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831B1 - 책장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책장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831B1
KR100583831B1 KR1020050037170A KR20050037170A KR100583831B1 KR 100583831 B1 KR100583831 B1 KR 100583831B1 KR 1020050037170 A KR1020050037170 A KR 1020050037170A KR 20050037170 A KR20050037170 A KR 20050037170A KR 100583831 B1 KR100583831 B1 KR 10058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helf
support
book
fixing clip
cross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국
Original Assignee
강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국 filed Critical 강명국
Priority to EP0671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EP1861261A1/en
Priority to JP2008502916A priority patent/JP2008532822A/ja
Priority to PCT/KR2006/001065 priority patent/WO2006101356A1/en
Priority to US11/909,094 priority patent/US200902306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장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펼쳐진 책의 양측 책장이 견고히 고정되는 책장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펼쳐진 책의 가로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짧게 형성된 가로대와; 가로대의 양 단이 일측으로 절곡되어 펼쳐진 책장의 전면에 각각 거치되는 책장지지대와; 상기 가로대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가로대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책장 고정용 클립의 휴대시에 사용자가 가지는 크기와 무게의 부담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장소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책을 펼쳐 원하는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책, 책장, 고정, 책장지지대, 탄성지지부

Description

책장 고정용 클립{a book page fixing cl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종래 책 고정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
10 : 가로대
20 : 책장지지대
21 : 돌부
30 : 탄성지지부
본 발명은 책장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 면서도, 펼쳐진 책의 양측 책장이 견고히 고정되는 책장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이용하여 공부를 하는 사람들은 책을 특정 페이지에 펼쳐놓고 해당 페이지에 수록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다수의 종이가 겹쳐져 일체로 제본된 책의 특성상, 책장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이리저리 넘어가 사용자가 다시 해당 페이지를 열거나, 별도의 물건을 책장에 올려놓아 책장이 넘어가지 않도록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책이 올려놓아지는 받침판(100)의 전면 하단에 책장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201)이 형성된 책장고정부(200)를 형성하여 책장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페이지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후면에는 지지대(101)를 구비하여 책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책 고정대가 고안되어져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 고정대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받침판 및 책장고정부를 형성함에 따라, 그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휴대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고, 책상 뿐만 아니라 야외나 대중교통수단의 안 등에서 사용자가 책을 읽고자 할 때에는 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펼쳐진 책의 양측 책장이 견고히 고정되는 책장 고정용 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장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책장의 넘김이 편리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의 제본부가 책장 고정용 클립의 중앙부에 걸림 고정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넘겨진 페이지의 양이 변화되더라도 책장을 견고히 고정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펼쳐진 책의 가로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짧게 형성된 가로대와; 가로대의 양 단이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펼쳐진 책장의 전면에 각각 거치되는 책장지지대와; 상기 가로대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가로대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책장지지대의 끝단에 상기 책장지지대의 직경보다 굵게 형성된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책장지지대는 상기 탄성지지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거리가 더 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가로대(10)의 양 단에서 일측방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책장지지대(20)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대(10)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가로대(10)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지지부(30)를 형성하여, 책이 펼쳐진 상태에서 책장이 고정될 뿐만 아니라 그 휴대가 간편해 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가로대(10)는 철사 등의 금속재 또는 일정 강성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등의 선재로 형성되고, 책의 하면 또는 상면 모서리에 위치되면서 후술되는 책장지지대(20)가 펼쳐진 책의 책장을 탄성을 가지면서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책장지지대(20)는 상술한 가로대(10)의 양 단에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펼쳐진 책의 양쪽 책장 전면을 지지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책장이 펼쳐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30)는 상기 가로대(10)의 대략 중앙부에 가로대(10)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펼쳐진 책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책장지지대(20)가 가로대(10)와 탄성지지부(30)에 의해 적정 탄성을 가지면서 펼쳐진 책의 책장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30)는 미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제작이 간편하도록 가로대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책장지지대(20)의 끝단에는 책장지지대(20)의 직경보다 굵은 직경을 갖는 돌부(21)를 형성하여 책장지지대(20)와 책장이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 되면서도, 책장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책장을 넘길 때 넘겨지는 책장이 책장지지대(20)에서 쉽게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가로대(10)와 책장지지대(20)의 연결부 및 가로대(10)와 탄성지지부(30)의 연결부는 탄성이 더욱 증대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시된 것과 같이 책(1)을 펼친 후에, 책(1)의 하부측 또는 상부측에서 책장지지대(20)가 펼쳐진 책(1)의 책장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탄성지지부(30)가 책(1)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가로대(1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책(1)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때 책장을 지지하는 책장지지대(20)가 철사 등의 선재로 형성됨에 따라, 책을 가리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책장 고정용 클립을 측방으로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고서도 책에 수록된 내용을 간편하게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책장지지대(20)의 끝단에는 상술한 돌부(21)가 형성됨에 따라 책장지지대(20)와 책(1)이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면서도 돌부(21)가 책장을 지지하게 되어 책장 고정용 클립이 책에 고정된 상태에서 책장을 넘기는 것이 더욱 간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상술한 탄성지지부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한 쌍이 형 성되도록 하여 탄성지지부(30a)(30b)가 책(1)의 후면을 지지하면서 책의 제본부가 탄성지지부(30a)(30b)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펼쳐진 책(1)에 책장 고정용 클립을 고정할 때, 탄성지지부(30a)(30b)의 사이 공간에 책의 제본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책장 고정용 클립이 책(1)에 고정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책을 더욱 견고히 고정하고 지지할 뿐만 아니라, 책장 고정용 클립이 책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책장지지대는 일측이 상기 탄성지지부(30a)(30b)를 기준으로 거리가 더 멀게(D1>D2)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책(1)을 펼칠 때 일측면의 두께가 두껍더라도, 얇은 두께를 갖는 면으로 거리가 가까운 측의 책장지지대(20a)가 위치되도록 하고, 거리가 먼 측의 책장지지대(20b)가 책의 두꺼운 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책의 두께 변화에 상관없이 책장 고정용 클립이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대와 책장지지대 및 탄성지지부로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펼쳐진 책의 양측 책장이 견고히 고정되는 책장 고정용 클립을 제공함으로서, 책장 고정용 클립의 휴대시에 사용자가 가지는 크기와 무게의 부담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장소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책을 펼쳐 원하는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책장지지대의 끝단에 돌부를 형성하여 책장과 책장지지대의 마찰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클립에 고정된 책장을 넘기는 것이 더욱 편리해 질 뿐만 아니라, 책장을 넘긴 후 다시 책장을 고정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형성하여 책의 제본부가 책장 고정용 클립의 중앙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책장지지대가 책장을 고정한 상태에서 측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클립이 책과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책장지지대가 더 멀게 형성되어 넘겨진 페이지의 양이 변화되더라도 책장을 견고히 고정하도록 함으로서, 펼쳐진 책의 좌우의 두께가 차이나더라도, 견고하게 책장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4)

  1. 펼쳐진 책의 가로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짧게 형성된 가로대(10)와;
    상기 가로대(10)의 양 단이 일측방으로 절곡되어 펼쳐진 책장의 전면에 각각 거치되는 책장지지대(20)와;
    상기 가로대(10)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가로대(10)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고정용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지지대(20)의 끝단에 상기 책장지지대(20)의 직경보다 굵게 형성된 돌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고정용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30)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고정용 클립.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지지대(20)는 상기 탄성지지부(30)를 기준으로 일측의 거리가 더 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고정용 클립.
KR1020050037170A 2005-03-25 2005-05-03 책장 고정용 클립 KR10058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716514A EP1861261A1 (en) 2005-03-25 2006-03-23 Book clip
JP2008502916A JP2008532822A (ja) 2005-03-25 2006-03-23 ページ固定用クリップ
PCT/KR2006/001065 WO2006101356A1 (en) 2005-03-25 2006-03-23 Book clip
US11/909,094 US20090230669A1 (en) 2005-03-25 2006-03-23 Book cl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4830 2005-03-25
KR1020050024830 2005-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831B1 true KR100583831B1 (ko) 2006-05-30

Family

ID=3718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170A KR100583831B1 (ko) 2005-03-25 2005-05-03 책장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30669A1 (ko)
JP (1) JP2008532822A (ko)
KR (1) KR100583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10B1 (ko) 2012-04-30 2013-09-13 이효영 북홀더클립
US11661007B2 (en) 2019-05-31 2023-05-30 SMR Automotive Systems India Limited Wireless mirror contro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3447A (zh) * 2014-12-23 2015-04-29 林凡清 一种书签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087A (en) * 1884-02-26 Device for holding open the leaves of books
US395473A (en) * 1889-01-01 Combined book mark and clip
US3701332A (en) * 1969-04-14 1972-10-31 Doyle K Brooks Book mark and page holding device
US4235457A (en) * 1979-03-02 1980-11-25 Brewer Jack J Book readers clip
US4382617A (en) * 1980-10-14 1983-05-10 Fortier Paul J Combined book leaf holder and bookmark
JPS58138666U (ja) * 1982-03-16 1983-09-17 山田 博康 紙せんの開き止具
JPS5967268U (ja) * 1982-10-28 1984-05-07 八木 陸昭 書藉用頁抑え具
JPS63124164U (ko) * 1987-02-06 1988-08-12
US4932680A (en) * 1989-02-23 1990-06-12 Universal Network, Inc. Book clip
US5165722A (en) * 1992-02-13 1992-11-24 Wong Harold L Book leaf holder
JPH0711356U (ja) * 1993-07-26 1995-02-21 剛 大西 書籍または製本された書類の開かれた頁を固定できるしおり
JPH1035144A (ja) * 1996-07-25 1998-02-10 Shiro Nakamura ページ押え具
US6357796B1 (en) * 1999-08-24 2002-03-19 Florence Halstead Smooth book clip
JP2002172875A (ja) * 2000-12-05 2002-06-18 Keiko Tsuchiya 簡易書籍見開き固定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10B1 (ko) 2012-04-30 2013-09-13 이효영 북홀더클립
US11661007B2 (en) 2019-05-31 2023-05-30 SMR Automotive Systems India Limited Wireless mirro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32822A (ja) 2008-08-21
US20090230669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950B1 (ko)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US6386500B1 (en) Book and copy holder
KR100583831B1 (ko) 책장 고정용 클립
US6019339A (en) Book holder
CA2425461C (en) Support device for displaying individual books or similar items
KR0179235B1 (ko)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KR101245866B1 (ko) 접이식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지와 종이접기재료
KR100786960B1 (ko) 서랍장이 구비된 싱크대
KR102051051B1 (ko) 책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책 지지대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1045063B1 (ko) 마찰력 증대용 홀더를 구비한 책갈피 겸용 독서대
KR101694352B1 (ko)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KR102317801B1 (ko) 앨범테이블
KR20170003578U (ko) 가독성을 높이는 독서대
KR102338551B1 (ko) 다용도 받침대
KR100855731B1 (ko) 카렌다가 구비된 조립식 독서대
JP3115676U (ja) 書籍保持具
KR20160141473A (ko) 가독성을 높이는 독서대
KR200310981Y1 (ko) 독서대
KR100495944B1 (ko) 책의 펼쳐진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책갈피
KR20230125534A (ko) 한손 독서대
EP1861261A1 (en) Book clip
KR200427836Y1 (ko) 다기능 절첩식 캘린더
KR20110000301U (ko) 독서대
NL1028060C2 (nl) Boekenho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