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352B1 -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 Google Patents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352B1
KR101694352B1 KR1020140161478A KR20140161478A KR101694352B1 KR 101694352 B1 KR101694352 B1 KR 101694352B1 KR 1020140161478 A KR1020140161478 A KR 1020140161478A KR 20140161478 A KR20140161478 A KR 20140161478A KR 101694352 B1 KR101694352 B1 KR 10169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unit
board unit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197A (ko
Inventor
최성훈
위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102014016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3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8Foldable reading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1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paper clamps, line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은 상판과, 다리와, 프레임부와, 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판은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다리는 지면에서 상판을 지지한다. 프레임부는 상판의 상측에 배치된다. 보드유닛은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판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Description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DESK EQUIPPED WITH BOARD UNIT}
본 발명은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보드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를 상판에 집중시킬 수 있고, 보드유닛을 통해 칸막이의 연출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성격의 학습 효과를 이룰 수 있는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공부를 하거나 다양한 책, 신문 등을 열람할 때 꼭 필요한 도구이다. 이때, 책상에는 정면, 우측, 좌측을 가릴 수 있는 칸막이가 설치되기도 한다.
일예로, 독서실은 집중하여 책을 보도록 조용하게 분위기가 조성된 곳으로서, 이러한 독서실에는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동안 책을 집중하여 볼 수 있도록 책상이 다수 개 구획되어 배치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2877호 (2011. 05. 19. 공개, 발명의 명칭 : 칸막이 책상)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야를 상판에 집중시킬 수 있고, 보드유닛을 통해 칸막이의 연출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성격의 학습 효과를 이룰 수 있는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은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상판; 지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상기 상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드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판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후판부와, 상기 상판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후판부와 상기 측판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보드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후판부 또는 상기 측판부 측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보드유닛은, 상기 보드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부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보드유닛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에 내장되는 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드부는 복수 개 마련되고, 복수의 보드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웃하는 보드부 사이에서 상기 보드유닛이 구부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드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탈착부가 걸림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보드부가 밀착되도록 자력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판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후판부와, 상기 상판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보드부와, 제2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보드부가 상기 후판부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후판부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보드부가 상기 후판부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후판부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보드부 또는 상기 제2보드부가 상기 측판부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측판부에 배치되는 제3결합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드유닛은, 학습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야를 상판에 집중시킬 수 있고, 보드유닛을 통해 칸막이의 연출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성격의 학습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을 위한 물품의 수납 및 정리를 간편하게 하고, 빠르게 학습을 위한 물품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옆좌석의 동료와 대화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판의 양측을 간편하게 가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유닛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판을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제1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제2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은 상판(10)과, 다리(20)와, 프레임부(40)와, 보드유닛(50)을 포함하고, 서랍장(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판(10)은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상판(10)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판(10)에서는 책, 학용품, 문구류 등과 같은 학습에 필요한 물품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리(20)는 지면에서 상판(10)을 지지한다. 다리(2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판(10)이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면에서 상판(10)을 지지한다. 다리(20)는 상판(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부(40)는 상판(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부(40)는 상판(10)의 상측을 구획한다. 프레임부(40)는 학습을 위한 물품을 정렬할 수 있다. 프레임부(40)는 후판부(41)와, 측판부(42)를 포함하고, 가림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판부(41)는 상판(10)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후판부(41)는 상판(10)의 후단부를 가릴 수 있다. 후판부(41)는 상판(10)의 후단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길게 결합될 수 있다.
측판부(42)는 상판(1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측판부(42)는 상판(10)의 양측부를 가릴 수 있다. 측판부(42)는 상판(10)의 양측단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길게 결합될 수 있다. 측판부(42)는 후판부(41)와 결합될 수 있다. 측판부(42)는 지면으로 연장되어 다리(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림부(43)는 상판(10)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림부(43)는 상판(1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판(10)의 상측을 구획할 수 있다. 가림부(43)는 상판(10)의 상측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가림부(43)는 적어도 하나가 상판(1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후판부(41)와 측판부(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가림부(43)는 후판부(41)와 측판부(42)에서 탈부착됨에 따라 상판(10)의 상측으로 구획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림부(43)는 상판(10)의 상측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가림부(43)는 적어도 하나가 상판(10)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40)는 장착부(45)와, 결합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45)는 후술하는 보드유닛(50)의 탈착부(52)가 걸림 결합된다. 장착부(45)는 프레임부(40)의 후판부(41) 또는 측판부(42)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탈착부(52)가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부(47)는 후술하는 보드부(55)가 밀착되도록 자력을 갖는다. 결합부(47)는 프레임부(40)의 후판부(41)와 측판부(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거나 후술하는 보드유닛(50)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보드유닛(50)은 프레임부(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드유닛(50)은 상판(10)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보드유닛(50)은 상판(10)의 상측에서 상판(10)의 양측을 가리거나 상판(10)을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보드유닛(50)의 일단부는 후판부(41)와 측판부(4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보드유닛(50)의 타단부는 후판부(41) 또는 측판부(42) 측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판(40)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보드유닛(50)은 프레임부(40)의 후판부(41) 또는 측판부(42)에서 연장되어 상판(10)을 구획하고, 학습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보드유닛(50)은 지지부(51)와, 스크린부(54)와, 보드부(55)를 포함하고, 수납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1)는 보드유닛(5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프레임부(40)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부(52)가 구비된다. 지지부(51)는 보드유닛(50)을 상판(10)의 상측에 지지할 수 있다. 탈착부(52)는 지지부(51)에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부(40)에 구비되는 장착부(45)와 걸림 결합된다. 여기서, 탈착부(52)에는 프레임부(40)에 걸림 결합되도록 고정부(5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54)는 지지부(51)에 결합되고, 지지부(51)로부터 보드유닛(50)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된다. 스크린부(54)는 가죽 또는 직물, 또는 섬유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린부(54)는 지지부(51)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린부(54)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스크린부(54)에는 접힘부(54a)가 구비될 수 있다. 접힘부(54a)는 후술하는 보드부(55)에 의해 절첩 또는 구부러짐이 제한될 때, 절첩 또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부분이다. 접힘부(54a)는 지지부(51)와 후술하는 보드부(5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힘부(54a)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보드부(5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부(54)는 접힘부(54a)에서만 절첩 또는 구부러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드부(55)는 스크린부(54)에 내장된다. 보드부(55)는 스크린부(54)의 절첩을 제한할 수 있다. 보드부(55)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된 상태로 스크린부(54)에 내장됨에 따라 보드유닛(50)을 다양한 각도로 절첩 또는 구부릴 수 있다. 그러면 보드유닛(50)은 이웃하는 보드부(55) 사이(접힘부(54a))에서 절첩 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보드부(55)는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재질,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드부(55)는 프레임부(40)에 구비되는 결합부(47)에 결합되어 보드유닛(50)을 프레임부(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보드부(55)는 지지부(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보드부(55a)와, 제2보드부(5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47)는 제1결합부(47a)와, 제2결합부(47b)와, 제3결합부(47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47a)는 제1보드부(55a)가 후판부(41)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후판부(41)에 배치된다. 제2결합부(47b)는 제2보드부(55b)가 후판부(41)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후판부(41)에 배치된다. 제3결합부(47c)는 제1보드부(55a) 또는 제2보드부(55b)가 측판부(42)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측판부(42)에 배치된다.
제2결합부(47b)만이 후판부(41)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결합부(47a)와, 제2결합부(47b)가 함께 후판부(41)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1결합부(47a)와, 제2결합부(47b)가 후판부(41)에, 제3결합부(47c)가 측판부(42)에 배치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드부(55)에 따르면, 보드유닛(50)에는 별도의 자력을 갖는 자성체가 부착됨에 따라 보드유닛(50)에 다양한 메모를 부착할 수 있고,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건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드유닛(50)을 보호함은 물론 보드유닛(5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수납부(56)는 학습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한다. 수납부(56)는 스크린부(54)에 구비된다. 수납부(56)는 스크린부(54)에 절개되는 절개부(57)와, 절개부(57)와 연통되도록 스크린부(54)에 내장되는 주머니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학습에 필요한 물품은 절개부(57)를 통해 주머니부(58)에 수납할 수 있다.
서랍장(30)은 학습에 필요한 물품이 수납된다. 서랍장(30)은 학습에 필요한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 서랍바디(31)와, 서랍바디(31)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서랍바디(31)에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서랍도어(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랍도어(33)에는 서랍바디(31)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학습에 필요한 물건을 수납하는 서랍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랍도어(33)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34)가 구비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제1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의 제2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서 보드유닛(50)은 프레임부(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지지부(51)에 돌출되는 탈착부(52)가 프레임부(40)에 함몰 형성되는 장착부(45)에 삽입되고, 탈착부(52)에서 연장 돌출되는 고정부(53)가 장착부(45)에 삽입된 후 프레임부(40) 후면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보드유닛(50)을 프레임부(40)에 조립할 수 있다.
반대로, 프레임부(40)와 고정부(53)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탈착부(52)를 장착부(45)에서 분리함에 따라 보드유닛(50)을 프레임부(4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보드유닛(50)이 프레임부(4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보드부(55)가 프레임부(40)의 후판부(41)에 구비된 결합부(47)에 부착 결합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유닛(50)의 제1보드부(55a)는 후판부(41)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47a)에 부착되고, 제2보드부(55b)는 후판부(41)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47b)에 부착된다. 그러면, 보드유닛(50)은 상판(10)의 양측을 가리지 않는 상태에서 상판(1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자성체를 통해 보드유닛(50)의 보드부(55)에 다양한 메모를 부착할 수 있다.
보드유닛(50)이 프레임부(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51)와 보드부(55) 사이의 접힘부(54a)를 통해 스크린부(54)를 절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유닛(50)의 제1보드부(55a) 또는 제2보드부(55b)는 측판부(42)에 배치되는 제3결합부(47c)에 부착되고, 제2보드부(55b)는 후판부(41)에서 분리되어 측판부(4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러면, 스크린부(54)가 지지부(51)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프레임부(40)의 측판부(42)에서 연장된 상태로 상판(10)의 양측을 가리고, 보드부(55)는 프레임부(40)의 측판부(42)에 구비된 결합부(47)에 부착 결합되며, 상판(1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보드유닛(50)이 프레임부(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보드부(55) 사이의 접힘부(54a)를 통해 스크린부(54)를 절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유닛(50)의 제1보드부(55a)는 후판부(41)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47a)에 부착되고, 제2보드부(55b)는 후판부(41)에서 분리되어 측판부(4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러면, 복수의 보드부(55) 중 지지부(51) 쪽에 배치된 보드부(55)는 프레임부(40)의 후판부(41)에 구비된 결합부(47)에 부착 결합되고, 보드유닛(50)에서 자유단부 측의 스크린부(54)가 상판(10)의 전단부를 향해 돌출 지지됨으로써, 상판(10)을 일부 구획하여 프레임부(40)의 최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상태에서 한 쌍의 제2보드부(55b) 사이에 독서대 등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드유닛(50)의 제1보드부(55a)는 측판부(42)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47a)에 부착되고, 제2보드부(55b)는 후판부(41)에서 분리되어 후판부(4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야를 상판에 집중시킬 수 있고, 보드유닛(50)을 통해 칸막이의 연출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성격의 학습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학습을 위한 물품의 수납 및 정리를 간편하게 하고, 빠르게 학습을 위한 물품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옆좌석의 동료와 대화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판의 양측을 간편하게 가릴 수 있다. 또한, 보드유닛(50)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판(10)을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상판
20: 다리
40: 프레임부
50: 보드유닛

Claims (7)

  1.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상판;
    지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상기 상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유닛은,
    상기 보드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부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보드유닛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에 내장되는 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부는 복수 개 마련되고,
    복수의 보드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웃하는 보드부 사이에서 상기 보드유닛이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판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후판부와, 상기 상판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후판부와 상기 측판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보드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후판부 또는 상기 측판부 측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상판;
    지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상기 상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유닛은,
    상기 보드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부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보드유닛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에 내장되는 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탈착부가 걸림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보드부가 밀착되도록 자력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판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후판부와, 상기 상판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보드부와, 제2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보드부가 상기 후판부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후판부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보드부가 상기 후판부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후판부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보드부 또는 상기 제2보드부가 상기 측판부에 접촉될 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측판부에 배치되는 제3결합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7. 제1항, 제2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유닛은, 학습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KR1020140161478A 2014-11-19 2014-11-19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KR10169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78A KR101694352B1 (ko) 2014-11-19 2014-11-19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78A KR101694352B1 (ko) 2014-11-19 2014-11-19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197A KR20160060197A (ko) 2016-05-30
KR101694352B1 true KR101694352B1 (ko) 2017-01-10

Family

ID=5712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478A KR101694352B1 (ko) 2014-11-19 2014-11-19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6455A (zh) * 2016-07-13 2016-10-12 新昌县绿泰塑胶有限公司 一种看书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60Y1 (ko) * 2004-06-23 2004-09-23 정길준 사각관체를 이용한 피씨방용 컴퓨터 테이블 결합구조
KR100774940B1 (ko) * 2006-03-31 2007-11-15 조왕희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101241115B1 (ko) * 2010-11-24 2013-03-11 김평진 칸막이 절첩 구조를 갖춘 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60Y1 (ko) * 2004-06-23 2004-09-23 정길준 사각관체를 이용한 피씨방용 컴퓨터 테이블 결합구조
KR100774940B1 (ko) * 2006-03-31 2007-11-15 조왕희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101241115B1 (ko) * 2010-11-24 2013-03-11 김평진 칸막이 절첩 구조를 갖춘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197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329B1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20090255881A1 (en) Foldable magazine rack device
KR101694352B1 (ko)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KR20210007656A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101636133B1 (ko) 수강 및 연수용 책상
KR20170062666A (ko) 자성을 이용한 고정핀 접이식 독서대
KR20170000761U (ko) 독서대 세트
KR100583831B1 (ko) 책장 고정용 클립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101059432B1 (ko) 접이식 거울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US1416555A (en) Combined blackboard and desk
KR200454550Y1 (ko) 책상
JP2017192551A (ja) 学習家具
KR20140040573A (ko) 수납실이 형성된 책상
JP5618303B2 (ja) ブッククリップ装置
JP3154578U (ja) 書見台
JP5174615B2 (ja)
JP2010099350A (ja)
JP2010035753A (ja) 学習用机
JP2010099353A (ja)
KR19980058035U (ko) 절첩식 휴대용 테이블
KR200419222Y1 (ko) 분리가능한 서랍을 갖는 책꽂이장
KR200310981Y1 (ko) 독서대
CA2836347A1 (en) Shelf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