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052Y1 - 접이식 나무매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나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052Y1
KR200470052Y1 KR2020120003277U KR20120003277U KR200470052Y1 KR 200470052 Y1 KR200470052 Y1 KR 200470052Y1 KR 2020120003277 U KR2020120003277 U KR 2020120003277U KR 20120003277 U KR20120003277 U KR 20120003277U KR 200470052 Y1 KR200470052 Y1 KR 200470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onnection
frames
wooden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281U (ko
Inventor
정수연
Original Assignee
정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연 filed Critical 정수연
Priority to KR2020120003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5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나무매트에 관한 것으로, 순차적으로 놓아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된 제1,2나무판넬과;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에 밀착되는 부착면에 수평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저부에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을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이 상호 이격되게 다수 형성된 제1,2연결나무테와;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2나무판넬을 연결하는 것으로, 탄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어 인장시 상기 제1,2나무판넬이 접혀져 포개어지도록 하고, 수축시 순차적으로 놓여지게 하는 탄성연결끈과;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요홈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연결끈의 탄성에 의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탄성연결끈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요홈과 외부가 소통되게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나무매트{FOLDED TYPE WOOD MAT}
본 고안은 나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나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매트는 목재나 대나무의 재질로 제작되어 여름철 시원함을 강조하기 위해 거실이나 방에 깔고 앉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요통, 디스크 환자들을 위해 침대대용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나무매트는 대나무 또는 목재를 가늘고 길게 절단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크기의 직사각형 단위편으로 다수 제작되고 이들이 서로 연결끈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국내에 공개된 나무매트의 종래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0914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43770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4294호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나무매트는 다수의 목재편을 연결끈으로 하나하나 연결하여야하는 작업의 불편함으로 제작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등이 연접하는 목재편 사이로 끼일 경우에는 쉽게 제거하기가 어려워 매트를 깨끗하게 유지하기가 힘들었다.
게다가 다수의 목재편이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특히, 요통 및 디스크환자용 매트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누워서 몸을 움직일 때 균일하지 않은 가압에 의해 다수의 목재편이 불규칙적인 유동으로 매트에 굴곡이 생기고, 신체의 일부가 목재편 사이에 끼워져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무매트를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를 갖는 하나의 나무판넬로 제작할 수 있으나, 이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나무판넬을 2~3개로 제작하고 경첩 및 힌지등을 이용하여 2~3개의 나무판넬이 상호 접어져 포개어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나, 경첩 및 힌지등이 외부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침대대용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 특히, 요통 및 디스크환자들의 신체의 일부가 경첩 및 힌지등에 걸리어 2차적인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충분한 넓이를 갖는 나무판넬로 나무매트를 제작하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접이식 나무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나무판넬을 접어 포개기 위한 탄성연결끈 및 고정수단이 연결나무테 내부에 감춰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된 접이식 나무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나무매트는 순차적으로 놓아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된 제1,2나무판넬과;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에 밀착되는 부착면에 수평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저부에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을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이 상호 이격되게 다수 형성된 제1,2연결나무테와;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2나무판넬을 연결하는 것으로, 탄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어 인장시 상기 제1,2나무판넬이 접혀져 포개어지도록 하고, 수축시 순차적으로 놓여지게 하는 탄성연결끈과;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요홈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연결끈의 탄성에 의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탄성연결끈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요홈과 외부가 소통되게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의 접이식 나무매트는 나무판넬을 접어 포개기 위한 탄성연결끈 및 고정수단이 연결나무테 내부에 감춰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표면 전체를 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요통 및 디스크 환자의 침대대용으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나무판넬을 접어 포갤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아져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나무매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서 나무판넬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한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나무테의 개구부와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일 실시 예인 접이식 나무매트가 접혀 포개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접이식 나무매트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접이식 나무매트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나무매트는 순차적으로 놓아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넓이를 갖는 제1,2나무판넬과, 제1,2나무판넬의 밀착면에 설치되는 제1,2연결나무테와, 제1,2연결나무테를 연결하는 탄성을 가진 탄성연결끈과, 탄성연결끈을 제1,2연결나무테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제1,2나무판넬과, 제1,2연결나무테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1,2나무판넬은 나무판넬로, 제1,2연결나무테는 연결나무테의 명칭을 사용하고 도면부호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무판넬(100)은 오동나무, 편백나무등을 직사각형의 판넬형태로 절단하여 제작된다. 또한, 나무판넬은 원목이외에 합판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나무판넬(100)은 표면에 자사이름, 마크등이 표시될 수 있는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의 측면에 마감용으로 설치되는 좌,우마감판(120), 상부마감판(130), 연결나무테(140)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판(110)은 사용자가 누울 때 상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로 제작되고, 표면은 표면고르기를 하여 평평하게 형성된다.
베이스판(110)의 측면에는 좌,우마감판(120), 상부마감판(130), 연결나무테(14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바(111)가 돌출되어 있다.
좌,우마감판(120), 상부마감판(130), 연결나무테(14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베이스판(110)의 결합바(111)가 인입되도록 요홈(2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마감판(120)은 베이스판(110)에 결합될 상부마감판(130), 연결나무테(140)를 감안하여 베이스판(110)의 좌우측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부마감판(130)과 연결나무테(140)의 양단에는 요홈(200)의 형성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마감판(120)의 요홈(200)에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결합바(30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나무테(140)에 형성된 요홈은 좌,우마감판(120) 및 상부마감판(130)의 요홈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탄성연결끈 및 탄성연결끈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연결나무테의 요홈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나무테(140)의 요홈(200) 저부에는 탄성연결끈(400)이 지나는 관통홀(14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41)은 요홈(200) 저부로부터 연결나무테(140)의 상호 밀착되는 밀착면을 향하여 관통되어 형성된다. 관통홀(141)을 지나는 탄성연결끈(400)은 연결나무테의 밀착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감춰지게 된다.
관통홀(141)에는 탄성연결끈(4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 부싱(500)이 끼워질 수도 있다. 플랜지 부싱은 금속재질 이외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탄성연결끈(400)은 탄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고무재질의 고무와이어, 용수철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연결끈(400)은 상호 밀착되는 제1,2연결나무테의 관통홀(141)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데,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끼워진다.
고정수단(600)은 관통홀(141)에 끼워진 탄성연결끈(400)이 탄성에 의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양단을 관통홀(141)의 주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탄성연결끈의 양단에 매듭을 지워 매듭이 관통홀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 탄성연결끈의 양단에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막대형상의 바, 구형의 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연결끈이 고정수단으로 탄성에 의한 장력이 유지되면, 장력에 의해 제1,2연결나무테는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참조) 또한, 외력을 가해 나무판넬을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탄성연결끈이 더욱 인장되면 제1,2연결나무테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1,2나무판넬을 접어 포갤 수가 있게 된다. (도 5참조)
이에, 나무매트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나무테의 일측면에는 고정수단(600)이 노출되도록 연결나무테(140)의 요홈(200)과 외부가 소통되게 개구부(700)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700)를 개폐하는 커버부재(800)가 구비된다. 커버부재(800)는 개구부(700)에 더브테일 구조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개구부(700)는 고정수단이 노출됨으로써 탄성연결끈(400)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한 통로가 된다.
탄성연결끈의 수리 및 교체는 개구부를 통해 고정수단이 해제된 노후된 탄성연결끈의 일측단에 새로운 탄성연결끈을 연결한 다음, 노후된 탄성연결끈의 타측단을 잡아당겨 새로운 탄성연결끈이 관통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나무판넬(제1,2나무판넬) 140 : 연결나무테(제1,2연결나무테)
141 : 관통홀 200 : 요홈
400 : 탄성연결끈 500 : 플랜지 부싱
800 : 커버부재

Claims (2)

  1. 순차적으로 놓아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된 제1,2나무판넬과;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에 밀착되는 부착면에 수평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저부에 상기 제1,2나무판넬의 마주보는 측면을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이 상호 이격되게 다수 형성된 제1,2연결나무테와;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2나무판넬을 연결하는 것으로, 탄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어 인장시 상기 제1,2나무판넬이 접혀져 포개어지도록 하고, 수축시 순차적으로 놓여지게 하는 탄성연결끈과;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요홈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연결끈의 탄성에 의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탄성연결끈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2연결나무테의 요홈과 외부가 소통되게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매트.
KR2020120003277U 2012-04-23 2012-04-23 접이식 나무매트 KR200470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77U KR200470052Y1 (ko) 2012-04-23 2012-04-23 접이식 나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77U KR200470052Y1 (ko) 2012-04-23 2012-04-23 접이식 나무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81U KR20130006281U (ko) 2013-10-31
KR200470052Y1 true KR200470052Y1 (ko) 2013-11-25

Family

ID=5074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277U KR200470052Y1 (ko) 2012-04-23 2012-04-23 접이식 나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770B1 (ko) 2018-09-27 2019-02-21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1959773B1 (ko) 2018-09-27 2019-07-15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0B1 (ko)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1B1 (ko)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2B1 (ko) 2019-03-25 2019-11-19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104U (ko) * 1975-03-17 1976-09-20
KR20080106873A (ko) * 2008-09-01 2008-12-09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104U (ko) * 1975-03-17 1976-09-20
KR20080106873A (ko) * 2008-09-01 2008-12-09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81U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052Y1 (ko) 접이식 나무매트
US8919284B2 (en) Animal bed
US7805781B1 (en) Under bed security barricade
US8316486B2 (en) Support frame for elevating a bed covering
US20170007028A1 (en) Foldout Bed
CN108024641B (zh) 关于床的改进
KR101283010B1 (ko) 변형방지가 가능한 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US20130239323A1 (en) Spring Wire Support for Foundations and Inner Spring Mattresses
US20050144718A1 (en) Swing type baby bed
RU135503U1 (ru) Детский манеж
US20090317600A1 (en) Elastic fabric cushion structure
US20210235878A1 (en) Eco-friendly breathable rattan bed and assembly method thereof
DE502006001874D1 (de) Bettsofa mit einem Möbel
JP5409950B1 (ja) 畳用すのこベッド
CN208435070U (zh) 一种床脚的连接结构
RU128085U1 (ru) Крепежный шарнир
CN205913164U (zh) 一种按摩床
TWM501729U (zh) 管耕組結構
KR20140052324A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침대
DE502005001156D1 (de) Lagerkörper für Federholzleisten eines Bettrahmens
CN109907575A (zh) 一种实木床
US20210196052A1 (en) Selectively elevated foundation for a mattress
JP5695901B2 (ja) ベッド
CN209219651U (zh) 电动床床垫止档架的新结构
BR202022009986U2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encaixe para firmamento de telas em portas e outros acessórios moveleir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