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951Y1 -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 Google Patents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951Y1
KR200323951Y1 KR20-2003-0017593U KR20030017593U KR200323951Y1 KR 200323951 Y1 KR200323951 Y1 KR 200323951Y1 KR 20030017593 U KR20030017593 U KR 20030017593U KR 200323951 Y1 KR200323951 Y1 KR 200323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late
shielding plate
stud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7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하체 및 다리가 전방에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 및 상판의 양측 하부에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상부나 하부에 횡방향의 크로스바를 갖는 봉형의 책상다리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다리에는 가림판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고정설치되거나, 상기 책상다리의 크로스바가 가림판의 상단이나 하단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관통삽입되므로써 고정설치되어, 가림판이 상기 상판의 하부를 전방측에 대하여 차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림판이 사용자의 하체 및 다리를 책상 전방측에 대하여 은폐시켜주므로 수치심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가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의자에 착석한 후 하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수업 중 경직된 하체의 근육을 이완해 줌과 동시에 하체로 상체의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하체의 노출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업에 집중할 수 있어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Desk for student having fixed type sheild plate}
본 고안은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하체 및 다리가 전방에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용 책상은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판을 봉 형상의 절곡된 프레임이 하부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대단히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일반적인 학생용 책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학생용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학생용 책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2)을 갖는 상판(1)과, 상판(1)의 하부 양측에 절곡되어 수직상태로 기립 설치된 봉 형상의 책상다리(3, 3')로 이루어지며, 상판(1)은 책상다리(3, 3')에 의하여 바닥과 이격된다.
이때, 상판(1)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책상다리(3, 3') 사이에는 횡방향의 크로스바(4, 5)가 설치되며, 이 크로스바(4, 5)에 의하여 책상다리(3, 3')는 서로 지지되므로 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학생용 책상은 책상다리(3, 3')가 여러개의 봉이 단순히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학생이 책상을 사용하기 위하여 미도시된 의자에 앉을 경우, 학생의 하체가 전방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치마를 입는 여학생의 경우에는 다리가 노출되어 수치심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하체부분을 가리기 위하여 방석이나 수건 등을 치마위에 올려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 다리 노출의 염려로 인한 수업집중력 저하로 인하여 결국 저조한 성적이 나오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학생용 책상의 상판 하부측에 통기가 가능한 차폐용 가림판이 고정설치되어, 가림판이 사용자의 하체를 전방측 주변인에 대하여 은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부위에 주변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어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학생용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2에 도시된 책상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가림판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상판 60, 60' : 책상다리
62, 63 : 크로스바 70, 80 : 가림판
80a, 80b : 고정구멍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50) 및 상판(50)의 양측 하부에 기립상태로 설치된 봉형의 책상다리(60, 60')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다리(60, 60')에는 가림판(70)이 볼트(74) 및 너트(74b)와 같은 체결부재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고정설치된 가림판(70)이 상기 상판(50)의 하부를 전방측에 대하여 차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50) 및 상판(50)의 양측 하부에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상부나 하부에 횡방향의 크로스바(62, 63)를 갖는 봉형의 책상다리(60, 60')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50)의 하부에는 가림판(80)이 펼쳐진상태로 고정설치되되, 가림판(80)의 상단이나 하단에 형성된 고정구멍(80a, 80b)에 상기 책상다리(60, 60')의 크로스바(62, 63)가 관통삽입됨에 따라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고정설치된 가림판(80)이 상판(50)의 하부를 전방측에 대하여 차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에 의하여도 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림판(70, 8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72)이 관통형성되어, 주변의 공기가 통기공(72)을 통하여 상기 상판(50)의 하부로 공급 및 순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에 도시된 책상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은 수납함(52)을 갖는 상판(50)과, 상판(50)의 양측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되, 기립상태로 설치되어 상판(50)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봉 형상의 책상다리(60, 60')를 포함한다.
이때, 상판(50) 양측에 각각 설치된 책상다리(60, 60')는 그 사이에 크로스바(62, 63)가 상·하로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책상다리(60, 60')는 크로스바(62, 63)에 서로가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판(50)의 전방 하부측 책상다리(60, 60')에는 복수개의 관통된 통기공(72)을 갖는 가림판(70)이 볼트(74) 및 너트(74b)와 같은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에 의하여 수직상태로 세워져 고정되며, 볼트(74)는 책상다리(60, 60')에 형성된 관통공(64)을 관통한 후 너트(74b)와 체결된다.
여기서, 가림판(70)은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이므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림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으로 이루어지고, 피어싱된 통기공(72)을 등간격으로 복수개 갖는다.
이러한 가림판(70)은 불투명한 금속재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가림판(70)은 볼트(74) 및 너트(74a)가 아닌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로 책상다리(60, 60')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이나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가림판(70)에 형성된 통기공(72)은 도시된 십자형이 아닌 원형이나 별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은 학생이 미도시된 의자에 착석할 경우 수직상태로 고정된 불투명한 가림판(70)이 하체의 다리부분을 차폐하므로, 하체 및 다리를 전방측의 주변인들이 볼 수 없도록 은폐시켜준다.
그리고, 책상 주변의 공기가 가림판(70)의 통기공(72)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순환되어 하체 및 다리에서 발생되는 땀이 순환 공기에 의해 건조되므로 의자에 앉아 장시간 책상을 사용해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가림판의 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은 가림판(80)이 천으로 형성된 것이 전술된 본 고안과 가장 큰 차이 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림판(80)은 전술된 도 2a 및 도 2b와 동일하게 구성된 책상의 동일한 위치 즉, 상판(50)의 전방 하부측 책상다리(60,60')에 설치되며, 가림판(80)의 상·하단에 책상다리(60, 60')의 크로스바(62, 63)가 관통삽입되므로 책상다리(60, 60')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가림판(8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크로스바(62, 63)가 관통되어 삽입되는 고정구멍(80a, 80b)이 형성되며, 이 고정구멍(80a, 80b)은 상·하단 테두리가 중공을 갖도록 원형으로 접힌 다음 그 단부가 고정구멍(80a, 80b)의 축방향을 따라 박음질됨으로써 형성된다.
물론, 가림판(80)의 상·하단 테두리에 통상의 수형벨크로화스너(일명 찍찍이)를 횡방향으로 길게 부착하고, 가림판(80)의 상·하단 테두리를 원형으로 접어서 수형벨크로화스너가 위치하는 부분에 암형벨크로화스너를 대응설치하여, 암·수벨크로화스너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구멍(80a, 80b)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암·수벨크로화스너 대신 통상의 암·수스냅버튼(일명 똑딱단추)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가림판(80)에는 주변의 공기가 통과하는 원형의 통기공(82)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통기공(82)은 도시된 바와 달리 십자형이나 별모양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공(82) 사이의 가림판(80) 표면에는 미관을 위하여 자수나 프린트작업으로 그림(84)을 그려넣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은, 책상다리(60, 60')에 고정된 가림판(70, 80)이 상판(50)의 하부측을 차폐하여 주므로 전방측의 주변인에게 사용자의 하체 및 다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판(50)의 하부측이 차폐되어도 주변의 공기가 통기공(72, 82)으로 순환되므로 하체부분에서 발생되는 땀이 이 공기에 의해 건조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여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체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자에 착석한 후 자유롭게 하체를 움직일 수 있어, 장시간 착석에 따른 경직된 하체의 근육을 수시로 이완해줄 수 있으며, 하체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체의 혈액이 하체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가림판(70, 80)은 책상의 구조 및 크기에 따라 1인용 책상이 아닌 2인용 이상의 책상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설명한 바와 달리 상판(50)의 전방 하부측 뿐만 아니라, 측방 하부측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할 경우 가림판이 책상 전방측에 대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은폐시키므로 노출에 의한 수치심 유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나 다리를 가리기 위하여 방석이나 수건 등을 하체나 다리 위에 올리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체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자에 착석한 후 자유롭게 하체를 움직일 수 있어, 수업 중 경직된 하체의 근육을 이완해 줌과 동시에 하체로 상체의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하체의 노출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업에 집중할 수 있어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책상의 전방이 차폐되어도 주변의 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하체부분에 지속적으로 공급 및 순환되며, 이 공기가 하체에서 발생되는 땀을 건조해 주므로 책상을 장시간 사용하여도 항상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상판(50) 및 상판(50)의 양측 하부에 기립상태로 설치된 봉형의 책상다리(60, 60')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다리(60, 60')에는 가림판(70)이 볼트(74) 및 너트(74b)와 같은 체결부재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고정설치된 가림판(70)이 상기 상판(50)의 하부를 전방측에 대하여 차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7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72)이 관통형성되어, 주변의 공기가 통기공(72)을 통하여 상기 상판(50)의 하부로 공급 및 순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3. 상판(50) 및 상판(50)의 양측 하부에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상부나 하부에 횡방향의 크로스바(62, 63)를 갖는 봉형의 책상다리(60, 60')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50)의 하부에는 가림판(80)이 펼쳐진상태로 고정설치되되, 가림판(80)의 상단이나 하단에 형성된 고정구멍(80a, 80b)에 상기 책상다리(60, 60')의 크로스바(62, 63)가 관통삽입됨에 따라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고정설치된가림판(80)이 상판(50)의 하부를 전방측에 대하여 차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8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82)이 관통형성되어, 주변의 공기가 통기공(82)을 통하여 상기 상판(50)의 하부로 공급 및 순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2003-0017593U 2003-06-04 2003-06-04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323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93U KR200323951Y1 (ko) 2003-06-04 2003-06-04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93U KR200323951Y1 (ko) 2003-06-04 2003-06-04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951Y1 true KR200323951Y1 (ko) 2003-08-21

Family

ID=4941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93U KR200323951Y1 (ko) 2003-06-04 2003-06-04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9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24B1 (ko) * 2008-11-19 2012-04-20 여상철 책상용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KR200483403Y1 (ko) 2017-01-09 2017-05-11 전영민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KR102052093B1 (ko) * 2019-05-28 2019-12-05 주식회사 이노프 신속한 조립성과 우수한 미감을 확보하는 다리 부착형 가림판 타입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24B1 (ko) * 2008-11-19 2012-04-20 여상철 책상용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KR200483403Y1 (ko) 2017-01-09 2017-05-11 전영민 다용도 책상 가림판 겸용 매트
KR102052093B1 (ko) * 2019-05-28 2019-12-05 주식회사 이노프 신속한 조립성과 우수한 미감을 확보하는 다리 부착형 가림판 타입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0089C (en) Functional seat cover
US20090044337A1 (en) Bed cover system
US8403421B2 (en) Single frame sling chair
US6126240A (en) Stuffed child&#39;s stool
US20090270236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person&#39;s back and head area
EP2710926A1 (en) Simple self-assembly chair for health
KR200323952Y1 (ko) 착탈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US6540302B1 (en)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ing removable back
KR200323951Y1 (ko) 고정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PT758859E (pt) Almofada para cadeira em especial uma almofada removivel para um assento de crianca
US20120299357A1 (en) AlertSeat
KR200407147Y1 (ko) 책상에 부착되는 전면 커버
KR20210004149A (ko) 가림판 착탈식 다리절첩테이블
KR101405654B1 (ko) 앞가리개 부착 서랍 없는 학교책상
US6254182B1 (en) Golf cart seat cover
JP4524014B2 (ja) 椅子の座板
ES2251664T3 (es) Mueble para sentarse.
KR200409164Y1 (ko) 걸이수단이 구비된 학생용 의자
KR200381388Y1 (ko) 통풍 의자
CN212465531U (zh) 一种可折叠床铺
CN210783676U (zh) 一种座椅
US20020195847A1 (en) Chair assembly having upper and lower seat members
CN214729272U (zh) 一种儿童座椅
CN217695746U (zh) 一种座椅椅背
JP3118208U (ja) 折り畳み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