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03Y1 -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03Y1
KR200483403Y1 KR2020170000154U KR20170000154U KR200483403Y1 KR 200483403 Y1 KR200483403 Y1 KR 200483403Y1 KR 2020170000154 U KR2020170000154 U KR 2020170000154U KR 20170000154 U KR20170000154 U KR 20170000154U KR 200483403 Y1 KR200483403 Y1 KR 200483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
mat base
front plat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민
Original Assignee
전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민 filed Critical 전영민
Priority to KR2020170000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오픈(open)형 책상의 상판에 배치되는 매트 베이스; 상기 매트 베이스의 후면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매트 베이스의 양 사이드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해당 위치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pocket)이 마련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식 로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SHIELD MATT APPARATUS FOR A STUDENTS DESK}
본 고안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사용 중인 책상은 철재로 된 브리지(bridge) 상에 나무로 된 나무 상판을 올려놓은 이른 바 오픈(open)형 구조의 책상이 주류를 이룬다.
이와 같은 오픈형 책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가볍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 많이 배치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이동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많은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오픈형 책상은 측벽이 없기 때문에 의자에 앉은 학생이 교사나 교사가 필기하는 칠판을 주시하기에 유리하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이와 같은 책상에 대한 수요가 많다.
한편, 오픈형 책상이 위와 같은 많은 장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오랜기간 사용된 나무 상판에 낙서가 많거나 자체적으로 오염되어 더러울 수 있기 때문에 교복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물론, 팔 토시를 하면 되지만 매번 팔 토시를 준비하고 착용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오픈형 책상은 말 그대로 오픈(open)형 구조라서 옆 사람과 격리되지 않게 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주위가 산만해질 수 있어 집중에 방해가 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 능률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전반적으로 고려해볼 때, 매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신개념의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9205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1759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1759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2820호
본 고안의 목적은, 매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오픈(open)형 책상의 상판에 배치되는 매트 베이스; 상기 매트 베이스의 후면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매트 베이스의 양 사이드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해당 위치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pocket)이 마련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식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책을 받칠 수 있도록 다수의 접는선에 의해 접힘이 가능하게 다수의 받침용 단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베이스 전면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착탈식 로킹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마련되는 로킹용 날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용 날개가 통과되는 날개 통과부;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며, 상기 날개 통과부를 통과한 상기 로킹용 날개의 단부가 결합되는 날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 베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상판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내에는 철판이 개재되며, 상기 매트 베이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방수와 오염에 강한 PU 또는 PVC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매트 기능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평면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접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착탈식 로킹부 영역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6은 프론트 플레이트를 개별적으로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수업 중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자습 중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독서 중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평면 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평면 전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평면 전개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을 접은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착탈식 로킹부 영역의 확대 구조도, 도 6은 프론트 플레이트를 개별적으로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수업 중 사용상태도, 도 8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자습 중 사용상태도,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독서 중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100)는 매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10처럼 오픈(open)형 책상(1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수업 중 사용상태도로서 매트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도 8은 자습 중 사용상태도로서 매트 기능과 가림판 기능을 공용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도 9 및 도 10은 독서 중 사용상태도로서 매트 기능과 독서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100)는 오픈형 책상(1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오픈형 책상(10)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오픈형 책상(10)은 철재로 된 브리지(bridge, 11)와, 브리지(11) 상에 배치되는 상판(12)을 포함한다. 상판(12)은 주로 나무로 제작되며, 하부에는 서랍(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서랍(13)이 없는 책상이나 상판(12)이 플라스틱으로 된 책상에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처럼 오픈형 책상(10)에 적용될 수 있는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100)는 매트 베이스(110), 프론트 플레이트(120), 사이드 플레이트(130), 그리고 착탈식 로킹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 베이스(110)는 도 7 내지 도 10처럼 오픈형 책상(10)의 상판(12)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매트 베이스(110)는 상판(12)과 거의 유사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트 베이스(110)는 상판(12) 상에 배치됨으로써, 낙서 등에 의해 오염된 상판(12)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판(12)의 오염물질이 옷에 뭇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매트 베이스(110)는 방수와 오염에 강한 PU 또는 PVC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매트 베이스(110)에 설사 오염물질이 묻더라도 물 티슈 등으로 쉽게 청소할 수 있어 편리하다.
물론,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사이드 플레이트(130) 역시, 방수와 오염에 강한 PU 또는 PVC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매트 베이스(110), 프론트 플레이트(120) 및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그 자체가 PU 또는 PVC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매트 베이스(110), 프론트 플레이트(120) 및 사이드 플레이트(130)를 이루는 외피만 PU 또는 PVC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매트 베이스(110)의 배면에는 상판(12)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부(111)가 마련된다. 따라서 매트 베이스(110)를 상판(12)에 올려두고 사용할 때, 매트 베이스(110)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20)는 매트 베이스(110)의 후면에서 매트 베이스(110)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프론트 플레이트(120)는 도 1 및 도 2처럼 전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7 및 도 8처럼 아래로 혹은 위로 접힐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론트 플레이트(120) 내에는 철판(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처럼 자습 중인 경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내벽을 메모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자석 홀더를 사용할 경우, 메모지 등이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내벽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매트 베이스(110)의 양 사이드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해당 위치에서 매트 베이스(110)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된다.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달리,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그 구조가 동일하다.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도 1 및 도 2처럼 전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7 및 도 8처럼 아래로 혹은 위로 접힐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도 8처럼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함께 위로 접힐 경우, 마치 도서관 책상처럼 전면과 좌우 측면을 가릴 수 있게 되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만약, 도 7처럼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30) 모두를 내린 경우에는 수업이 진행 중일 수 있는데, 이때는 교복 치마를 입은 여학생 같은 경우에 다리를 가려 수업 중 에티켓을 지키면서 편안하게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내면에는 포켓(pocket, 13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중 포켓(131)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포켓(131)에 책이나 연습장, 혹은 필기도구 등을 가벽에 넣어둘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착탈식 로킹부(140)는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사이드 플레이트(130)에 마련되며, 도 8처럼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7에서 도 8처럼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사이드 플레이트(130)를 위로 접어 자습이나 공부를 하고자 할 때, 위로 접힌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그 상태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식 로킹부(140)가 마련된다.
이러한 착탈식 로킹부(140)는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일면에 마련되는 로킹용 날개(141)와, 프론트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며, 로킹용 날개(141)가 통과되는 날개 통과부(142)와,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타면에 마련되며, 날개 통과부(142)를 통과한 로킹용 날개(141)의 단부가 결합되는 날개 결합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킹용 날개(141)와 날개 결합부(143)는 벨크로식, 자석식, 똑딱 단추식 결합구조 모두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처럼 로킹용 날개(141)가 날개 통과부(142)를 통과하여 날개 결합부(143)에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그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100)는 도 7처럼 수업 중 혹은 도 8처럼 자습 중에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9 및 도 10처럼 독서 중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는 프론트 플레이트(120)를 약간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프론트 플레이트(120)는 책을 받칠 수 있도록 다수의 접는선(121)에 의해 접힘이 가능하게 다수의 받침용 단위 플레이트(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도 6처럼 프론트 플레이트(120)를 접어 도 9처럼 마치 삼각기둥 타입으로 변형시켜 놓은 후, 도 10처럼 책을 비스듬히 지지하여 독서를 편하게 즐길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평면 전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200) 역시, 매트 베이스(110), 프론트 플레이트(120), 사이드 플레이트(130), 그리고 착탈식 로킹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매트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매트 베이스(11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게 손목 쿠션패드(260)가 연결된다. 손목 쿠션패드(260)는 일정한 두께와 쿠션을 갖는 블록(block) 타입의 부재로서, 손목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매트 베이스(110) 위에서 노트북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마우스가 배치되는 쪽에 도 12처럼 손목 쿠션패드(260)를 접어 매트 베이스(110) 상에 놓으면 마우스를 작동시키는 손목을 완충적으로 받쳐줄 수 있어 장기간 마우스 작업에도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매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의 평면 전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300) 역시, 매트 베이스(110), 프론트 플레이트(120), 사이드 플레이트(130), 그리고 착탈식 로킹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매트 베이스(110)에는 스커트부(370)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커트부(370)는 도 14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300)를 사용할 때, 서랍을 가리는 역할을 함으로써, 서랍 내의 물건이 주변 사람들에게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커트부(370)에는 더미 포켓(36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더미 포켓(360)에 휴대폰 등을 넣어둘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매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가림판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오픈형 책상 11 : 브리지
12 : 상판 13 : 서랍
100 :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110 : 매트 베이스
111 : 미끄럼 방지부 120 : 프론트 플레이트
121 : 접는선 122 : 받침용 단위 플레이트
130 : 사이드 플레이트 131 : 포켓
140 : 착탈식 로킹부 141 : 로킹용 날개
142 : 날개 통과부 143 : 날개 결합부

Claims (4)

  1. 오픈(open)형 책상의 상판에 배치되는 매트 베이스;
    상기 매트 베이스의 후면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매트 베이스의 양 사이드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해당 위치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pocket)이 마련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식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책을 받칠 수 있도록 다수의 접는선에 의해 접힘이 가능하게 다수의 받침용 단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베이스 전면에서 상기 매트 베이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로킹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마련되는 로킹용 날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용 날개가 통과되는 날개 통과부;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며, 상기 날개 통과부를 통과한 상기 로킹용 날개의 단부가 결합되는 날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베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상판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내에는 철판이 개재되며,
    상기 매트 베이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방수와 오염에 강한 PU 또는 PVC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4. 삭제
KR2020170000154U 2017-01-09 2017-01-09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KR200483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54U KR200483403Y1 (ko) 2017-01-09 2017-01-09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54U KR200483403Y1 (ko) 2017-01-09 2017-01-09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403Y1 true KR200483403Y1 (ko) 2017-05-11

Family

ID=5871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54U KR200483403Y1 (ko) 2017-01-09 2017-01-09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819A (ko) 2020-08-07 2022-02-15 김은진 책상용 비대면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52Y1 (ko) 2003-06-04 2003-08-21 피아산업 주식회사 착탈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323951Y1 (ko) 2003-06-04 2003-08-21 피아산업 주식회사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80106873A (ko) * 2008-09-01 2008-12-09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0951043B1 (ko) * 2009-08-12 2010-04-05 이계환 접이식 패널이 부착된 책상
KR20120092052A (ko) 2011-02-10 2012-08-20 제록스 코포레이션 반도체 화합물
KR20140083862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코아띠 스마트패드
KR20150002820U (ko) 2014-01-08 2015-07-16 가부시키가이샤 핫랜드 형틀 구이 과자
US9512867B2 (en) * 2014-02-12 2016-12-06 Matthew E Gerstle Kraft mortise and tenon assembly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52Y1 (ko) 2003-06-04 2003-08-21 피아산업 주식회사 착탈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323951Y1 (ko) 2003-06-04 2003-08-21 피아산업 주식회사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80106873A (ko) * 2008-09-01 2008-12-09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0951043B1 (ko) * 2009-08-12 2010-04-05 이계환 접이식 패널이 부착된 책상
KR20120092052A (ko) 2011-02-10 2012-08-20 제록스 코포레이션 반도체 화합물
KR20140083862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코아띠 스마트패드
KR20150002820U (ko) 2014-01-08 2015-07-16 가부시키가이샤 핫랜드 형틀 구이 과자
US9512867B2 (en) * 2014-02-12 2016-12-06 Matthew E Gerstle Kraft mortise and tenon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819A (ko) 2020-08-07 2022-02-15 김은진 책상용 비대면장치
KR102436585B1 (ko) * 2020-08-07 2022-08-25 주식회사 애드업 책상용 비대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talova et al. New brain gain: Rising human capital among recent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US20110168865A1 (en) Slant board
KR200483403Y1 (ko)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KR20160062373A (ko) 책받이와 가림막이 구비된 책상
KR101032326B1 (ko)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CN211431515U (zh) 数字书法教学桌
KR20130005677U (ko) 교육 모듈이 결합된 어린이용 책상 어셈블리
KR200246984Y1 (ko) 다목적 노작 실험대
CN208630130U (zh) 一种床头小书
Pace Training in Organizations: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Richardson Linux Training
CN204838499U (zh) 一种用于辅助书法练习的桌子
CN202319351U (zh) 一种英语阅读书夹
CN206102061U (zh) 新型学生凳
JP5299815B2 (ja) パソコン用キーボードデスク
Jang et al. The sixth-grade students' conceptions of a scientist's time use
KR20110002610U (ko) 독서대 겸용 컴퓨터 키보드
US20030073066A1 (en) Study center
COREY Poet, essayist, and editor Stephen Corey has lived and worked in Athens, Georgia, since 1983. As assistant, associate, and fi-nally acting editor of the Georgia Review, he has helped shape the literary landscape in this country for the past two decades. He has also gained national recognition for his own poems and essays.
DE202009000173U1 (de) Elektronischer Schülerarbeitsplatz
Puligundla et al. Mutation Analysis and Treatment Outcomes of BCR-ABL Tyrosine Kinase Domain in CML Patients with Imatinib Treatment Failure-Data from a Large Tertiary Center in India
CN202154332U (zh) 一种多功能学生椅
Erlanger From Widgets to Digits: Employment Regulation for the Changing Workplace
Drake The Wall Between Church and State. Edited by Dallin H. Oak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179 pp. $1.95
Winter Saturday Night Desperate: Poems (Original wri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