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198B1 -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 Google Patents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198B1
KR101061198B1 KR1020100096560A KR20100096560A KR101061198B1 KR 101061198 B1 KR101061198 B1 KR 101061198B1 KR 1020100096560 A KR1020100096560 A KR 1020100096560A KR 20100096560 A KR20100096560 A KR 20100096560A KR 101061198 B1 KR101061198 B1 KR 10106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row
unit
coupling means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용환일
Original Assignee
용환일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환일, 이성훈 filed Critical 용환일
Priority to KR102010009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4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toys, games, puzzles, or simila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단위 정육면체 모서리에 설치된 장착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이음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이음수단은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여 결합수단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 연결된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Connector of cube, connecting block and Folded cub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 연결된 접이식 정육면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통해 8개의 단위 정육면체가 서로 연결되어 여러 가지 면을 갖는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정육면체를 접이식으로 연결하여 기하학적 형상을 구성하는 학습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는 데, 특히 8개의 소형 정유견체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조립체를 구성하는 접이식 정육면체가 개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8875호에서도 8개의 정육면체를 이용한 접이식 정육면체 학습구의 조립방법이 개시되었다. 이에 따르면 크기가 동일한 단위 정육면체 8개를 각각 직접 접철 가능하게 나란히 놓고 고정스티커 8개를 이용하여 연결시킨 후 각 면에 고정시트지를 일정하게 붙여 접이식 정육면체가 완성한다. 상기 특허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8장의 고정스티커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시트지까지 붙여야 접이식 정육면체가 견고하게 완성된다. 시트지가 붙지 않았을 때의 접이식 정육면체는 제대로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미완성품으로 헐렁하여 그 형태가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접이식 정육면체의 면에 표현하는 내용인데,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서만 그 내용을 만들 수는 있으나, 내용이나 위치를 사용자 마음대로 수정할 수 없다. 만일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넣고 싶다면 일정의 인쇄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또한, 한번 완성된 접이식 정육면체의 내용은 순서를 바꾸어서 활용하기가 불가능하다. 고정스티커와 함께 시트지가 접이식 정육면체를 고정시키는 방식이므로 정해진 인쇄물의 방향으로만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해진 곳에 정해진 시트지를 붙여야만 한다.
또한, 시트지를 모두 붙여 완성한 접이식 정육면체는 시트지의 특성인 당김현상으로 인해 단위 정육면체들이 벌어지는 현상이 생겨 큰 형태의 정육면체를 유지하기 힘들며 보관하기도 용이하지 않아서, 전시용이나 관상용으로 활용이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육면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수단 및 접이식 정육면체의 형태유지가 견고하며, 사용자의 의도대로 스티커 등의 탈부착이 가능하고 교육용이나 전시용 등에 적합한 접이식 정육면체의 개발이 소망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데 있어서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하며 완성된 접이식 정육면체에 있어서 접이식이 용이하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식 정육면체에 있어서 연결된 부분의 결속이 잘 이루어져 형태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식을 활용하여 형태가 변경되었을 때 정육면체 형태가 잘 유지될 수 있는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단위 정육면체 모서리에 설치된 장착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이음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이음수단은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여 결합수단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이 하부에 홈을 형성하여 돌기 형상이 존재하는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음수단은 한 쌍의 결합수단 상부를 덮어 결합하고, 한 쌍의 결합수단이 마주보는 면사이에 접철되어 상기 결합수단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음수단이 한 쌍의 결합수단이 마주보는 모서리에 힌지 연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블럭을 이루고, 각 단위 정육면체의 각 면 중앙내부에 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블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정육면체에의 각 면에 사진 또는 스티커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블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위 정육면체를 조합시켜 접이식 정육면체를 조립하는 데 있어서, 단위 정육면체 8개를 단위 정육면체의 장착부에 정육면체 연결구를 장착하여 연결하되, 상기 단위 정육면체를 4행 2열로 배치하여 전면에서는 1열 1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1행 단위 정육면체, 1열 4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며, 좌측면에는 1열 1행 단위 정육면체 및 1열 2행 단위 정육면체, 1열 3행 단위 정육면체 및 1열 4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며, 우측면에는 2열 1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2행 단위 정육면체,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며, 후면에는 1열 2행 단위 정육면체 및 1열 3행 단위 정육면체, 2열 2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한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착부가 단위 정육면체의 모서리를 부분 절개시킨 다음 돌기를 돌출시키되, 상기 돌기의 전후방에 개방된 공간을 갖도록 하여 돌기가 정육면체 연결구의 결합수단에 있는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정육면체의 각 면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데, 1열 1행, 1열 3행, 2열 2행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에 N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1열 2행, 1열 4행, 2열 1행 및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에 S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부분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1열 1행, 1열 3행, 2열 2행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에 S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1열 2행, 1열 4행, 2열 1행 및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에 N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석이 각 정육면체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정육면체에의 각 면에 사진 또는 스티커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정육면체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하며 완성된 접이식 정육면체에 있어서 접이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 연결된 접이식 정육면체는 시트지나 인화지가 붙지 않은 접이식 정육면체 자체만으로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정육면체는 미관이 깔끔해서 스티커가 붙어 있지 않은 형태의 접이식 정육면체만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정육면체는 단위 정육면체 8개를 사용하는 데, 연결구를 이용하여 단위 정육면체간 연결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정육면체만으로 형태를 지닐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 연결된 접이식 정육면체는 단위 정육면체에 붙어 있는 스티커나 사진 등의 내용들을 다른 내용으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반영구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앨범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 연결된 접이식 정육면체는 사용대상,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스티커 사진기용 인화지를 통해 얻어진 사진을 이용함으로 앨범형태로 놀이시설이나 체육시설, 문화시설 등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 연결된 접이식 정육면체는 자석을 정육면체의 면에 넣어 접이식 정육면체가 당김현상이 없이 접철이 잘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육면체 연결구와 장착부가 포함된 단위 정육면체의 사시도 및 X-X'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하여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여 연결블럭을 조립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8개의 단위 정육면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접이식 정육면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정육면체의 12면의 큰 정사각형의 활용이 가능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부터 연결된 정육면체으로서,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개개의 작은 정육면체(이하 "단위 정육면체"라 함)의 모서리에 설치된 장착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이음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이음수단은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여 결합수단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하여 단위 정육면체 8개를 정육면체 연결구로 연결하여 접이식의 정육면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 및 이로부터 연결된 정육면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를 나타낸 것이다.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단위 정육면체 모서리에 설치된 장착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결합수단 110 및 상기 결합수단 110을 연결하는 이음수단 120으로 이루어진다.
단위 정육면체에는 장착부가 존재하여 상기 결합수단 110이 상기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음수단 120은 상기 결합수단 110을 연결하여 결합수단 11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정육면체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 110은 하부에 홈 111을 형성하여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정육면체의 상기 장착부에는 돌기 211이 존재하여 홈 111과 일치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홈 111의 단면형상은 모서리의 각이 직각을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합수단 110이 장착부에 끼움 결합하여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고 또한 탈착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수단 110의 상부는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데, 단위 정육면체와 결합하였을 때 정육면체의 각 면이 평평한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음수단 120은 한 쌍의 결합수단 110을 연결하는 것인 데, 상기 이음수단 120은 비제한적인 예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필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음수단 120은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결합수단 110의 상부를 덮어 결합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 110이 마주보는 면 사이에서 접철되어 상기 결합수단 110을 부착함으로써 한 쌍의 결합수단 110을 연결하되, 한 쌍의 결합수단 110이 마주보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도 1참조).
또한 상기 이음수단 120은 다른 실시예로 한 쌍의 결합수단 110이 마주보는 모서리에 힌지 연결로 구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육면체 연결구와 장착부가 포함된 단위 정육면체의 사시도 및 X-X'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정육면체 연결구는 장착부가 존재하는 두 개의 단위 정육면체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단위 정육면체 모서리를 부분 절개시킨 다음 돌기를 돌출시키되 상기 돌기의 전후방에는 개방된 공간을 갖도록 하여 상기 돌기가 정육면체 연결구의 결합수단 110에 있는 홈 1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개방된 공간으로는 정육면체 연결구의 결합수단 110이 위치하며 상기 돌기는 결합수단 110에 형성되는 홈 111과 일치하여 끼움이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의 절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의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모서리가 직각을 이룰 때 연결구의 결합수단 110과 끼움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단위 정육면체에 있어서 모서리의 절개된 된 부분은 정육면체 연결구에 하나의 결합수단 110과 완전히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개된 부분과 연결구에서 하나의 결합수단 110이 완전히 일치됨으로써 정육면체를 이루어 접이식 정육면체에서 이웃한 단위 정육면체와 맞닿을 때 전면이 밀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정육면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각 단위 정육면체당 2개의 장착부가 필요하다. 2개의 장착부는 단위 정육면체가 위치하는 곳에 따라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블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하여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여 연결블럭을 조립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와 같은 연결블록을 형성하여 원하는 숫자, 글자 또는 도형 등으로 조립할 수 있어 교육용 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b와 같이 상기 연결블럭에 단위 정육면체의 각 면 크기만큼의 스티커나 사진을 부착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시에 연결구 및 자석을 이용할 수도 있는 데, 인접한 단위 정육면체 각 면의 중앙에 자석을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인접한 단위정육면체들이 보다 잘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은 각 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각 면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정육면체를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에 대해 알아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8개의 단위 정육면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접이식 정육면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크기가 동일한 단위 정육면체 8개를 장착부에 정육면체 연결구를 장착하여 8개의 단위 정육면체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단위 정육면체를 4행 2열로 배치하여 단위 정육면체 사이는 연결구를 장착하여 연결한다.
단위 정육면체는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이의 재질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생산비용을 감안하였을 때 플라스틱, 발포수지 또는 나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1열 1~4행 단위 정육면체를 각각 1~4번 단위 정육면체, 2열 1~4행 단위 정육면체를 각각 5~8번 정육면체라 칭하여 설명하는 데, 도 2는 단위 정육면체를 4행 2열로 배치하여 번호를 부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접이식 정육면체를 조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면에서는 1번 단위 정육면체 및 5번 단위 정육면체, 4번 단위 정육면체 및 8번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구로 연결한다.
또한, 좌측면에는 1번 단위 정육면체 및 2번 단위 정육면체, 3번 단위 정육면체 및 4번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구로 연결한다.
또한, 우측면에는 5번 단위 정육면체 및 6번 단위 정육면체, 7번 단위 정육면체 및 8번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구로 연결한다.
또한, 후면에는 2번 단위 정육면체 및 3번 단위 정육면체, 6번 단위 정육면체 및 7번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구로 연결하여 접이식이 가능한 정육면체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위 정육면체의 각 면의 중앙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이와 인접한 다른 정육면체의 각면의 중앙에는 극성이 다른 자석이 부착되어 있어서 단위 정육면체가 다른 단위 정육면체와 맞닿을 때 자력에 의해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접이식 정육면체에서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번, 3번, 6번, 8번 단위정육면체의 각 면 중간에 N 극이 바깥으로 향하게 자석을 부분적으로 부착하고, 2번, 4번, 5번, 7번 단위정육면체의 각 면 중간에 S극을 바깥으로 향하게 자석을 부분적으로 부착하여 단위 정육면체의 각 면이 다른 단위 정육면체와 맞닿을때 완전히 밀착하여 벌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1번, 3번, 6번, 8번 단위정육면체의 각 면 중간에 S극을 바깥으로 향하게 자석을 부분적으로 부착하고, 2번, 4번, 5번, 7번 단위정육면체의 각 면 중간에 N 극이 바깥으로 향하게 자석을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석은 각 면에 돌출되도록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각 면의 안쪽에 위치시켜 상기 각 면은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정육면체는 상하좌우로 접힘으로써 다른 면이 보이게 되어 총 12면의 정사각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정육면체의 12면에 각각의 스티커나 사진을 부착함으로써 교육용, 장식용 등의 다용도의 활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정육면체의 12면의 큰 정사각형의 활용이 가능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이식 정육면체를 제조하면 (다)와 같이 이루어지는 데, (나)와 같이 접으면 (가)의 정육면체가 이루어진다. 또한 (다)에서 (라)와 같이 접게 되면 (마)와 같이 되고 위아래 단위 정육면체를 (바)와 같이 접게 되면 (사)와 같은 정육면체가 이루어진다.
(가)에서 표현할 수 있는 정사각형은 6면이며, (다)에서 2면, (마)에서 2면, (사)에서 윗면,아래면의 2면으로 총 12면의 정사각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이식 정육면체의 12면에 큰 정사각형 크기의 스티커나 사진 등을 부착할 수도 있고, 단위 정육면체의 정사각형 크기로 하여 각각의 스티커나 사진을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접이식 정육면체는 미관이 깔끔해서 스티커 등이 붙어 있지 않은 형태의 접이식 정육면체만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단위 정육면체 8개를 사용하는 데, 연결구를 이용하여 단위 정육면체간 연결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정육면체만으로 형태를 지닐 수 있으며, 정육면체에 자석을 각각 넣은 자석 정육면체를 만들어서 접이식 정육면체가 당김현상 없이 접철이 잘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1)

  1. 정육면체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단위 정육면체 모서리에 설치된 장착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이음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이음수단은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여 결합수단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정육면체를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은 하부에 홈을 형성하여 돌기 형상이 존재하는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음수단은 한 쌍의 결합수단 상부를 덮어 결합하고, 한 쌍의 결합수단이 마주보는 면사이에 접철되어 상기 결합수단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수단은 한 쌍의 결합수단이 마주보는 모서리에 힌지 연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상기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블럭을 이루고, 각 단위 정육면체의 각 면 중앙내부에 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블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정육면체에의 각 면에는 사진 또는 스티커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블럭.
  7. 제1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정육면체 연결구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위 정육면체를 조합시켜 접이식 정육면체를 조립하는 데 있어서,
    단위 정육면체 8개를 단위 정육면체의 장착부에 정육면체 연결구를 장착하여 연결하되, 상기 단위 정육면체를 4행 2열로 배치하여 전면에서는 1열 1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1행 단위 정육면체, 1열 4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며,
    좌측면에는 1열 1행 단위 정육면체 및 1열 2행 단위 정육면체, 1열 3행 단위 정육면체 및 1열 4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며,
    우측면에는 2열 1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2행 단위 정육면체,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하며,
    후면에는 1열 2행 단위 정육면체 및 1열 3행 단위 정육면체, 2열 2행 단위 정육면체 및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를 연결한 접이식 정육면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단위 정육면체의 모서리를 부분 절개시킨 다음 돌기를 돌출시키되,
    상기 돌기의 전후방에 개방된 공간을 갖도록 하여 돌기가 정육면체 연결구의 결합수단에 있는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정육면체의 각 면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데, 1열 1행, 1열 3행, 2열 2행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에 N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1열 2행, 1열 4행, 2열 1행 및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에 S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부분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1열 1행, 1열 3행, 2열 2행 및 2열 4행 단위 정육면체에 S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1열 2행, 1열 4행, 2열 1행 및 2열 3행 단위 정육면체에 N극을 나타내는 자석이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각 정육면체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정육면체에의 각 면에는 사진 또는 스티커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이식 정육면체.
KR1020100096560A 2010-10-04 2010-10-04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KR10106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60A KR101061198B1 (ko) 2010-10-04 2010-10-04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60A KR101061198B1 (ko) 2010-10-04 2010-10-04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198B1 true KR101061198B1 (ko) 2011-09-01

Family

ID=4495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560A KR101061198B1 (ko) 2010-10-04 2010-10-04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1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64Y1 (ko) 2001-03-07 2001-09-26 진동석 블록으로된 퍼즐완구
KR100918875B1 (ko) * 2007-11-20 2009-09-28 윤치호 접이식 정육면체 학습구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64Y1 (ko) 2001-03-07 2001-09-26 진동석 블록으로된 퍼즐완구
KR100918875B1 (ko) * 2007-11-20 2009-09-28 윤치호 접이식 정육면체 학습구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99904T3 (es) Un conjunto de modelado
CN106457056B (zh) 用于多维游戏和显示的表面景观
KR200404644Y1 (ko) 조립식 퍼즐 축구공에 있어서 퍼즐 연결구조
US7363739B2 (en) Display of pictures in decorative settings
US5881789A (en) Childrens play structure
MXPA97004812A (en) Multiple picture image exhibitors
US8205885B2 (en) Two-dimensional tiling puzzle having three-dimensional features
US20080172961A1 (en) Structure assembly
US20050160652A1 (en) Modular display frame
KR101061198B1 (ko) 정육면체 연결구, 이를 이용한 연결블럭 및 접이식 정육면체
CN101926578A (zh) 互扣式六面体画框
KR101650338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KR20200002824U (ko) 고무 자석 블록 동화
AU2009100100A4 (en) A 3D jigsaw building block
KR101215994B1 (ko) 레인보우 박스
KR101368695B1 (ko) 액자기능을 겸비한 입체퍼즐 어셈블리
JP2006301061A (ja) レンチキュラシートの組付構造及びその利用方法
US8336238B1 (en) Reverse-depth signage
KR100918875B1 (ko) 접이식 정육면체 학습구의 조립방법
KR20100006075U (ko) 자석 종이블록
KR101823581B1 (ko) 종이액자
JP3848667B2 (ja) 被展示物立て
KR101410675B1 (ko) 분할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US11328630B1 (en) Modular collapsible shadowbox system
KR101747197B1 (ko) 입체형 그림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