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95B1 - 유아용 서적 - Google Patents

유아용 서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95B1
KR101443895B1 KR1020130036733A KR20130036733A KR101443895B1 KR 101443895 B1 KR101443895 B1 KR 101443895B1 KR 1020130036733 A KR1020130036733 A KR 1020130036733A KR 20130036733 A KR20130036733 A KR 20130036733A KR 101443895 B1 KR101443895 B1 KR 101443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bookcase
infants
base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숙
Original Assignee
김동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숙 filed Critical 김동숙
Priority to KR102013003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8Picture books with additional toy effects, e.g. pop-up or slid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및 아동의 교육을 위해 책자의 형태로 제공되는 유아용 서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서적에 따르면, 책장(20)에 형성되는 부착공간부(40)를 통해 부착공간부(40)내의 내부교구(80)가 유아용 서적(10) 밖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책장(20)은 연속되는 복수개의 책장(20)간의 상호 결합에 있어, 내용지(70)를 구비함으로써 책장(20)이 유아용 서적(10)에서 탈락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책장(20)과 책등(30)간에 형성되는 연결부(90)로 인해 책장(20)의 접힘과 펼침이 원활하며, 책장(20)이 펼쳐졌을때에는 각 책장(20)의 책등(30)이 인접한 책장(20)의 책등(30)과 맞닿아 수평을 이루게 됨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서적{A book for infants}
본 발명은 유아용 서적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및 아동의 교육을 위해 책자의 형태로 제공되는 유아용 서적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교구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 중 사물과 사물의 이름을 대응시켜 문자나 숫자를 학습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고무자석 또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는 것과 교구가 접거나 펼치는 형태를 제공하면서 학습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유아용 학습교구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487호 "유아용 학습교재"는 표지와 낱장의 학습판이 스페이서 책등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본되고, 학습판의 아래에는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고 벨크로 테이프에는 벨크로 이름표가 착탈되는 구성이다. 또한 학습판의 측단에 스페이서 책등과 같은 높이의 스페이서 갈피를 절첩 가능하게 연장한 구성으로 변환하여 책과 교구의 통일적이고 집약적인 구성으로 수개의 학습판을 별도로 관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학습자에게 입체적인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348호 "유아용 서적"은 각 페이지마다 크기가 다른 프레임과, 그림, 문자 또는 그림과 문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내용지 및 프레임과 내용지가 연결되는 접합부를 포함하여, 내용지를 넘길수록 내용지의 크기가 변화하면서 내용지에 포함된 서적의 내용을 개략적인 내용에서 점차 세부적인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구성으로 여러 각도에서 상황을 파악하는 공간 지각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731호 "다기능 테마 워크북"은 다기능 테마 워크북에 관한 것으로 자유로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병풍형 구조의 각 면에 다양한 입체기능을 가진 학습포스터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흥미 있는 사용자의 흥미 있는 학습을 돕고 이러한 기초 학습 단계가 완성되면 학습포스터의 여러개 연결면 위에 부착 구성 되어 있는 투명 2중 패널에 심화학습 포스터를 연속해서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성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욕 교구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학습교구용 서적은 몇 가지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서적 내부의 교구들이 서적 밖으로 탈락할 수 있으며, 교구와 책장의 두께로 인해 두꺼워진 다수의 책장들로 인해 각 책장의 넘김과 펼침이 용이하지 못하며, 책장이 서적에서 쉽게 탈락 및 파손되어 유아용 학습교구용 서적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책장에 부착된 교구들이 서적 밖으로 탈락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아용 서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책장이 서적에서 쉽게 탈락 및 파손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유아용 서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의해 두꺼워진 다수의 책장들로 인해 각 책장의 넘김과 펼침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프레임과 내용지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유아용 서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표지와 복수의 책장(20) 및 복수의 책장(20)을 고정하기 위한 책등(30)을 포함하는 서적에 있어서, 상기 서적의 책장(20)은 일면에 형성된 일정 깊이를 갖는 부착공간부(40)및 상기 부착공간부(40)에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내부교규(8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의 책장(20)은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판(50) 및 상기 베이스판(50)상에서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부착공간부(40)를 이루는 구멍(61)이 형성되는 프레임판(60)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판(50)상에 상기 프레임판(6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판(60)의 구멍(61)이 상기 베이스판(50)에 의해 닫혀 상기 부착공간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의 책장(20)은 연속되는 복수개의 책장(20)간의 상호 결합에 있어, 상기 베이스판(50)과 프레임판(60)의 형상에 대응하되 끊김이 없이 일체화된 내용지(70)를 첫 번째 책장(20)의 베이스판(50) 뒷면과 두 번째 책장(20)의 프레임판(60)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의 책장(20)의 베이스판(50)은 상기 책등(30)에 고정되고, 상기 책장(20)의 프레임판(60)은 상기 책등(30)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서적(10)에 따르면, 책장(20)은 일정 깊이를 갖는 부착공간부(40)를 형성하여 부착공간부(40)내의 내부교구(80)가 서적 밖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프레임판(60)상부에 형성된 프레임판 테두리(62)가 책장(20)이 덮혔을때 책장(20)과 책장(20)이 밀착되도록하며, 그로 인해 내부교구(80)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서적에 가해지는 충격 등의 외력에 대항하여 서적의 형상을 유지시킴으로써 내부교구(80)의 파손 및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책장(20)은 연속되는 복수개의 책장(20)간의 상호 결합에 있어, 베이스판(50)과 프레임판(60)의 형상에 대응하되 끊낌이 없이 일체화된 내용지(70)를 첫 번째 책장(20)의 베이스판(50) 뒷면과 두 번째 책장(20)의 프레임판(60)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함으로써 책장(20)이 유아용 서적(10)에서 탈락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책장(20)의 베이스판(50)이 책등(30)에 고정되고 책장(20)의 프레임판(60)은 상기 책등(30)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연결부(90)의 형성으로 인해 책장(20)의 접힘과 펼침이 원활하다. 또한, 책장(20)이 펼쳐졌을때에는 각 책장(20)의 책등(30)이 인접한 책장(20)의 책등(30)과 맞닿아 수평을 이루게 됨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유아용 서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유아용 서적의 책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유아용 서적의 내용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유아용 서적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은 책장(20)의 내부에 부착공간부(40)를 구비하고, 부착공간부(40)의 내측에 내부교구(8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내부교구(80)는 교구체결구(82)를 구비 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50) 상부는 내부교구(80)와 대응되는 그림, 글자 및 그림과 글자의 조합을 포함하며, 내부교구(80)의 교구체결구(82)와 대응하여 결합 할 수 있는 공간체결구(52)를 형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에 따르면, 책장(20) 내부에 내부교구(80)를 결합시킬 수 있는 부착공간부(40)를 형성함으로써, 내부교구(80)가 유아용 서적(10) 밖으로 탈락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책장(20)은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판(50) 및 베이스판(50)상에서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부착공간부(40)를 이루는 구멍(61)이 형성되는 프레임판(60)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판(50)상에 상기 프레임판(6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판(60)의 구멍(61)이 상기 베이스판(50)에 의해 닫혀 상기 부착공간부(40)가 형성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판(60)은 책장(20)의 베이스판(50)과 맞닿는 프레임판 테두리(62)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판 테두리(62)의 형성에 의해, 책장(20)이 덮혔을때 책장(20)과 책장(20)이 밀착되도록하며, 그로 인해 내부교구(80)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서적에 가해지는 충격 등의 외력에 대항하여 서적의 형상을 유지시킴으로써 내부교구(80)의 파손 및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책장(20)은 연속되는 복수개의 책장(20)간의 상호 결합에 있어, 상기 베이스판(50)과 프레임판(60)의 형상에 대응하되 끊김이 없이 일체화된 내용지(70)를 첫 번째 책장(20)의 베이스판(50) 뒷면과 두 번째 책장(20)의 프레임판(60)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되어 서적내에서 책장(20)의 탈락을 방지 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용지(70)는 제단되어진 상태로 책장(20)에 결합 되거나 또는 결합후 절취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에 따르면, 책장(20)과 책장(20)간의 결합력을 높여줌과 동시에 책장을 펼쳤을 때 책장이 수평각 이상으로 ?혀져 파손 및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책장(20)이 유아용 서적(10)에서 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책장(20)의 베이스판(50)은 상기 책등(30)에 고정되고, 상기 책장(20)의 프레임판(60)은 상기 베이스판(50)상에 고정되는 연결부(9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서적(10)에 따르면, 연결부(90)의 형성으로 인해 책장(20)의 접힘과 펼침이 원활하며, 책장(20)이 펼쳐졌을때에는 각 책장(20)의 책등(30)이 인접한 책장(20)의 책등(30)과 맞닿아 수평을 이루게 됨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서적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유아용 서적 20 : 책장
20a(20) : 책장 20b(20) : 책장
30 : 책등 40 : 부착공간부
50 : 베이스판 60 : 프레임판
61 : 구멍 62 : 프레임판 테두리
70 : 내용지 80 : 내부교구
90 : 연결부

Claims (4)

  1. 표지와 복수의 책장(20) 및 상기 책장(20)을 고정하기 위한 책등(30)을 포함하는 서적에 있어서,
    상기 책장(20)은 일정 깊이를 갖는 부착공간부(40) 및;
    상기 부착공간부(40)에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내부교구(80)를 포함하되;
    상기 책장(20)은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베이스판(50) 및,
    상기 베이스판(50)상에서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부착공간부(40)를 이루는 구멍(61)이 형성되는 프레임판(60)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판(50)상에 상기 프레임판(6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판(60)의 구멍(61)이 상기 베이스판(50)에 의해 닫혀 상기 부착공간부(4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책장(20)의 베이스판(50)은 상기 책등(30)에 고정되고, 상기 책장(20)의 프레임판(60)은 상기 책등(30)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서적.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36733A 2013-04-04 2013-04-04 유아용 서적 KR10144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733A KR101443895B1 (ko) 2013-04-04 2013-04-04 유아용 서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733A KR101443895B1 (ko) 2013-04-04 2013-04-04 유아용 서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895B1 true KR101443895B1 (ko) 2014-09-23

Family

ID=5176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733A KR101443895B1 (ko) 2013-04-04 2013-04-04 유아용 서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076B1 (ko) * 2016-08-08 2016-10-06 이은화 체험학습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48U (ko) * 2009-10-27 2011-05-04 박영신 유아용 서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48U (ko) * 2009-10-27 2011-05-04 박영신 유아용 서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076B1 (ko) * 2016-08-08 2016-10-06 이은화 체험학습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2127B2 (en) Gallery display apparatus
EP1658995A2 (en) Display book with viewing compartment and self-illumination
KR101438404B1 (ko) 다 기능성 책상 칸막이
KR101443895B1 (ko) 유아용 서적
ES2840498T3 (es) Ensamblaje de marco de cuadro
CN201082030Y (zh) 可调换前面板的抽屉
KR101818696B1 (ko) 유아교육용 다목적 칠판
CN206741463U (zh) 一种用于幼儿教育的感应式输入设备
CN211380351U (zh) 多功能书箱
KR200251871Y1 (ko) 학습교구
CN204667681U (zh) 一种可拆卸模块化中班个别化学习的教具装置
CN203776326U (zh) 翻页式手机集中存放装置
KR101482451B1 (ko) 교재를 이용한 학습방법
CN215671851U (zh) 室内多功能学习门
KR200471583Y1 (ko) 휴대용 구구단 점자보관함
TWM278561U (en) Structure for multi-functional hand painting board
KR101956909B1 (ko)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CN208335535U (zh) 一种多功能展示教具
KR101061198B1 (ko)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JPS5825389Y2 (ja) 本の形式をとつた学習器
KR20220000403U (ko) 자석을 이용한 교육용 교구
JP3214742U (ja) 筆記シート
CN208569895U (zh) 一种英语语法训练教具
CN204667647U (zh) 一种可拆卸模块化中班教学教具装置
JP2004209114A (ja) ポップアップ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