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38B1 -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38B1
KR101650338B1 KR1020150040756A KR20150040756A KR101650338B1 KR 101650338 B1 KR101650338 B1 KR 101650338B1 KR 1020150040756 A KR1020150040756 A KR 1020150040756A KR 20150040756 A KR20150040756 A KR 20150040756A KR 101650338 B1 KR101650338 B1 KR 10165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mat unit
width
unit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868A (ko
Inventor
박영건
최명숙
Original Assignee
박영건
최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건, 최명숙 filed Critical 박영건
Publication of KR2015011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호 조합되어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부재로서 탄성체의 판 상부재로서의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를 분리된 매트체로서 구비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접철이 가능한 플랩을 가지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상기 플랩이 접철되거나 펼쳐진 상 태에서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놀이기구로 사용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구성체를 만들어 영유아의 교육과 놀이시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유아 성장에 유용한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본 발명은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아 및 유아의 각종의 교육 및 보육현장에 설치 및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단일의 어셈블리로서 복합적인 구성체를 제공하여 다양한 기능을 발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교육과 놀이에 사용하게 하여 영유아 성장에 유용한 범퍼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유아원, 유치원, 각종의 사설 보육원 등, 영아 또는 유아를 교육하기 위한 많은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이러한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아 또는 유아들의 놀이로서의 유희가 성장 및 발육, 두뇌교육 등에 매우 주요한 교육요소로서 다양한 놀이기구가 교육현장에 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양한 유희용 놀이구 중, 특히 신체발육의 성장을 위한 매트 는 단일의 목적, 예를 들면 평판매트 형상으로 영유아들이 놀 수 있는 유희공간으로 서의 매트체, 또는 놀이집 이나 미끄럼틀 등의 기히 조립된 형상을 가지는 매트어 셈블리로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효용성이 단일의 것이 대부분이고 다양한 유희동작 을 위하여 모두 구비하는 경우, 고가의 것이 되고 또한 실제적으로 설치 및 보관할 공간이 제한적인 교육환경에서 구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저렴하고도 다양한 복합적인 목적을 가지는 영아 또는 유아를 위한 놀이용 기구 특히 영유아들의 부상을 방지하면서도 놀이를 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 이 절실한 실정으로서 이는 점차로 영,유아 교육이 중시되는 현실에서 중요한 요소 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매트구성을 활용한 다양한 선출원이 있었다. 특히 한국특허 등록번호 10-1241724에는 유아용 놀이 매트에 있어서, 경사면과 쿠 션재가 안치된 매트는 제 1매트와 이와 연결된 제 2매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매트 와 제2매트 사이에는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접힘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매트 또는 제2매트 일측에는 아이들의 추락을 방지하는 탈부착 부재가 설치된 가이드가 구성 되도록 하며;상기 가이드의 탈부착 부재는 끼움식, 단추식, 벨크로 테이프, 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탈부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매트 또는 제2매트 일 측에 상기 가이드가 상호 결합 및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과,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269863호에 커버지와 쿠션재로 구성되는 두개의 매 트패널이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대형매트와 하나의 매트패널로 구성되는 소형 매트로 구성되고, 대형매트의 일측 매트패널이 모서리부분을 대각선으로 구획하여 각 외측 모서리의 삼각형 플랩부분과 나머지 부분의 사다리꼴 베이스부분으로 구성 되고 각 플랩부분과 베이스부분이 연결부로 연결되는 유아용 놀이매트에 있어서,소 형매트의 매트패널의 일 측 장변부에는 커버지 내 측에 인접하여 커버지와 쿠션재) 사이에 수 개의 자석을 배치하고 타측 장변부에는 수 개의 자성체금속편을 배치하며, 대형매트에서 삼각형플랩부분을 갖는 일측 매트패널에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타측 매트패널에는 일측 매트패널의 반대측 장변부에 수 개의 자석을 배치하고, 삼 각형플랩부분을 갖는 일측 매트패널의 단변부에 수 개의 자석을 배치하며, 타측 매 트패널의 상부면에는 일측 매트패널의 삼각형 플랩부분을 접었을 때 그 단변부가 놓이는 위치에서 수 개의 자성체금속편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놀이매트가 있다.
그러나, 상기하는 선출원의 구성은 대부분 단일의 매트 접철연결체를 구성하 고 있기는 하나 그 목적과 사용이 설계되고 의도된 단일의 기능과 효과만을 발할 뿐이고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요청되는 다양한 놀이환경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매트구성 자체보다는 매트간의 연결구성을 자석을 사용하는 구성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서 그 사용변형성이 한정되고 기능이 제한적이다.
또한,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180393호에는 변형가능한 형태의 매트를 제시 하고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실내 바닥에 깔리는 사 각형상의 중앙판과;상기 중앙판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매트 몸체로서 상기 중앙판과 두께가 동일한 판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2절첩판으로 이 루어지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재봉질 되어 결합 되며, 상기 제1절첩판은 상기 중앙판 과 길이방향으로 재봉질 되고, 상기 제2절첩판은 그 측면과 배면 일부에 암형 벨크 로파스너가 부착되어 절첩됨으로써 보관을 위해 부피를 축소하거나 펼치거나 또는 유아용 침대로 변형시키기위해 세워지게 된 절첩부와, 상기 중앙판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복수의 상기 절첩부와도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침대의 측벽을 구성하는 가드부로 이루어져 성인용 또는 놀이용 매트와, 유아용 침대로 가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가변형 매트가 제시되어 있으나, 단일의 접철기능을 가짐으로써 매트와 침대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의 변형이 불가능하여 효용성의 제한이 있으며 그에 따라서 침대형 놀이기구 외의 별이의 작 효과를 발하기 어려워 제한적인 기능에 그치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241724호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269863호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180393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를 다양하게 배치함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체를 만들어 영유아의 교육과 놀이시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유아 성장에 유용한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재료로 다양하게 모양을 형성할 수 있고,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호 조합되어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부재로서 탄성체의 판 상부재로서의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를 분리된 매트체로서 구비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접철이 가능한 플랩을 가지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상기 플랩이 접철되거나 펼쳐진 상 태에서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놀이기구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1개 이상의 상기 플랩의 접철된 상 태에서의 상호 접속면에 대응하는 밸크로를 부착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상기 플랩이 접철되거나 펼쳐진 상 태에서 벨크로로 접합구성한 복수 형태의 구성체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놀이기구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5개의 플랩으로 형성되되,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a1플랩, 제a2플랩, 제a3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이라 하고, 제a1플랩의 폭을 D2, 제a2플랩의 폭을 D1, 제a3플랩의 폭을 A, 제a4플랩의 폭을 C1, 제a5플랩의 폭을 C2라하며,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b1플랩, 제b2플랩, 제b3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이라 하고, 제b1플랩의 폭을 d2, 제b2플랩의 폭을 d1, 제b3플랩의 폭을 a, 제b4플랩의 폭을 c1, 제b5플랩의 폭을 c2라할 때, 상기 각 플랩들의 길이는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폭방향의 길이를 B 라 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b 라 할 때,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4]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플랩의 폭방향의 각 길이는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두께를 t1 라 할 때,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각 플랩간의 폭방향의 길이와 어퍼매트유니트의 두께 t1와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6]를 만족한다.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는 구성체의 상단부 또는 피복체로서의 구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는 구성체의 하단부 또는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로의 삽입체로서의 구성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방향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 상면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 하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제b2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은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를 이루되 각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4개의 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형성되어 각 벽체로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변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평을 이루어 벽체가 없어짐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외부와 개구된다.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가 서로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3플랩 상면과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3플랩 하면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상기 바텀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1플랩, 제b2플랩,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4플랩, 제b5플랩이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어느하나 이상의 벽체면이 개구된다.
또한,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5개플랩이 지면에 펼쳐지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면이 지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되, 제a3플랩의 지면에 접한부근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의 일부분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펼쳐진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방향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펼쳐져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플랩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랩 일부분을 개구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가 조합 및 접합되어 형성하는 구성체 의 접속부에 벨크로를 부착한 보조벨트로서 구성체의 강성을 더욱 증대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구성체를 만들어 영유아의 교육과 놀이시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유아 성장에 유용한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의 재료로 다양하게 모양을 형성할 수 있고,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기본구성의 범퍼메트의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평면도.
도 2a,b는 도 1의 E 부의 각각의 실시형태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1의 용도 를 도시하는 구성의 사시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 2 의 용도를 도시하는 구성의 절첩상태로서 조립전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완성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3의 용도 로서 의 구성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4의 용도 로서 의 구성의 사시도.
도 8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5의 용도의 구성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 9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6의 용도로서의 구성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7의 용 도로서 정글짐을 구성한 측면사시도.
도 11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8의 용도로서 터널및 저상터널의 구성으로 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사용하지 않을 시의 보관상태를 도시하는 향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사각스 형의 놀이공간체로 구성한 실제 제품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영유아 유희 교육용 범퍼매트어셈블리(100)는,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 이상의 조합판재를 가지게 되고 기본적으로는 판상매트로서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구비한다.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상호 평면상으로 펼쳐질 수 있 는 매트로서 사용되고 접속되는 면에서의 각각의 길이가 같아 평면상으로 펼지는 경우, 단일의 사각형상체를 구성하는 치수를 가진다.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퍼매트유니트(10)는 유희구로서의 구 조물의 상부체 또는 수용부를 구성하게 되고 바텀매트유니트(50)는 구조물의 바닥 체 또는 삽입체로서 사용된다.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통상의 탄성재질체 예를 들면 합성고무, 강성의 고밀도 스펀지, 비교적 강성의 발포수지판재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재로 만들어 짐으로써 완충력을 보장하여 영유아들의 부상을 방지하게 한다.
도 2a에서와 같이,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구성하는 판 재는 연결밴드부(H)가 유니트 간에 열압착되어 절첩선을 구성하도록 노출된 그대로 의 판재일 수도 있지만,
영유아의 부상의 방지와, 미관의 증대, 물청소 등을 위하여 도 1의 E부 확 대도인 도 2b에서와 같이 내부에 탄성판재(P)를 감싸는 형태의 비닐지 등의 합성수 지지 또는 면제 등의 외피체(K)를 구성하여 지퍼(도시하지 아니함) 등으로 마감처리하여 탄성판재(P)를 수용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는 내부의 탄성판재(P)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접히는 중심선인 접철 선(F)은 측면의 다른 플랩을 구성하는 외피체(C)와는 박음질연결되어 접합될 수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에 채용되는 판 상구조는,
(1) 노출된 통상의 탄성재질체 예를 들면 합성고무, 강성의 고밀도 스펀지, 비교적 강성의 발포수지판재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 재의 판재가 노출되어 접철 선(F)에서 일측이 열압착 등으로 접합되어 저렴하게 구성된다.
(2) 영유아의 마찰부상의 방지와, 미관의 증대, 물청소 등을 위하여 도 1의 A부에서와 같이 내부에 탄성판재(P)를 감싸는 형태의 비닐지 등의 합성수지지 또는 면제 등의 외피체(C)를 구성하여 지퍼(도시하지 아니함) 등으로 마감처리하여 탄성 판재(P)를 수용 및 필요한 경우 내부의 탄성판재(P)를 교체할 수 있게 하고, 어퍼 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접히는 선인 접철선(F)은 측면의 다른 부 재의 외피체(C)와는 박음질연결하여 구성한 것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구성하는 탄성판재(P) 또 는 노출되는 외피체(C)는 영유아의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원색의 색상 을 구분하여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구성의 설명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1개가지는 것으로서 설명되지만 탄성완충이 더욱 요청되는 경우는 플랩을 2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탄성판재를 기본으로 구성되는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 트(50)는 후술하는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 또는 놀이체를 형성하는 구성체로 하기 위하여 접철되는 구성을 가지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텀매트유니트(50)는 후술하는 목적에 부합하게 적절한 길이를 가지게 되고 직사각형성체의 중앙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좌(우)로 연장되고 절첩되는 제1-1 플랩(52)과 제1-2플랩(53)을 양측에 중앙에 접철선(F)을 기준으로 가지는 것이 좋다.
접철선(F)을 구성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선을 따라서 매트의 두께(t)의 일측에서 연결되도록 박음질 또는 열압착, 외피체(C)의 박음질연결선 등으 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성체의 형성 시에 불요한 탄발력을 부여하지 않도록 바텀메 인판(51)과 제1-1플랩(52),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의 접철선(F)은 상호 반 대되는 면상에 제공함으로써 접을 경우 직각이 형성되어 소망하는 구성체를 형성할 수 있다.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연결된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의 폭(c1,c2)은 접을 경우 매트의 두께(t)를 흡수하도록 외측의 제1-1플랩(52)을 내측의 제1-2플랩(53)보다 매트의 두께(t)만큼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후 이상의 플랩을 가지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접철가능한 2개의 플랩을 각유니트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우(좌)에는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을 역시 연결하여 가진다.
제2-1플랩(55)과 제2-2플랩(56)의 폭(c3,c4)은 제1-1플랩(52)과 제1-2플 랩(53)의 폭(c1,c2) 보다 크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 의 폭(c1,c2)보다 6t 정도 크게 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러한 규격의 설정이 필 요한 것은 아니고 청구하는 범위에서의 기술적 사상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2플랩(56)의 폭(c4)이 제2-1플랩(55)의 폭(c3)보다 4t정도 길게 형성한다.
예시적으로는 바텀메인판(51)의 폭(a)은 124cm, 제1-1플랩(52)의 폭(c1)은 24cm, 제1-2플랩(53)의 폭(c2)는 26cm, 제2-1플랩(55)의 폭(c3)은 36cm, 제2-2플 랩(56)의 폭(c4)은 40cm 정도가 영유아의 신체와 놀이공간을 고려할 때에 적합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고려할 점은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연결된 제1-1플랩(52) 과 제1-2플랩(53)의 폭(c1,c2)은 접을 경우 직각으로 꺽여서 구조물이 안정되도록, 바텀메인판(51)과 제1-1플랩(52)의 접철선(F)과,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의 접철선(F)의 위치는 평면상 반대에 위치에 존재하여야 구조물의 구성시에 정확한 구성체가 된다.
물론 접철선(F)을 매트판의 두께의 상하위치의 중앙부에 부여하여도 구성이 가능하나 구조물의 구성 시에 매트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소망하는 형상의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의 바텀매트유니트(50)과 협동하여 후술하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어퍼매 트유니트(10)의 구성 역시 접철이 가능한 매트구성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판으로서 어퍼메인판(11)에 대하여 좌우로 플랩을 가지게 되고, 어퍼메인판(11)의 좌(우)측에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을, 우(좌)측에 제4-1플랩(15) 제4-2플랩(16)을 가지며 그 구성은 바텀매트유니트(50)과 거의 동일 하나, 접철 상태에서 바텀매트유니트(50)를 그 내방에 수용하여 구성체를 형성하도록 어퍼메인판(11)과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 랩(16)은 치수를 설정하여 가진다.
즉 어퍼매트유니트(10)의 길이(A)는 바텀매트유니트(50)이 접철되어 그 내방 에 수용되도록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b)과 동일한 치수, 예를 들면 80cm 로 구 성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폭(B)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길이(a)에 매트의 두 께(t)의 8배 즉 8t 정도를 추가하여 접을 경우의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접철된 폭 을 수용하고 구성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 플랩(16)의 길이(C1,C2,C3,C4)는 각각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c1,c2,c3,c4)보다 매트의 두께(t)의 2배 이상으로 구성하여야 후술하는 구성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돌 출부위가 없어지고 구성체의 형태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놀이기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의 폭방향 양단에는 통상적인 암(female),수(male) 어느 하나의 벨크로(상 품명(Velcro:V1)를 박음질 접착 등으로 소정의 두께(바람직하게는 매트의 두께(t) 의 2배 이상)의 폭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바텀매트유니 트(50)의 바텀매트유니트(50)의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연결된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의 폭방향 두께(t)면 즉, 매트의 측 면부에는 수,암 어느 하나의 벨크로(V2)를 두께(t)의 폭으로 박음질 또는 접착형 성한다.
이러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벨크로(V1)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벨크 로(V2)는 상호 접착하여 후술하는 구성체의 조립, 형성 시에 매트부재간의 고정결합 력을 제공하여 놀이 및 유희기구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물론 이러한 벨크로(V1,V2) 대신 똑딱이단추 또는 마그네트를 구성할 수 있 으나 그러한 변형은 단순한 접합수단의 치환으로서 선원에 구애받지 않음은 물론이 다.
또한 상기하는 구성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에 절개된 형태의 윈도우(W)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하우스체 등의 구성 시에 창문으로 함으로써 더욱 영유아의 호 기심을 촉발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도 3, 도 9b, 도 11a에는 이러한 윈도우(W)가 없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도시 한다.
상기하는 플랩접철구성을 가지는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로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놀이기구로서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구성체가 도 이하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1의 용도 를 도시하는 구성으로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벨크로(V1) 형성면을 부분을 뒤집 어(영유아의 마찰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배면으로하고, 바텀매트유니트(50)를 상호 접대어 펼침으로써 영유아들이 뛰어놀 수 있는 전체 매트체(M)로서 사용이 가 능함을 도시한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2의 용도로서 영유아들이 그 안에 들어가 놀 수있는 사각박스형의 놀이공간체(P)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1-2플 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을 접고 이 접철된 구성체를 어퍼매트유니 트(10)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이 접힌 구 성체에 삽입함으로써 사면이 폐색된 놀이공간체(P)로 기능하고 사면은 복수 개의 접철된 플랩들에 의하여 완충되므로 영유아들의 부상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놀이 를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3의 용도 로서 제1형의 소파를 구성한 것으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는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을 접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 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 중, 어느 한 쌍의 플랩만을 접어 겹쳐 접철하면 소파형상체(S1)를 구성하므로 영유아들이 변형 된 상태에서의 유희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4의 용도 로서 제2형의 소파를 구성한 것으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는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 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의 어느 한 쌍의 플랩을 접고, 어퍼매트유 니트(10) 역시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중 어느 한 쌍의 플랩만을 접어 겹쳐 접철하면 변형된 소파형상체(S2)를 구성하므로 영유아들이 다른 변형된 상태에서의 유희가 가능하다.
도 8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5의 용도로서 놀이집으로서의 하우스체를 구성한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로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세워서 조립하되 바텀매트유니 트(50)는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은 접고, 제2-1플 랩(55)와 제2-2플랩(56) 펼친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4-1플랩(15)만을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하여 조립하면 하우스 체(H)를 구성하고 벽면부에 도어공간(D)이 개방되므로 영유아들이 집과 같은 느낌 을 부여하면서 각종의 놀이가 가능하다.
도 9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6의 용도로서 놀이집을 구성한 것으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은 모두 접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4-1플랩(15) 만을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 조립하면 하우스체(H)를 구성하고 벽면부에 한쌍의 대응하는 도어공간(D)이 개방되므로 영유아들이 다른 형태의 집과 같은 느낌을 부여하면서 각종의 놀이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7의 용 도로서 정글짐을 구성한 측면사시도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은 모두 접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4-1플랩(15)만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조립하된 바텀매트유니트(50)를 내측으로 진입시키면 놀이기구로서의 정글짐(J)의 구성이 가능하다.
도 11 a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8의 용도로서 고상(高床)형의 터널로 한 각 사시도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은 모두 펼치고 그 위에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 플랩(12)과 제4-1플랩(15)만을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조립하면 터널체(T)를 구성하게 되고 영유아들이 이 터널체(T) 내방으로 이동하면서 신기감을 가지면서 놀이를 할 수 있다.
도 11b는 저상(低床)형의 터널형태의 터널체(T)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사용하지 않을 시의 보관상태를 도시하는 향태의 사시도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 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 및 어퍼매트유니트(10) 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 를 선택적으로 접어서 적층 보관함으로서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협소한 놀이공간의 수납공 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고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2의 상태를 벽면에 기대어 세워서 보관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사각스형의 놀이공간체로 구성한 실제 제품의 사진으로서 컬러풀한 색상으로 구성 하여 영유아들의 인지능력을 증대하게 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랩이 접혀진 상태에서 바텀매트유니트(50)와 어퍼 매트유니트(10)가 접촉하여 꺽이는 부분에 보조적인 벨크로 장착 식의 보조벨트(도 멘에서 흰색으로 도시됨)를 더 부여하여 구성체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게 할 수 있 다.
상기하는 각각의 실시예 이외에 다양한 접철방법과 보조기구의 사용으로써 각종의 구성체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된 구성체는, 어퍼매트유 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조합체로서 구성되는 이상, 모두 본 발명의 기술 적인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5개의 플랩으로 형성된다.
이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각 플랩들의 명칭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상기에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2플랩(53)을 제b1플랩으로, 제1-1플랩(52)을 제b2플랩으로, 제2-1플랩(55)을 제b4플랩으로, 제2-2플랩(56)을 제b5플랩으로 정의한다.
상기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3-2플랩(13)을 제a1플랩으로, 제3-1플랩(12)을 제a2플랩으로, 제4-1플랩(15)을 제a4플랩으로, 제4-2플랩(16)을 제a5플랩으로 정의한다.
또한 바텀메인판(51)은 제b3플랩으로, 어퍼메인판(11)을 제a3플랩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어퍼매트유니트(10)과 바텀매트유니트(50)에서 긴쪽을 폭방향(도 1의 A, a가 표기된 방향)으로 짧은쪽(도 1의 B, b가 표기된 방향)을 길이“‡향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긴쪽이 길이방향, 짧은쪽이 폭방향으로 정의하나 이는, 각 플랩을 기준으로 보면 긴쪽이 길이방향이 되고 짧은쪽이 폭방향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5개 플랩은 각각 제a1플랩, 제a2플랩, 제a3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이라 정의되며, 제a1플랩의 폭을 D2, 제a2플랩의 폭을 D1, 제a3플랩의 폭을 A, 제a4플랩의 폭을 C1, 제a5플랩의 폭을 C2라 정의한다(도1 참조)
또한 바텀매트유니트(50)의 5개 플랩은 각각 제b1플랩, 제b2플랩, 제b3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이라 정의되며, 제b1플랩의 폭을 d2, 제b2플랩의 폭을 d1, 제b3플랩의 폭을 a, 제b4플랩의 폭을 c1, 제b5플랩의 폭을 c2라 정의한다(도1 참조).
즉 어퍼매트유니트(10)의 각 플랩의 폭은 대문자로 표시하였으며, 바텀매트 유니트(50)의 각 플랩의 폭은 소문자로 표시하였다.
먼저,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 전체 플랩의 폭이 같다.
즉, "C2+C1+A+D1+D2 = c2+c1+a+d1+d2"와 같다.
본 발명에서 각 플랩들의 폭은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제작된다.
Figure 112016038772604-pat00024
Figure 112015124646890-pat00002
Figure 112015124646890-pat00021
Figure 112016038772604-pat00025
수학식 [수학식 3] [수학식 4]의 의미는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을 90도 각도로 다르게 겹쳐서 배치할 때 변의 길이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각 플랩간의 길이와 폭의 관계를 수학식으로 표시함에 있어, 동일(=)의 부호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가공상의 오차 및 조립상의 오차 등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는 대략동일을 포함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각 플랩들의 폭들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도록 제작된다.
Figure 112015028731595-pat00005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두께를 t1, 바텀매트유니트(50)의 두께를 t2 라 할 때,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각 플랩간의 폭과 어퍼매트유니트(10)의 두께 t1와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6]를 만족하도록 제작된다.
Figure 112016038772604-pat00006
이하 본원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결합형상을 통해 다양한 모양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다.
여기서 제1실시예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방향이 서로 직각방향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 상측면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 하측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제b2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은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a3플랩 상측면이란 도 1에서 보이는 면(도1에서 앞쪽)을 의미하고, 제b3플랩 하측면이란 도 1에서 보이지 않은 면(도 1에서 뒤쪽)을 의미한다.
이때,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를 이루되 각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4개의 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형성되어 각 벽체로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변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5 참조).
여기서 제2 실시예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평을 이루어 벽체가 없어짐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외부와 개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6, 7 참조).
본원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형상을 나타내는 제3실시예로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인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 상측면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 하측면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바텀매트유니트(50)를 향해 절곡되고,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제b2플랩,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제b5플랩이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를 향해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각 벽체의 형태를 바꿀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8a, 도8b, 도9a 참조).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어느하나 이상의 벽체면이 개구되어 설치될 수 있다(도8a, 도8b, 도9a, 도9b 참조).
또한, 본원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형상을 나타내는 제4실시예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5개플랩이 지면에 펼쳐지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면이 지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되, 제a3플랩의 지면에 접한부근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의 일부분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펼쳐진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방향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펼쳐져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플랩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랩 일부분을 개구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된다.
즉,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가 조합 및 접합되어 형성하는 구성체의 접속부에 벨크로를 부착한 보조벨트로서 구성체의 강성을 더욱 증대될 수 있다.
10: 어퍼매트유니트
50: 바텀매트유니트
100: 범퍼매트어셈블

Claims (15)

  1. 상호 조합되어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부재로서 탄성체의 판 상부재로서의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를 분리된 매트체로서 구비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5개의 접철이 가능한 플랩을 가지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5개의 상기 플랩의 접철된 상태에서의 상호 접속면에 대응하는 밸크로를 부착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상기 플랩이 접철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벨크로로 접합구성한 복수 형태의 구성체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놀이기구로 사용하며,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5개의 플랩으로 형성되되,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a1플랩, 제a2플랩, 제a3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이라 하고, 제a1플랩의 폭을 D2, 제a2플랩의 폭을 D1, 제a3플랩의 폭을 A, 제a4플랩의 폭을 C1, 제a5플랩의 폭을 C2라하며,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b1플랩, 제b2플랩, 제b3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이라 하고, 제b1플랩의 폭을 d2, 제b2플랩의 폭을 d1, 제b3플랩의 폭을 a, 제b4플랩의 폭을 c1, 제b5플랩의 폭을 c2,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두께를 t 라할 때,
    상기 각 플랩들의 길이는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B 라 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b 라 할 때,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4]을 만족하되,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3플랩 상면과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3플랩 하면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상기 바텀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1플랩, 제b2플랩,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4플랩, 제b5플랩이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수학식 1]
    D1 = C1, D2 = D1+t
    [수학식 2]
    d2=d1+t, c2=c1+t
    [수학식 3]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3플랩의 폭방향의 길이 A = 바텀매트유니트의 길이방향의 길이 b
    [수학식 4]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의 폭방향의 길이 a = 어퍼매트유니트(10)의 길이방향의 길이 B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각 플랩의 폭방향의 각 길이는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 퍼매트 어셈블리.
    [수학식 5]
    D1 > d1 > c1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어느하나 이상의 벽체면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13. 삭제
  14. 제1항, 제5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플랩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랩 일부분을 개구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가 조합 및 접합되어 형성하는 구성체 의 접속부에 벨크로를 부착한 보조벨트로서 구성체의 강성을 더욱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KR1020150040756A 2014-03-26 2015-03-24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KR101650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5383 2014-03-26
KR1020140035383 2014-03-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686A Division KR101732013B1 (ko) 2016-04-21 2016-04-21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68A KR20150111868A (ko) 2015-10-06
KR101650338B1 true KR101650338B1 (ko) 2016-08-23

Family

ID=5434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756A KR101650338B1 (ko) 2014-03-26 2015-03-24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721B1 (ko) * 2016-02-26 2016-10-04 (주)에센루 범퍼침대매트
HU5017U (hu) * 2016-08-10 2019-07-29 Norbert Bindics Készségfejlesztõ szivacs játszóház elrendezés
KR102002897B1 (ko) * 2018-08-09 2019-10-01 주식회사 꿈비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85B1 (ko) * 2011-12-28 2013-07-31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101339325B1 (ko) * 2012-11-29 2013-12-09 (주)디자인스킨 다용도 하우스형 범퍼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393B1 (ko) 2005-12-01 2012-09-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벨 쉬프트 회로
KR101241724B1 (ko) 2011-04-06 2013-03-11 서정수 접힘 부가 구성된 유아용 구르기 매트
KR101269863B1 (ko) 2011-12-21 2013-06-07 황정은 유아용 놀이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85B1 (ko) * 2011-12-28 2013-07-31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101339325B1 (ko) * 2012-11-29 2013-12-09 (주)디자인스킨 다용도 하우스형 범퍼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68A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56600A1 (en) Configurable panel display
KR101650338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US10086304B1 (en) Modular panel system for interactive play or display
KR200485388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KR101204773B1 (ko) 완구용 집으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20150108070A (ko) 접이식 수납박스
KR101358638B1 (ko)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US20030153243A1 (en) Construction set toy
KR101269863B1 (ko) 유아용 놀이매트
KR101732013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JP3119330U (ja) 簡易組み立てハウス
KR200468095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KR101464444B1 (ko) 아동용 블록빌더
JP5229903B2 (ja) 段ボール間仕切り、段ボール間仕切り及び床材セット
US20190060776A1 (en) Modular toy system for building child forts or other play spaces
KR200476364Y1 (ko) 조립식 매트리스
KR20110002662U (ko) 베개 책
CN208001810U (zh) 快速拆组式宠物组合屋
JP3201273U (ja) 乳幼児用組み立てパネル式遊具マット
KR20100006075U (ko) 자석 종이블록
KR20100004819U (ko) 의자겸용매트
KR100846916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
US10737192B1 (en) Construction block assembly set
KR101410674B1 (ko) 일체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JP3196482U (ja) バスを模した折り畳み式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