 하측 가장자리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전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전면에서 수직 절곡 되어 위치됨으로써 책상(800)의 전면을 가리게 된다.
이때 제 1 칸막이부재(100)와 제 2 칸막이부재(300)는 직물부재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암-수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단추 등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 및 제 2 칸막이부재의 좌측에는 제 3 칸막이부재(400)가 연결되는데 이 제 3 칸막이부재(400)는 책상(800)의 좌측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칸막이부재(400)는 그 하측 가장자리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좌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600)에 의해 연결되고 우측 가장자리가 제 2 칸막이부재(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800)의 좌측면을 가려주게 된다.
이때 제 3 칸막이부재(400)와 제 1 칸막이부재(100)를 연결해주는 연결수단(600)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탄성력있는 고무재질 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밴드(610)와, 이러한 연결밴드(610)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620)와,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좌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제 3 칸막이부재(400)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전술한 고정고리(620)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홀(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고정고리(620)를 관통홀(630) 내로 삽입한 후 탄성력 있는 연결밴드(610)에 의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해 주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수단(600)은 연결밴드(610) 및 고정고리(620) 외에도 암-수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단추 등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제 3 칸막이부재(400)의 우측 가장자리 및 제 2 칸막이부재(300)의 좌측 가장자리의 연결은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 및 제 2 칸막이부재(300)와 같이 직물부재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암-수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단추 등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 및 제 2 칸막이부재의 우측에는 제 4 칸막이부재(500)가 연결되는데 이 제 4 칸막이부재(500)는 책상(800)의 우측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4 칸막이부재(500)는 그 하측 가장자리가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우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600)에 의해 연결되고 좌측 가장자리가 제 2 칸막이부재(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800)의 좌측면을 가려주게 된다.
이때 제 4 칸막이부재(500)와 제 1 칸막이부재(100)를 연결해주는 연결수 단(600)은 전술한 제 3 칸막이부재(400)와 제 1 칸막이부재(100)를 연결해주는 연결수단(600)과 마찬가지로,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탄성력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밴드(610)와, 이러한 연결밴드(610)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620)와,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우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제 4 칸막이부재(500)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전술한 고정고리(620)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홀(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고정고리(620)를 관통홀(630) 내로 삽입한 후 탄성력 있는 연결밴드(610)에 의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해 주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수단(600)은 연결밴드(610) 및 고정고리(620) 외에도 암-수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단추 등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제 4 칸막이부재(500)의 우측 가장자리 및 제 2 칸막이부재(300)의 좌측 가장자리의 연결은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 및 제 2 칸막이부재(300) 그리고 전술한 제 2 칸막이부재(300) 및 제 3 칸막이부재(400)와 같이 직물부재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암-수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단추 등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1)를 책상(800)에 설치할 경우 꼬아서 접혀 진 상태로 케이스(700) 내에 보관되어 있는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1)를 꺼내어 꼬아져 있던 부분을 풀어준다.
그런 다음,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가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칸막이부재(300)를 제 1 칸막이부재(10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되도록 펴준다.
이 상태에서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를 각각 제 2 칸막이부재(30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펴준 다음, 제 1 칸막이부재(100) 좌, 우측에 마련된 연결밴드(610)를 잡아당겨 고정고리(620)를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의 관통홀(630) 내에 삽입시킨 후 연결밴드(610)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홀(630) 내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제 1 칸막이부재(100)는 제 2 칸막이부재(300)와 전면에서 직각을 이루고 3 칸막이부재 및 제 4 칸막이부재(500)와는 각각 좌, 우측에서 직각을 이루게 된다.
그럼 다음, 제 1 칸막이부재(1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로밴드(210) 및 세로밴드(220)를 책상(800)의 배면측 네 곳 가장자리에 각각 탄성적으로 감겨 책상(800) 면에 면접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칸막이부재(300)를 제 1 칸막이부재(100)로부터 펼치고,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를 제 1 칸막이부재(100) 상에 고정시킨 후 제 1 칸막이부재(100)를 책상(800)과 고정할 수도 있으나, 먼저 제 1 칸막이부재(100)를 책상(800)에 고정한 후 제 2 칸막이부재(300)를 제 1 칸막이부 재(100)로부터 펼치고,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를 제 1 칸막이부재(100) 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책상(800)에 설치된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1)를 해체할 경우 관통홀(630) 내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고리(620)를 빼내어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를 제 1 칸막이부재(100)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 제 2 칸막이부를 향해 차례로 절첩시킨 후 이를 제 1 칸막이부재(100)의 상부면을 향해 절첩시킨다.
그런 다음, 책상(800)의 배면측 네 곳 가장자리에 각각 탄성적으로 감겨있는 가로밴드(210) 및 세로밴드(220)를 풀어 제 1 칸막이부재(100)를 책상(800)으로부터 분리해 낸다.
그럼 다음, 네 겹으로 차례로 절첩되어 있는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1)의 양측을 잡고 "8"자 형태로 한번 꼬아준 다음 이를 "0자" 형태가 되도록 상호 포개어준 다음, 케이스(700) 내에 넣어 보관한다.
마찬가지로 제 1 칸막이부재(100)를 먼저 책상(800)으로부터 분리해 낸 후 제 1 칸막이부재(100)로부터 제 3 칸막이부재(400) 및 제 4 칸막이부재(500)를 분리한 후 네 겹으로 절첩하여 보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가 책상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저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가 해체되는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100 : 제 1 칸막이부재
200 : 고정수단 210 : 가로밴드
220 : 세로밴드 300 : 제 2 칸막이부재
400 : 제 3 칸막이부재 500 : 제 4 칸막이부재
600 : 연결수단 610 : 연결밴드
620 : 고정고리 630 : 관통홀
700 : 케이스 800 : 책상

Claims (4)

  1. 책상에 설치되는 칸막이에 있어서,
    하부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책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칸막이부재;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전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전면을 가려주는 제 2 칸막이부재;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좌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우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칸막이부재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좌측면을 가려주는 제 3 칸막이부재; 및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우측 가장자리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좌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칸막이부재의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책상의 우측면을 가려주는 제 4 칸막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칸막이부재, 제 2 칸막이부재, 제 3 칸막이부재 및 제 4 칸막이부재는 직물부재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패널로 형성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탄성력 있는 금속심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하부면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가로밴드와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세로밴드인 것으로 하되, 상기 가로밴드 및 세로밴드는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며 탄성력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밴드와, 상기 연결밴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와, 상기 제 1 칸막이부재의 좌, 우측 가장자리과 각각 연결되는 제 3 칸막이부재 및 제 4 칸막이부재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고리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4. 삭제
KR1020080085840A 2008-09-01 2008-09-01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103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40A KR101032326B1 (ko) 2008-09-01 2008-09-01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40A KR101032326B1 (ko) 2008-09-01 2008-09-01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73A KR20080106873A (ko) 2008-12-09
KR101032326B1 true KR101032326B1 (ko) 2011-05-06

Family

ID=4036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840A KR101032326B1 (ko) 2008-09-01 2008-09-01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9872A1 (fr) * 2020-05-07 2021-11-12 Magenta Dispositif de separation amovible pour une ta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52Y1 (ko) * 2012-04-23 2013-11-25 정수연 접이식 나무매트
KR200483403Y1 (ko) * 2017-01-09 2017-05-11 전영민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45U (ko) 1986-08-08 1988-02-23
KR20040019237A (ko) * 2002-08-27 2004-03-05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후퇴가능한 렌즈용 광학 요소 후퇴 기구
KR200419237Y1 (ko) * 2006-03-30 2006-06-19 배인철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20070098095A (ko) * 2006-03-31 2007-10-05 조왕희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20090007271U (ko) * 2008-01-15 2009-07-20 김대윤 절첩식 독서실 칸막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45U (ko) 1986-08-08 1988-02-23
KR20040019237A (ko) * 2002-08-27 2004-03-05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후퇴가능한 렌즈용 광학 요소 후퇴 기구
KR200419237Y1 (ko) * 2006-03-30 2006-06-19 배인철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20070098095A (ko) * 2006-03-31 2007-10-05 조왕희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20090007271U (ko) * 2008-01-15 2009-07-20 김대윤 절첩식 독서실 칸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9872A1 (fr) * 2020-05-07 2021-11-12 Magenta Dispositif de separation amovible pour une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73A (ko)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188B1 (ko) 휴대용 가림판
KR100981009B1 (ko) 탈착형 책상칸막이
KR200419237Y1 (ko) 교실 책상용 간이 칸막이
KR101032326B1 (ko)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JP5138278B2 (ja) 机用の視界遮断具
US8833769B1 (en) Collapsible game table top and game board
CN106014116A (zh) 一种带有隐形防盗网的平移窗
KR101270574B1 (ko) 책상용 수면망
KR101186121B1 (ko) 접이식 날개면이 구비된 일체형 북커버
KR101002812B1 (ko) 이중노트
KR20140028690A (ko) 학생용 책상의 앞가림막
KR20160062373A (ko) 책받이와 가림막이 구비된 책상
KR20150111868A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KR101553612B1 (ko) 캠핑용 텐트
KR20140005488U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KR200415308Y1 (ko) 강의실용 휴대 칸막이
KR200329261Y1 (ko) 앞가림막을 구비한 학생용 책상
KR200416808Y1 (ko) 텐트
JP3170601U (ja) 折りたたみテーブル
RU224943U1 (ru) Переносное театрально-аним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436585B1 (ko) 책상용 비대면장치
JP6253888B2 (ja)
JP2006137449A (ja) 仕切り付き収納箱
KR20240074204A (ko) 거치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 휴대용 파우치
CN205649159U (zh) 一种可拓展桌面和桌箱的课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