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095A - 절첩식 책상 칸막이 - Google Patents

절첩식 책상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095A
KR20070098095A KR1020060029322A KR20060029322A KR20070098095A KR 20070098095 A KR20070098095 A KR 20070098095A KR 1020060029322 A KR1020060029322 A KR 1020060029322A KR 20060029322 A KR20060029322 A KR 20060029322A KR 20070098095 A KR20070098095 A KR 20070098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desk
fol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940B1 (ko
Inventor
조왕희
Original Assignee
조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왕희 filed Critical 조왕희
Priority to KR102006002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9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학습대상물을 거치하도록 판형태로 형성된 고정판의 후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칸막이프레임을 형성하고, 칸막이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측부를 지지하도록 측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측부프레임의 전단부에 홈형태의 측부고정홈을 형성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칸막이프레임에 지지힌지로 결합되어 상부로 회전하면서 후면에 칸막이가 구비되도록 칸막이판을 형성하고, 칸막이판의 양측부로 고정판에 결합되어 지지하면서 상부로 전개되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링크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링크를 형성한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중앙에 양측으로 절첩되면서 전개하면 고정부의 측부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측부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는 측부칸막이판을 형성하고, 측부칸막이판의 하부에 전개된 상태에서 고정부의 측부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결합된 고정볼을 형성한 측부칸막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첩식, 칸막이, 칸막이부, 측부칸막이부, 지지링크

Description

절첩식 책상 칸막이 {A Folder Type of Table Parti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책상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칸막이부를 상부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측부칸막이부를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지지다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를 책상의 상판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인 측부칸막이부를 지지체인으로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인 상부절첩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거울과 메모꽂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상 2 : 상판
100 : 칸막이 110 : 고정부
111 : 고정판 112 : 칸막이프레임
113 : 측부프레임 114 : 측부고정홈
115 : 지지다리 116 : 고정구
117 : 체결수단 120 : 칸막이부
121 : 칸막이판 122 : 지지힌지
123 : 지지링크 124 : 링크힌지
125 : 지지체인 126 : 상부절첩부
127 : 상부절첩힌지 128 : 고정자석
129 : 악세사리부 129a : 거울
129b : 메모꽂이 130 : 측부칸막이부
131 : 측부칸막이판 132 : 측부힌지
133 : 고정볼 134 : 볼스프링
135 : 측부자석
본 발명은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에 부착하거나 독립적으로 다리를 형성하여 책상으로 사용되도록 고정판에 절첩식의 칸막이를 부착하여 일반적인 개방형 책상과 집중력을 높이는 칸막이 책상을 용이하게 변형하면서 사용함으로써, 범용성을 확대시키고 칸막이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시키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받치고 쓰는 가구를 말하는 것으로, 학습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책상은 다리의 상면에 수납함이 구비된 상판을 형성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고 주위가 개방된 상판 위에 학습대상물을 거치하고 학습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책상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강의자의 강의, 각종 학교에 행해지는 수업이나 각종 토론과 같이 단체가 같이 하는 집단적인 학습방법에서는 관련된 교재나 학습교구 등을 안치하여 대상자가 학습하기 편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개방형 책상은 집단적인 학습을 하기에는 효과적이나 자율학습이나 단독학습을 진행할 때에는 외부가 개방되어 집단적인 학습과 달리 외부에 영향이 없이 스스로 학습을 단독 진행하는데 있어 외부의 움직임과 소리 등에 노출되어 집중도를 크게 저하시켜 학습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단독적인 학습을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단독학습이 주로 진행되는 도서관의 열람실이나 독서실과 같은 시설에서는 칸막이를 책상에 설치하여 외부의 시각적 움직임이나 소리 등의 학습저해 요소를 미연에 차단시켜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개방형 책상은 단체학습용으로 사용되고 칸막이형 책상은 독립적인 개별학습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두 책상은 그 특성상 서로 병용되기 어렵고 각자의 형태와 필요에 따라 분리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에, 최근에는 휴대하면서 칸막이를 형성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347031호의 종래기술의 휴대용 책상 칸막이가 개시된 바, 이를 도 1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함체상으로 조립되어지는 휴대용 책상 칸막이에 있어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10)(10`)과 상기 측면판(10)(10`)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면판(20)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연결부가 절첩이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후면판(20)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절첩이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고, 측면판(10)(10`) 및 후면판(20)의 저면으로는 자석 등의 부착수단(30)이 형성되고 별도로 공급되어 책상의 대응 위치에 부착된 철편(32)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택된 측면판(10)의 내측 면에는 경사조절기(40)가 일정한 경사만큼 상하로 회동자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마주하는 후면판(20)의 대응 면에는 고정돌기(42)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돌설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면판(10)의 외측 하단에는 측면판(10)에 수직을 이루는 받침대(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0)(10`) 및 후면판(20)의 상측 내면에는 일정한 폭으로 부착면(60)이 형성되고, 부착면(60)은 박상의 철편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책상을 칸막이를 형성하는 후면판과 측면판을 힌지 결합시켜 회전하면서 휴대 보관하고, 책상에 설치하면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칸막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장소에 항상 휴대하여야 함에 따라 휴대와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책상에 거치해서 칸막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철편이 구비된 책상에 휴대용 칸막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철편이 책상에 설치되지 않으면 부착할 수가 없어 철편이 부착된 책상이 있는 장소로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책상에 자석 등과 같은 부착수단으로 부착하도록 형성되어 칸막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부착부분의 고정력이 약하여 외부의 작은 충격으로도 칸막이가 이탈되어 부상과 같은 사고가 발생되고, 고정력을 강화시키면 이동 휴대하면서 부착 및 탈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휴대용 책상 칸막이는 칸막이를 설치하도록 책상의 상면에 형성된 철편으로 부착부를 부착하기 위해서 절첩부분을 전개된 상태로 상부로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설치작업에 따른 시간이 지체되고 설치소음에 의한 주위 학습환경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책상의 상판에 부착하거나 독립적으로 다리를 형성하여 책상으로 사용되도록 고정판에 절첩식의 칸막이를 부착하여 일반적인 개방형 책상과 집중력을 높이는 칸막이 책상을 용이하게 변형하면서 사용함으로써, 범용성을 확대시키고 칸막이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학습대상물을 거치하도록 판형태로 형성된 고정판의 후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칸막이프레임을 형성하고, 칸막이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측부를 지지하도록 측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측부프레임의 전단부에 홈형태의 측부고정홈을 형성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칸막이프레임에 지지힌지로 결합되어 상부로 회전하면서 후면에 칸막이가 구비되도록 칸막이판을 형성하고, 칸막이판의 양측부로 고정판에 결합되어 지지하면서 상부로 전개되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링크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크를 형성한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중앙에 양측으로 절첩되면서 전개하면 고정부의 측부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측부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는 측부칸막이판을 형성하고, 측부칸막이판의 하부에 전개된 상태에서 고정부의 측부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결합된 고정볼을 형성한 측부칸막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고정판의 하부에 지지다리를 형성하여 절첩되면 상부로 칸막이판의 상부에 학습대상물을 거치시키고, 전개하면 후면으로 칸막이부를 설치하고 측부로 측부칸막이부를 설치하여 칸막이가 부설된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판을 책상의 상판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도록 복수의 고정구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도록 형성하여 판형태의 칸막이부와 측부칸막이가 설치된 고정판을 견고하게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양측부로 고정판과 측부를 연결 지지하도록 체인형태의 지지체인을 형성하여 상하로 절첩되는 칸막이판의 상승각도를 제한하면서 측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상부로 상부절첩힌지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상부절첩부를 형성하여 칸막이판의 상부에 측부칸막이판의 높이에 맞으면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부절첩부가 상부에서 절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 전면 양측으로 고정자석을 형성하고, 중앙에서 양측으로 전개되는 측부칸막이판을 절첩시킬 때 고정자석이 대응되는 위치에 측부자석을 형성하여 절첩 시에 자석의 고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전개 시에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전면으로 외부를 조사하는 거울과 메모용지를 거치시키는 메모꽂이를 설치한 악세사리부를 형성하여 칸막이판의 공간효율성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칸막이부를 상부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측부칸막이부를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지지다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를 책상의 상판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인 측부칸막이부를 지지체인으로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인 상부절첩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책상 칸막이에 거울과 메모꽂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100)는 학습대상물을 거치하도록 판형태의 고정판(111)을 형성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후면으로 칸막이판(121)이 상승되면서 설치되도록 형성한 칸막이부(120)와, 상기 고정부(110)의 양측으로 칸막이(100)가 형성되도록 측부칸막이 판(131)을 칸막이부(120)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절첩 전개되도록 형성한 측부칸막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110)는 학습대상물을 거치하도록 판형태로 형성된 고정판(111)의 후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칸막이프레임(112)을 형성하고, 칸막이프레임(11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측부를 지지하도록 측부프레임(113)을 형성하되, 측부프레임(113)의 전단부에 홈형태의 측부고정홈(114)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판(111)의 하부에 지지다리(115)를 형성하여 절첩되면 상부로 칸막이판(121)의 상부에 학습대상물을 거치시키고, 전개하면 후면으로 칸막이부(120)를 설치하고 측부로 측부칸막이부(130)를 설치하여 칸막이(100)가 부설된 책상(1)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판(111)을 책상(1)의 상판(2)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도록 복수의 고정구(116)를 체결수단(117)으로 체결하도록 형성하여 판형태의 칸막이부(120)와 측부칸막이(100)가 설치된 고정판(111)을 견고하게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칸막이부(120)는 고정부(110)의 칸막이프레임(112)에 지지힌지(122)로 결합되어 상부로 회전하면서 후면에 칸막이가 구비되도록 칸막이판(121)을 형성하고, 칸막이판(121)의 양측부로 고정판(111)에 결합되어 지지하면서 상부로 전개되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링크힌지(12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링크(12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에 양측부로 고정판(111)과 측 부를 연결 지지하도록 체인형태의 지지체인(125)을 형성하여 상하로 절첩되는 칸막이판(121)의 상승각도를 제한하면서 측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에 상부로 상부절첩힌지(127)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상부절첩부(126)를 형성하여 칸막이판(121)의 상부에 측부칸막이판(131)의 높이에 맞으면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부절첩부(126)가 상부에서 절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에 전면으로 외부를 조사하는 거울(129a)과 메모용지를 거치시키는 메모꽂이(129b)를 설치한 악세사리부(129)를 형성하여 칸막이판(121)의 공간효율성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측부칸막이부(130)는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에 중앙에 양측으로 절첩되면서 전개하면 고정부(110)의 측부프레임(113)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측부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는 측부칸막이판(131)를 형성하고, 측부칸막이판(131)의 하부에 전개된 상태에서 고정부의 측부고정홈(114)에 삽입 고정되도록 볼스프링(134)의 탄성력으로 결합된 고정볼(13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 전면 양측으로 고정자석(128)을 형성하고, 중앙에서 양측으로 전개되는 측부칸막이판(131)을 절첩시킬 때 고정자석(128)이 대응되는 위치에 측부자석(135)을 형성하여 절첩 시에 자석의 고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전개 시에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책상의 상판형태로 형성된 고정판(111)의 상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 형성된 칸막이프레임(112)을 형성하고, 칸막이프레임(112)의 양측으로 전면을 향하도록 전단부에 홈형태의 측부고정홈(114)을 구비한 측부프레임(113)을 설치하여 고정판(111)을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고정판(111)의 칸막이프레임(112)의 상부로 승강되면서 후면에 칸막이가 형성되도록 지지힌지(122)로 결합되는 칸막이판(121)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절첩 전개되어 측부를 칸막이 하도록 측부힌지(132)로 힌지결합된 측부칸막이판(131)을 설치하고, 측부칸막이판(131)의 하부로 측부고정홈(114)에 대응되는 위치로 볼스프링(134)이 구비된 고정볼(133)을 형성하여 전개 시에 측부프레임(113)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측부고정홈(114)에 고정볼(133)이 삽입되면서 측부칸막이부(13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 전면 양측으로 고정자석(128)을 형성하고, 중앙에서 양측으로 전개되는 측부칸막이판(131)을 절첩시킬 때 고정자석(128)이 대응되는 위치에 측부자석(135)을 형성하여 절첩 시에 자석의 고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전개 시에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볼(133)을 하부에 구비하고 측부힌지(132)로 결합된 측부칸막이판(131)을 설치한 칸막이판(121)을 지지힌지(122)로 고정부(110)의 칸막이프 레임(112)에 상부로 승강되면서 전개되고 하부로 하강하면서 절첩되도록 결합시키고, 양측으로 고정판(111)과 칸막이판(121)을 결합하면서 일정한 상승각도를 제한하도록 중앙에 링크힌지(12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지링크(123)를 설치하여 고정부(110)와 측부칸막이부(130)가 설치된 칸막이부(120)를 측부에서 지지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에 양측부로 고정판(111)과 측부를 연결 지지하도록 체인형태의 지지체인(125)을 형성하여 상하로 절첩되는 칸막이판(121)의 상승각도를 제한하면서 측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에 상부로 상부절첩힌지(127)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상부절첩부(126)를 형성하여 칸막이판(121)의 상부에 측부칸막이판(131)의 높이에 맞으면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부절첩부(126)가 상부에서 절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측부칸막이부(130)가 형성된 칸막이부(120)를 고정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칸막이(100)를 단독적으로 책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고정판(111)의 하부에 지지다리(115)를 형성하여 책상(1)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개방형 학습 시에는 측부칸막이부(130)와 칸막이부(120)를 절첩시켜 칸막이부(120)의 후면 상부를 책상(1)의 상판(2)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습을 실시하고, 칸막이(100)를 설치한 폐쇄형 학습 시에는 지지힌지(122)를 중심으로 측부칸막이부(130)가 설치된 칸막이부(120)의 칸막이판(121)을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링크(123)가 링크힌지(12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측부를 지지하면서 상승제한 각도 까지 상승시킨다.
이때, 칸막이(100)를 기존의 책상(1)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고정판(111)을 책상의 상판(2)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고정되는 위치에 상판(2)과 고정판(111)을 고정하도록 복수의 위치에 고정구(116)를 형성한 상태에서 하부에 체결수단(117)으로 체결하여 지지다리(115) 설치 없이 기존의 책상(1)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양측으로 링크힌지(124)로 지지하면서 칸막이판(121)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칸막이판(121)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전개되는 측부칸막이판(131)을 파지하여 고정자석(128)과 측부자석(135)으로 고정된 측부칸막이판(131)을 측부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양측으로 전개 시킨다.
이렇게, 고정자석(128)과 측부자석(135)으로 고정된 측부칸막이판(131)을 측부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판(111)의 측부프레임(113)의 상부 측으로 전개하게 되면 측부프레임(113)의 전단부에 형성된 측부고정홈(114)으로 측부칸막이판(13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볼(133)이 볼스프링(134)의 탄성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칸막이부(120)와 측부칸막이부(130)를 전개시켜 칸막이(10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칸막이(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학습을 진행하고 칸막이판(121)의 전면에 형성된 거울(129a)과 메모꽂이(129b)와 같은 악세사리부(129)의 부속물를 이용하면서 학습을 진행시켜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능률을 증대시킨다.
이렇게, 칸막이(100)를 전개한 상태로 사용하다가 칸막이(100) 설치를 해체시킬 때에는 볼스프링(134)의 탄성력으로 결합된 고정볼(133)에 압력을 가하여 결 합력을 해제한 상태로 칸막이판(121)의 중앙으로 측부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측부자석(135)이 칸막이판(121)의 고정자석(128)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위치하고, 칸막이판(121)을 지지힌지(122)를 중심으로 하부로 절첩하여 평판형태가 되도록 개방형태의 책상(1)으로 변위시킨다.
따라서, 기존의 책상(1)에 고정구(116)와 체결수단(117)으로 고정시키거나, 고정판(111)의 하부에 지지다리(115)를 형성하여 책상(1)형태로 설치가 가능함으로 설치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절첩되면 개방형 책상(1)으로 전개되면 칸막이(100)가 부설된 책상(1)으로 변위가 용이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책이나 학습대상물을 거치시키는 판형태로 형성한 고정판의 후면에 일정한 높이의 돌기형태로 칸막이가 설치되는 칸막이프레임을 형성하고, 칸막이프레임의 양측부에 홈형태의 측부고정홈을 구비한 측부프레임을 구비한 고정부를 형성하며, 칸막이프레임의 상부에 후부를 칸막이하는 판형태의 칸막이판을 지지힌지로 결합하여 상하로 회전하면서 절첩되어 설치되도록 형성하고, 고정판과 칸막이판의 양단부를 링크힌지가 구비된 지지링크를 형성하여 상하로 회전되어 절첩되는 칸막이판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절첩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하며, 칸막이판에 중앙에서 양측으로 측부힌지로 결합되어 좌우로 전개되면서 측면을 칸막이하는 판형태의 측부칸막이판을 측부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측부프레임의 전단부에 형성된 측부고정홈에 탈착되면서 삽 입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측부칸막이판 하부로 볼스프링으로 탄성고정된 고정볼을 형성하여 측부고정홈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칸막이판의 중앙으로 절첩된 측부고정홈을 고정판에 지지힌지로 결합되어 절첩함에 따라 집단 학습 시에는 개방형태로 모두 절첩되어 고정칸막이가 책상의 상판과 같은 역할을 하고 단독학습시에는 측부칸막이와 칸막이부를 용이하게 전개되도록 설치하여 칸막이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개방형과 칸막이형의 변이가 용이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학습대상물이 거치되는 고정판에 후면과 양측면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부와 측부칸막이부를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고정판의 하부에 지지다리만 설치하면 바로 칸막이를 절첩한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책상 생산에 따른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학습대상물이 거치되는 고정판을 일반적인 책상의 상판에 고정구와 체결수단으로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결합되어 일반적인 책상에서도 개방형과 칸막이형을 병용하여 사용함에 따라 일반적인 책상을 활용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하고, 칸막이 책상을 경제적으로 형성하여 집중력을 향상에 따라 학습효율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후면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부에 일정한 높이로 절첩되는 상부절첩힌지를 구비한 상부절첩부를 형성하여 절첩 시에 파지가 용이하고 측부칸막이와 높이를 맞추면서 전개 할 때 고정판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하고, 절첩 시에 책상의 상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 성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학습대상물을 거치하는 고정판과 후면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전개된 상태의 상하 이송범위를 제한하고 양측부를 지지하도록 지지체인을 형성하여 체인형태로 고정함으로써,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후면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에 일측으로 중앙에서 양측으로 전개하는 측부칸막이판에 대응되는 부분에 고정자석을 형성하고, 중앙에서 양측으로 절첩되어 전개시키는 측부칸막이판에도 각기 대응되는 위치에 측부자석을 각각 형성하여 자석으로 측부칸막이판을 칸막이판에 고정시켜 이동 시나 절첩 시에 자석의 고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측부칸막이판 이탈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위치에서 절첩시켜 설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절첩식 책상 칸막이는 후면에 지지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하로 이송되어 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전면으로 거울과 메모꽂이와 같은 악세사리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학습대상물을 거치하도록 판형태로 형성된 고정판의 후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칸막이프레임을 형성하고, 칸막이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측부를 지지하도록 측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측부프레임의 전단부에 홈형태의 측부고정홈을 형성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칸막이프레임에 지지힌지로 결합되어 상부로 회전하면서 후면에 칸막이가 구비되도록 칸막이판을 형성하고, 칸막이판의 양측부로 고정판에 결합되어 지지하면서 상부로 전개되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링크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링크를 형성한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중앙에 양측으로 절첩되면서 전개하면 고정부의 측부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측부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는 측부칸막이판을 형성하고, 측부칸막이판의 하부에 전개된 상태에서 고정부의 측부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결합된 고정볼을 형성한 측부칸막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판의 하부에 지지다리를 형성하여 절첩되면 상부로 칸막이판의 상부에 학습대상물을 거치시키고, 전개하면 후면으로 칸막이부를 설치하고 측부로 측부칸막이부를 설치하여 칸막이가 부설된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판을 책상의 상판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도록 복수의 고정구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도록 형성하여 판형태의 칸막이부와 측부칸막이가 설치된 고정판을 견고하게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양측부로 고정판과 측부를 연결 지지하도록 체인형태의 지지체인을 형성하여 상하로 절첩되는 칸막이판의 상승각도를 제한하면서 측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상부로 상부절첩힌지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상부절첩부를 형성하여 칸막이판의 상부에 측부칸막이판의 높이에 맞으면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부절첩부가 상부에서 절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 전면 양측으로 고정자석을 형성하고, 중앙에서 양측으로 전개되는 측부칸막이판을 절첩시킬 때 고정자석이 대응되는 위치에 측부자석을 형성하여 절첩 시에 자석의 고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전개 시에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의 칸막이판에 전면으로 외부를 조사하는 거울과 메모용지를 거치시키는 메모꽂이를 설치한 악세사리부를 형성하여 칸막이판의 공간효율성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1020060029322A 2006-03-31 2006-03-31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10077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22A KR100774940B1 (ko) 2006-03-31 2006-03-31 절첩식 책상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22A KR100774940B1 (ko) 2006-03-31 2006-03-31 절첩식 책상 칸막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558U Division KR200419242Y1 (ko) 2006-03-31 2006-03-31 절첩식 책상 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095A true KR20070098095A (ko) 2007-10-05
KR100774940B1 KR100774940B1 (ko) 2007-11-15

Family

ID=3880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322A KR100774940B1 (ko) 2006-03-31 2006-03-31 절첩식 책상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9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26B1 (ko) * 2008-09-01 2011-05-06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1115494B1 (ko) * 2009-11-06 2012-02-27 (주) 종로금속 화기작업용 절첩식 칸막이장치
KR101438404B1 (ko) * 2013-08-07 2014-09-12 신상순 다 기능성 책상 칸막이
KR102182510B1 (ko) * 2020-03-12 2020-11-24 주식회사 크라프트코리아 피씨방 책상용 측면 칸막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352B1 (ko) * 2014-11-19 2017-01-10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FR3109872A1 (fr) * 2020-05-07 2021-11-12 Magenta Dispositif de separation amovible pour une table
KR102436585B1 (ko) * 2020-08-07 2022-08-25 주식회사 애드업 책상용 비대면장치
KR20220037564A (ko) 2020-09-18 2022-03-25 송철한 코로나 감염 방지용 칸막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031Y1 (ko) 2004-01-17 2004-04-03 신기현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0373364Y1 (ko) 2004-10-19 2005-01-15 최승혁 휴대용 간이 학습 칸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26B1 (ko) * 2008-09-01 2011-05-06 이승하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101115494B1 (ko) * 2009-11-06 2012-02-27 (주) 종로금속 화기작업용 절첩식 칸막이장치
KR101438404B1 (ko) * 2013-08-07 2014-09-12 신상순 다 기능성 책상 칸막이
KR102182510B1 (ko) * 2020-03-12 2020-11-24 주식회사 크라프트코리아 피씨방 책상용 측면 칸막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940B1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940B1 (ko) 절첩식 책상 칸막이
US10098452B2 (en) Multi-holder for learning
KR200419242Y1 (ko)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20120061364A (ko) 보조학습대를 구비한 독서대
KR200436158Y1 (ko) 독서대
KR200483444Y1 (ko) 독서대 세트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100009723U (ko) 절첩식 독서지지대
JP4244122B2 (ja) スクリーン、簡易テーブル
KR200347031Y1 (ko)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130098696A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101337269B1 (ko) 복합기능 교탁
KR101794253B1 (ko) 북커버 겸용 휴대용 독서대
KR100987521B1 (ko)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KR101599964B1 (ko) 물품 거치대
KR200477782Y1 (ko) 휴대용 접이식 거치대
KR200316841Y1 (ko)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JPH0437464Y2 (ko)
KR200184737Y1 (ko) 서류 받침대
JP2010125600A (ja) 本開き維持具
KR200411814Y1 (ko) 휴대용 고정 책받침대
JP3168311U (ja) 折畳み式万能書見台
KR20160060197A (ko)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JP2000300353A (ja) 編み物教本・料理教本等の書籍を参照するための書見台
KR200363164Y1 (ko)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