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235B1 -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 Google Patents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235B1
KR0179235B1 KR1019960004529A KR19960004529A KR0179235B1 KR 0179235 B1 KR0179235 B1 KR 0179235B1 KR 1019960004529 A KR1019960004529 A KR 1019960004529A KR 19960004529 A KR19960004529 A KR 19960004529A KR 0179235 B1 KR0179235 B1 KR 017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iece
reading
bookshelf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150A (ko
Inventor
김상도
Original Assignee
김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도 filed Critical 김상도
Priority to KR101996000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235B1/ko
Priority to PCT/KR1996/000240 priority patent/WO1997030610A1/en
Priority to AU10725/97A priority patent/AU1072597A/en
Publication of KR97006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책을 독서에 편리한 각도로 받쳐 지지하여 주기위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판의 중앙에 책접합부가 끼워질 수 있는 폭조절이 가능한 안치수단을 두고 이를 중심으로 구분되는 분할받침판이 절첩가능토록하므로써 다양한 두께의 책을 보다 안정된 펼침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간지가 필요없게되며 책과함께 휴대,보관이 가능하여 취급에 편리성을 기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책장압지수단을 구비시켜 책의 크기 및 두께가 다르더라도 항시 뛰어난 압지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압지편의 형상을 변경시켜 압지편을 조작하지 않고도 넘겨진 책장을 압지편에 끼워줄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북 화일(BOOK FILE)기능을 갖는 독서대
제1도는 본 발명 독서대의 일실시예의 외측면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독서대의 내측면을 보인 요부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책장 압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책장압지수단에 책갈피를 끼우는 상태를 보이는 평면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받침다리 복귀수단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보이는 요부종단면도.
제6도(a)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책접합부 안치요부의 다른 폭조절 구조를 보인 요부사시도.
제6도(b)는 제6도(a)의 A-A선 단면도로서 다른 폭조절구조의 작용 상태를 보인 도면.
제7도(a)는 본 발명의 독서대에 책을 받쳐놓은 상태를 보인 저면예시도.
제7도(b)는 본 발명 독서대의 절첩상태를 보인 평면예시도.
제7도(c)는 본 발명 독서대의 일요부인 받침판 체결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이는 단면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 독서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분할받침판 4 : 안치요부
5, 5' : 연결판 6 : 폭조절구조
7 : 책장압지수단 8 : 받침판지지각도조절수단
61 : 주름절첩부재 62, 62' : 홀더
63 : 안내장공 64 : 걸림턱
65 : 연결편 66 : 걸림돌부
71 : 안내레일 72 : 슬라이더
73 : 끼움홈 74 : 걸림공
75 : 누름부재 76 : 걸림홈
77 : 후크 78 : 누름편
79 : 책장안내편 85 : 받침다리복귀수단
91 : 협지부재 92 : 걸림공
93 : 끼움공 94, 94' : 암수체결편
95 : 걸림홈 96 : 후크
97 : 걸림편 98 : 괘지공
본 발명은 책을 독서에 편리한 각도로 받쳐 지지하여 주기위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판의 중앙에 책접합부가 끼워질 수 있는 폭조절이 가능한 안치수단을 두고 이를 중심으로 구분되는 분할받침판이 절첩가능토록 하므로서 다양한 두께의 책을 보다 안정된 펼침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간지가 필요없게되며 책과함께 휴대,보관이 가능하여 취급에 편리성을 기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책장압지수압을 구비시켜 책의 크기 및 두께가 다르더라도 항시 뛰어난 압지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압지편의 형상을 변경시켜 압지편을 조작하지 않고도 넘겨진 책장을 압지편에 끼워줄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 알려진 독서대는 대개 책을 펼친상태로 받쳐 지지하는 단일판체상의 받침판과 이에 책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턱을 구비하고 받침턱에는 펼쳐진 양곡 책장을 눌러주는 탄성을 누름편을 구비시키며 받침판의 이면에는 받침판을 소정각도로 눕혀지지하기위한 지지편과 이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다단계의 경사각 조절수단을 구비시킨 것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 받침판이 평판상을 이루게 되므로 이에 접하는 책의 접합부에 의해 벌려진 책장의 중간이 융출되어 펼쳐진 면이 곡면을 이루게 되어 독서효과가 저감됨은 물론 원위치로 덮어지려는 복귀력이 강하게되고 접합부와 책장끝단사이에 공간부의 형성이 크게되므로 펼침상태가 불안정하게되며 이에따라 누름편의 탄성력에 무리를 주게 되어 압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며 ◎ 받침판의 절첩이 불가능한 단일판체이므로 책과함께 휴대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보관시에도 책과 별도로 보관해야하는 것이므로 다양한 장소에서의 적극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없게 되어 구비효과가 감소되는 것이며 ◎ 읽은 페이지를 기억하고자 할 경우 간지나 접합부에 연결된 끈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독서중간에 휴대 등의 이유로 빈번히 독서대에서 이탈.재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노출되는 것이며 ◎ 독서대의 규격이나 누름편의 구조가 일정규격의 책크기를 기준으로하여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크기나 두께등이 다른 책을 독서할 경우 받침지지 효과가 저하되거나 누름편의 탄성력에 무리를 주게되어 책장의 압지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 읽고난 책장을 넘길 때 이를 잡아주는 누름편을 항시 들어 올려준다음 압지시켜야 하는 것이어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독서대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받침판의 중앙에 책접합부가 끼워질 수 있는 폭조절이 가능한 안치수단을 두고 이를 중심으로 구분되는 분할받침판이 절첩가능토록 하므로서 다양한 두께의 책을 보다 안정된 펼침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간지가 필요없게되며 책과함께 휴대,보관이 가능하여 취급에 편리성을 기할수 있으며 높이조절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책장압지수단을 구비시켜 책의 크기 및 두께가 다르더라도 항시 뛰어난 압지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압지편의 형상을 변경시켜 압지편을 조작하지 않고도 넘겨진 책장을 압지편에 끼워줄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출몰식 체결수단에 의해 일단체결된후에는 더 이상의 출몰이 억제되도록하여 책의 안정된 수납과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측면 하단에 소정갯수의 책받침돌편(2)을 구비시킨 분리구성되는 한쌍의 분할받침판(1)(1')과; 상기 분할받침판(1)(1')의 내측단에 절곡가능하게 종으로 형성되는 연결판(5)(5')에 의해 요입형성되는 책접합부(B')의 안치요부(4)와; 상기 연결판(5)(5')의 단부에 형성되며 책(B)의 두께에 따라 책접합부(B')의 안치요부(4)의 간격을 조절시켜주기위한 폭조절구조(6)와; 상기 분할받침판(1)(1')의 하단에 설치되며 책을 분할하여 압지시켜주기위한 책장압지수단(7)과; 상기 분할받침판(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받침판지지각도조절수단(8)과; 상기 분할받침판(1)(1')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분할받침판(1)(1')의 절첩시 무단으로 벌어지는 것을 억제시켜주기위한 체결수단(9)을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 폭조절구조(6)는 제1~2도에서와 같이 연결판(5)(5')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주름절첩부재(61)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6도(a)(b)에서와 같이 연결판(5)(5')에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62)(62')와, 상기 홀더(62)(62')내에 형성되며 내측단에 걸림턱(64)을 구비시킨 안내장공(63)과, 상기 양홀더(62)(62')의 안내장공(63)에 끼워지며 양단에 이탈방지용 걸림돌부(66)를 구비하는 연결편(65)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책장압지수단(7)은 상기 분할받침판(1)(1')의 내측면 하단에 횡으로 요입형성되는 안내레일(71)과, 상기 안내레일(7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과 상면에 끼움홈(73)과 걸림공(74)을 구비시킨 슬라이더(72)와, 상기 슬라이더(72)의 끼움홈(73)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높낮이 고정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76)과 이탈방지를 위해 선택적으로 걸림공(74)에 끼워지는 후크(77)와, 책장을 탄성적으로 압지시켜주기위한 누름편(78)과, 누름편(78)의 선단에 상향경사지게 절곡되어 책장삽입을 용이케하기위한 책장 안내편(79)으로 일체 구성되는 투명재질의 누름부재(75)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받침판지지각도조절수단(8)은 일측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타측단에 받침돌편(82)을 일체로 구비시킨 지지편(81)과, 상기 받침돌편(82)에 걸려지는 다단의 걸림돌편(84)을 구비하는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다리(83)와, 상기 받침다리(83)를 받침판(1)(1')에 취부시킴과 동시에 닫힘상태로 탄성복귀력을 부여하기위한 받침다리 복귀수단(85)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다리 복귀수단(85)은 양단에 형성된 직교방향의 직선의 끼움부(85a)(85b) 사이에 S형의 절곡탄성부(85c)를 구비시킨 판스프링으로 구성한다.
한편 체결수단(9)은 분할받침판(1)(1')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노출되는 끼움공(93)과 선단전면에 걸림공(92)을 구비하는 협지부재(91)와, 상기 끼움공(93)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상태로 인출길이 고정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95)과 이탈방지를 위해 선택적으로 걸림공(92)에 끼워지는 후크(96)가 형성되고 선단에 각각 걸림편(97)과 괘지공(98)을 구비시킨 암수체결편(94)(94')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독서대를 사용할때는 양측 분할받침판(1)(1')을 수평으로 펼친 뒤 제1도에서와 같이 받침다리(83)를 버려 지지편(81)으로 적정각도로 지지시켜 제8도에서와 같이 설치한 다음 제7도(a)에서와 같이 책(B)의 접합부(B')를 안치요부(4)에 끼워준 상태에서 양측으로 분할된 책장을 펼쳐 누름편(78)으로 눌러 잡아주게 하고서 독서하게되는 것으로 이와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은 분할받침판(1)(1')의 사이에 안치요부(4)를 구비시킴으로 인해 접합부(B')를 내측면에서 소정깊이로 몰입시킨 상태에서 책(B)을 펼칠수 있게 되므로 분할받침판(1)(1')의 내측면과 책(B)의 표지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부를 최대한 감소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책장의 펼침면이 수평에 최대한 근접되는 것이어서 글자의 인식이 용이하여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게 됨은 물론 책의 좌우 유동이 확실하게 억제되어 받침상태의 안정성을 기할수 있으며 책장의 덮어지려는 복귀력을 감소시킬수 있어 누름편(78)의 탄성력에 무리를 주지않게되어 책장압지효과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줄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책의 두께가 두꺼울때는 주름절첩부재(61)를 늘려주거나 제6도(b)에서와 같이 양분할받침판(1)(1')의 홀더(62)(62')를 외측으로 당기면 간단하게 안치요부(4)의 폭을 가변시켜줄 수 있게되므로 책의 두께가 크더라도 간단하게 구조를 적절하게 대응시켜줄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안치요부(4)의 폭을 최대로 늘린상태에서는 연결편(65)의 걸림돌부(66)가 홀더(62)(62')의 안내장공(63)에 형성된 걸림턱(64)에 걸려져 더 이상의 폭연장이 억제되며 연결편(65)과 홀더(62)(62')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큰 두께의 책을 독서할 경우 누름편(78)의 구조적 변형이나 기능손상을 예방하기위해 누름부재(75)가 슬라이더(72)에서 출몰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제3도에서와 같이 압지시킬 책의 두께가 증가될때에는 걸림홈(76)부위를 직선으로 적절히 인출시킨다음 책장을 누르게하면 누름편(78)의 상향 이동에 따라 걸림홈(76) 부위가 뒤로 휘어지면서 걸림홈(76)이 끼움홈(73)의 하단연부에 걸려 더 이상의 몰입이나 인출이 정지된다.
이는 책의 두께에 따라 제3도의 실선과 같이 최대로 몰입시킨 상태 또는 가상선과 같이 후크(77)가 걸림공(74)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때까지 최대한 인출시킨 상태내에서 적절히 조절사용한다.
한편 폭의 규격이 다른책을 독서할때에는 슬라이더(72)를 안내레일(71)에서 좌우로 적절히 위치이동시켜 누름편(78)이 책장을 최적의 위치에서 눌러줄수 있도록 할수있어 다양한 규격의 책에 범용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이때 누름편(78)은 투명으로 구성되어 글자를 가리더라도 독서가 가능하게함은 물론이다.
또한 누름편(78)의 선단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책장안내편(79)이 구비됨으로써 읽은책장을 종래와 같이 누름편을 들추고 책장을 넘긴 뒤 다시 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4도에서와 같이 그대로 책장안내편(79)의 벌려진 틈새로 집어 넣은 뒤 당기게 되면 간단하게 넘겨진 책장을 압지시켜줄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에 편의성을 기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같이 책을 독서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독서를 중단하고 제7도(b)에서와 같이 분할받침판(1)(1')을 안치요부(4)를 중심으로 절첩시켜 책(B)을 덮을수 있게 되므로 책과 독서대의 일체적인 휴대가 용이하고 독서대가 흡사 북화일과 같은 형태와 기능을 갖게되므로 책과의 이질감을 조성하지 않아 휴대를 적극적으로 유도할수 있는 것이며 보관시에도 책을 커버한 상태에서 보관할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점유공간이 추가되지 않으며 특히 누름편(78)이 읽은 페이지를 인식시키는 간지역할을 하게되어 재독서시 사용에 편리성을 기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분할받침판(1)(1')를 절첩시킨뒤에는 제7도(c)에서와같이 암수체결편(94)(94')을 인출시킨 뒤 걸림편(97)을 괘지공(98)에 끼워걸어주게되면 분할받침판(1)(1')이 무단으로 오픈되는 것을 억제시켜줄수 있게되므로 책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게되며 일단 체결된 상태에서는 제7도(c)의 가상선과 같이 구부러진 암수체결편(94)(94')의 걸림홈(95)에 분할받침판(1)(1')의 외단부 엣지부분이 끼워지게되므로 더 이상 출몰이 불가능하게되어 체결상태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책이 두꺼워 암수체결편(94)(94')을 완전히 인출시키게되며 후크(96)가 걸림공(92)에 걸려져 더 이상의 인출을 억제하여 이탈을 방지시키는 것으로 책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암수체결편의 인출정도를 조정하면 된다. 이와같이 동작되는 체결수단(9)은 미사용시 제7도(c)의 실선과 끼움공(93)안으로 몰입되어 분할받침판(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되어 외관이 간결하고 취급에 지장을 주지않게되는 것이다.

Claims (6)

  1. 내측면 하단에 소정갯수의 책받침돌편(2)을 구비시킨 분리구성되는 한쌍의 분할받침판(1)(1')과; 상기 분할받침판(1)(1')의 내측단에 절곡가능하게 종으로 형성되는 연결판(5)(5')에 의해 요입형성되는 책접합부(B')의 안치요부(4)와; 상기 연결판(5)(5')의 단부에 형성되며 책(B)의 두께에 따라 책접합부(B')의 안치요부(4)의 간격을 조절시켜주기위한 폭조절구조(6)와; 상기 분할받침판(1)(1')의 하단에 설치되며 책을 분할하여 압지시켜주기위한 책장압지수단(7)과; 상기 분할받침판(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받침판지지각도조절수단(8)과; 상기 분할받침판(1)(1')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분할받침판(1)(1')의 절첩시 무단으로 벌어지는 것을 억제시켜주기위한 체결수단(9)을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북 화일기능을 갖는 독서대.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구조(6)는 연결판(5)(5')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주름절첩부재(6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북 화일기능을 갖는 독서대.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구조(6)는 연결판(5)(5')에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62)(62')와, 상기 홀더(62)(62')내에 형성되며 내측단에 걸림턱(64)을 구비시킨 안내장공(63)과, 상기 양홀더(62)(62')의 안내장공(63)에 끼워지며 양단에 이탈방지용 걸림돌부(66)를 구비하는 연결편(6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북 화일기능을 갖는 독서대.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책장압지수단(7)은 상기 분할받침판(1)(1')의 내측면 하단에 횡으로 요입형성되는 안내레일(71)과, 상기 안내레일(7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과 상면에 끼움홈(73)과 걸림공(74)을 구비시킨 슬라이더(72)와, 상기 슬라이더(72)의 끼움홈(73)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높낮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76)과 이탈방지를 위해 선택적으로 걸림공(74)에 끼워지는 후크(77)와, 책장을 탄성적으로 압지시켜주기위한 누름편(78)과, 누름편(78)의 선단에 상향경사지게 절곡되어 책장삽입을 용이케하기위한 책장안내편(79)으로 일체 구성되는 투명재질의 누름부재(7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북 화일기능을 갖는 독서대.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받침다리 복귀수단(85)은 양단에 형성된 직교방향의 직선의 끼움부(85a)(85b) 사이에 S형의 절곡탄성부(85c)를 구비시킨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북 화일기능을 갖는 독서대.
  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체결수단(9)은 분할받침판(1)(1')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노출되는 끼움공(93)과 선단전면에 걸림공(92)을 구비하는 협지부재(91)와, 상기 끼움공(93)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상태로 인출길이 고정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95)과 이탈방지를 위해 선택적으로 걸림공(92)에 끼워지는 후크(96)가 형성되고 선단에 각각 걸림편(97)과 괘지공(98)을 구비시킨 암수체결편(94)(9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북 화일기능을 갖는 독서대.
KR1019960004529A 1996-02-24 1996-02-24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KR017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529A KR0179235B1 (ko) 1996-02-24 1996-02-24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PCT/KR1996/000240 WO1997030610A1 (en) 1996-02-24 1996-12-16 Foldable bookstand
AU10725/97A AU1072597A (en) 1996-02-24 1996-12-16 Foldable book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529A KR0179235B1 (ko) 1996-02-24 1996-02-24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50A KR970061150A (ko) 1997-09-12
KR0179235B1 true KR0179235B1 (ko) 1999-04-01

Family

ID=1945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529A KR0179235B1 (ko) 1996-02-24 1996-02-24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79235B1 (ko)
AU (1) AU1072597A (ko)
WO (1) WO19970306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1147B2 (en) 2003-08-26 2010-06-08 Soon-Ja Cho Universal bookholder
WO2012033256A1 (ko) * 2010-09-09 2012-03-15 Lee Kyounglyul 독서대
KR102034158B1 (ko) * 2019-03-19 2019-10-18 이영숙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KR20230077233A (ko) * 2021-11-25 2023-06-01 이건주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196A (ko) * 2000-11-16 2002-05-23 최종락 눈 높이에 책을 맞춘 기구
KR100872477B1 (ko) * 2006-11-03 2008-12-05 정현 바이스식 독서대
CH697507B1 (de) * 2007-10-12 2008-11-14 Hasan Hueseyin Isik Buchleseunterlage.
KR20130026023A (ko) * 2011-09-05 2013-03-13 이성 독서대 기능을 가지는 파일
KR200473482Y1 (ko) * 2013-03-25 2014-07-04 권우범 고서 전시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9644A (en) * 1918-09-17 1918-12-31 Laura Yates Burnett Combined book rack and carrier.
US3041774A (en) * 1960-12-05 1962-07-03 Charles R Walker Combined book support and carrier
US4116413A (en) * 1976-12-01 1978-09-26 Andersen Peter A Collapsible book stand
US4116414A (en) * 1977-12-05 1978-09-26 Vivian Robertson Book holder
US4610416A (en) * 1984-12-21 1986-09-09 Choi Dai S Book holder
MC1908A1 (fr) * 1988-01-28 1989-04-06 Dessimond Jean Paul System ouvre-livre marque page
US5029798A (en) * 1990-03-16 1991-07-09 Clark Thomas A Book holder device
WO1996008189A1 (en) * 1994-09-16 1996-03-21 Advanced & Practical Devices, Inc. Portable bookstan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1147B2 (en) 2003-08-26 2010-06-08 Soon-Ja Cho Universal bookholder
WO2012033256A1 (ko) * 2010-09-09 2012-03-15 Lee Kyounglyul 독서대
KR102034158B1 (ko) * 2019-03-19 2019-10-18 이영숙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KR20230077233A (ko) * 2021-11-25 2023-06-01 이건주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50A (ko) 1997-09-12
WO1997030610A1 (en) 1997-08-28
AU1072597A (en) 199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231A (en) Foldable bookstand
KR0179235B1 (ko)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WO2005018381A1 (en) A universal bookholder
US7083155B1 (en) Adjustable reading bookstand
US4739960A (en) Book holder
KR102107950B1 (ko)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US4113108A (en) Adjustable book holding device
KR200431756Y1 (ko) 사용이 자유로운 독서대
GB2126886A (en) Portable workstand
KR200473482Y1 (ko) 고서 전시대
JPS6295297A (ja) 紙葉類、特に電子デ−タ処理用紙葉類のための書類ばさみ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910009056Y1 (ko) 조립식 2단독서대
WO2003047391A1 (en) Book holder
KR102635241B1 (ko) 접이식 독서대
KR200201068Y1 (ko) 책받침대
KR200310981Y1 (ko) 독서대
CN216287183U (zh) 语文教学用教具
CN215685602U (zh) 一种折叠式书架
KR102582340B1 (ko) 책넘김 방지기구
KR100458758B1 (ko) 독서대
KR200320693Y1 (ko) 독서대
KR900002083Y1 (ko) 독서대
CA1333353C (en) Foldable bookstand
KR100495944B1 (ko) 책의 펼쳐진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책갈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