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82Y1 - 고서 전시대 - Google Patents

고서 전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482Y1
KR200473482Y1 KR2020130002232U KR20130002232U KR200473482Y1 KR 200473482 Y1 KR200473482 Y1 KR 200473482Y1 KR 2020130002232 U KR2020130002232 U KR 2020130002232U KR 20130002232 U KR20130002232 U KR 20130002232U KR 200473482 Y1 KR200473482 Y1 KR 200473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ook
pair
flow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범
Original Assignee
권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범 filed Critical 권우범
Priority to KR2020130002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얇은 속지로 제본되어 자체에 의한 지지력이 없는 고서(古書)와 같은 도서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고서 전시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접근과 이격 가능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판의 양 측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유동 바; 내 측은 높은 높이를 갖고 외 측으로 갈 수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한 쌍의 유동 바의 상면에 접합되는 다수의 지지 편;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의 상기 지지 편을 연결하고, 상기 유동 바의 유동에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가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서 전시대{Reading Desk for Old Book}
본 고안은 도서 전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속지로 제본되어 자체에 의한 지지력이 없는 고서(古書)와 같은 도서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고서 전시대에 관한 것이다.
전시대 또는 독서대는 책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책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시대(10)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베이스 판(11), 펼쳐진 책(20)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판(12), 지지판(12)의 하단에 구비되어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받침턱(13)과, 지지판(12)의 후면에서 적정한 각도로 지지판(12)을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14)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판(12)의 양 측에는 책장(冊張)이 넘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편(15)이 더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도서 전시대(10)는 지지판(12)이 평판형의 판상을 이루어, 책(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책(20)은 펼쳐진 상태에서의 배면은 제본된 중앙 부분과 양 측의 단부만이 지지판(12)에 접촉되어 책(20)의 배면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도서의 경우 속지가 일반적인 인쇄 용지로 구성되어, 한 겹 또는 다수겹의 속지는 속지 자체에서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므로, 펼쳐진 상태에서 양 단부가 하측으로 쳐지지 않는다. 그러나 고서는 속지가 대부분 한지로 제작되는데, 고서 자체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지지력을 충분히 갖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전시대는 높은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고서와 같은 책은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시대는 책의 두께와는 상관없이 단순히 책을 지지하고 책장이 넘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 하고, 책의 유동을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시나 독서를 목적으로 고서를 펼쳐둘 때 꺾임에서 오는 책의 손상과 펼쳐 놓은 책이 탄성에 의하여 저절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고서의 제본 축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고서의 전시에 있어 손상을 최소로 하는 고서 전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책의 두께와 제본 부위의 간섭을 최소로하여 균형있게 책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제본 부위를 탄성 가압하여 책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고서 전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접근과 이격 가능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판의 양 측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유동 바; 내 측은 높은 높이를 갖고 외 측으로 갈 수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한 쌍의 유동 바의 상면에 접합되는 다수의 지지 편;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의 상기 지지 편을 연결하고, 상기 유동 바의 유동에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가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편은 내 측과 외 측의 상면이 곡면 형상으로 높이의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서 전시대는 다수의 상기 지지 편의 외 측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동 바는 고서의 편철부가 회피될 수 있는 회피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여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유동 축에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시대가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 판의 배면에 체결되어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판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 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에 체결되는 받침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시대의 경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베이스 판의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체결되는 받침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시대의 경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전시나 독서를 목적으로 고서를 펼쳐둘 때 꺾임에서 오는 고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펼쳐 놓은 고서가 탄성에 의하여 저절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으로 책을 가압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고서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본 부위의 간섭을 최소로하여 균형있게 책을 안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도서 전시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서 전시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의 변형 사용 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 배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본 고안의 따른 고서 전시대의 배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서 전시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고서 전시대(100)는 중심부의 베이스 판(110), 베이스 판(110)을 중심으로 양 측부 체결되는 한 쌍의 유동 바(120), 베이스 판(110)을 관통하면서 한 쌍의 유동 바(120)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130), 유동 바(120)의 상면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펼쳐진 고서(古書, 2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편(140), 베이스 판(110)의 상면에서 다수의 지지 편(140)의 내 측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압 바(150) 및 다수의 지지 편(140)의 외 측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 바(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판(110)은 양 측으로 전시대(100)의 중심축을 이루는 구성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얇은 사각 막대 형상을 이룬다. 이때 고서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판(110)의 폭은 고서의 두께보다는 큰 폭을 이루고, 길이는 고서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유동 바(120)는 다수의 지지 편(140)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탄성 부재(130)에 베이스 판(110)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대칭적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유동하는 구성으로, 베이스 판(110)과 동일한 길이의 갖는 바(bar) 형상을 이룬다. 또한, 유동 바(120)는 베이스 판(110)을 중심으로 양 측부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탄성 부재(130)에 의하여 베이스 판(110)의 양 측부에 밀착되도록 체결된다.
탄성 부재(130)는 한 쌍의 유동 바(120)가 베이스 판(110)의 측부에 밀착되도록 하며, 유동 바(120)가 베이스 판(110)을 중심으로 탄성에 의하여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130)는 스프링(131)과 고정 핀(132)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동 바(120)가 균형을 유지할 수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탄성 부재(130)의 체결을 위하여 베이스 판(110)과 유동 바(120)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통 홀(111,121)이 형성된다. 탄성 부재(130)의 스프링(131)은 상기 관통 홀(111,121)들을 통과하고, 유동 바(120)의 외 측으로 돌출된 양 단부에 고정 핀(132)이 체결되어, 유동 바(120)가 베이스 판(110)의 측부로 부착되게 한다.
지지 편(140)은 고서(200)의 책장(冊張, 22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베이스 판(110)을 중심으로 양 측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지지 편(140)은 유동 바(120)에 결합되는 내 측에서 유동 바(120)로부터 멀어지는 외 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갖는 얇은 판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지지 편(140)은 길이 방향의 유동 바(12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한 쌍의 유동 바(120)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된다. 각 지지 편(140)은 내 측 단부의 하면이 유동 바(120)의 상면에 접합되어 유동 바(120)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또한, 지지 편(140)은 상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내 측의 상면이 외 측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외 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 편(140)의 상면은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높이의 단차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곡면 형상은 고서(200)를 펼쳤을 때 형성되는 고서(200)의 책장(220)의 곡면 형상에 대응한다. 이러한 곡면 형상의 지지 편(140)은 상면 전체 면이 책장(220)의 하면에 접하게 되어, 곡면 형상으로 펼쳐지는 고서(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가압 바(150)는 펼쳐진 고서(200)의 중앙부인 제본부(210)를 양 측에서 가압하여 전시된 책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가압 바(150)는 베이스 판(110)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 바(bar) 형상을 이루며, 각 지지 편(140)의 내 측면에 접합되어 다수의 지지 편(140)에 결합된다. 또한, 가압 바(150)의 내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피 홈(151)이 형성된다. 회피 홈(151)은 고서(200)의 제본부(210)에 마련되는 편철(211)이 회피되도록 함으로써, 편철(211)의 간섭으로 고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고정 바(160)는 지지 편(140)의 외 측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 편(14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대칭되는 지지 편(140) 양 단에 배치되는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고정 바(160)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 편(140)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시대(100)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서(200)의 제본부(210)가 가압 바(150)사이에 끼워지면서 안착되고, 책장(220)이 양 측의 지지 편(140)으로 펼쳐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시될 수 있으며,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책장이 넘어가면서 독서가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의 변형 사용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고서 전시대(100)는 유동 바(120), 지지 편(140), 가압 바(150) 및 고정 바(160)는 접합으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고, 베이스 판(110)과는 탄성 부재(130)에 의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유동 바(120), 지지 편(140), 가압 바(150) 및 고정 바(160)는 베이스 판(110)을 중심으로 접근 및 이격 동작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근과 이격은 다양한 두께의 고서(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먼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고서(200)를 전시하는 경우, 한 쌍의 유동 바(120)는 베이스 판(110) 양 측부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압 바(150)도 좁은 폭(W1)으로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 바(150)가 얇은 두께의 고서 제본부(21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b)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서를 전시하는 경우 한 쌍의 가압 바(150)는 충분한 폭(W2)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유동 바(120)도 베이스 판(110)의 양 측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멀어지게 된다. 이때, 가압 바(150)는 고서 제본부(210)를 가압하여 일정한 폭(W2)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고, 유동 바(120)에 연결된 탄성 부재(130)에 의하여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즉, 베이스 판(110)을 중심 축으로 탄성 부재(130)가 양 측부의 유동 바(120)를 끌어당기게 되고, 유동 바(120)와 일체로 결합되여 연결되는 지지 편(140)과 가압 바(150)에 의하여 다양한 두께의 고서(200)를 적당한 탄성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서 전시대 배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따른 고서 전시대의 배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의 고서 전시대에는 배면에 받침 편(170)이 더 구비되어, 전시대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받침 편(170)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베이스 판(110)의 하부에 체결되어 전시대(100)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받침 편(170)이 베이스 판(110)의 외 측에 체결될수록 전시대(100)는 작은 경사각을 갖고, 중앙으로 이동할수록 큰 경사각을 갖게 된다.
먼저, 고서 전시대(100)의 일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110)의 배면에 일 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 홈(112)이 형성된다. 체결 홈(112)은 전시대의 상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판(110)의 배면 일 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형성되며, 적어도 중앙부를 넘어서지 않는 위치까지만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판(110)의 체결 홈(122)에 대응하여, 받침 편(170)의 일 면에는 체결 돌기(172)가 형성된다. 베이스 판(110)의 체결 홈(112)에 받침 편(170)의 체결 돌기(172)가 끼워져 받침 편(170)이 베이스 판(110)을 지지하게 되고,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전시대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게 된다.
한편, 고서 전시대(100)의 다른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110)의 배면에 일 측에서 중앙부를 따라 가이드 홈(113)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13)은 베이스 판(110)의 배면 일 측에서 중앙부를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중앙부를 넘지 않는 위치까지만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판(110)의 가이드 홈(113)에 대응하여 받침 편(170)에는 가이드 돌기(173)가 형성된다. 가이드 홈(113)과 가이드 돌기(173)가 끼워져 받침 편(170)이 베이스 판(110)을 지지하게 되고, 슬라이딩에 의한 받침 편(170)의 위치 선택으로 전시대(100)의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서 전시대는 도서를 전시함에 있어 고문헌과 같이 귀중한 자료들을 펼쳐 놓는 단순한 작업에도 책장이 펼쳐지면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꺾임을 최소로 하여 고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투박한 방식으로 제본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서를 안정적으로 전시할 수 있으며, 전시대의 경가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전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전시대 200 : 고서
110 : 베이스 판 120 : 유동 바
130 : 탄성 부재 140 : 지지 편
150 : 가압 바 160 : 고정 바
170 : 받침 편

Claims (8)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접근과 이격 가능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판의 양 측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유동 바;
    내 측과 외 측의 상면이 곡면 형상으로 외 측으로 갈 수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단차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 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한 쌍의 유동 바의 상면에 접합되는 다수의 지지 편;
    상기 베이스 판의 상면에서 상기 베이스 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의 상기 지지 편을 연결하고, 상기 유동 바의 유동에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가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전시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지지 편의 외 측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전시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는,
    고서의 편철부가 회피될 수 있는 회피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전시대.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여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유동 축에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전시대.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시대가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 판의 배면에 체결되어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전시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 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에 체결되는 받침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시대의 경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전시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의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체결되는 받침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시대의 경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전시대.
KR2020130002232U 2013-03-25 2013-03-25 고서 전시대 KR200473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32U KR200473482Y1 (ko) 2013-03-25 2013-03-25 고서 전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32U KR200473482Y1 (ko) 2013-03-25 2013-03-25 고서 전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482Y1 true KR200473482Y1 (ko) 2014-07-04

Family

ID=5199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232U KR200473482Y1 (ko) 2013-03-25 2013-03-25 고서 전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4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68A1 (ko) * 2017-08-14 2019-02-21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KR20190018382A (ko) * 2017-08-14 2019-02-22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150A (ko) * 1996-02-24 1997-09-12 김상도 북 화일(book file) 기능을 갖는 독서대
KR200354221Y1 (ko) 2004-04-09 2004-06-23 태 선 김 독서대
KR100696601B1 (ko) 2003-08-26 2007-03-20 나상훈 만능 독서대
JP2012210373A (ja) 2011-03-31 2012-11-01 Communication Design Laboratory 書籍展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150A (ko) * 1996-02-24 1997-09-12 김상도 북 화일(book file) 기능을 갖는 독서대
KR100696601B1 (ko) 2003-08-26 2007-03-20 나상훈 만능 독서대
KR200354221Y1 (ko) 2004-04-09 2004-06-23 태 선 김 독서대
JP2012210373A (ja) 2011-03-31 2012-11-01 Communication Design Laboratory 書籍展示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68A1 (ko) * 2017-08-14 2019-02-21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KR20190018382A (ko) * 2017-08-14 2019-02-22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KR20190139823A (ko) * 2017-08-14 2019-12-18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CN110996720A (zh) * 2017-08-14 2020-04-10 全永钻 能够放置多种厚度的书的阅读架
KR102107950B1 (ko) * 2017-08-14 2020-05-07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KR102107380B1 (ko) * 2017-08-14 2020-05-28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JP2020528815A (ja) * 2017-08-14 2020-10-01 チョン、ヨン−チャン 様々な厚さの本を固定可能な書見台
US11178963B2 (en) 2017-08-14 2021-11-23 Young-Chan Jeon Book holder capable of holding books having various thickne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3163A (en) Interlocking-continuous base bookends
KR200473482Y1 (ko) 고서 전시대
US4113108A (en) Adjustable book holding device
KR20150118940A (ko) 휴대용 독서대
US6367760B1 (en) Convertible book holder
JP5796758B1 (ja) 書見台
KR101502732B1 (ko) 액자용 지지대
JP6376374B2 (ja) タブレットpcや一般の書面を含む各種視覚メディアに対応した省スペース卓上書見台
KR0179235B1 (ko)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KR101392421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CN110419867A (zh) 多功能阅读架
KR100579425B1 (ko) 독서대
KR102051051B1 (ko) 책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책 지지대
JP2006320667A (ja) スプリング式本立
US1953560A (en) Bookholder
KR20200017670A (ko) 2단 페이지 클립을 갖는 북마크 독서대
GB2534547A (en) Support assembly
KR200220683Y1 (ko) 탈착 가능한 독서대
KR200310976Y1 (ko) 독서대
KR20180002194U (ko) 밴드형 책갈피
CN202820287U (zh) 具有书架功能的书立
KR102635241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1556928B1 (ko) 키보드 보호기능을 갖는 독서대
JP5831962B1 (ja) 開本保持機能付ブックカバー
KR200415704Y1 (ko) 다용도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